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310B1 -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5310B1 KR102555310B1 KR1020160105447A KR20160105447A KR102555310B1 KR 102555310 B1 KR102555310 B1 KR 102555310B1 KR 1020160105447 A KR1020160105447 A KR 1020160105447A KR 20160105447 A KR20160105447 A KR 20160105447A KR 102555310 B1 KR102555310 B1 KR 102555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disposed
- circuit
- flexible base
- p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97—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having cavities, e.g. for mount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는 둘 이상의 레이어와 각 레이어에 배치된 둘 이상의 회로부와 각 회로부의 배선에 연결되는 패드들과, 이들 레이어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표시장치(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표시 장치, (Electro Luminescent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표시 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및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 Ray, Display) 등이 있다.
또한,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이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표시패널에 적합하게 처리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들 제어부와 표시패널은 구성에 따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표시장치는 외부,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로부터 영상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장치의 각각의 화소들이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들 데이터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PCB에 결합된 다양한 IC 회로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의 대형화 및 박형화의 과정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는 것은 전술한 다양한 IC 회로들을 표시패널과 연결되도록 배치하는 방식이며, 이에 대한 기술적 향상이 표시장치의 전체 박형화를 주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영상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구성요소와 데이터를 표현하는 표시패널의 배치와 IC 회로들의 배분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
이에, 표시패널과 표시장치의 박형화 및 대형화를 위해 표시장치의 각 구성요소들 중에서 표시패널과 그 외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별도로 배치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표시패널과 그 외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장치가 기존과 상이한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필요한 바, 본 명세서에서는 신규의 연결장치를 통하여 표시장치를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크기를 줄이고 제작의 용의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유연성 있는 회로의 형태로 구현하여 제품 공정을 일원화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대형화 및 박형화에 따른 신호선의 증가와 타이밍 컨트롤러의 이격 배치에 대응하여 증가하는 배선으로 인한 케이블의 크기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는 둘 이상의 레이어와 각 레이어에 배치된 둘 이상의 회로부와 각 회로부의 배선에 연결되는 패드들과, 이들 레이어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는 둘 이상의 플렉서블 베이스와, 각 플렉서블 베이스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둘 이상의 회로부와, 각 회로부의 배선에 연결되는 패드들과, 이들 플렉서블 베이스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이들 표시패널에 영상 신호를 인가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전술한 타이밍 컨트롤러에 일단이 연결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기존 케이블 구조의 PCB와 구리선(copper wire)을 플렉서블 베이스에 기반한 회로부, 예를 들어 FPC로 대체하여 커넥터와 케이블의 크기를 작고 얇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플렉서블 베이스에 배치된 회로들이 멀티 레이어로 구성되고 비아홀들을 통하여 다수의 상이한 레이어에 배치된 회로부들의 배선들이 패드에 연결될 수 있어 플렉서블 베이스에 배치된 회로부들을 통해서 케이블의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멀티 레이어로 구성되는 회로부들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레이어 또는 플렉서블 베이스의 길이를 짧게 하여 표시패널이나 표시장치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이 반복되어도, 연결장치의 끝단에 배치되는 회로부의 패드를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연장장치의 레이어들 간에 접착층을 비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연결장치가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부들이 멀티 레이어로 배치하여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다층의 플렉서블 베이스 및 이들 플렉서블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회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매개부에서 패드에 신호 배선들이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서 살펴본 비아홀들의 구성을 3차원 상의 단면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최외곽의 레이어에 패드가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플렉서블 베이스에 하나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구성에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플렉서블 베이스에 두 개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구성에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드가 여러 레이어에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면에 동일한 신호가 인가되는 패드가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부들이 멀티 레이어로 배치하여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다층의 플렉서블 베이스 및 이들 플렉서블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회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매개부에서 패드에 신호 배선들이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서 살펴본 비아홀들의 구성을 3차원 상의 단면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최외곽의 레이어에 패드가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플렉서블 베이스에 하나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구성에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플렉서블 베이스에 두 개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구성에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드가 여러 레이어에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면에 동일한 신호가 인가되는 패드가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표시장치를 모두 포괄한다.
이하에서 멀티 레이어로 구성되는 회로형 연결장치에서 각 레이어를 구성하는 회로의 일 실시예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상위 구성요소 내에 물리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게이트 라인들(GL1~GLn)과 데이터 라인들(DL1~DLm)이 교차되어 배치된 표시패널(110)과,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130)와,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140) 등을 포함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로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표시패널(110)에 배치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로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표시패널(110)에 인접하게 배치하거나 표시패널(110)에 배치하거나 또는 표시패널(110)의 외부에 배치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드라이버(130) 및 게이트 드라이버(120)에 영상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신호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신호의 형태는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표시패널(110)에는 게이트 라인들(GL1~GLn)과 데이터 라인들(DL1~DLm)의 교차되어 각 서브화소(subpixel)(P)이 정의된다. 서브화소는 하나의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와 선택적으로 백색(W)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색상은 실시예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들로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각 서브화소들에 대한 영상 데이터들, 즉 RGB 및 선택적으로 W로 구성됨)을 입력 받고, 표시패널(110)에 제2신호를 인가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의 소스 타이밍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RGB/W)을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고, 그 데이터 전압을 게이트 신호에 동기되도록 표시패널(110)의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이 과정에서 비디오 데이터들(RGB/W)에 대해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COG(Chip On Glass) 공정이나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으로 표시패널(110)의 데이터 라인들(DL)에 접속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 단은 표시패널(110)에 본딩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게이트 라인들(GL1~GLn)에 제1신호, 예를 들어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게이트 라인들(GL1~GLn)을 구동하는데, 이를 위해, 클럭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기초하여 게이트 라인들(GL1~GLn)에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소스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 PCB)에 구성될 수 있으며,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이하 '게이트 드라이브 IC'라 한다)는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표시패널에 연결되거나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패널 상에 구성되거나 또는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MIPI(Mobile Industrial Processor Interface)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입력받는다. 이때,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RGB)를 수신하고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전송한다. 특히, 표시패널이 대형화되면서 송수신해야 할 RGB 신호의 크기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연결장치에 포함되어야 할 배선들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장치를 회로형으로 배선들을 배치하고 이들 회로형의 배선들을 다시 멀티 레이어 구조로 배치하여 연결장치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많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를 호스트와 같은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비디오 데이터(RGB/W)와 수직 동기화신호(Vsync), 수평동기화신호(Hsync), 메인 클럭 신호(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고, 이러한 타이밍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0)에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인가하며, 데이터 드라이버(130)에 데이터 제어신호(DCS) 및 전술한 비디오 데이터(RGB/W)를 서브화소가 나타내기 위한 비디오 데이터(R'G'B')를 인가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구성하는 다수의 집적 회로(소스 드라이브 IC)들이 미리 정해진 영역 내의 데이터라인에 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된다.
도 1의 구성에서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데이터 드라이버(130),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표시패널(110)에 밀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이중 어느 하나 이상이 케이블과 같은 연결장치를 통해 표시패널(110)과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표시패널(110)의 기판 상에 배치시키고 타이밍 컨트롤러(140)만을 표시패널(110)과 이격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게이트 드라이버(120)를 표시패널(110)의 기판 상에 배치시키고 데이터 드라이버(130)와 타이밍 컨트롤러(140)를 표시패널(110)과 이격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 게이트 드라이버(120), 데이터 드라이버(130)와 타이밍 컨트롤러(140) 모두를 표시패널(110)과 이격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10)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구성요소는 표시패널(110)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연결장치를 통하여 표시패널(110)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런데 표시패널(110)이 대형화가 될 경우, 영상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양이 매우 커지며 그에 따라 연결장치 내에 포함되는 배선의 종류도 복잡하고 다양해질 수 있다.
이에, 표시패널(110) 외부에 이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0), 데이터 드라이버(130)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를 원격제어회로부라고 지시한다. 원격제어회로부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를 포함한 컨트롤 PCB와 같은 회로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데이터 드라이버(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이들 원격제어회로부와 표시패널(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개별 신호를 배선으로 솔더링(Soldering)하는 방식이 아닌, 멀티 레이어(Multi layer)의 회로, 예를 들어 FPC와 같은 회로를 멀티 레이어로 구성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회로부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베이스(Flexible Base) 상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도체 물질이 배치된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회로부가 하나의 플렉서블 베이스에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회로부로 지시한다. 하나의 플렉서블 베이스 상면과 하면에 두 개의 회로부가 형성되는 경우를 두 개의 회로부로 지시한다. 양면에 두 개의 회로부가 형성된 경우, 두 개의 회로부가 플렉서블 베이스를 공유하는 것으로 지시한다. 또한, 두 개의 회로부가 플렉서블 베이스의 상면 및 하면(또는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것은 상이한 레이어 상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플렉서블 베이스의 상면(전면) 및 하면(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회로부는 상이한 레이어에 배치된 두 개의 회로부를 지시하며, 이 때, 플렉서블 베이스의 상면을 하나의 레이어로 지시하고, 하면을 또다른 레이어(layer) 또는 층으로 지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베이스의 물질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PET 필름(PET Film)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유연성을 가지면서 도체 물질의 회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플렉서블 베이스를 구성할 수있다.
앞서 플렉서블 베이스의 단면 또는 양면에 회로부가 배치되는 것에 대해 설명했다. 이하 FPC 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살펴볼 회로부들의 일 실시예로 회로부가 단면 FPC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플렉서블 베이스의 양면에 두 개의 회로부가 형성되는 양면 FPC를 또다른 실시예로 한다. 양면 FPC는 두 개의 회로부가 배치된 플렉서블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회로부를 구별하는 것은 레이어(layer)가 다른 것을 의미한다.
정리하면, 회로부는 전기 배선 등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플렉서블 베이스는 회로부가 배치되는 필름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플렉서블 베이스는 한 면 또는 양면에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어는 회로부가 배치된 층을 지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렉서블 베이스의 일 면에 배치된 회로들의 집합을 회로부로 지시할 수 도 있다.
이하, 둘 이상의 플렉서블 베이스의 각각의 면에 회로부가 각각 배치되며, 이들 회로부의 각각의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 그리고 이들 플렉서블 베이스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부들이 멀티 레이어로 배치하여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도면이다.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표시패널(110)의 특정한 회로영역이나 커넥터 등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다수의 패드(280)들이 배치된 종단부(201)와 다수의 회로부들이 다층, 즉 멀티 레이어로 구성하며 이들이 일방향으로 확장하여 배치되는 연장부(203), 그리고 이들 연장부(203)와 종단부(201) 간에 신호선들과 패드들을 연결하는 신호매개부(202)로 구성된다. 연장부(203)에는 둘 이상의 회로부들이 다층으로 구성된다. 도 2에는 가장 상위에 배치된 플렉서블 베이스(210) 상에 회로부를 구성하는 도체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플렉서블 베이스(210) 상에는 220과 같은 배선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들 배선들이 회로부가 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플렉서블 베이스(210)를 지시하는 지시번호에 "c"를 부기할 경우 해당 플렉서블 베이스상에 배치된 회로부를 지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플렉서블 베이스의 양면에 배치된 회로부는 각각 "c1" 및 "c2"로 지시한다.
가장 상위에 배치되는 최상위 회로부(210c)가 배치되는 영역 중에서 신호매개부(20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다른 회로부(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는 신호 배선이 230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소정의 도전성 비아홀(Viahall)(231)을 통해 플렉서블 베이스(210) 상에 도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베이스(210) 상에 배치된 230은 플렉서블 베이스(210)의 회로부(210c)를 구성하는 배선들과 연결되지 않고, 다른 레이어에 배치된 회로부(미도시)의 배선과 비아홀(231)을 통해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비아홀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아홀 외에도 쓰루홀(Through Hall)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291)는 연결장치(200)의 회로부들과 이들의 신호매개부(202) 영역을 감싸도록 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케이스(291)는 다양한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 미도시되었으나, 다수의 회로부들이 멀티 레이어로 배치되므로, 이들 회로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을 회로부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배치하여 회로부 각각이 가지는 유연성이 다층으로 결합하여 연결장치를 구성할 경우에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299는 후술할 비아홀과 다수 레이어에 배치된 회로부들의 신호가 연결되는 지점을 보다 상세하기 확인하기 위해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플렉서블 베이스(210) 상에 배치되는 도체들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얇은 보호막이 플렉서블 베이스(210) 위의 회로부 전체 혹은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200)는 각 레이어들, 또는 플렉서블 베이스들이 일방향으로 확장하여 배치되는 연장부(203)와, 다수의 패드들이 배치되는 종단부(201)와, 이들 연장부(203) 및 종단부(201) 사이의 신호매개부(202)가 배치된다. 각 레이어 또는 플렉서블 베이스에는 각각의 회로부와 이들 회로부를 구성하는 배선들이 있는데, 신호매개부(202)는 배선과 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최상위 레이어의 배선뿐만 아니라 하위 레이어의 배선도 299에 제시된 비아홀(232, 233, 234, 2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멀티 레이어로 구성되는 회로부들의 배선들이 다른 장치, 예를 들어 표시패널이나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기 위해서는 패드와의 연결이 필요하다. 따라서, 비아홀(혹은 쓰루홀)과 같은 홀을 통하여 배선들이 연결장치의 일면 또는 양면의 종단부(201)에 배치된 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연장부(203)에서는 유연성을 제공하면서 또한 종단부(201)에서는 단일한 레이어 또는 양면 레이어에 의한 패드 연결이 가능하다. 둘 이상의 플렉서블 베이스가 연결장치를 구성할 경우, 어느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 베이스의 신호매개부 영역에 다른 플렉서블 베이스의 회로부에 배치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아홀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플렉서블 베이스의 제1면에 배치된 패드와 제2면에 배치된 다른 회로부의 배선을 연결하기 위한 비아홀도 신호매개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신호매개부(202)의 비아홀로 인하여 멀티 레이어에 의해 동일한 면에 배치되지 않는 배선들도 패드(28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다층 FPC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 형태로 하며 종단부(201)에는 피메일(Female) 커넥터와 신호 연결을 위한 패드(280)를 형성하고. 여기에 FPC 보호 및 사용 편의를 위한 케이스(291)를 씌움으로써 커넥터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도 2의 최상위에 배치된, 즉 첫번째 레이어에 배치된 플렉서블 베이스(210)와 그 아래에 배치된 3 개의 플렉서블 베이스(310, 320, 330) 사이에 접착층이 배치되는 구조를 보여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플렉서블 베이스(210, 310, 320, 330)에 회로부를 구성하는 도체들은 도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 블렉서블 베이스(210, 310, 320, 330)의 상면에만 회로부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양면 혹은 하면 등에도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6의 구성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회로부를 하나의 플렉서블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두 개의 회로부로 치환하여도 본 발명의 접착층의 배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6의 310으로 지시되는 플렉서블 베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 구별되는 두 개의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양면 및 단면에 배치되는 회로부들에 모두 적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다층의 플렉서블 베이스 및 이들 플렉서블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회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2의 A-A'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2의 최상위에 배치된 플렉서블 베이스(210)가 가장 상층에 배치되어 있고, 회로부를 구성하는 배선(220)이 배치되어 있다. 그 아래로 3 개의 플렉서블 베이스들(310, 320, 330)이 배치된다. 3개의 플렉서블 베이스에는 회로부를 구성하는 배선들이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데, 회로부의 배선들이 반드시 상하의 플렉서블 베이스들 상에 배치된 배선들과 일치한 형태로 배치될 필요는 없으므로, 도 3의 단면에서는 일부의 플렉서블 베이스(320)에만 회로부(320c)를 도시하였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각각의 플렉서블 베이스 사이, 즉 각 레이어들 사이에 접착층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최상위 레이어를 구성하는 플렉서블 베이스(210)와 그 하위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또다른 플렉서블 베이스(310) 사이에는 390과 같이 비연속적으로 접착층이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접착층이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일 실시예는 접착층이 플렉서블 베이스(210)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빈 공간, 즉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는 빈 영역(399)을 가지도록 배치됨을 의미한다. 빈 영역(399)과 접착층(390)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390)과 빈 영역(399)이 교대로 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회로부와 플렉서블 베이스의 유연성을 보강하기 위해 또다른 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멀티 레이어를 구성하는 플렉서블 베이스 및 여기에 배치되는 회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3과 달리, 접착층의 배치가 상이한 구성이다. 도 3에서는 일정한 간격과 폭으로 접착층(390)이 배치되었으나, 도 4에서는 플렉서블 베이스의 휘어짐을 반영하여 중심측 레이어에 배치된 플렉서블 베이스들의 사이(310 및 320)에는 보다 작은 넓이의 접착층(490b)이 배치되고 외곽에 배치된 플렉서블 베이스들에는 보다 큰 넓이의 접착층(490a)이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는 중심부에 배치된 플렉서블 베이스들(310, 330)이 보다 큰 각도로 휘어질 수 있으므로, 접착층(490a, 490b)들의 면적을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비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각 레이어의 플렉서블 베이스들이 잘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일종의 케이블과 같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연결장치에서 연장부(203)의 끝단, 즉 연장부(203)에서 신호매개부(202) 측에 가까울 경우, 접착층의 빈 영역을 줄이거나 플렉서블 베이스에 접착층이 전면에 배치되도록 하여 연장부(203)의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각각의 플렉서블 베이스(210, 310, 320, 330)들이 각각 제1레이어, 제2레이어, 제3레이어, 제4레이어를 구성하고 각각의 레이어에 제1회로부, 제2회로부, 제3회로부, 제4회로부가 배치된다고 가정할 경우, 이들 중간에 배치되는 제2레이어-제3레이어 사이의 접착층(490b)의 면적은 제1레이어-제2레이어 사이의 접착층(490a), 또는 제3레이어-제4레이어 사이의 접착층(490c)의 면적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중앙에 배치된 레이어가 더 많이 휘어지기 때문에 연장부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멀티 레이어를 구성하는 플렉서블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의 단면을 보여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했던 회로부(320c)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2에서 신호매개부(202)에 가까운 연장부(203) 지점인 A" 부분까지 보여준다. A" 부분에 가까운 지점에 배치된 접착층(590)은 A-A'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390) 보다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이는 신호매개부(202)에 가까워지는 영역에서부터 연장부(203)의 유연성을 낮추어 플렉서블 베이스(210, 310, 320, 33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5의 599는 도 5의 좌표축을 보여준다.
도 5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연장부(203)의 면적에서 접착층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신호매개부(202)의 면적에서 접착층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보다 작도록 하여 연장부(203)에서 연결장치가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연장부(203)에서는 휘어지면서 동시에 신호매개부(202)에서는 휘어지지 않도록 하여 배선이 보호되면서도 연결장치가 필요로 하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연장부(203)에서 신호매개부(202)로 가까이 갈수록 접착층이 차지하는 면적이 점점 넓어질 수 있다. 연장부(203)에서 신호매개부(202)로 가까이 갈수록 레이어나 플렉서블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접착층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접착층과 플렉서블 베이스(210, 310, 320, 330) 사이의 적층된 형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699는 좌표축을 보여주는데, 도 5의 599의 좌표축이 회전한 상태임을 보여준다.
610 및 630은 도 5의 B-B'에서의 단면을 보여준다. 620 및 640은 도 5의 C-C'에서의 단면을 보여준다.
610에서는 최상위의 레이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베이스(210)와 그 아래의 레이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베이스(310) 사이에 접착층(390)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외의 공간은 빈 공간으로 배치된다. 620에서는 모든 플렉서블 베이스들(210, 310, 320, 330) 사이에 접착층(590)이 배치되어 있다.
630은 610과 달리 접착층(390a, 390b)이 Z 축 상으로 불연속하게 배치되는 실시예이다. 640은 620과 달리 접착층(590a, 590b)이 Z 축 상으로 불연속하게 배치되는 실시예이다.
도 2의 연장부(203)에서 다층, 즉 멀티 레이어로 구성되는 플렉서블 베이스들 사이에는 비연속적으로 배치된 접착층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와이어 케이블(wire cable)과 같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회로부, 예를 들어 FPC와 같이 플렉서블 베이스 상에 배치된 회로부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제작할 경우 잘 휘어질 수 있도록 각 층 사이의 접착층을 비연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회로부나 플렉서블 베이스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되지 않고 일부 영역에 비연속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경우, 다층 FPC에 일반 와이어 케이블과 같은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다. 각 레이어에는 회로부들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레이어에 배치되는 제1회로부가 배치되며, 제2레이어에 배치되는 제2회로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도 2에서 살펴보았듯이 제1회로부의 제1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가 있으며, 제2회로부의 제2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가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이어와 상기 제2레이어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레이어는 플렉서블 베이스 자체를 지시할 수도 있고, 플렉서블 베이스의 일면을 지시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기존 케이블 구조의 PCB와 구리선(copper wire)을 플렉서블 베이스에 기반한 회로부, 예를 들어 FPC로 대체하여 커넥터와 케이블의 크기를 작고 얇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층으로 FPC와 같은 회로부를 구성할 경우, 각 층간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 사용 구간을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다양하게 일부 영역에서는 비연속적으로, 그리고 커넥터에 가까운 신호매개부(202) 또는 종단부(201)에서는 보다 높은 밀도로 접착층을 배치하여 멀티 FPC 케이블로 구성하여 유연하면서도 회로부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의 연결장치에서 신호매개부(202)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2의 연결장치(200)에서 연장부(203)는 멀티 레이어로 회로부들이 적층되어 있다. 그러나, 종단부(201)에는 다수의 패드들(280)이 배치되며, 이들 패드들(280)은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패드들(280)은 종단부(20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의 배치가 종단부(201)의 상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종단부(201)의 하면에 배치될 경우, 이들 패드와 회로부들 중에서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지 않는 회로부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회로부가 멀티 레이어로 구성될 경우, 가장 위에 배치된 회로부는 종단부(201)의 상면에 배치된 패드들과 연결될 수 있으나, 그 아래에 배치된 회로부들은 종단부(201)의 상면에 배치된 패드들과 직접 연결될 수 없다. 이는 종단부(201)의 하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종단부(201)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된 패드와 상이한 레이어에 배치된 회로부들이 연결될 수 있는 신호매개부(202)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매개부(202)에서 패드에 신호 배선들이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D-D'의 단면과 도 2의 D-D"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2에서 살펴보았듯이, 최상위에 배치된 플렉서블 베이스(210) 상에는 다른 레이어에 형성된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231 내지 235와 같은 비아홀이 배치되어 있다. 비아홀이 배치된 299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수의 비아홀(232~235)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연장부(203)에서 배치되어있는 배선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이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7은 단면 FPC를 회로부의 일 실시예로 하는 구성에서 비아홀과 회로부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D-D' 단면을 보여준다.
도 7을 살펴보면 두 개의 플렉서블 베이스(210, 710)가 있으며, 이 중에서 제1플렉서블 베이스(210)의 상면에 회로부(210c)가 배치된다. 210c는 최상면의 회로부 영역을 지시한다. 또한, 제2플렉서블 베이스(710)의 상면에는 또다른 회로부(710c)가 배치되어 있다.
최상위 플렉서블 베이스(210)에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패드가 배치되거나, 회로부(210c)와 일체로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비아홀(232)은 이들 패드와 하위 회로부(710c)의 배선(7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232의 비아홀이 통과하는 지점에 최상위 플렉서블 베이스(210)에는 비아홀(232) 및 비아홀과 패들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 이외에는 도전성 물질이 배치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비아홀(232)를 통해 하위 레이어에 배치된 회로부(710c)의 배선(730)이 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최상위 플렉서블 베이스의 회로부(210)와 하위 레이어의 회로부(710) 사이의 빈 영역(799)에는 접착층이 비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은 양면 FPC에 두 개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구성에서 비아홀과 회로부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D-D" 단면을 보여준다.
도 8을 살펴보면 두 개의 플렉서블 베이스(210, 810)가 있으며, 이 중에서 제1플렉서블 베이스(210)의 상면에 회로부(210c1)가 배치된다. 210c1은 최상면의 제1회로부 영역을 지시한다. 또한, 제1플렉서블 베이스(210)의 하면에 또다른 제2회로부(810c2)가 배치된다. 한편, 제2플렉서블 베이스(810)의 상면에는 제3회로부(810c)가 배치되어 있다. 제2플렉서블 베이스(810)에는 하나의 회로부(810c)만 배치되어 있다.
제1플렉서블 베이스(210)에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패드가 배치되거나, 제1회로부(210c1)와 일체로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비아홀(232)은 패드와 제2회로부(210c2)의 배선(8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제2비아홀(233)은 패드와 제3회로부(810c)의 배선(8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8의 제2회로부(210c1)와 제3회로부(810c) 사이의 빈 영역(899)에는 접착층이 비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서 살펴본 비아홀들의 구성을 3차원 상의 단면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902는 도 2에서 살펴보았던 신호매개부(202)와 같이 다수의 레이어에 배치된 배선들과 패드 사이를 연결하는 신호매개부(902)이다.
두 개의 플렉서블 베이스(910, 92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제1회로부(910c1), 제2회로부(910c2), 제3회로부(920c1), 제4회로부(920c2)으로 구성된다.
제1회로부(910c1)는 패드와 연결되는 배선들(980a, 980b, 980c)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배선들(980a, 980b, 980c) 중에서 980a 및 980c는 각각 제1비아홀(931) 및 제2비아홀(9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비아홀(931)은 제2 회로부(910c2)의 배선(9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제2 회로부(910c2)의 배선(982)의 신호는 패드에 연결되는 배선(980a)으로 전달되어 패드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비아홀(932)은 제3 회로부(920c1)의 배선(98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제3 회로부(920c1)의 배선(983)의 신호는 패드에 연결되는 배선(980c)으로 전달되어 패드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도 9에서 999는 빈 공간일 수도 있고 접착층이 비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제1플렉서블 베이스(210)의 상면인 제1레이어에 제1패드 및 제2패드가 배치되며 이들 제1레이어의 상기 신호매개부에 제2레이어의 제2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아홀들(232, 23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비아홀(232, 233)과 제2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레이어의 일 실시예로 도 7의 제2플렉서블 베이스(710)의 상면이 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도 8의 제1플렉서블 베이스(210)의 하면 또는 제2플렉서블 베이스(810)의 상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비아홀들(232, 233)을 통하여 다수의 상이한 레이어에 배치된 회로부들의 배선들이 패드에 연결될 수 있어 플렉서블 베이스에 배치된 회로부들을 통해서 케이블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에서 멀티 레이어의 회로부로 구성된 연결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는 둘 이상의 레이어로 구성된 회로부가 비연속적 접착층을 통해 케이블과 같은 연결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연결장치의 종단부를 구성하는 패드에 다양한 레이어의 회로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비아홀이 배치되는 실시예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종단부의 패드는 최외곽 레이어에 배치된 회로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종단부의 패드는 최외곽 레이어가 아닌 레이어에 배치된 회로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최외곽의 레이어에 패드가 배치되는 구성이다. 1000은 연결장치의 신호배선부(1002) 및 종단부(1001)를 나타낸다. 도 2의 구성과 달리, 최상위에 배치되는 제1플렉서블 베이스(1010) 상에서 배선과 패드가 연결되며, 최상위에 배치되는 제1 플렉서블 베이스(1010)에 비아홀이 형성되어 하위의 다른 플렉서블 베이스에 형성된 회로부의 배선과 패드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종단부(1001)에는 제1플렉서블 베이스(1010)에 패드가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 패드들에 연결되는 멀티 레이어에 배치된 회로부들의 배선과 비아홀의 연결을 살펴본다. 또한, 각 패드들이 표시패널 또는 호스트 장치에 결합하는 커넥터, 즉, 종단부 중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넥터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플렉서블 베이스에 하나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구성에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세 개의 플렉서블 베이스(1010, 1020, 1030)이 배치되어 있으며, 도 1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1은 E1-E1'의 단면을, 도 12는 E2-E2'의 단면을, 도 13은 E3-E3'의 단면을 보여준다. 1012a, 1012b, 1012c, 1012d는 각각 배선들을 지시하며 모두 제1플렉서블 베이스(1010) 상에 배치된다. 1011a, 1011b, 1011c는 각각 제1패드, 제2패드, 제3패드를 지시한다. 1099a 및 1099b는 모두 접착층이며, 신호매개부와 종단부의 영역에서는 플렉서블 베이스의 전면에 도포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1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비아홀(1091b)은 제2플렉서블 베이스(1020)상의 배선(1021) 및 제1플렉서블 베이스(1010)상에서 제2패드(1011b)에 연결된 배선(1012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도 13에서는 제2비아홀(1091c)은 제3플렉서블 베이스(1020)상의 배선(1031) 및 제1플렉서블 베이스(1010)상에서 제3패드(1011c)에 연결된 배선(1012c)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11, 12, 13 모두 종단부(1101)에는 중심에 위치한 플렉서블 베이스(1020)의 길이를 짧게 한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3개 의 회로부가 각각 배치되는 3개의 플렉서블 베이스에서 중간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베이스(1020)의 길이를 외곽의 레이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베이스(1010, 1030)의 길이보다 짧게 설계하여 레이어를 적층할 경우 외곽에 배치된 레이어들이 중앙부로 눌리게 되어 모서리를 완곡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잦은 연결, 분리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플렉서블 베이스에 두 개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구성에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세 개의 플렉서블 베이스(1010, 1020, 1030)이 배치되어 있다. 도 14는 E2-E2'의 단면을, 도 15는 E3-E3'의 단면을 보여준다. 1012a, 1012b, 1012c, 1012d는 각각 배선들을 지시하며 모두 제1플렉서블 베이스(1010) 상에 배치된다. 1011a, 1011b, 1011c는 각각 제1패드, 제2패드, 제3패드를 지시한다. 1099a 및 1099b는 모두 접착층이며, 신호매개부와 종단부의 영역에서는 플렉서블 베이스의 전면에 도포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1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비아홀(1091b)은 제1플렉서블 베이스(1010)상의 하면(제2레이어)에 배치된 배선(1021) 및 제1플렉서블 베이스(1010)상의 상면(제1레이어)의 배선(1012b)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배선 1012b는 제2패드(1011b)에 연결된다.
한편, 도 1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2비아홀(1091c)은 제2플렉서블 베이스(1020)상의 상면(제3레이어)에 배치된 배선(1031) 및 제1플렉서블 베이스(1010)상의 상면(제1레이어)에 배치된 배선(1012c)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배선 1012c는 제3패드(1011c)에 연결된다. 1099a 및 1099b는 모두 접착층이며, 신호매개부와 종단부의 영역에서는 플렉서블 베이스의 전면에 도포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전술한 도 11 내지 15에서 살펴본 연결장치의 종단부의 끝단(1101)가 다른 제품에 삽입되는 구조에서, FPC와 같은 회로부에 그라인딩(Grinding) 작업을 하지 않고도 패드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연결장치의 끝단이 내부를 향하여 휘어지도록 구성하면 연결장치의 삽입부를 호스트 장치 또는 표시패널이나 표시장치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이 반복되어도, 회로부의 패드가 파손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1101과 같이 종단부에서 내부의 레이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베이스(1020)의 길이를 외곽의 레이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베이스(1010, 1030)의 길이보다 짧게 설계하여, 레이어를 적층할 경우 외곽에 배치된 레이어들이 중앙부로 눌리게 되어 모서리를 완곡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잦은 연결, 분리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와 같이 중앙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베이스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접착층을 배치하지 않도록 FPC 커넥터 플러그부의 레이어를 설계하여 종단부의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한다.
도 11 내지 도 14를 살펴보면, 둘 이상의 플렉서블 베이스를 포함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어느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 베이스는 양면에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플렉서블 베이스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배치 가능한 배선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장치의 폭을 줄이면서도,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표시장치의 대형화로 인해 배선의 수가 증가하여도 이들 배선의 수로 인한 연결장치의 폭을 유지하고 또한 두께도 증가시키지 않아 연결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드가 여러 레이어에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1플렉서블 베이스(1610)의 외곽면인 제1레이어에 1610c와 같이 제1회로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플렉서블 베이스(1620)의 외곽면인 제2레이어에 1620c과 같은 제2회로부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1610c를 구성하는 배선(1612)는 제1패드(1615)와 연결되며, 1620c를 구성하는 배선(1622)는 제2패드(1625)와 연결된다.
도 17은 제1플렉서블 베이스(1710)의 내부의 면인 제1레이어에 1710c와 같이 제1회로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플렉서블 베이스(1720)의 내부의 면인 제2레이어에 1720c와 같은 제2회로부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1710c를 구성하는 배선(1712)는 제1패드(1715)와 비아홀(1791a)을 통하여 연결되며, 1720c를 구성하는 배선(1722)는 제2패드(1625)와 비아홀(1791b)을 통하여 연결된다. 도 17에서 연결장치의 종단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패드(1615)와 하면에 배치되는 제2패드(1625)는 각기 상이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과 17에서 두 개의 플렉서블 베이스가 배치될 경우, 종단부의 끝단(1601, 1701)에는 접착층(1699. 1799)을 배치하지 않도록 하여, 도 11 내지 도 15의 끝단(1101)과 같이 모서리를 완곡하게 제작할 수 있다. 제1플렉서블 베이스(1610, 1710)이 제1레이어를 구성하며 제2플렉서블 베이스(1620. 1720)이 제2레이어를 구성할 때, 이들 두 레이어 사이의 끝단에는 접착층(1699, 1799)이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그 결과 모서리 부분이 완곡하게 되어 연결장치를 다른 장치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마모나 파손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두 개의 플렉서블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끝단에 배치하지 않도록 하여 모서리가 완곡하게 내부로 휘어지도록 하여 연결장치의 삽입부를 호스트 장치 또는 표시패널이나 표시장치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이 반복되어도, 회로부의 패드가 파손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정리하면, 플렉서블 베이스에 회로가 배치되는 레이어와 패드가 배치되는 레이어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과 같이 제1플렉서블 베이스(1710)의 제1면에 대응하는 제1레이어와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플렉서블 베이스(1710)의 제2면에 대응하는 제2레이어를 가정한다. 제1레이어에는 회로부가 배치된 레이어이다. 이때, 제1패드(1615)는 도 16과 같이 회로부가 배치되는 제1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패드(1715)는 도 17과 같이 회로부가 배치되지 않은 제2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6 및 도 17에서는 제1플렉서블 베이스(1610, 1710)와 제2플렉서블 베이스(1620. 1720)에서 패드들(1615, 1625, 1715, 1725)이 회로부가 배치된 레이어 또는 회로부가 배치된 면에 동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베이스의 특정한 면에 회로부가 배치될 경우, 해당 면에 패드가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 16이며, 반대편의 다른 면에 회로부가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 17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17의 실시예와 같이 패드와 별도의 위치에 회로부를 구성하여 회로부를 보호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6의 실시예와 같이 패드와 같은 위치에 회로부를 구성하여 공정을 줄이고 배선의 전기적 접촉이 단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이, 제2레이어에 회로부(1710c)가 배치되어도, 제1레이어에 패드(1715)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플렉서블 베이스(1720)의 제3레이어의 회로부(1720c)와 연결되는 패드(1725)의 경우 도 17에서는 제4레이어에 배치된다. 물론 제1플렉서블 베이스(1710) 상의 패드(도면에 미도시)에도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면에 동일한 신호가 인가되는 패드가 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에서 패드의 구성을 추가하였다. 도 18에서 종단부의 상면에 배치된 패드(1011b)와 비아홀(1891)과 연결된 제4패드(1811b)가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배선(1021)의 신호가 두 개의 패드(1011b, 1811b)에 모두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멀티 레이어 회로형 연결장치는 도 1에서 살펴보았던 표시장치(100)와 외부의 호스트 장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 도 1에서 살펴보았던 표시패널(110)에 결합된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가 배치되거나 일체로 구성되고, 타이밍 컨트롤러(140)가 표시패널(110)과 이격하여 배치될 경우, 멀티 레이어 회로형 연결장치는 표시패널(110)과 타이밍 컨트롤러(14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패널(110)에 타이밍 컨트롤러(14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멀티 레이어 회로형 연결장치는 인터페이스 회로부와 타이밍 컨트롤러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실시예들에서 비아홀 혹은 쓰루홀은 가운데가 비어있는 홀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홀 내에 전도성 물질이 채워질 경우, 일종의 전도성 물질의 기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아홀은 전도성 물질이 채워지기 전에 홀의 구성을 하는 것이며, 그 부분에 전도성 물질이 채워질 경우에는 홀의 형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기둥과 같이 전도성 물질로 완전히 채워질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살펴본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표시패널(110)의 일측에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들(120a~120d 참조)의 형태로 구성되며, 도 1에서 살펴본 데이터 드라이버(130) 역시 표시패널(110)의 일측에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들(130a~130d 참조)로 배치되어 있다. 구성 방식에 따라,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들(120a~120d)이 표시패널(110)의 좌우 양측에 분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들(130a~130d)도 표시패널(110)의 상하 양측에 분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40a)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들(130a~130c)이 배치된 영역과 분리되어 195와 같은 별도의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결합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a)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들(120a~120d) 및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들(130a~130d)에게 비디오 데이터(RGB)와 수직 동기화신호(Vsync), 수평동기화신호(Hsync), 메인 클럭 신호(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의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전술한 멀티 레이어 회로형 연결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200)의 일단은 표시패널(110)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들(130a~130d)에 연결된 인터페이스 회로부(199)에 연결되어, 타이밍 컨트롤러(140a)와 인터페이스 회로부(199) 사이의 신호를 전달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도 1 또는 도 19와 같은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연결장치의 일단은 타이밍 컨트롤러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가 배치된 회로장치에 배치된다. 한편,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연결장치의 타단은 표시장치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호스트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장치가 대형화될 경우, 신호배선이 증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표시장치와 호스트 장치 사이의 케이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19의 실시예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가 표시패널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장치의 타단은 표시패널의 인터페이스 회로부에 연결되어 표시패널과 타이밍 컨트롤러 사이의 신호를 전달한다. 표시패널의 대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면서, 타이밍 컨트롤러와 같은 구성요소를 표시패널과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는데, 이때, 타이밍 컨트롤러와 표시패널 사이에 송수신해야 하는 신호가 증가하여도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이용할 경우, 케이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종래 개별 신호를 와이어로 구성하여 플러그 내부의 PCB와 솔더링하는 종래의 방식에서는 플러그와 케이블의 연결 부위의 크기가 커지는 구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다층 FPC에 적용할 경우, 케이블 형태로 하며 종단부(201)에는 피메일(Female) 커넥터와 신호 연결을 위한 패드(280)를 형성하고. 여기에 FPC 보호 및 사용 편의를 위한 케이스(291)를 씌움으로써 커넥터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 케이블 제품의 경우 신호선의 수가 증가할 수록 이에 비례하여 커넥터 크기가 증가하고 제작하기가 어려워져 비용이 증가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FPC와 같은 플렉서블 베이스 상에 회로부를 배치하여 신호선 수 증가에 따른 커넥터 크기를 감소시키고 케이블 제품 제작을 단순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 케이블 제품의 와이어와 PCB 그리고 납땜부를 플렉서블 베이스 상의 회로부로 배치한다. 예를 들어 FPC로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FPC가 외부 노출이나 노출에 의한 파손을 막기 위해 케이스를 씌움으로써 기존 케이블 제품에 비해 제작도 간단하고 케이블 제품의 크기도 작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PCB와 Wire를 FPC 케이블을 일 실시예로 하는 멀티 레이어 회로형 연결장치로 대치함으로써 별도로 다른 방식으로 제조되던 복수 제품의 PCB와 와이어들을 단일 제품의 FPC 케이블로 대체함으로써 각각 제품 제작을 위한 공정이 사라지고 FPC 케이블 제작을 위한 공정으로 일원화할 수 있고 각 제품에 대한 제작비용, 물류,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또한, 종래에 PCB와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납땜 작업이 사라짐으로써 납땜작업에 의한 불량, 공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PCB와 와이어 연결 및 고정을 위한 구조가 불필요해짐에 따라 신호선 수의 증가가 비교적 용이하며 전체 케이블 제품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게이트 드라이버
130: 데이터 드라이버
199: 인터페이스 회로부
210, 310, 320, 330, 710, 810, 910, 920, 1010, 1020, 1030, 1610, 1620, 1710, 1720: 플렉서블 베이스
390, 490a, 490b, 590, 1099a, 1099b, 1699, 1799: 접착층
280, 1011, 1615, 1625, 1715, 1725: 패드
110: 표시패널
120: 게이트 드라이버
130: 데이터 드라이버
199: 인터페이스 회로부
210, 310, 320, 330, 710, 810, 910, 920, 1010, 1020, 1030, 1610, 1620, 1710, 1720: 플렉서블 베이스
390, 490a, 490b, 590, 1099a, 1099b, 1699, 1799: 접착층
280, 1011, 1615, 1625, 1715, 1725: 패드
Claims (18)
- 제1레이어에 배치되는 제1회로부;
제2레이어에 배치되는 제2회로부;
상기 제1회로부의 제1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
상기 제2회로부의 제2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
상기 제1레이어와 상기 제2레이어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접착층;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가 일방향으로 확장하여 배치되는 연장부;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가 배치되는 종단부; 및
상기 연장부와 종단부 사이에 상기 제1배선과 상기 제1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배선과 상기 제2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매개부를 포함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에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가 배치되며,
상기 제1레이어의 상기 신호매개부에 상기 제2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아홀이 배치되며,
상기 비아홀과 상기 제2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멀티 레이어로 구성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는 제1플렉서블 베이스의 제1면이며,
상기 제2레이어는 제1플렉서블 베이스의 제2면이며,
상기 제1패드는 상기 제1레이어 또는 상기 제2레이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면적에서 상기 접착층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신호매개부의 면적에서 상기 접착층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보다 작은,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3레이어에 배치되는 제3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3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레이어의 길이는 상기 제1레이어의 길이 및 상기 제3레이어의 길이보다 짧은,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의 끝단에 배치되지 않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3레이어에 배치되는 제3회로부; 및
제4레이어에 배치되는 제4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이어, 상기 제2레이어, 상기 제3레이어, 상기 제4레이어 순서로 배치되며,
상기 제2레이어와 상기 제3레이어 사이에 제1접착층이 배치되며,
상기 제1레이어와 상기 제2레이어 사이에 제2접착층이 배치되며,
상기 제3레이어와 상기 제4레이어 사이에 제3접착층이 배치되며,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은 상기 제2접착층의 면적 또는 제3접착층의 면적보다 작은,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제1회로부가 제1면에 배치되는 제1플렉서블 베이스;
제2회로부가 제2면에 배치되는 제2플렉서블 베이스;
상기 제1회로부의 제1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
상기 제2회로부의 제2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
상기 제1플렉서블 베이스와 상기 제2플렉서블 베이스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접착층;
상기 제1 플렉서블 베이스 및 상기 제2 플렉서블 베이스가 일방향으로 확장하여 배치되는 연장부;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가 배치되는 종단부; 및
상기 연장부와 종단부 사이에 상기 각각의 배선들과 상기 각각의 패드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매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매개부에는 상기 제1회로부의 제2배선과 상기 제2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홀을 포함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렉서블 베이스는 상기 제1면 외에 제3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플렉서블 베이스는 상기 제2면 외에 제4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는 상기 제1면 내지 상기 제4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멀티 레이어로 구성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면적에서 상기 접착층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신호매개부의 면적에서 상기 접착층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보다 작은,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제3회로부가 제3면에 배치되는 제3플렉서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플렉서블 베이스는 상기 제1플렉서블 베이스 및 상기 제3플렉서블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플렉서블 베이스의 길이는 상기 제1플렉서블 베이스의 길이 및 상기 제3플렉서블 베이스의 길이보다 짧은,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플렉서블 베이스 및 상기 제2 플렉서블 베이스의 끝단에 배치되지 않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렉서블 베이스는 상기 제1면 외에 제3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면에 제3회로부가 배치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화소들이 배치된 표시패널;
상기 게이트라인에 제1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라인에 제2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제1레이어에 배치되는 제1회로부와 제2레이어에 배치되는 제2회로부와 상기 제1회로부의 제1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와 상기 제2회로부의 제2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와 상기 제1레이어와 상기 제2레이어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접착층과, 상기 제1레이어 및 상기 제2레이어가 일방향으로 확장하여 배치되는 연장부와,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가 배치되는 종단부, 및 상기 연장부와 종단부 사이에 상기 제1배선과 상기 제1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배선과 상기 제2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매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일단이 연결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형 연결장치의 타단은 상기 표시장치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회로형 연결장치의 타단은 상기 표시패널의 인터페이스 회로부에 연결되는,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447A KR102555310B1 (ko) | 2016-08-19 | 2016-08-19 |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447A KR102555310B1 (ko) | 2016-08-19 | 2016-08-19 |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1331A KR20180021331A (ko) | 2018-03-02 |
KR102555310B1 true KR102555310B1 (ko) | 2023-07-13 |
Family
ID=6172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5447A KR102555310B1 (ko) | 2016-08-19 | 2016-08-19 |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53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8984A (ko) * | 2021-08-23 | 2023-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6239A (ja) * | 1999-07-19 | 2001-02-09 | Nippon Mektron Ltd | 可撓性多層回路基板の製造法 |
JP2008235595A (ja) * | 2007-03-20 | 2008-10-02 |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 多層プリント配線板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9368B1 (ko) * | 2010-07-15 | 2012-04-2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102196093B1 (ko) * | 2014-02-04 | 2020-12-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
2016
- 2016-08-19 KR KR1020160105447A patent/KR1025553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6239A (ja) * | 1999-07-19 | 2001-02-09 | Nippon Mektron Ltd | 可撓性多層回路基板の製造法 |
JP2008235595A (ja) * | 2007-03-20 | 2008-10-02 |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 多層プリント配線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1331A (ko) | 2018-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88638B2 (en) | LED light-emitting assembly, LED light-emitting panel, and LED display screen | |
CN107065376B (zh) | 一种阵列基板和电子纸显示装置 | |
KR102645930B1 (ko) | 표시장치 | |
CN109285862B (zh) | 显示装置 | |
KR102529828B1 (ko) | 표시장치 및 다면 표시장치 | |
WO2020156057A1 (zh) | 显示器及其显示面板 | |
KR20140083142A (ko) |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
CN110164359B (zh)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
CN107015407A (zh) | 具有虚设端子的显示装置 | |
US10565921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KR20200022063A (ko) | 표시 장치 | |
KR20210085999A (ko) | 표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표시 장치 | |
US12039936B2 (en) | Display driving apparatus,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 |
KR102555310B1 (ko) | 멀티 레이어 구조의 회로형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
CN112133731A (zh) | 显示面板和显示装置 | |
KR102360171B1 (ko) | 구동 드라이버 | |
KR102503746B1 (ko) | 표시장치 | |
CN108459752B (zh) | 触控显示整合驱动电路以及使用其的触控显示装置 | |
KR20190054581A (ko) | 표시 장치 | |
KR100983753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2498499B1 (ko) | 표시장치 | |
CN114783365B (zh) | 显示模组及显示装置 | |
US11540391B2 (en) | Display device | |
TW201841109A (zh) | 觸控顯示整合驅動電路以及使用其之觸控顯示裝置 | |
KR20220070653A (ko) |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및 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