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209B1 -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 Google Patents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209B1
KR102555209B1 KR1020210066970A KR20210066970A KR102555209B1 KR 102555209 B1 KR102555209 B1 KR 102555209B1 KR 1020210066970 A KR1020210066970 A KR 1020210066970A KR 20210066970 A KR20210066970 A KR 20210066970A KR 102555209 B1 KR102555209 B1 KR 102555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ody
switch unit
contact
magne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086A (ko
Inventor
양서희
정민재
김원호
배재남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2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6Infl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13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reed switch and permanent magnet; Magnetic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33Mountings; Housing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를 제공하여, 종래의 무전원 자가발전장치보다 경제적이면서도 상대적으로 부피가 적게 2구 스위치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자성체(110) ,상기 제1자성체(110)의 가운데 부분에 감겨지는 코일(200), 양측이 개구되고, 상기 제1자성체(110)의 양단이 개구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자성체(110)와 상기 코일(200)을 수용하는 제2자성체(120), 제1자석(311), 상기 제1자석(311)의 양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3자성체(130)와 제4자성체(140)를 포함해, 상기 제1자성체(110)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스위치부(310) 및 제2자석(321), 상기 제2자석(321)의 양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5자성체(150)와 제6자성체(160)를 포함해, 상기 제1자성체(110)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스위치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Self-power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applying to 2 gang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사용되는 무전원 자가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가 발전형 무선 스위치는 외부의 별도 전원이 없이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성하여 이를 이용해 스위칭 제어에 관련된 RF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자가 발전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압전 방식과 코일 방식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코일 방식을 이용한 자가 발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코일 방식을 이용한 자가 발전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코일 방식을 이용한 자가 발전 장치는 제1자성체(11), 코일(20), 제2자성체(12), 제1자석(31), 제3자성체(13) 및 제4자성체(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자성체(11)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코일(20)은 제1자성체(11)의 가운데 부분에 권선된다. 즉, 제1자성체(11)의 일단은 일측으로 노출된 형태이다. 제2자성체(12)는 제1자성체(11)와 코일(20)을 수용하며, 제1자석(31), 제3자성체(13) 및 제4자성체(14)는 제1자성체(11)의 일측에 배치된다.
도 3과 도 4는 종래 코일 방식을 이용한 자가 발전 장치의 단면 개략도와 각각의 상태에서의 자속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와 도 4a를 참조하면, 제1자석(31)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는 제3자성체(13)와 제4자성체(14)가 배치된다. 제1자석(31), 제3자성체(13) 및 제4자성체(14)를 포함하는 구성을 스위치 모듈(41)이라 한다.
스위치 모듈(41)은 사용자로부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는 상측으로 일정 각도 회동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3자성체(13)는 케이스 역할을 하는 제2자성체(12)의 상단과 맞닿아 있고, 제4자성체(14)는 제1자성체(11)의 단부와 맞닿아 있으며, 이때 자속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르게 된다. 사용자가 스위치 모듈(41)을 눌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면 스위치 모듈(41)의 제3자성체(13)는 제1자성체(11)의 단부와 맞닿아 있으며, 제4자성체(14)는 제2자성체(12)의 하단과 맞닿아 있으며, 이때 자속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르게 된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 모듈(41)을 누르는 동안 자속의 방향이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도전류가 흐르게 된다.
종래의 이러한 방식의 자가 발전 장치는 주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사용하였는데, 단일의 장치를 이용하면 한 종류의 신호만을 발생시킬 수밖에 없으므로, 서로 다른 두 가지 종류의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자가 발전 장치가 필요해, 경제성이 저하되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9176호("새로운 발전 소자를 이용한 접촉식 무선 센서 스위치", 공개일 2019.08.2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의 목적은, 단일의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는,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자성체(110), 상기 제1자성체(110)의 가운데 부분에 감겨지는 코일(200), 양측이 개구되고, 상기 제1자성체(110)의 양단이 개구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자성체(110)와 상기 코일(200)을 수용하는 제2자성체(120), 제1자석(311), 상기 제1자석(311)의 양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3자성체(130)와 제4자성체(140)를 포함해, 상기 제1자성체(110)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스위치부(310) 및 제2자석(321), 상기 제2자석(321)의 양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5자성체(150)와 제6자성체(160)를 포함해, 상기 제1자성체(110)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스위치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부(310) 및 상기 제2스위치부(320)는 상기 제1자성체(110), 상기 제2자성체(120)와 맞닿아 자속경로를 형성하며, 사용자가 제1스위치부(310) 또는 상기 제2스위치부(320)를 조작하면 자속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코일(200)에 역기전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상기 제3자성체(130)는 상기 제2자성체(120)와 맞닿고, 상기 제4자성체(140)는 상기 제1자성체(110)와 맞닿으며, 상기 제5자성체(150)는 상기 제2자성체(120)와 맞닿고, 상기 제6자성체(160)는 상기 제1자성체(110)와 맞닿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3자성체(130)가 상기 제1자성체(110)와 맞닿고, 상기 제4자성체(140)가 상기 제2자성체(120)와 맞닿는 제1조작상태가 되거나, 상기 제5자성체(150)가 상기 제1자성체(110)와 맞닿고, 상기 제6자성체(160)가 상기 제2자성체(120)와 맞닿는 제2조작상태가 되면 역기전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부(310) 및 상기 제2스위치부(3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상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부(310) 및 상기 제2스위치부(320)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1조작상태 또는 상기 제2조작상태 이후 외력이 없어지는 정상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제1스위치부(310) 및 상기 제2스위치부(320)를 복귀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200)에 역기전력이 발생하면 제어신호를 생성해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조작상태 또는 상기 제2조작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방향은 서로 다르며,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1조작상태 또는 상기 제2조작상태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역기전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제어신호를 생성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자석(311) 및 상기 제2자석(321)의 자성의 방향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자성체(120)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서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제1자성체와 코일의 양단 각각에 제1스위치부와 제2스위치부를 사용하여, 제1스위치부와 제2스위치부의 동작시 서로 다른 역기전력이 유도되도록 하고, 서로 다른 역기전력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해 송신하도록 함으로서, 상대적으로 경제적이고 작은 부피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코일 방식을 이용한 자가 발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코일 방식을 이용한 자가 발전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종래 코일 방식을 이용한 자가 발전 장치의 단면 개략도와 각각의 상태에서의 자속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의 동작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가 정방향으로 동작했을 때 자속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동작했을 때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그래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는 제1자성체(110), 코일(200), 제2자성체(120), 제1스위치부(310), 제2스위치부(320), 탄성부(미도시) 및 제어신호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자성체(110)는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종의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1자성체(110)는 명칭 그대로, 자속이 흐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자성체(110) 뿐 아니라, 구성의 명칭에 자성체가 들어가면, 자속이 흐르는 재질인 것으로 간주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00)은 제1자성체(110)의 가운데 부분에 감겨진다. 코일(200) 자체는 전자기 유도를 통해 역기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자성체(110)에 흐르는 자속이 단위시간동안 변화하면,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기 위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코일(200)은 후술할 제어신호 송신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00) 자체는 막대 형상의 제1자성체(110)의 가운데 부분에 감겨지기 때문에 제1자성체(110)의 양단 각각은 코일(200)의 양단으로 노출되며, 코일(200)의 양단에 노출된 제1자성체(110)는 자속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자성체(120)는 일종의 케이스 역할을 하며, 서로 결합된 제1자성체(110)와 코일(200)을 수용한다. 제2자성체(120)는 제1파트(120a)와 제2파트(120b)로 나뉘어 서로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보다 용이하게 제1자성체(110)와 코일(200)을 수용하게 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자성체(12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코일(200)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자석을 통해 발생하는 자속의 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자성체(120)가 분리된 제1파트(120a)와 제2파트(120b) 각각에는 서로 결합을 위한 부분(예를 들어 나사 결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2자성체(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파트로만 나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세 개의 파트 또는 그 이상의 파트와 같이 다양한 파트로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부(310)는 제1자석(311), 제1자석(311)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면접하도록 설치되는 제3자성체(130)와 제4자성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치부(310)와 대응되는 제2스위치부(320)는 제2자석(321), 제2자석(3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면접하도록 설치되는 제5자성체(150)와 제6자성체(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부(310) 및 제2스위치부(320) 각각에 포함되는 구성은 서로 대응되며, 제1스위치부(310)는 제1자성체(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스위치부(320)는 제1자성체(110)의 타측에 배치된다는 것이 차이가 있다.
제1스위치부(310) 및 제2스위치부(320) 각각은 제1자성체(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위치가 변동될 때, 자속경로가 변화하면서 자속의 방향이 변하고, 이에 따라 코일(200)에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의 동작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석(311)과 제2자석(321) 각각은 상측이 N극, 하측이 S극이며, 제1자석(311) 및 제2자석(321)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맞닿은 자성체는, 각각 N극과 S극이 된다.
도 7a은 정상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스위치부(3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3자성체(130)는 제2자성체(120)의 상단과 맞닿아 있고, 제1스위치부(3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4자성체(140)는 제1자성체(110)와 맞닿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스위치부(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5자성체(150)는 제2자성체(120)의 상단과 맞닿아 있고, 제2스위치부(3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6자성체(160)는 제1자성체(110)와 맞닿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자석(311)과 제2자석(321)에 의해 제1자성체(110)는 S극을 띄게 되고, 제2자성체(120)의 상부는 N극을 띄게 된다.
사용자가 제1스위치부(310)를 조작해 눌러 제1스위치부(310)가 하측으로 회동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부(3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3자성체(130)가 제1자성체(110)와 맞닿고, 하부에 위치하는 제4자성체(140)가 제2자성체(120)의 하부와 맞닿게 되며, 이에 따라 자속의 경로가 바뀌면서 코일(200)에 역기전력이 유도된다. 도 7b에 도시된 상태를 제1조작상태라고 한다. 제1조작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상상태에서 제1조작상태로 변경되면 제1자성체(110)는 좌측이 N극, 우측이 S극으로 변경되면서 자속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는 정상상태에 비해 자속의 경로가 변화하게 되므로 코일(200)에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역기전력이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가 정방향(제1조작상태)으로 동작했을 때 자속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제1조작상태는 상측으로 이동해 있는 제1스위치부(31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나, 이는 종래의 자가발전장치와 동일하다. 종래기술과의 차별화를 위해, 본 발명은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정상상태에서 제2스위치부(31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2스위치부(310)의 제5자성체(150)는 제1자성체(110)와 맞닿고, 제6자성체(160)는 제2자성체(120)의 하단과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제2조작상태라고 하며, 별도의 도면으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제2조작상태 또한 제1자성체(110)에서 자속의 방향이 변경되므로 역기전력이 발생하나, 제1조작상태와 제2조작상태는 각각에서 제1자성체(110)의 자속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제1조작상태와 제2조작상태 각각에서 유기되는 역기전력의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동작했을 때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그래프이다.
도 9a에 도시된 정방향 동작(제1조작상태)의 역기전력 그래프와, 도 9b에 도시된 역방향 동작(제2조작상태)의 역기전력 그래프는 서로 반대이며, 본 발명의 제어신호 송신부는 제1조작상태 및 제2조작상태 각각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구분해, 각각의 역기전력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해, 본 발명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에 적합한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해 송신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가 무선 전등시스템에 적용된다고 가정할 때, 제어신호 송신부는 제1조작상태의 경우 전등의 ON/OFF 제어신호를 생성해 전등의 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제2조작상태의 경우 전등의 조도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해 전등의 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한 탄성부는 제1스위치부(310) 및 제2스위치부(3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여, 정상상태에서 제1스위치부(310) 및 제2스위치부(320)가 도 7a에 도시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1조작상태 또는 제2조작상태 이후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없어졌을 때, 정상상태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탄성부는 용수철과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단은 제1스위치부(310) 및 제2스위치부(320)의 일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다른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 제1자성체
120 : 제2자성체
120a : 제1파트
120b : 제2파트
130 : 제3자성체
140 : 제4자성체
150 : 제5자성체
160 : 제6자성체
200 : 코일
310 : 제1스위치부
311 : 제1자석
320 : 제2스위치부
321 : 제2자석

Claims (7)

  1.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자성체(110);
    상기 제1자성체(110)의 가운데 부분에 감겨지는 코일(200);
    양측이 개구되고, 상기 제1자성체(110)의 양단이 개구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자성체(110)와 상기 코일(200)을 수용하는 제2자성체(120);
    제1자석(311), 상기 제1자석(311)의 양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3자성체(130)와 제4자성체(140)를 포함해, 상기 제1자성체(110)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스위치부(310); 및
    제2자석(321), 상기 제2자석(321)의 양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5자성체(150)와 제6자성체(160)를 포함해, 상기 제1자성체(110)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스위치부(3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부(310) 및 상기 제2스위치부(320)는 상기 제1자성체(110), 상기 제2자성체(120)와 맞닿아 자속경로를 형성하며, 사용자가 제1스위치부(310) 또는 상기 제2스위치부(320)를 조작하면 자속경로가 변경되어 상기 코일(200)에 역기전력이 형성되며,
    사용자로부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상기 제3자성체(130)는 상기 제2자성체(120)와 맞닿고, 상기 제4자성체(140)는 상기 제1자성체(110)와 맞닿으며, 상기 제5자성체(150)는 상기 제2자성체(120)와 맞닿고, 상기 제6자성체(160)는 상기 제1자성체(110)와 맞닿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3자성체(130)가 상기 제1자성체(110)와 맞닿고, 상기 제4자성체(140)가 상기 제2자성체(120)와 맞닿는 제1조작상태가 되거나, 상기 제5자성체(150)가 상기 제1자성체(110)와 맞닿고, 상기 제6자성체(160)가 상기 제2자성체(120)와 맞닿는 제2조작상태가 되면 역기전력이 발생하고,
    상기 코일(200)에 역기전력이 발생하면 제어신호를 생성해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조작상태 또는 상기 제2조작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방향은 서로 다르며,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1조작상태 또는 상기 제2조작상태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역기전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제어신호를 생성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부(310) 및 상기 제2스위치부(3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상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부(310) 및 상기 제2스위치부(320)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1조작상태 또는 상기 제2조작상태 이후 외력이 없어지는 정상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제1스위치부(310) 및 상기 제2스위치부(320)를 복귀시키는 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311) 및 상기 제2자석(321)의 자성의 방향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성체(120)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서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KR1020210066970A 2021-05-25 2021-05-25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KR102555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970A KR102555209B1 (ko) 2021-05-25 2021-05-25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970A KR102555209B1 (ko) 2021-05-25 2021-05-25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086A KR20220159086A (ko) 2022-12-02
KR102555209B1 true KR102555209B1 (ko) 2023-07-13

Family

ID=8441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970A KR102555209B1 (ko) 2021-05-25 2021-05-25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2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1984A1 (en) * 2003-04-07 2006-05-04 Enocean Gmbh Electromagnetic energy transducer
JP2015527865A (ja) 2012-12-14 2015-09-17 武漢領普科技有限公司 永久磁石発電装置
CN112217366A (zh) 2020-11-02 2021-01-12 常州工学院 一种两端双磁铁自发电装置及应用其的无线开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176A (ko) 2019-08-15 2019-08-26 박선우 새로운 발전 소자를 이용한 접촉식 무선 센서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1984A1 (en) * 2003-04-07 2006-05-04 Enocean Gmbh Electromagnetic energy transducer
JP2015527865A (ja) 2012-12-14 2015-09-17 武漢領普科技有限公司 永久磁石発電装置
CN112217366A (zh) 2020-11-02 2021-01-12 常州工学院 一种两端双磁铁自发电装置及应用其的无线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086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4523B2 (en) Power generation device
CA1208679A (en) Polarized electromagnet and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WO2009130188A3 (fr)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et dispositif de commande a retour haptique correspondant
JP6173422B2 (ja) ライン保護スイッチ
KR102555209B1 (ko) 2구 스위치 적용이 가능한 무전원 자가발전장치
KR20140054092A (ko) 조작 장치
WO2004006276A3 (en) Rf receiver switches
US7373036B2 (en) Switching device and method
WO2002071421A3 (de) Aktuator
US7262377B1 (en) Limit switch control device for an actuator
JP2002112518A (ja) 電磁式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回路しゃ断器のリモート操作装置
JP2013232416A (ja) 電気装置のためのスイッチ
US20130057368A1 (en) Printed circuit board embedded relay
DE60100200D1 (de) Elektromagnetische Betätigungsvorrichtung mit beweglicher Spule, insbesondere für ein Steuerventil, mit einem in der Spule eingebauten elastischen Element .
KR100344523B1 (ko) 알에프 스위치
US9721740B1 (en) Zero moment switch mechanism
US4521757A (en) High speed electromagnetic mechanical switch
JP3044851B2 (ja) 永久磁石を用いた双安定機構
KR200209360Y1 (ko) 알에프 스위치
JPH05290668A (ja) 起電スイッチ
JP3591881B2 (ja) 小型リレー
KR100872749B1 (ko) 전자기 스위치
JP2007018805A (ja) スイッチ装置
KR102508800B1 (ko) 직류 차단기
FI98967B (fi) Palautuva kyt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