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807B1 -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 Google Patents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807B1
KR102555807B1 KR1020210007216A KR20210007216A KR102555807B1 KR 102555807 B1 KR102555807 B1 KR 102555807B1 KR 1020210007216 A KR1020210007216 A KR 1020210007216A KR 20210007216 A KR20210007216 A KR 20210007216A KR 102555807 B1 KR102555807 B1 KR 10255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low
oil
filter
engi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883A (ko
Inventor
레이나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레이나 와타나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나 와타나베 filed Critical 레이나 와타나베
Priority to KR102021000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80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6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lubricant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11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using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38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실린더블럭(엔진)내에서 압축, 폭발행정에서 발생한 미연소 가스인 블로바이가스와 미증류상태로 가스화된 엔진 오일을 일차적으로 환원장치의 제1소결필터에서 효율적으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블로바이가스는 관형 하우징내에서의 상부측 제3소결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흡기계통측으로 순환시켜 실린더블럭내에서의 재연소가 이루어지고, 1차 여과된 오일은 오일배출밸브를 통해 청정한 상태로 실린더측으로 바이패스되도록 함으로써, 관형 하우징내에서의 효율적인 블로바이가스의 냉각, 압축시켜 재 연소조건을 만족시켜 주어 대기중 배출가스를 줄임과 동시에 연료절약에 따른 연비개선이 가능하고,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켜 주며, 특히 흡기계통으로 미증류에 해당하는 엔진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여 흡기계통을 청결을 최대한 유지시켜 피스톤 및 밸브 등의 부품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Blow-by-gas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환원장치를 제공함은 물론, 미연소 블로바이가스와 미증류상태의 가스화된 엔진 오일이 효율적으로 분리, 여과되도록 하고, 실린더측으로 재공급되는 블로바이가스를 냉각시켜 재 연소조건을 만족시켜 대기중 배출가스를 줄임과 동시에 연료절약에 따른 연비개선,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켜 주며, 특히 흡기계통으로 미증류에 해당하는 엔진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여 흡기계통을 청결을 최대한 유지시켜 피스톤 및 밸브 등의 부품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계속 주행하다 보면 엔진이 노후화되어가면서 엔진의 실린더블럭 내벽 손상이나 인젝터 동와셔의 손상, 피스톤링 마모 등의 데미지가 축적되고, 이러한 현상이 계속되면, 실린더블럭 내의 크랙이 커지면서 일부의 디젤 연료가 연소되는 것이 아니라 냉각수나 엔진오일이 역류해 혼합되면서 연소되면서 연기가 발생하는데 이 연기가 블로바이가스(Blow-by-gas)이다.
블로바이가스 성분의 75~80%는 미연소 혼합기와 산화한 탄화수소가스, 나머지 20~25%가 연소가스로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엔진의 연소실로 재순환하여 완전히 연소시키는 시스템의 장착이 법률로 의무화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블로바이가스를 재연소시키기 위한 장치를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還元裝置)라 하고, 이를 Positive Crank Case Ventilation(PCV)라고 불린다.
블로바이가스에는 1ℓ당 0.04~0.05g의 강한 산성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의 내부를 녹슬게 함과 동시에, 엔진 오일을 열화시키므로 엔진의 관리를 위해서도 이 가스를 처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블로바이가스의 양은 실린더블럭 내의 압력과 크랭크케이스 내의 압력 차이가 클수록 증가하지만 크랭크케이스 내의 압력은 엔진의 회전속도가 빨라져도 그다지 변하지 않으므로 엔진의 회전속도와 부하가 커질수록 그 양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블로바이 가스는 엔진의 부하에 따라 2단계로 처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는 흡기계통의 스로틀 밸브와 흡기매니폴드 사이에 크랭크케이스를 연결하는 파이프, 크랭크케이스와 연결된 헤드 커버, 외기를 흡입하는 입구와 스로틀 밸브 사이에 연결하는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PCV는 순정차량의 경우 의무적으로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인 PCV밸브가 장착되며, 엔진에서 새어나온 블로바이가스를 흡기 매니폴더를 통해 리턴하여 재연소시키는 구조이다.
그 작동은, 엔진의 과부하시 PCV밸브에 압력이 전해져 밸브가 열리면 블로바이가스가 엔진 내부로 역류하지 않고, 흡기 인테크파이프로 유도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PCV밸브는 전자제어가 아닌 압력에 의한 자가직동방식으로 오작동이 맣이 발생하기 때문에 역류현상이 발생하여 출력손실을 방지가 어려운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 블로바이가스 환원 관련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5731호(명칭: 자동차의 블로바이가스 오일분리기, 등록일자: 2004년 06월 02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이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필터고정체와, 이 필터고정체에 장착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고정체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가스압력이 상승할 때 상방으로 상승하는 압력조절챔버와, 이 압력조절챔버가 상승하였을 때 열려지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승을 억제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방향 변형을 억제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압력조절챔버의 상승에 의하여 온(on)되는 스위치와, 이 스위치가 온(on)되는 것에 의해 작동되어 배터리의 전류를 상기 모터로 공급해주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은 필터에 흡착된 오일량이 증가하여 블로바이가스가 필터를 통과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모터의 구동으로 필터를 회전시켜 오일이 필터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어짐으로써 블로바이가스를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필터를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의 교환주기가 길어져서 교체의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은 별도의 구동모터를 이용한 필터의 회전으로 오일을 분리하게 됨으로서 전기적인 연결구성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환원장치를 제공함은 물론, 미연소 블로바이가스와 미증류상태의 가스화된 엔진 오일이 효율적으로 분리, 여과되도록 하고, 실린더측으로 재공급되는 블로바이가스를 냉각시켜 재 연소조건을 만족시켜 대기중 배출가스를 줄임과 동시에 연료절약에 따른 연비개선,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켜 주며, 특히 흡기계통으로 미증류에 해당하는 엔진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여 흡기계통을 청결을 최대한 유지시켜 피스톤 및 밸브 등의 부품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는, 외측둘레에는 실린더블럭으로부터 미연소 배출되는 엔진오일 및 블로바이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가스입구 및 오일배출구가 마련되고, 중앙에 가스입구와 통하는 제1체결공 및 오일배출구와 통하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입구를 통해 실린더블럭으로부터 역류된 엔진오일을 포함하는 블로바이가스를 통과시키는 하부조립체와; 상기 하부조립체의 제1체결공에 체결되어 가스입구로부터 유입된 엔진오일을 포함한 블로바이가스를 여과시키는 제1소결필터 및; 제2체결공에 체결되어 역류된 오일을 여과 배출하는 오일배출밸브와; 상기 하부조립체의 상부에 마주하는 형태로 대응되며, 그 외측둘레에는 가스배출구가 마련되고, 하부 중앙에는 상기 가스배출구와 통하는 제3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구를 통해 순수 블로바이가스를 흡기계통으로 배출시키는 상부조립체와; 상기 상부조립체와 하부조립체 사이에 양단이 체결 고정되는 지지봉과; 상기 상부조립체와 하부조립체 사이에 양단이 밀폐 고정되어 블로바이가스를 수용하는 체적을 형성하는 관형 하우징과; 상기 관형 하우징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관형 하우징내에 유입된 블로바이가스를 냉각시키는 메쉬관과; 상기 상부조립체의 제3체결공에 체결되어 관형 하우징 내에 유입된 블로바이가스를 여과 배출시키는 제3소결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오일배출밸브에는 엔진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제2소결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소결필터 및 제3소결필터는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제1소결필터에서 미증류 상태의 엔진오일이 포함된 블로바이가스를 제3소결필터를 통해 압축하여 공급되는 공극의 다공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오일배출밸브를 통해 여과 배출되는 엔진 오일은 필요시에 개폐밸브를 열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는 차량의 실린더블럭(엔진)내에서 압축, 폭발행정에서 발생한 미연소 가스인 블로바이가스와 미증류상태로 가스화된 엔진 오일을 일차적으로 환원장치의 제1소결필터에서 효율적으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블로바이가스는 관형 하우징내에서의 상부측 제3소결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흡기계통측으로 순환시켜 실린더블럭내에서의 재연소가 이루어지고, 1차 여과된 오일은 오일배출밸브를 통해 청정한 상태로 실린더측으로 바이패스되도록 함으로써, 관형 하우징내에서의 효율적인 블로바이가스의 냉각, 압축시켜 재 연소조건을 만족시켜 주어 대기중 배출가스를 줄임과 동시에 연료절약에 따른 연비개선이 가능하고,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켜 주며, 특히 흡기계통으로 미증류에 해당하는 엔진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여 흡기계통을 청결을 최대한 유지시켜 피스톤 및 밸브 등의 부품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원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원장치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원장치를 통해 블로바이가스와 엔진오일의 분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반적인 조립 형태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제작되되, 그 구성을 분리하여 볼 때 하부조립체(10)와 상부조립체(40) 및 관형 하우징(6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조립체(10) 및 상부조립체(40)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소재로 이제작된다.
상기 하부조립체(10)의 형태는 외측둘레에는 실린더블럭(1)으로부터 미연소 배출되는 엔진오일 및 블로바이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가스입구(11) 및 오일배출구(12)가 마련되고, 중앙에 가스입구(11)와 통하는 제1체결공(13) 및 오일배출구(12)와 통하는 제2체결공(14)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입구(11)를 통해 실린더블럭(1)으로부터 역류된 엔진오일을 포함하는 블로바이가스를 통과시키는 구성품이다.
상기 하부조립체(10)의 제1체결공(13)에는 가스입구(11)로부터 유입된 엔진오일을 포함한 블로바이가스를 여과시키는 제1소결필터(20)가 체결되고, 상기 제2체결공(14)에는 역류된 오일을 여과 배출하는 오일배출밸브(30)가 체결 설치된다.
상기 상부조립체(40)는 하부조립체(10)의 상부에 마주하는 형태로 대응되며, 그 외측둘레에는 가스배출구(41)가 마련되고, 하부 중앙에는 상기 가스배출구(41)와 통하는 제3체결공(42)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구(41)를 통해 순수 블로바이가스를 흡기계통으로 배출시키는 구성품이다.
상기 상부조립체(40)와 하부조립체(10)는 양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지지봉(50)이 각각 체결 고정되어 상부조립체와 하부조립체를 연결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조립체(40)와 하부조립체(10)의 마주하는 일면에는 원형의 지지홈(40a, 10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에는 상기 관형 하우징(60) 양단이 안대되는 상태로 조합됨으로써, 유입된 블로바이가스를 수용하는 체적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관형 하우징(60)의 내벽면에 메쉬관(70)이 구비되며, 이 메쉬관(70)은 관형 하우징(60) 내에 유입된 블로바이가스를 냉각시켜 배출함으로서, 재연소조건을 조성하는 것으로, 열전도성을 이용한 냉각장치 역할과 함께 내부에 연소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기화된 수분과 미증유 상태의 신화 및 기회된 엔진오일 성분의 일부를 냉각시켜 액체상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엔진룸 내부에서 나온 고속고온고압의 블로바이가스는 1차로 좁은관에서 넓은 관형 하우징으로 분사되는 순간 기체밀도가 변화되면서 저속고온저압의 1차 냉각의 과정을 거치고 해당 기체는 메쉬관의 표면적을 몇차례 통과하면서 2차 냉각의 과정을 거치게 되며, 상기 메쉬관(70)의 열은 상하부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합금인 상부조립체(40)와 하부조립체(10)를 통한 방열효과에 의해 충분한 체적으로 상하부로 빠르게 전도됨으로써 엔진룸의 외기에 의해 지속적인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해당 불순물이 제거된 연소가능한 가스는 금속 소결필터의 단위 면적 조절을 통해 압축비를 적용하여 재연소실로 보내짐으로 연료로 사용되는 가스의 순도가 높아져 내연기관의 행정에 있어 압축비와 그 구성이 보다 안정적인 형태로 연료공급로의 연료공급에 기여함과 동시에 기본 불순물의 내연기관 행정의 효율저하로 인한 블로바이가스의 추가생성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누적된 슬러지 등을 실제 사용자가 엔진룸을 열어 직관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주행환경에 따른 엔진오일의 파괴적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메인터넌스 주기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조립체(40)의 제3체결공(41)에 체결되어 관형 하우징(60) 내에 유입된 블로바이가스를 여과 배출시키는 제3소결필터(80)가 구비된다.
삭제
상기 오일배출밸브(30)에는 엔진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제2소결필터(32)가 구비되어 배출되는 오일을 재차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소결필터(20) 및 제3소결필터(80)는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제1소결필터(20)에서 미증류 상태의 엔진오일이 포함된 블로바이가스를 제3소결필터(80)를 통해 압축하여 공급되는 공극의 다공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일배출밸브(30)를 통해 여과 배출되는 엔진 오일은 필요시에 개폐밸브를 열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하부조립체의 가스입구, 상부조립체의 가스배출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니플을 체결 적용한 것이며, 도면 중 미설명부호 H1은 하부조립체의 가스입구부(11)와 연결되는 블로바이가스 공급호스이고, 부호 H2는 상부조립체의 가스배출구(41)에 연결되어 블로바이가스를 흡기계통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블로바이가스 배출호스이다.
또한, 상기 제1소결필터, 제3소결필터는 다공질로 소결한 필터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하부조립체, 상부조립체의 체결공에 쉽게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를 두어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사용에 다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100)는 차량의 실린더블럭(1)과 연결되어 있는 흡기계통의 스로틀 밸브와 흡기매니폴드 사이에 크랭크케이스를 연결하는 라인, 크랭크케이스와 연결된 헤드 커버, 외기를 흡입하는 입구와 스로틀 밸브 사이에 연결하는 라인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에 따라 발생하는 블로바이가스의 환원처리가 이루어진다.
먼저, 실린더블럭의 크랭크이스측 헤드커버로 부터 배출되는 블로바이가스는 본 환원장치(100)의 하부조립체(10)의 가스입구(11)를 따라 제1소결필터(20)를 거쳐 미증류상태인 엔진오일이 포함된 블로바이가스가 여과되어 관형 하우징(60)내에 채워지고, 상기 제1소결필터를 통해 엔진오일은 비중으로 상기 하부조립체(10)의 오일배출구(12), 오일배출구에 설치된 오일배출밸브(30)을 통해 실린더블럭(1)측으로 청정상태로 환원되어 기 엔진오일과 합류되어 엔진오일을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오일배출밸브(30)측의 제2소결필터(32)는 다시한번 엔진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여 청정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된다. 즉, 필요시에 개폐밸브를 열어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관형 하우징(60) 내에 유입된 블로바이가스는 첨부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서 상향 유도되고, 이때 관형 하우징(60) 내에 구비된 메쉬관(70)과의 접촉으로 초기 유입된 상태보다 냉각되며, 압축된 조건으로 상부조립체(40)에 구비된 제3소결필터(80)를 통해 재차 여과된 상태로 가스배출구(41)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흡기계통 라인을 통해 실린더블럭(1)으로 환원되어 연소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1소결필터(20), 제3소결필터(80)를 통한 블로바이가스의 여과는 관형 하우징(60) 내부에서의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제1소결필터(20)에서 미증류 상태의 엔진오일이 포함된 블로바이가스를 제3소결필터(80)를 통해 압축하여 공급되는 공극의 다공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리한 압력비의 압축공급조건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주행중 저속구간에서 보다 빠른 반응성으로 압력비 조정으로 안정적인 변속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장치(100)를 구성하는 하부조립체(10), 상부조립체(40)를 제외한 제1소결필터(20), 관형 하우징(50), 메쉬관(70) 및 제3소결필터(80)들은 쉽게 산업용에서 사용되는 공업자재를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고, 역으로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청소 및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여과된 순수 블로바이가스의 재연소에 따라 차량은 크만큼 연료가 절약되고, 연비향상과 엔진 출력을 시킬 수 있으며, 엔진오일의 유분이 포함되지 않은 블로바이가스의 환원은 그만큼 흡기매니폴드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흡기계통을 따라 실린더블럭 내부와 연관되는 스로틀밸브, 피스톤 등의 부품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실린더블럭 내부 크랙발생조건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고 압축비로 구동되는 디젤차량의 엔진 노후화에 따른 수명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적용에 따른 차량주행은 시속 100~130km구간에서 역류되는 오일로 급감했던 연비가 리터당 14.7~15km 수준에서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속 50km구간을 선회하는 도심주행은 기존11km/ℓ에서 13km/ℓ, 시속 100km구간의 고속도로 주행에서는 16km/ℓ에서 20km/ℓ로 향상되고, 시곡 130km 이상 구간에서는 11km/ℓ에서 14.7km/ℓ로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실린더블럭 10: 하부조립체
11: 가스입구 12: 오일배출구
13: 제1체결공 14: 제2체결공
20: 제1소결필터 30: 오일배출밸브
32: 제2소결필터 40: 상부조립체
41: 가스배출구 42: 제3체결공
50: 지지봉 60: 관형 하우징
70: 메쉬관 80: 제3소결필터
100: 환원장치

Claims (4)

  1. 외측둘레에는 실린더블럭(1)으로부터 미연소 배출되는 엔진오일 및 블로바이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가스입구(11) 및 오일배출구(12)가 마련되고, 중앙에 가스입구(11)와 통하는 제1체결공(13) 및 오일배출구(12)와 통하는 제2체결공(14)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입구(11)를 통해 실린더블럭(1)으로부터 역류된 엔진오일을 포함하는 블로바이가스를 통과시키는 하부조립체(10)와;
    상기 하부조립체(10)의 제1체결공(13)에 체결되어 가스입구(11)로부터 유입된 엔진오일을 포함한 블로바이가스를 여과시키는 제1소결필터(20) 및;
    제2체결공(14)에 체결되어 역류된 오일을 여과 배출하는 오일배출밸브(30)와;
    상기 하부조립체(10)의 상부에 마주하는 형태로 대응되며, 그 외측둘레에는 가스배출구(41)가 마련되고, 하부 중앙에는 상기 가스배출구(41)와 통하는 제3체결공(42)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구(41)를 통해 순수 블로바이가스를 흡기계통으로 배출시키는 상부조립체(40)와;
    상기 상부조립체(40)와 하부조립체(10) 사이에 양단이 체결 고정되는 지지봉(50)과;
    상기 상부조립체(40)와 하부조립체(10) 사이에 양단이 밀폐 고정되어 블로바이가스를 수용하는 체적을 형성하는 관형 하우징(60)과;
    상기 관형 하우징(60)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관형 하우징 내에 유입된 블로바이가스를 냉각시키는 메쉬관(70)과;
    상기 상부조립체(40)의 제3체결공(41)에 체결되어 관형 하우징(60) 내에 유입된 블로바이가스를 여과 배출시키는 제3소결필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배출밸브(30)에는 엔진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제2소결필터(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결필터(20) 및 제3소결필터(80)는 단위면적당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제1소결필터(20)에서 미증류 상태의 엔진오일이 포함된 블로바이가스를 제3소결필터(80)를 통해 압축하여 공급되는 공극의 다공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배출밸브(30)를 통해 여과 배출되는 엔진 오일은 필요시에 개폐밸브를 열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1020210007216A 2021-01-19 2021-01-19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102555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216A KR102555807B1 (ko) 2021-01-19 2021-01-19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216A KR102555807B1 (ko) 2021-01-19 2021-01-19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883A KR20220104883A (ko) 2022-07-26
KR102555807B1 true KR102555807B1 (ko) 2023-07-14

Family

ID=8260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216A KR102555807B1 (ko) 2021-01-19 2021-01-19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8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670A (ja) 2003-01-09 2004-07-29 Honda Motor Co Ltd ブローバイガス用フィルタ
JP2004255230A (ja) 2003-02-24 2004-09-16 Wako Industrial Co Ltd ミストセパレータ
JP2012255451A (ja) 2007-12-21 2012-12-27 Mahle Internatl Gmbh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662A (ko) * 2019-07-17 2021-01-27 주식회사 에스이엔지니어링 차량 엔진용 블로바이가스 여과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670A (ja) 2003-01-09 2004-07-29 Honda Motor Co Ltd ブローバイガス用フィルタ
JP2004255230A (ja) 2003-02-24 2004-09-16 Wako Industrial Co Ltd ミストセパレータ
JP2012255451A (ja) 2007-12-21 2012-12-27 Mahle Internatl Gmbh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883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813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forced air induc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1479446B (zh) 内燃机
US5494020A (en) Apparatus for recycling the exhaust gas of an engine crankcase
CN102748132A (zh) 一种机-液双动力输出发动机
AU2007222812B2 (en) Breather device of crankcase for 4-cycle engine
CN101270683A (zh) 一种内燃机曲轴箱通风系统的油气分离结构
CA25941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engine aspiration
CN101865008B (zh) 压力控制阀式发动机曲轴箱通风装置
CN203257558U (zh) 一种集成曲轴箱通风系统的增压发动机气缸盖罩
KR102555807B1 (ko)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CN201043481Y (zh) 通用汽油机曲轴箱废气处理装置
CN109026280B (zh) 一种可调式、两级油气分离的柴油机曲轴箱闭式循环系统
JP3982469B2 (ja) ドライサンプ式エンジン
CN1614218A (zh) 具有窜气通道和放油通道的曲轴箱
CN201963396U (zh) 手持工具用四冲程内燃机
CN105179455B (zh) 用于发动机的曲轴以及使用该曲轴的发动机
CN105697141B (zh) 风冷λ型二冲程双塞式柴油增压发动机
CN2700572Y (zh) 手持式四冲程汽油发动机
CN201554525U (zh) 一种氢动力发动机曲轴箱通风系统
JP3144782B2 (ja) シリンダ直噴式2サイクルエンジン
CN2893185Y (zh) 一种二冲程直流扫气点燃式内燃机
CN218151110U (zh) 一种发动机油气分离结构
JP4549871B2 (ja) ドライサンプ式潤滑装置を備える内燃機関
JPS61223214A (ja) 過給機付内燃機関に於ける吸気装置
JP4389107B2 (ja) ピストン式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