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818B1 - 용접 마스크 - Google Patents

용접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818B1
KR101031818B1 KR1020080075758A KR20080075758A KR101031818B1 KR 101031818 B1 KR101031818 B1 KR 101031818B1 KR 1020080075758 A KR1020080075758 A KR 1020080075758A KR 20080075758 A KR20080075758 A KR 20080075758A KR 101031818 B1 KR101031818 B1 KR 101031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elding
assembled
mas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991A (ko
Inventor
최국진
Original Assignee
최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국진 filed Critical 최국진
Priority to KR102008007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8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1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movable shutters, e.g. filter discs; Actu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8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supply or suction of gas, air or smoke inside or outside the welding h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 B23K9/322Head protec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얼굴과 근접되게 착용하여 용접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안전모자와 같은 안전장구를 원활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 후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 및 성애에 의하여 반복되는 마스크의 탈착을 방지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용접 마스크는 얼굴 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흡입팬의 전/후방에 필터가 장착된 공기 흡입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본체의 내부를 순환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와, 상기 본체에 조립되며 회동수단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되게 조립되어 끼위지는 흑유리를 교체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가압/밀착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벨크로 타입의 밀착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특징이 있다.
전기용접, CO2용접, 용접흄, 각막염, 흑유리

Description

용접 마스크{The welding mask}
본 발명은 용접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얼굴과 근접되게 착용되어 용접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안전모자와 같은 안전장구를 원활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 후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 및 성애에 의하여 반복되는 마스크의 탈착을 방지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마스크는 전기용접, CO2용접 등의 용접작업에서 강한 불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며 용접중 발생되는 용접흄(가스) 및 파편들로부터 얼굴피부를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접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용접 마스크는 용접 대상물의 위치 및 용접할 곳의 위치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시로 탈착하여야 함에 따라 마스크의 하부측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한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다른 손을 용접기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것이 일반적인 작업형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접 작업은 건축물의 건설현장이나 별도의 자재를 장 치에 용접하는 등과 같은 경우, 작업자가 한손으로 자재를 잡고 용접을 해야함에 따라 용접 마스크를 착용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얼굴에 화상을 입거나 눈의 각막에 화상을 입어 각막염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둘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용접 마스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용접 마스크는 마스크의 후방에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고정부가 마스크와 힌지로 연결되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용접상태의 확인이나 이물질의 제거 등의 작업시에는 마스크를 회전시켜 오픈한 상태에서 이물질 제거 및 용접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접 마스크는 힌지에 의하여 회전되는 마스크가 견고하게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로 바닥의 제품을 용접할 경우 마스크가 회전하여 용접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없거나 마스크의 표면을 잡고 용접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의 하부가 얼굴과 이격됨에 따라 용접작업중 발생하는 용접흄(가스)이 얼굴과 마스크 사이로 유입되어 눈이 맵거나 흑유리에 붇어 시야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이외에도 여러 다양한 용접 마스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모두 용접 마스크와 안전모를 동시에 착용할 수 없는 공통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용접작업중 작업자가 추락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없어 추락하는 물체에 맞아 사망하거나 다치는 등의 산업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용접작업중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마스크와 안전모를 동시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용접 작업중 발생하는 추락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용접 마스크의 내부에 작업자의 호흡에 의하여 발생하는 성애 및 습기를 펜을 이용하여 강제 배출함으로써 작업자의 땀이나호흡에 의하여 발생하는 성애의 생성을 방지하므로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계속하여 작업할 수 있음으로 작업효율이 상승하는 용접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내부의 습기를 강제배출시킴으로써 마스크를 계속 착용하고 있어도 불편함이나 시각의 방해가 없도록 함으로써 용접작업은 물론 망치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작업, 그라인더작업등 여러 가지 작업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라인더 작업의 경우 돌가루 등이 얼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면 보호용구의 기능을 갖는 용접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얼굴 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흡입팬의 전/후방에 필터가 장착된 공기 유입구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본체의 내부를 순환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와, 상기 본체에 조립되며 회동수단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되게 조립되어 끼위지는 흑유리를 교체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가압/밀착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벨크로 타입의 밀착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용접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용접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로서 얼굴 형상의 외측판과 내측판이 여러 개의 환기구멍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상태로 외측이 결합되며 내부는 여러 개의 내부기둥에 의하여 중공부가 유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조립되며 회동수단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흡입팬의 전/후방에 필터가 장착된 공기 유입구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본체의 내부를 순환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되게 조립되어 끼위지는 흑유리를 교체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가압/밀착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벨크로 타입의 밀착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에서 회동수단은 케이스의 힌지에 삽입/조립되며 각형으로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는 일측이 밀착되며 타측이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고 산과 골이 밀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의 용접 마스크는 작업자의 얼굴과 근접하여 사용됨으로써 작업자의 시야가 넓게 확보됨과 동시에 안전모를 같이 착용할 수 있어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작업공간 주위를 식별할 수 있으며 자재의 추락과 같은 산업재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흑유리의 개폐가 용이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쉽게 자동이나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용접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내부의 공기를 상/하부의 펜을 이용하여 강제순환시킴으로써 작업자의 땀이나 호흡에 의한 성애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밸크로 타입의 밀착띠를 이용하여 얼굴의 표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작업중 흘러내림이나 이동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펜의 동작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전/후방에 형성된 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상태로 유입됨으로써 용접작업시 발생되는 용접흄(가스)이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높은 작업효율을 얻을 수 있다.
여섯째, 케이스에 장착되는 흑유리의 교체가 용이하여 용접중 불똥에 의하여 흑유리가 훼손된 경우에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접 마스크(100)는 크게 얼굴의 형상과 유사한 곡면을 갖는 본체(10)의 상부에 공기배출부(20)와 중앙에 흑유리(32)가 장착되는 케이스(30) 및 하부에 공기 유입구(4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30)가 형성되는 위치의 외측판(11)에는 투명랜즈(13a)가 부착되며 이 투명랜즈(13a)는 내측판(12)측에서 삽입되는 하우징(13)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본체(10)는 외측판(11)과 내측판(12)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각각에 여러 개의 환기구멍(11a, 12a)이 엇갈리게 형성되고 외측판(11)과 내측판(12) 사이의 중공부(14)에는 여러 개의 내부기둥(15)에 의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단에는 아래에 설명될 공기 배출팬(21)과 공기유입팬(41)의 구동을 위해 전자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측판(12)의 노출면에는 연질 합성수지판(17)을 부착하여 미관을 좋게하며 또한, 배터리(16)에서 발생된 전선을 감추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외측에는 합성수지 연질 발포체로 형성된 밀착판(18) 이 형성되어 외측판(11)과 내측판(12)의 이음부분을 숨김과 동시에 얼굴을 피부에 밀착시 불쾌감이 없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양측에는 벨크로 타입의 밀착띠(5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벨크로로 견고하게 조임하며 보조적으로 밀착띠(50)에 형성된 버튼(51)을 이용하여 밀착력을 유지시킨다.
상기 공기배출부(20)는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는 팬(21)과 이 팬(21)이 장착되는 부분의 외측판(11)과 내측판(12)에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환기구멍(11a, 12a)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30)는 공기배출부(20)의 하부에 본체(10)와 회동수단(31)에 의하여 회전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흑유리(32)가 장착되며 도어(33)에 의하여 일부 개방되는 홈(34)이 형성되며 도어(33)는 케이스(30)의 하부에 힌지(35)로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흑유리(32)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에서 회동수단(31)은 외측판(11)의 돌기(11b)와 스위블(SWIVEL)힌지(33)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회전시키며 상황에 따라서는 케이스(30)에 빛 감지센서(미도시)를 부착하고 이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하부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 및 기어 등으로 구성하여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위블힌지(33)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회전시키거나 자동을 회전시키는 구성은 일반적은 회전장치의 구성에서 당업자가 쉽게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40)는 외측판(11)과 내측판(12)의 하부가 관통된 상태에서 외측판(11)의 외부에 하우징(42)이 조립/형성되고 이 하우징(42)의 내부에는 팬(41)의 전/후측에 필터(43)가 형성된다.
상기 팬(41)은 하부의 배터리(16)와 전기적으로 연결/구동되며 밀착판(18)에 돌출된 스위치(60)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의 작동관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작업자는 용접 마스크(100)를 얼굴에 위치시키고 밀착띠(50)를 이용하여 얼굴에 견고하게 밀착시킨다.
이때, 밀착띠(50)는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밀착띠(50)에 형성된 버튼(51)을 이용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10)가 작업자의 얼굴에 밀착되면 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밀착판(18)이 얼굴에 밀착됨으로써 작업자는 불쾌감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측판(12)의 일측면에는 연질 합성수지판(17)이 부착됨으로서 용접시 발생되는 열의 전도를 방지한다.
한편, 작업자가 본체(10)를 얼굴에 밀착시키면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60)가 턱에 밀착되어 누름되고 이로써 상/하 형성된 펜(41, 21)이 구동하여 본체(10)내부의 공기를 강제 흡/배기 시키게 된다.
즉, 스위치(60)가 턱에 의하여 눌리면 본체(10)중공부(14)에 형성된 배터리(16)에서 발생된 전원에 의하여 공기유입구(40)의 팬(41)이 구동하여 필터(43)에 의하여 정화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고 상부의 공기배출부(20)의 팬(21)이 구동하여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본체(10) 내부의 공기는 아래로 유입되어 상부로 강제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본체(10)내부에 발생하는 땀이나 온도차에 따라 발생하는 성애를 방지하며 작업자의 용접흄(가스) 흡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얼굴과 근접하게 밀착됨으로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작업모를 착용할 수 있으며 용접시 발생되는 강한 열은 이중으로 형성된 본체의 구조에 의하여 내부로 전도됨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는 안전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30)는 본체(10)의 외측판(11)의 돌기(11b)와 상부가 회동수단(31)에 의하여 90도 회전되게 형성됨으로써 용접면의 이물질 제거 또는 그라인더작업과 같은 작업에서는 케이스(30)를 회전시켜 내부의 랜즈(13a)를 통하여 작업상태를 볼 수 있으며 용접작업시에는 케이스(30)를 회전시켜 랜즈(13a)를 덮은 상태에서 케이스(30)의 흑유리(32)를 이용하여 용접되는 상태를 확인하며 용접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회동수단(31)은 외측판(11)의 돌기(11b)와 스위블(SWIVEL)힌지(33)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회전시키며 상황에 따라서는 케이스(30)에 빛 감지센서(미도시)를 부착하고 이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하부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 및 기어 등으로 구성하여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의 정면도
도 2는 본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 중 케이스 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
100 ... 용접 마스크 10 ... 본체
11 ... 외측판 12 ... 내측판
13 ... 하우징 14 ... 중공부
15 ... 내부기둥 16 ... 배터리
17 ... 연질 합성수지판 18 ... 밀착판
20 ... 공기배출부 21 ... 팬
30 ... 케이스 31 ... 회동수단
33 ... 스위블힌지 40 ... 공기유입부
41 ... 팬 42 ... 하우징
43 ... 필터 50 ... 밀착띠
51 ... 버튼 60 ... 스위치

Claims (4)

  1. 여러 개의 환기구멍(11a)이 형성되며 얼굴 형상을 갖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며 팬(41)의 전/후방에 필터(43)가 장착된 공기 유입구(4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유입구(40)로 유입된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를 순환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21)이 형성된 공기 배출부(20);
    상기 본체(10)에 조립되며 회동수단(3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의 일측에 힌지(35)에 의하여 회동되게 조립되어 끼위지는 흑유리(32)를 교체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도어(33);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가압/밀착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벨크로 타입의 밀착띠(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
  2. 얼굴 형상의 외측판(11)과 내측판(12)에 여러 개의 환기구멍(11a, 12a)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상태로 외측이 결합되며 내부는 여러 개의 내부기둥(15)에 의하여 중공부(14)가 유지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조립되며 회동수단(3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3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며 흡입팬(41)의 전/후방에 필터(43)가 장착된 공기 유입구(4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유입구(40)로 유입된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를 순환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21)이 형성된 공기 배출부(20);
    상기 케이스(30)의 일측에 힌지(35)에 의하여 회동되게 조립되어 끼위지는 흑유리(32)를 교체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도어(33);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가압/밀착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벨크로 타입의 밀착띠(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31)은 케이스(30)의 상부측에 일부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며 이 노출된 부분이 외측판(11)의 돌기(11b)에 삽입/조립되는 스위블힌지(33)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띠(50)에는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버튼(51)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마스크.
KR1020080075758A 2008-08-01 2008-08-01 용접 마스크 KR10103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758A KR101031818B1 (ko) 2008-08-01 2008-08-01 용접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758A KR101031818B1 (ko) 2008-08-01 2008-08-01 용접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991A KR20100013991A (ko) 2010-02-10
KR101031818B1 true KR101031818B1 (ko) 2011-04-29

Family

ID=4208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758A KR101031818B1 (ko) 2008-08-01 2008-08-01 용접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8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70Y1 (ko) 2014-05-22 2014-07-23 이석호 용접가스 흡입방지를 위한 용접헬멧
KR101460942B1 (ko) * 2014-04-29 2014-11-13 임미영 마스크
KR20200061424A (ko) 2018-11-23 2020-06-03 (주)써보레 2채널 공기공급 구조를 가지는 전동식 호흡 보호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49B1 (ko) * 2011-09-29 2012-01-12 박창응 쿨링 용접 헬멧
KR102305741B1 (ko) * 2021-02-20 2021-09-30 이청빈 환기형 작업안전마스크
KR102555441B1 (ko) * 2021-03-19 2023-07-13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배기팬이 장착된 헤드 보호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9774A (en) 1979-06-21 1982-01-12 Guzowski Chester D Ventilating helmet
KR20020007239A (ko) * 2001-10-25 2002-01-26 김종희 습기 방지구조를 갖는 용접 마스크
KR20020031962A (ko) * 2000-10-25 2002-05-03 이스지 용접마스크
KR20050058655A (ko) * 2003-12-12 2005-06-17 이스지 다기능 용접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9774A (en) 1979-06-21 1982-01-12 Guzowski Chester D Ventilating helmet
KR20020031962A (ko) * 2000-10-25 2002-05-03 이스지 용접마스크
KR20020007239A (ko) * 2001-10-25 2002-01-26 김종희 습기 방지구조를 갖는 용접 마스크
KR20050058655A (ko) * 2003-12-12 2005-06-17 이스지 다기능 용접 마스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942B1 (ko) * 2014-04-29 2014-11-13 임미영 마스크
WO2015167098A1 (en) * 2014-04-29 2015-11-05 Mee Young Lim Mask
CN106102839A (zh) * 2014-04-29 2016-11-09 林美英 面罩
KR200473670Y1 (ko) 2014-05-22 2014-07-23 이석호 용접가스 흡입방지를 위한 용접헬멧
KR20200061424A (ko) 2018-11-23 2020-06-03 (주)써보레 2채널 공기공급 구조를 가지는 전동식 호흡 보호구
KR102136990B1 (ko) 2018-11-23 2020-07-24 (주)써보레 2채널 공기공급 구조를 가지는 전동식 호흡 보호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991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818B1 (ko) 용접 마스크
US20200155878A1 (en) Half facepiece
US5031237A (en) Light actuated air recirculating and filtration system
US7178932B1 (en) Welding helmet
JP3974327B2 (ja) 呼吸マスク用フェースシール
JP5320457B2 (ja) コンバーチブル型の頭部被覆部材を包含するレスピレータシステム
US4752974A (en) Air-feed type dust protective helmet
US4011865A (en) Dust-proof protection mask of face covering type
KR100854060B1 (ko) 김 서림 방지 보안경 마스크
JP2007524436A (ja) 呼吸具フードおよびヘルメット用の硬質空気ダクト
KR101116947B1 (ko) 이중 쉴드가 구비된 안면보호구
KR101104449B1 (ko) 쿨링 용접 헬멧
KR100579691B1 (ko) 휴대용 다용도 방연/방독 마스크
KR102225103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안전헬멧
KR100763720B1 (ko) 작업용 방호면
KR102262797B1 (ko) 다용도 마스크
US20220184429A1 (en) Full-cover type portable air purifier
CN211934523U (zh) 一种带有烟气净化功能的焊接用面罩
KR200471463Y1 (ko) 공기 정화 호흡 장치
KR20180121114A (ko)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차양모자
KR200451350Y1 (ko) 보안경
CN211658498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电焊面罩
CN212038662U (zh) 一种防尘防电弧两用头盔
KR200187059Y1 (ko) 방진마스크용 방진필터
CN213346318U (zh) 一种电动送风焊接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