KR102257115B1 -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115B1
KR102257115B1 KR1020200168655A KR20200168655A KR102257115B1 KR 102257115 B1 KR102257115 B1 KR 102257115B1 KR 1020200168655 A KR1020200168655 A KR 1020200168655A KR 20200168655 A KR20200168655 A KR 20200168655A KR 102257115 B1 KR102257115 B1 KR 102257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diameter
hub
link
moving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최영도
성세현
Original Assignee
텔레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레픽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061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3581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위성 또는 나노 위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주경(Primary mirror)이 폴딩된 상태로 궤도로 발사한 후 궤도상에서 주경(Primary mirror)을 전개시키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는, 허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허브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를 펼치는 전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Deployable mirror assembly}
본 발명은 소형 위성 또는 나노 위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주경(Primary mirror)이 폴딩된 상태로 궤도로 발사한 후 궤도상에서 주경(Primary mirror)을 전개시키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송신부 또는 수신부에 집광하는 망원경 광학계는 우주 괘도를 비행하며 목표물을 감지하는 우주 망원경 또는 지상 및 공중에서 사용되는 자유공간 광통신(Free space communication)에 사용한다. 광학계는 그 직경이 크면 클수록 집광력과 결상력이 증대되지만, 크기가 커지면 제조 단가의 증대, 결합 성능의 저하 등이 발생한다.
특히, 우주 공간의 괘도상에 배치되는 우주 망원경, 위성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광학계는 발사시 접어서 작은 부피로 장착되어 괘도에 운반되고, 궤도에 도달되면 접힌 광학계를 전개시킨다.
이러한 전개방식의 광학계는 차세대 대형 인공위성에서 전개형 광학계 또는 전개형 위성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크기가 1U~10U 정도의 소형위성 또는 나노 위성은 그의 허용 부피가 매우 작다. 즉, 소형위성 또는 나노 위성은 대형 우주 망원경에서 사용되는 접이식 또는 전개식 방식으로 광학계를 그대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소형의 인공위성은 허브에 결합되고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위각 방향으로 90 간격으로 떨어진 4개의 주경 세그먼트(Primary mirror segment)를 광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하는 방식의 전개형 위성 광학계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의 인공위성은 주경(Primary mirror)을 구성하는 주경 세그먼트 사이에 빈 공간이 생겨 집광력 및 결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소형의 인공위성은 반사경의 반사면 반대 방향 측에 주경을 전개하기 위한 전개조절장치가 배치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주경 세그먼트(Primary mirror segment)를 펼쳤을 때 주경 세그먼트 사이에 전체적으로 반사경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집광력과 결상력을 증대시키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팩트한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경을 전개하는 전개 조절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허브, 상기 허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허브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를 펼치는 전개부를 포함하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의 인접한 부분을 연결하는 힌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 중 서로 인접하는 주경 세그먼트를 연결하며, 상기 주경 세그먼트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개부가 결합되는 이동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힌지부는 상기 주경 세그먼트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 중 서로 인접하는 주경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고정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개부는 상기 허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허브에 일단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이 상기 제2 링크의 중간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개부는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주경 세그먼트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또는 상기 허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개부는 상기 허브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주경 세그먼트가 전개되도록 상기 전개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는 외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경 세그먼트(Primary mirror segment)를 서로 연결부로 연결하여 주경을 펼쳤을 때 주경 세그먼트 사이에 빈 공간이 없이 전체적으로 반사경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집광력과 결상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경(Primary mirror)을 전개하기 위한 장치를 허브에 설치하여 주경의 후면 쪽의 공간을 줄여 소형 위성 또는 나노 위성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경을 전개하는 전개부를 간단한 구조로 설계하여 설치 공간을 줄여 소형 위성 또는 나노 위성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가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를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잘라서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를 전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A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B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C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가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로, 접힌 상태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가 일부 전개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는 허브(100), 주경(primary mirror, 130), 연결부(150), 그리고 전개부(170)를 포함한다.
허브(100)는 주반사경의 광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형상의 구조물을 이루는 부분이다. 허브(1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따라 가이드홈부(101)가 형성된다. 가이드홈부(101)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가이드홈부(101)는 허브(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허브(100)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주경(130)은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primary mirror segment, 131, 133)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여러 개가 서로 연결되어 주경(130)을 이룬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예시로 6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6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9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되어 주경(130)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그의 개수가 증가하면 주경(130)이 폴딩된 상태의 전체 직경(크기)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허브(10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허브(100)의 외주면과 간격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서로 인접하는 측면에 홈부(131a, 133a)가 형성된다.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홈부(131a, 133a)는 주경(130)이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측면에 축 중심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즉,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인접하여 마주하는 측면에 홈부(131a, 133a)가 각각 형성된다.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홈부(131a, 133a)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가운데 부분에서 일정한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50)는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인접한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부(150)는 힌지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150)는 이동 힌지부(151)와 고정 힌지부(161)를 포함한다.
이동 힌지부(151),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131, 133) 중 서로 인접하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를 서로 연결한다. 이동 힌지부(151)는 이동 힌지축(153), 제1 이동부(155), 제2 이동부(157) 그리고 링크 연결부(159)를 포함한다.
이동 힌지축(153)은 원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제1 이동부(155)는 이동 힌지축(1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플레이트 또는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이동부(155)는 이동 힌지축(1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주경 세그먼트(13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31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이동부(155)는 주경 세그먼트(13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31a)에 삽입되어 홈부(131a)를 따라 일정한 구간을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57)는 이동 힌지축(1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플레이트 또는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이동부(157)는 이동 힌지축(1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제1 이동부(155)가 끼워지는 주경 세그먼트(13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주경 세그먼트(133)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이동부(157)는 제1 이동부(155)가 끼워진 주경 세그먼트(131)에 인접한 또 다른 주경 세그먼트(133)에 형성된 또 다른 홈부(133a)에 끼워져 일부 구간을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힌지부(151)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 연결부(159)는 이동 힌지축(1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연장되어 돌출된 돌출부(159a)로 이루어진다.
이동 힌지축(153)은 그의 사이드 측에 제1 이동부(155)와 제2 이동부(157)가 결합되고, 이동 힌지축(153)의 가운데 부분에 링크 연결부(159)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힌지축(153)은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각각의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고정 힌지부(161)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 힌지부(161)는 이동 힌지부(151)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인접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서로 인접하는 일측에 이동 힌지부(151)가 설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타측에 고정 힌지부(161)가 설치된다.
고정 힌지부(16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힌지축(163), 제1 고정부(165), 그리고 제2 고정부(167)를 포함한다.
고정 힌지축(163)은 원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고정부(165)는 고정 힌지축(163)에 힌지 결합되어 플레이트 또는 돌출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고정부(165)는 이동 힌지부(151)가 설치되지 않은 주경 세그먼트(133)의 측면에 결합된다.
제2 고정부(167)는 고정 힌지축(163)에 힌지 결합되어 플레이트 또는 돌출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고정부(167)는 이동 힌지부(151)가 설치되지 않은 주경 세그먼트(131)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술한 이동 힌지부(151)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반사면(131b, 133b)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주경 세그먼트(131, 133)를 폴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고정 힌지부(161)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가 상술한 이동 힌지부(151)에 의해 폴딩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또 다른 주경 세그먼트(131, 133)를 폴딩시킬 수 있다. 즉, 고정 힌지부(161)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반사면(131b, 133b)의 배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주경 세그먼트(131, 133)를 폴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이동 힌지부(151)에 의해 폴딩되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반사면(131b, 133b)의 반대로 폴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 힌지부(161)에 의해 폴딩되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는 반사면(131b, 133b)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힌지부(151)와 고정 힌지부(161)는 인접하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폴딩하여 주경 세그먼트(131, 133)들이 완전하게 허브(100) 측으로 접힐 때 전체적인 직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개부(170)는 허브(100)와 이동 힌지부(151)에 결합되어 주경 세그먼트(131, 133)를 전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개부(170)는 이동부재(171), 제1 링크(173), 그리고 제2 링크(175)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7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허브(100)의 외주측에 배치되며 허브(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171)는 중심 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 돌출부(171a)를 구비한다. 이동부재(171)의 가이드 돌출부(171a)는 허브(100)의 가이드홈부(101)에 삽입되어 허브(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개부(170)의 이동부재(171)는 주경(130)의 반사면(131b, 133b)의 배면측인 허브(10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링크(173)는 이동부재(171)에 일측이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제1 링크(173)는 타측이 제2 링크(175)의 중간부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부재(171)가 허브(100)의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이동부재(171) 에 힌지 결합된 제1 링크(173)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링크(175)는 허브(100)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제2 링크(175)는 허브(100)에 직접 힌지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허브(100)에 고정하고 이 부재에 힌지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 링크(175)는 허브(100) 또는 허브(100) 측에 힌지 결합된 부분이 고정된다. 제2 링크(175)는 타측이 상술한 이동 힌지부(151)의 링크 연결부(159)에 힌지 결합된다(도 8 참조).
한편, 전개부(170)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제1 링크(173)와 제2 링크(175)가 이동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177)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77)는 제1 링크(173)와 제2 링크(175) 또는 제1 링크(173)와 허브(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러한 경우 인장코일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77)는 예시로 설명하는 것이며, 주경 세그먼트(131, 133)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제1 링크(173)와 제2 링크(175)가 움직이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면 설치위치나 탄성 방향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개부(170)는 주경 세그먼트(131)가 전개되도록 트리거 역할을 하는 작동부(179)를 포함한다.
작동부(179)는 허브(100)에 설치되어 상술한 이동부재(171)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부(179)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작동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동부(179)는 단지 이동부재(171)를 초기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시 또는 제어시에 이동부재(171)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경 세그먼트(131, 133)들이 허브(100)에 접힌 상태(도 1, 도 2 및 도 6 참조)에서 제어부에 의해 작동부(179)가 구동된다. 그러면 작동부(179)가 작동하여 이동부재(171)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때 탄성부재(177)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171)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이동부재(171)의 가이드 돌출부(171a)가 허브(100)의 가이드홈부(101)를 따라 이동한다.
이동부재(171)가 이동함에 따라 제1 링크(173)는 제2 링크(175)의 중간부를 가압한다. 그러면 제2 링크(175)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들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 링크(175)는 이동 힌지부(151)의 링크 연결부(159)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이동 힌지부(151)의 제1 이동부(155)와 제2 이동부(157)가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홈부(131a, 133a)를 따라 방사상 방향(외측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131, 133)가 전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131, 133)가 폴딩된 상태에서 비교적 작은 직경(h1, 도 2 참조)을 가진다. 그리고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131, 133)가 전개된 상태에서 큰 직경의 크기(h2, 도 5 참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개수를 늘리면 주경 세그먼트(131, 133)들이 폴딩된 상태의 직경(h1)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가 전개된 상태에서 반사면이 전체적으로 연결된 주경(130)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주경(130)을 구성하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집광력 및 결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주경(130)을 전개하기 위한 전개부(170)를 허브(100)의 외주측에 설치하여 주경(130)의 반사면 반대 방향 측에 공간을 줄여 인성위성의 소형화 및 나노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가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이동부재(171)가 허브(100)의 후단부에서 설치되어 허브(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동부재(171)가 허브(100)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허브(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단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동부재(171)가 다른 부품에 간섭을 받을 경우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주경(130)이 폴딩된 상태에서 직경(h1)을 더욱 줄이는 방향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소형화를 위해 최적화할 수 있도록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같은 작동부(179)가 이동부재(171)를 지지하고 탄성부재(177)가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주경 세그먼트(131, 133)들이 허브(100)에 접힌 상태(도 11 참조)에서 이동부재(171)가 탄성부재(177)의 탄성력에 의해 허브(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이동부재(171)는 허브(100)의 가운데 부분에서 허브(100)의 후단부측(주경의 반사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1 링크(173)는 제2 링크(175)의 중간부를 가압한다. 그리고 제2 링크(175)는 주경 세그먼트(131, 133)들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 링크(175)는 이동 힌지부(151)의 링크 연결부(159)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이동 힌지부(151)의 제1 이동부(155)와 제2 이동부(157)가 주경 세그먼트(131, 133)의 홈부(131a, 133a)를 따라 방사상 방향(외측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131, 133)가 전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개된 상태의 주경(130)이 허브(100)의 후단부측(주경의 반사면 반대측)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전개된 상태의 주경(103)이 허브(100)의 중간부에 배치되지만, 제2 실시예는 허브(100)의 후단부의 끝 부분의 외주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다른 부품과 간섭을 방지하거나 또는 반사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설계를 고려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허브,
101. 가이드홈부,
130. 주경,
131, 133. 주경 세그먼트, 131a, 133b. 홈부,
131b. 133b. 반사면,
150. 연결부,
151. 이동 힌지부, 153. 이동 힌지축,
155. 제1 이동부, 157. 제2 이동부,
159. 링크 연결부,
161. 고정 힌지부, 163. 고정 힌지축,
165. 제1 고정부, 167. 제2 고정부,
170. 전개부,
171. 이동부재,
171a. 가이드 돌출부, 173. 제1 링크,
175. 제2 링크,
177. 탄성부재, 179. 작동부

Claims (9)

  1. 허브,
    상기 허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허브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를 펼치는 전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 중 서로 인접하는 주경 세그먼트를 연결하며, 상기 주경 세그먼트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개부가 결합되는 이동 힌지부
    를 포함하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힌지부는
    상기 주경 세그먼트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 중 서로 인접하는 주경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고정 힌지부
    를 포함하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6. 허브,
    상기 허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경 세그먼트,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허브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주경 세그먼트를 펼치는 전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개부는
    상기 허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허브에 일단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이 상기 제2 링크의 중간부에 힌지 결합되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개부는
    상기 주경 세그먼트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링크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또는 상기 허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개부는
    상기 허브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주경 세그먼트가 전개되도록 상기 전개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는
    외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부를 구비한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KR1020200168655A 2020-05-20 2020-12-04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KR102257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6179 WO2021235810A1 (ko) 2020-05-20 2021-05-18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60188 2020-05-20
KR1020200060188 2020-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115B1 true KR102257115B1 (ko) 2021-05-27

Family

ID=7613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655A KR102257115B1 (ko) 2020-05-20 2020-12-04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7115B1 (ko)
WO (1) WO2021235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80962A (zh) * 2022-11-30 2023-04-18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聚光结构、装置以及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7399A (en) * 1966-02-07 1968-08-13 Goodyear Aerospace Corp Collapsible dish reflector
EP0950910A1 (fr) * 1998-03-26 1999-10-20 Alcatel Dispositif escamotable, de type pare-soleil, pour un instrument optique tel qu'un téléscope spatial
US7557995B1 (en) * 2006-07-11 2009-07-0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Deployable telescope shade
US20090180204A1 (en) * 2005-09-05 2009-07-16 Thales Deployable reflector in the form of a reuleaux triangle for a space observation instrument
KR101428784B1 (ko) * 2013-03-29 2014-08-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밀 포커스 메커니즘을 갖는 우주용 전개형 광학구조체
US20150146288A1 (en) * 2011-02-25 2015-05-28 Utah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Multiple petal deployable telescope
KR101537355B1 (ko) * 2013-12-10 2015-07-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형 인공위성용 안테나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7399A (en) * 1966-02-07 1968-08-13 Goodyear Aerospace Corp Collapsible dish reflector
EP0950910A1 (fr) * 1998-03-26 1999-10-20 Alcatel Dispositif escamotable, de type pare-soleil, pour un instrument optique tel qu'un téléscope spatial
US20090180204A1 (en) * 2005-09-05 2009-07-16 Thales Deployable reflector in the form of a reuleaux triangle for a space observation instrument
US7557995B1 (en) * 2006-07-11 2009-07-0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Deployable telescope shade
US20150146288A1 (en) * 2011-02-25 2015-05-28 Utah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Multiple petal deployable telescope
KR101428784B1 (ko) * 2013-03-29 2014-08-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밀 포커스 메커니즘을 갖는 우주용 전개형 광학구조체
KR101537355B1 (ko) * 2013-12-10 2015-07-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형 인공위성용 안테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810A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3714A (en) Box truss hoop
KR101759620B1 (ko) 인공위성에 탑재되는 안테나
KR102257115B1 (ko)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US8550407B2 (en) Large rigid deployable structures and method of deploying and locking such structures
EP2482378B1 (en) Deployable antenna
US9331394B2 (en) Reflector systems having stowable rigid panels
EP3598576B1 (en) Reflecting systems, such as reflector antenna systems, with tension-stabilized reflector positional apparatus
EP1783051A1 (en) Combination actuator latch mechanism
KR101754234B1 (ko) 인공위성에 탑재되는 안테나
US20190144139A1 (en) Large aperture unfurlable reflector deployed by a telescopic boom
US6229501B1 (en) Reflector and reflector element for antennas for use in outer space and a method for deploying the reflectors
JP4876941B2 (ja) 展開型アンテナ
US7119955B1 (en) Multi-aperture high-fill factor telescope
US11784415B2 (en) Deployable assembly for antennas
US20200354087A1 (en) Deployment mechanism for reflector antenna system
KR102446277B1 (ko) 인공위성 메쉬 안테나 장치 및 메쉬 안테나 전개 방법
CN112531349B (zh) 一种天线展开机构
JP3891972B2 (ja) 展開アンテナ
KR20240002037A (ko) 접이식 조각거울 쉘을 구비하는 접이식 조각거울 모듈, 이를 포함하는 조각거울 망원경 및 조각거울 망원경 설치 방법
JPH0969725A (ja) アンテナ反射鏡
JPS6229206A (ja) メツシユ展開アンテナ
WO2020213136A1 (ja) アンテナ装置及び宇宙航行体
KR102555895B1 (ko)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RU221061U1 (ru) Рефлектор развертываемой антенны
JP3133056B2 (ja) 展開アンテナ及び環状体の同期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