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441B1 -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 Google Patents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441B1
KR102555441B1 KR1020210036140A KR20210036140A KR102555441B1 KR 102555441 B1 KR102555441 B1 KR 102555441B1 KR 1020210036140 A KR1020210036140 A KR 1020210036140A KR 20210036140 A KR20210036140 A KR 20210036140A KR 102555441 B1 KR102555441 B1 KR 10255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fan
frame
hood
forehea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062A (ko
Inventor
윤학균
Original Assignee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44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4H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후드와, 상기 제 1 관통공에 설치되는 투명창과, 상기 투명창 아래에 배치되는 제 2 관통공에 설치되는 제 1 필터부와, 착용자의 목 부위에 후드를 밀착시키기 위해 후드의 폭을 조절하는 사이즈 조절부와, 후드 상면에 형성된 제 3 관통공과. 상기 제 3 관통공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와, 상기 제 3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후드 내면에 설치되는 제 1-1 부착부와, 상기 투명창 상측의 후드 내면에 배치되는 제 2-1 부착부로 이루어진 외피부와; 착용자의 이마를 감싸는 이마 프레임과, 상기 이마 프레임을 감싸는 이마 쿠션부와, 상기 이마 쿠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1부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2 부착부와, 착용자의 정수리 부위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정수리 프레임과, 후두부 부위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후두부 프레임와, 상기 후두부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는 후두부 프레임 조절부와, 상기 정수리 프레임에 설치되는 배기팬 장착부로 이루어진 헤드기어와; 상기 헤드기어의 배기팬 장착부에 연결되는 배기팬 프레임과, 상기 배기팬 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와 팬과,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1-1 부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을 이루는 제 1-2 부착부로 이루어진 배기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Protective Hood With Exhaust Fan }
본 발명은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 또는 산업 현장에서 바이러스나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헤드 보호구의 전면 창에 김이 서리지 않도록 하고 또한 착탈시 착용자가 감염 또는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기팬을 장착한 헤드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오염이 우려되는 의료 현장이나, 분진 등에 의한 호흡기 손상이 우려되는 산업현장에서는 도 1과 같은 형태의 헤드 보호구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 헤드 보호구는 전면에 투명창(130)을 구비하고 머리에 뒤집어 쓸 수 있는 후드(110)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경우에 따라서는 헤드 보호구 내에 헤드 기어(200)를 설치하여 착용자의 머리와 후드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주기도 한다.
최근 COVID-19의 범유행에 따라 의료현장에서는 이와 같은 헤드 보호구의 수요가 대폭 증가하였다.
그러나, 머리에 뒤집어 쓰는 두건 형태로 주로 제작되는 헤드 보호구의 경우에는 얼굴 전면을 향해 형성된 투명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김서림은 주로 호흡기를 통과하면서 습해진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2673호에서는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투명창을 격리하기 위한 수분 장벽막(50)을 헤드보호구 내에 설치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수분 장벽막은 그 상부 에지를 착용자의 얼굴과 밀착시켜 호흡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투명창을 향해 상승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인데, 후드 내부에서 수분 장벽막을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 고정시키기가 까다로워 불편함이 있다.
또한 헤드기어와 후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 1회의 사용으로도 후드가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때문에 헤드보호구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며, 헤드기어와 후드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
KR 10-2162673 B1, 2020.10.07, 청구항 1
본 발명은 헤드보호구 투명창의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헤드보호구의 투명창 위치를 조절하여 착용 중 편리함을 제공하고, 사용 중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기 팬을 구비한 헤드 보호구는,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관통공(120)이 형성된 후드(110)와, 상기 제 1 관통공(120)에 설치되는 투명창(130)과, 상기 투명창(130) 아래에 배치되는 제 2 관통공(140)에 설치되는 제 1 필터부(150)와, 상기 제 1 필터부(150) 하측으로 배치되며 착용자의 목 부위에 후드를 밀착시키기 위해 후드의 폭을 조절하는 사이즈 조절부(160)와, 후드 상면에 형성된 제 3 관통공(170)과. 상기 제 3 관통공(170)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180)와, 상기 제 3 관통공(170)의 둘레를 따라 후드 내면에 설치되는 제 1-1 부착부(191)와, 상기 투명창(130) 상측의 후드 내면에 배치되는 제 2-1 부착부(192)로 이루어진 외피부(100)와;
착용자의 이마를 감싸는 이마 프레임(210)과, 상기 이마 프레임(210)을 감싸는 이마 쿠션부(212)와, 상기 이마 쿠션부(210)에 설치되어 상기 제 2-1부착부(192)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2 부착부(292)와, 상기 이마 프레임(210)의 양단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정수리 부위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정수리 프레임(220)과, 상기 이마 프레임(210)의 양단에 연결되며 후두부 부위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후두부 프레임(230)와, 상기 후두부 프레임(230)의 길이를 조절하는 후두부 프레임 조절부(235)와, 상기 정수리 프레임에 설치되는 배기팬 장착부(225)로 이루어진 헤드기어(200)와;
상기 헤드기어(200)의 배기팬 장착부(225)에 연결되는 배기팬 프레임(310)과, 상기 배기팬 프레임(310)에 설치되는 모터(320)와 팬(330)과,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340)와, 상기 제 1-1 부착부(191)와 탈착가능하게 결합을 이루는 제 1-2 부착부(391)로 이루어진 배기팬(3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마 프레임(210)의 양단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40)와, 상기 슬라이딩부(240)에 형성된 돌출 결합부(245)가 배치되고;
상기 투명창(130)의 상측 양단에는 돌출 결합부(245)가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제 4 관통공(1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마 프레임(210)과 정수리 프레임(220) 사이에는 보조 프레임(25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팬 프레임(310)은 상하로 관통되며, 그 측면에는 복수 개의 슬릿(312)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팬(300)은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342)가 배가팬 프레임(310) 외측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어, 헤드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배기팬(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팬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통신기능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핸드폰으로 작동을 제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팬의 전원공급부는 배기팬 프레임에서 분리가능한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보호구 투명창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헤드보호구의 투명창 위치를 조절하여 착용 중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 중 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헤드 보호구의 착용형태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 외피부의 형태를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 헤드기어를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 배기팬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 헤드 보호구의 착용형태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헤드보호구의 형태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 배기팬을 나타낸 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에는 설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다하여 그 구성이 제거된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실제 형상을 도시한 것이 아니고, 이해를 돕기위하여 길이, 폭, 높이, 두께 등을 크게 또는 작게 도시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헤드 보호구는 착용자의 머리부터 어깨까지를 덮는 외피부와, 상기 외피부를 지지하는 헤드기어와, 헤드기어에 장착되어 외피부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으로 크게 구분된다.
외피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관통공(120)이 형성된 후드(110)와, 상기 제 1 관통공(120)에 설치되는 투명창(130)과, 상기 투명창(130) 아래에 배치되는 제 2 관통공(140)에 설치되는 제 1 필터부(150)와, 상기 제 1 필터부(150) 하측으로 배치되며 착용자의 목 부위에 후드를 밀착시키기 위해 후드의 폭을 조절하는 사이즈 조절부(160)와, 후드 상면에 형성된 제 3 관통공(170)과. 상기 제 3 관통공(170)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180)와; 상기 제 3 관통공(170)의 둘레를 따라 후드 내면에 설치되는 제 1-1 부착부(191)와; 상기 투명창 상측의 후드 내면에 배치되는 제 2-1 부착부(192)로 이루어져 있다.
후드(110)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흡한성. 통기성, 투습성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차단이 가능한 다층구조체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먼지 차단/ 보온 등 필요기능에 따라 통기성 부직포, 통기성 필름 적층체 등 다양한 재료를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드(110) 상측에는 후드를 벗을 때 손가락을 걸어서 당길 수 있는 고리부(112)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후드(110)의 제 1 관통공(120)에 설치되는 투명창(130)은 투명 합성수지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에는 소수성 물질을 코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후드(110)의 제 1 관통공(120)의 테두리와 투명창(130)의 접착은 열융착이나 본드 등 다양한 공지의 접합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창(130) 아래에 배치되는 제 2 관통공(140)에는 제 1 필터부(150)가 설치된다. 제 1 필터부(150)는 헤드 보호구(100)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설치된다. 헤드 보호구가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1회 사용후 외피부(100)를 폐기하기 때문에 제 1 필터부(150)는 후드(110)에 분리할 수 없게 고정되지만, 헤드 보호구를 재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제 1 필터부(150)를 벨크로 등에 의해 제 2 관통공(140)의 테두리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 1 필터부(150) 하측으로는 착용자 목 부위의 후드 폭을 감소시켜 외기의 유입을 어느정도 차단하도록 하는 사이즈 조절부(16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사이즈 조절부(160)는 끈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지만, 벨크로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사이즈의 조절은 가능할 것이다.
후드(110)의 상면에는 배기팬(300)에 의해 헤드 보호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3 관통공(170)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관통공(170)은 배기팬(300) 미작동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필터부(180)가 부착되어 있다. 제 3 관통공(170)의 둘레를 따라 후드 내면에는 제 1-1 부착부(19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투명창(130) 상측의 내면에는 제 2-1 부착부(19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1 부착부(191)와 제 2-1 부착부(192)에 대하여는 이후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외피부(100)를 지지하며,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헤드기어(200)는 착용자의 이마를 감싸는 이마 프레임(210)과, 상기 이마 프레임(210)을 감싸는 이마 쿠션부(212)와, 상기 이마 쿠션부(210)에 설치되어 상기 제 2-1 부착부(192)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2 부착부(292)와, 상기 이마 프레임(210)의 양단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정수리 부위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정수리 프레임(220)과, 상기 이마 프레임(210)의 양단에 연결되며 후두부 부위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후두부 프레임(230)와, 상기 후두부 프레임(230)의 길이를 조절하는 후두부 프레임 조절부(235)와, 상기 정수리 프레임에 설치되는 배기팬 장착부(225)로 이루어진다.
제 2-1 부착부(192)와 제 2-2 부착부(292)는 벨크로, 도트 단추, 후크 등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마 프레임(210)의 양단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40)가 설치된다. 이 슬라이딩부(240)에는 돌출결합부(2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돌출결합부(245)는 제 4 관통공(132)에 끼워질 축부 및 끼워진 축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핸들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투명창(130)의 상측 양단에는 제 4 관통공(132)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결합부(245)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240)에 의해 투명창과 헤드 기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고, 투명창(130)과 착용자의 얼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이마 프레임(210)과 정수리 프레임(220) 사이에는 보조 프레임(250)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프레임(250)은 이마 프레임(210)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프레임(250)은 외피부(100)와 착용자의 머리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공간을 통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배기팬(300)은 외형을 이루는 배기팬 프레임(310)이 정수리 프레임(220)과 연결되는 형태로 헤드기어(200)의 정수리 프레임(220)에 장착된다.
또한, 배기팬(300)은 배기팬 프레임(310) 상면에 제 1-2 부착부(391)을 마련하여 외피부의 제 1-1 부착부(191)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1. 1-2 부착부(191,391)는 벨크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배기팬 프레임(310)은 공지의 결합방법을 통해 정수리 프레임(2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헤드 보호구의 사용 후 헤드기어(200)를 소독할 때 헤드기어(200)으로부터 배기팬(300)을 분리할 수 있게 해준다.
배기팬 프레임(310) 내부에는 모터(320)와 팬(330)이 설치되어 있으며, 헤드 보호구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한다. 이에 따라 헤드 보호구 내의 습한 공기가 배출되어 투명창(130)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기팬 프레임(310)은 상하로 관통되며, 그 측면에는 복수 개의 슬릿(31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320)와 팬(330)은 전원공급부(34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전원공급부(340)는 충전식 배터리, 충전단자 및 배터리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충전식 배터리를 배기팬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충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배가팬 프레임(310) 외측으로 배기팬(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342)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헤드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배기팬(3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배기팬(300)이 온(on)인 상태에서 헤드 보호구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측정된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 및 습도에 따른 팬 구동의 제어는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제어부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착용자가 본인의 핸드폰을 사용하여 온도 및 습도의 범위를 설정하는 등 배기팬을 제어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헤드보호구의 형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 배기팬을 나타낸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헤드보호구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배기팬(300)이 후드(110)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배기팬 프레임(310)은 후드(110) 전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 3 관통공(170)에 설치된다. 제 3 관통공(170)은 외부의 바이러스나 먼지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 2 필터부(180)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관통공(170)의 둘레를 따라 후드 외면에 설치된 제 1-1 부착부(191)와 결합되는 제 1-2 부착부(391)가 배기팬 프레임(310)에 마련되어 있다..
배기팬 프레임(310) 내에는 모터와 팬(330)이 설치되어 있어, 제 3 관통공(170)으로부터 외피부(100) 내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340)가 배기팬 프레임(310) 사이에 띠 형태로 구비된다. 전원공급부(340)는 광전지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배기팬 프레임(310)에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기팬 프레임(310)과 전원공급부(340)는 본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스트랩에 장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서로 직접 연결되어 외피부(100)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선 실시예의 구성 중 본 실시예 구성과 상충되지 않는 구성은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헤드보호구는 헤드 보호구 자체 만으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전신 보호복의 일부로서 그 구성이 채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외피부 110 : 후드 112 : 고리부 120 : 제 1 관통공
130 : 투명창 132 : 제 4 관통공 140 : 제 2 관통공 150 : 제 1 필터부
160 : 사이즈 조절부 170 : 제 3 관통공 180 : 제 2 필터부
191 : 제 1-1 부착부 192 : 제 2-1 부착부
200 : 헤드기어 210 : 이마 프레임 212 : 이마 쿠션부
220 : 정수리 프레임 225 : 배기팬 장착부 230 : 후두부 프레임
235 : 후두부 프레임 조절부 292 : 제 2-2 부착부 240 : 슬라이딩부
245 : 돌출결합부 250 : 보조 프레임
300 : 배기팬 310 : 배기팬 프레임 312 : 슬릿 320 : 모터 330 : 팬
340 : 전원공급부 342 : 스위치 : 391 : 제 1-2 부착부

Claims (10)

  1.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관통공(120)이 형성된 후드(110)와, 상기 제 1 관통공(120)에 설치되는 투명창(130)과, 상기 투명창(130) 아래에 배치되는 제 2 관통공(140)에 설치되는 제 1 필터부(150)와, 상기 제 1 필터부(150) 하측으로 배치되며 착용자의 목 부위에 후드를 밀착시키기 위해 후드의 폭을 조절하는 사이즈 조절부(160)와, 후드 상면에 형성된 제 3 관통공(170)과. 상기 제 3 관통공(170)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180)와, 상기 제 3 관통공(170)의 둘레를 따라 후드 내면에 설치되는 제 1-1 부착부(191)와, 상기 투명창(130) 상측의 후드 내면에 배치되는 제 2-1 부착부(192)로 이루어진 외피부(100)와;

    착용자의 이마를 감싸는 이마 프레임(210)과, 상기 이마 프레임(210)을 감싸는 이마 쿠션부(212)와, 상기 이마 쿠션부(212)에 설치되어 상기 제 2-1부착부(192)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2 부착부(292)와, 상기 이마 프레임(210)의 양단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정수리 부위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정수리 프레임(220)과, 상기 이마 프레임(210)의 양단에 연결되며 후두부 부위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후두부 프레임(230)와, 상기 후두부 프레임(230)의 길이를 조절하는 후두부 프레임 조절부(235)와, 상기 정수리 프레임에 설치되는 배기팬 장착부(225)로 이루어진 헤드기어(200)와;

    상기 헤드기어(200)의 배기팬 장착부(225)에 연결되는 배기팬 프레임(310)과, 상기 배기팬 프레임(310)에 설치되는 모터(320)와 팬(330)과,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340)와, 상기 제 1-1 부착부(191)와 탈착가능하게 결합을 이루는 제 1-2 부착부(391)로 이루어진 배기팬(3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마 프레임(210)의 양단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40)와, 상기 슬라이딩부(240)에 형성된 돌출 결합부(245)가 배치되고;
    상기 투명창(130)의 상측 양단에는 돌출 결합부(245)가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제 4 관통공(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마 프레임(210)과 정수리 프레임(220) 사이에는 보조 프레임(25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 프레임(310)은 상하로 관통되며, 그 측면에는 복수 개의 슬릿(312)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300)은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342)가 배기팬 프레임(310) 외측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어, 헤드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배기팬(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기능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핸드폰으로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의 전원공급부는 배기팬 프레임에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36140A 2021-03-19 2021-03-19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KR102555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40A KR102555441B1 (ko) 2021-03-19 2021-03-19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40A KR102555441B1 (ko) 2021-03-19 2021-03-19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062A KR20220131062A (ko) 2022-09-27
KR102555441B1 true KR102555441B1 (ko) 2023-07-13

Family

ID=8345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140A KR102555441B1 (ko) 2021-03-19 2021-03-19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4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164B1 (ko) * 2019-06-03 2020-09-02 김종민 안면 마스크
KR102216080B1 (ko) * 2020-05-29 2021-02-16 임채경 일체형 안면 보호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001A (ja) * 1983-07-18 1985-02-05 北三株式会社 化粧単板積層体シ−トの製造方法
US7735156B2 (en) * 2005-07-14 2010-06-15 Stryker Corporation Head unit for a medical/surgical personal protection system with a head band and a ventilation unit that is adjustably position relative to the head band
KR101031818B1 (ko) * 2008-08-01 2011-04-29 최국진 용접 마스크
WO2018183872A1 (en) 2017-03-31 2018-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eadgear
KR102282550B1 (ko) * 2019-07-01 2021-07-29 주식회사 넥스원바이오 의료용 보호장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164B1 (ko) * 2019-06-03 2020-09-02 김종민 안면 마스크
KR102216080B1 (ko) * 2020-05-29 2021-02-16 임채경 일체형 안면 보호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062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7087A1 (en) Electronic Airflow Mask
CA2589371C (en) Protective headgear system with filter protector
KR102162673B1 (ko) 헤드기어
KR101455070B1 (ko)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KR20120055440A (ko) 환상의 패드부와 필터부 고정체를 갖는 방진마스크
US20170079359A1 (en) Modular/Multifunction Hat with Removable Face Coverage
CN210445821U (zh) 风淋眼口鼻防护帽
CN212036243U (zh) 具有空气净化功能的防护头盔及防护系统
KR101253602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2555441B1 (ko)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KR20140003827U (ko) 마스크가 구비된 목 덮개
US20110185480A1 (en) Welder protection mask
KR20180129228A (ko) 안구 보호 일체형 방호 마스크
KR102453910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태양광 마스크
KR20200024594A (ko) 일체형 마스크
KR102052410B1 (ko) 미세먼지 및 자외선 차단 겸용 코 마스크
KR101885965B1 (ko) 유해광 차단 마스크
CN213428466U (zh) 防护服配套透视透气防护面罩
JP2021172905A (ja) 医療用マスク
JP3228501U (ja) フェイスシールドおよびマスク付きフェイスシールド
CN214679699U (zh) 一种新型电动口罩
CN211910608U (zh) 一种方便安全的医用防护头罩
CN212088365U (zh) 一种传染病房防护器
CN215603369U (zh) 一种新冠肺炎疫情防护口罩
CN212545634U (zh) 一种旅行防护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