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591B1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591B1
KR102554591B1 KR1020220115115A KR20220115115A KR102554591B1 KR 102554591 B1 KR102554591 B1 KR 102554591B1 KR 1020220115115 A KR1020220115115 A KR 1020220115115A KR 20220115115 A KR20220115115 A KR 20220115115A KR 102554591 B1 KR102554591 B1 KR 102554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yer
sheet
reinforc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수율
Original Assignee
건진개발 (주)
(주)경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진개발 (주), (주)경성기업 filed Critical 건진개발 (주)
Priority to KR102022011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2Phenols containing keto groups, e.g. benzophe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건물 외벽 균열부위 상에 하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하도층 상에 제1중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제1중도층 상에 섬유시트 양면에 연질합성수지시트가 합지된 보강시트를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보강시트 상에 제2중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중도층 상에 상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SHEET CRACK REINFORCEMENT AND NEUTRALIZATION PREVENTION PAINTING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이 된 지 5년에서 10년 정도 지난 저층의 노후화된 건물들은 주로 벽돌을 쌓아 건물이 지지가 되도록 하고, 내부 쪽으로 내단열을 선택적으로 한 다음 내부 미장이나 내장재로 마감을 하고, 외부 쪽으로 외단열을 선택적으로 한 다음 외장재로 외부 마감을 하였다.
이러한 노후화된 건물들은 대부분 건축 당시 외부 단열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은 관계로 외부단열방수에 취약하고, 외부 단열방수를 하였다 하더라도 노후화되어 단열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조적벽돌이나 타일이 외부로 드러나게 마감을 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르타르와 코킹재가 수축하여 줄눈부에 크랙 및 탈락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는 건물의 균열을 발생시켜 건물의 외부 단열방수 효과를 더욱 떨어지게 하며 내부에 결로가 생기거나 곰팡이가 번식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노후화된 건물을 재건축 또는 외벽을 보수, 보강하거나 리모델링을 하였을 경우 재건축은 건축비의 부담과 주차장 및 인도 및 도로의 확보와 재건축과 관련한 법규제 등으로 쉽지 않아 리모델링을 하거나 외벽만을 보수, 보강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건물의 리모델링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드라이비트 보수, 보강 시공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드라이비트 보수, 보강 시공방법은 조적벽돌 등으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건물 외벽의 바탕면을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샌딩 한 다음 상기 바탕 면에 드라이비트 단열판 또는 스티로폼을 부착하고 모르타르 등의 마감재를 이용하여 마감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드라이비트 보수, 보강 시공방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 중의 하나로는 모르타르 등을 이용하여 마감한 건물 외벽 벽면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균열은 건물의 외관을 크게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균열 사이사이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들어가 균열을 더욱 진행시켜 건물 외벽의 방수기능을 크게 저하시킬 염려가 있으며, 이렇게 진행된 균열들은 궁극적으로 단열보수를 위해 모르타르 내측에 시공된 드라이비트 단열판 및 스티로폼의 단열효과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아파트 외벽 균열 보수공사는 퍼터를 이용하여 틈새를 메우고 프라이머와 페인트를 도장하여 마무리하는
임시방편적인 단순 공법이 있으나, 추후에 하자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다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생기는 크랙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고, 아울러 크랙 보수재의 결합력 저하로 인한 들뜸 및 탈락현상을 방지하여 양호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마감재 조성물을 통해 형성된 도막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은,
(A) 건물 외벽 균열부위 상에 하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하도층 상에 제1중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제1중도층 상에 섬유시트 양면에 연질합성수지시트가 합지된 보강시트를 부착시키는 단계;
(D) 상기 보강시트 상에 제2중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중도층 상에 상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건물 외벽 균열부위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 외벽 균열부위에 프라이머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시트는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유리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및 나이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하도층은,
물 84 내지 94 중량부
2-Propenoic acid polymer with butyl 2-propenoate, ethenylbenzene 및 2-ethylhexyl 2-propenoate의 공중합체 9 내지 19 중량부 및
1,2-에테인다이올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도층은, 방청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청제는 인산계 방청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중도층 및 제2중도층 각각은
물 24 내지 34 중량부,
탄산 칼슘 43 내지 53 중량부,
플라자설퓨론 19 내지 29 중량부,
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의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수소탈황된 중질 나프타 (석유) 1 내지 10 중량부,
이산화 티타늄 1 내지 10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에테르 0.1 내지 4 중량부 및
벤조페논 0.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도층은,
물 24 내지 44 중량부,
이산화 티타늄 21 내지 31 중량부,
2-Methyl-2-propenoic acid polymer with 2-ethylhexyl 2-propenoate 및 methyl 2-methyl-2-propenoate의 공중합체 16 내지 26 중량부,
탄산 칼슘 14 내지 24 중량부,
Propanoic acid, 2-methyl- 및 monoester with 2,2,4-trimethyl-1,3-의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1,2-에테인다이올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수 및 보강 공법으로 외벽 균열 부분에 대해 확실한 방수처리를 할 수 있으며, 보수 공사 이후에도 재차 균열이 발생할 여지가 적으며, 균열의 위험성이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은 (A) 건물 외벽 균열부위 상에 하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하도층 상에 제1중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제1중도층 상에 섬유시트 양면에 연질합성수지시트가 합지된 보강시트를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보강시트 상에 제2중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중도층 상에 상도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은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건물 외벽 균열부위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 외벽 균열부위에 프라이머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보수하고자 하는 면에 있는 수분 및 먼지 등을 제거한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상에 보수를 실시하는 것으로 면을 깨끗하게 청소한 이후에 면 상 일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즉, 설치하는 균열 부위에만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머층은 우레탄 프라이머 또는, 아스팔트 프라이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탕면(콘크리트)과의 접착력 충진을 위하여 사용되고, 바탕면에 빠른 침투성과 접착력이 우수하고 가사 시간이 약 2시간으로 경화 건조되어 시트 시공 시 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라이머는 솔, 로울러,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포량은 균일하게 바탕면에 도포 하여야 하며, 도포 순서는 수직 부위를 먼저 도포한 후 바닥에 흘러내린 프라이머는 면 도포 시에 골고루 도포 되도록 시공한다.
일부 요철면 도포 시 프라이머가 고여 있으면 안 되므로 요철부를 평활하게 한 후 건조가 원활히 될 수 있도록 도포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 부위는 프라이머층의 설치 없이, 콘크리트 면에 하도층이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도층은 물 84 내지 94 중량부, 2-Propenoic acid polymer with butyl 2-propenoate, ethenylbenzene 및 2-ethylhexyl 2-propenoate의 공중합체 9 내지 19 중량부 및 1,2-에테인다이올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방청제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청제는 콘크리트가 탈락하여 철근이 노출된 경우, 철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방청제는 Sol-gel type의 액상 방청제로 구성될 있으며, Silane 구조와 유사하여, 도막 형성시 Siloxane 구조 형성으로 Sol-Gel 반응이 형성되어 Metal 소재와의 부착을 증진시 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형성된 구조는 Nonpolar network 로서 이온 투과를 막아서 방청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하도층은 고침투성하도를 구성될 수 있고, 외벽의 균열부위 내의 틈새를 메워주어 외벽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방수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하도층은 Rheology Controlled (RC) emulsion 합성방식에 따라 합성된 에멀젼으로, 일반적인 에멀젼 합성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아 내수성이 우수하여 워터 베리어 효과를 부여할 뿐 아니라, 에멀젼 입자경이 100nm 보다 작고, Newtonian Flow를 갖기 때문에 다른 에멀젼에 비해서 침투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제1중도층은 하도층을 덮도록, 하도층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백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중도층은 미세균열 보수 및 대균열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1중도층은 물 24 내지 34 중량부, 탄산 칼슘 43 내지 53 중량부, 플라자설퓨론 19 내지 29 중량부, 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의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수소탈황된 중질 나프타 (석유) 1 내지 10 중량부, 이산화 티타늄 1 내지 10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에테르 0.1 내지 4 중량부 및 벤조페논 0.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 칼슘 43 내지 53 중량부, 무기질 충전재로 기능할 수 있으며, 도막의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고 내열성, 내화성, 은폐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플라자설퓨론 19 내지 29 중량부는 제1중도층에서 식물이 성장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수소탈황된 중질 나프타 (석유) 1 내지 10 중량부는 소포제로 기능하며, 소포제는 제1중도층 내의 거대 기공을 제거하여 제1중도층의 강도와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성분으로, 일반적으로 휘발성이 적고 확산력이 큰 기름상의 물질 또는 수용성이 계면활성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산화 티타늄 1 내지 10 중량부는 티타니아 파우더라고도 하며, 은폐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어 일반적으로 수성 도료로 사용된다. 이산화티타늄 첨가에 따라 도막 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에테르 0.1 내지 4 중량부는 증점제로 기능하며, 증점제는 제1중도층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보강시트는 제1중도층 상에 배치되며, 섬유시트 양면에 연질합성수지시트가 합지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신축성을 갖으며, 외벽의 굴곡 균열 부위에도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건물 외벽의 균열부위와 저항성을 높여줄 수 있다.
섬유시트는 보강시트의 조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유리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좋게는 폴리염화비닐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유연성이 우수하며, 보강시트의 조직력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중량이 60 ~ 100 g/㎡, 격자간격이 0.1 ~ 1 Х 0.1 ~ 1 ㎜인 섬유망사시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연질합성수지시트는 유연성, 신축성 및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 저밀도폴리에틸렌 및 실리콘계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을 사용하는 것이 유연성이 우수하고, 외부 조건에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좋다.
보강시트 두께가 0.05 ~ 1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연성이 우수하여 외벽의 굴곡 균열 부위에도 보수가 가능하므로 범위의 두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시트는 인장강도가 50 ~ 100 ㎏/5㎝, 인열강도 10 ~ 30 ㎏이며, 섬유시트와 연질합성수지시트의 접착력 1 ~ 10 ㎏/5㎝인 것을 만족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외부조건에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외벽의 균열 부위 상에 방수재료를 도포하고, 보강시트의 일면을 하도층 및 제1중도층이 도포된 외벽의 균열 부위 상에 부착한 후 자연건조 또는 50 ~ 100
Figure 112022095786452-pat00001
로 가열하여 1 ~ 2시간 건조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2중도층은 보강시트를 덮도록, 보강시트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미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중도층은 미세균열 보수 및 대균열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2중도층은 물 24 내지 34 중량부, 탄산 칼슘 43 내지 53 중량부, 플라자설퓨론 19 내지 29 중량부, 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의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수소탈황된 중질 나프타 (석유) 1 내지 10 중량부, 이산화 티타늄 1 내지 10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에테르 0.1 내지 4 중량부 및 벤조페논 0.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 칼슘 43 내지 53 중량부는 무기질 충전재로 기능할 수 있으며, 도막의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고 내열성, 내화성, 은폐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플라자설퓨론 19 내지 29 중량부는 제2중도층에서 식물이 성장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수소탈황된 중질 나프타 (석유) 1 내지 10 중량부는 소포제로 기능하며, 소포제는 제2중도층 내의 거대 기공을 제거하여 제2중도층의 강도와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성분으로, 일반적으로 휘발성이 적고 확산력이 큰 기름상의 물질 또는 수용성이 계면활성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산화 티타늄 1 내지 10 중량부는 티타니아 파우더라고도 하며, 은폐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어 일반적으로 수성 도료로 사용된다. 이산화티타늄 첨가에 따라 도막 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에테르 0.1 내지 4 중량부는 증점제로 기능하며, 증점제는 제2중도층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도층은 제2중도층를 덮도록, 제2중도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도층은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발수, 방수, 고내후성 기능성 도료로 기능할 수 있다.
상도층은, 물 24 내지 44 중량부, 이산화 티타늄 21 내지 31 중량부, 2-Methyl-2-propenoic acid polymer with 2-ethylhexyl 2-propenoate 및 methyl 2-methyl-2-propenoate의 공중합체 16 내지 26 중량부, 탄산 칼슘 14 내지 24 중량부,
Propanoic acid, 2-methyl- 및 monoester with 2,2,4-trimethyl-1,3-의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1,2-에테인다이올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 티타늄 21 내지 31 중량부는 무기질 충전재로 기능할 수 있으며, 도막의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고 내열성, 내화성, 은폐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은폐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어 일반적으로 수성 도료로 사용된다. 이산화티타늄 첨가에 따라 도막 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탄산 칼슘 14 내지 24 중량부는 무기질 충전재로 기능할 수 있으며, 도막의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고 내열성, 내화성, 은폐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에 따른 보강층은 제1중도층, 보강시트 및 제2중도층을 3개의 층으로 포함함으로써, 제1중도층과 제2중도층을 가지는 보강층 또는 제1중도층만 가지는 보강층에 비해, 균열을 효율적으로 메꾸며, 균열이 전파되는 것을 억제하는 점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은,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 중 크랙(crack)이 생긴 부분을 일정한 깊이로 파내어 V홈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V홈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홈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고정홈에 로드를 삽입하는 단계; 4)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홈 각각에 삽입된 상기 로드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 및 5) 상기 V홈 내에 하도층을 메워서 채우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 중 크랙(crack)이 생긴 부분을 일정한 깊이로 파내어 V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W) 중 크랙(C)이 생긴 부분을 일정한 깊이로 파내어 V홈(10)을 형성한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전동드릴(D)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외벽(W) 중 크랙(C)이 생긴 부분의 주위를 브이 컷팅(V-CUTTING) 방식으로 파내어 V자 모양의 홈을 형성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W)에 비산방지장치(미도시)를 밀착시킨 상태로 V홈(10)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파편과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V홈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V홈(10) 내의 양쪽에 사선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구멍을 내어 복수개의 고정홈(20)을 형성한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전동드릴(D)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V홈(10)의 서로 대향하는 양쪽 내벽에 비스듬히 고정홈(20)을 적어도 2개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홈(20)은 내측의 골이 중력 방향에서 상부를 향하며, 고정홈(20)은 V홈(10)의 중심(CL)에서 외측으로 상방 경사(θ)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W)에 비산방지장치를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홈(20)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파편과 먼지, 시멘트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단계에서는, V홈(10)과 고정홈(20) 내에 잔존하는 콘크리트 파편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한다.
즉, V홈(10)과 고정홈(20)의 내부를 브러시로 쓸어 내거나 고압수, 압축공기 등을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 및 깨끗하게 청소한다.
또한, (2)단계에서는, 고정홈(20)의 내측 단부(골)(40)의 직경을 확장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홈(20)의 내측 단부(골)에 소형 폭약(30)을 설치한 후, 이를 폭발하여 고정홈(20)의 내측 단부(골)(40)의 직경을 확장할 수 있다.
이후, 도 13를 참조하면, 직경이 확장된 고정홈(20)의 내측 단부(골) (40)에 접착부재(50)를 삽입할 수 있다.
접착부재(50)는 에폭시 등의 액상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홈(20)의 내측 단부(골)(40)의 직경을 확장하여 접착부재(5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후술할 로드가 삽입될 시 접착부재(50)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도 14를 참조하면, (3) 고정홈에 로드를 삽입하는 단계에서는, 로드(61)의 일단이 고정홈(20)의 내측 단부(골)에서 접착부재(50) 닿을때까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로드(61)는 고정홈(20)의 형상과 같이, 로드(61)의 일단이 중력 방향에서 상부를 향하며, 로드(61)는 V홈(10)의 중심(CL)에서 외측으로 상방 경사(θ)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로드(61)의 타단은 V홈(10)의 중심(CL)을 향하며, 내측으로 하방 경사(θ)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로드(61)는 경질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에 로드(61)에 가해지는 하향력을 견딜수 있어야 한다.
(4)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홈 각각에 삽입된 로드를 상호 체결하는 단계에서는, V홈(10)의 중심(CL) 측으로 방향 경사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로드(61, 6(2)의 타단을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로드(61, 6(2)는 체결부재(63)를 통해 타단이 함께 체결될 수 있으며, V홈(10)의 중심(CL)에서 외측으로는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호 체결된 로드(61, 6(2)는 하부로 하향력(F)을 가질 수 있다.
이후, 도 17을 참조하면, E) V홈 내에 하도층을 메워서 채우는 단계에서는, V홈(10) 내에 하도층(70)을 메워서 채운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하도층(70)을 V홈(10) 내에 저압 또는 고압으로 주입하여 완전히 충전하고 자연건조하여 충분히 경화시킨다.
그리고 하도층(70)의 경화 이후에는 외벽(W)과 평평한 면을 가질 수 있게 마감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끌이나 그라인더 등의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러프한 부분은 평탄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 체결된 로드(61, 6(2)는 하부로 하향력(F)을 가지게 됨으로써, 하도층이 V홈(10)에서 경화되면, 하도층을 내벽에 단단히 밀착되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하도층(70)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물 84 내지 94 중량부, 2-Propenoic acid polymer with butyl 2-propenoate, ethenylbenzene 및 2-ethylhexyl 2-propenoate의 공중합체 9 내지 19 중량부 및 1,2-에테인다이올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방청제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하도층(70)은 고부착성 및 고탄성, 우수한 보수성, 내후성, 내화학성, 유연성 등으로 인해 기후나 온도 변화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고, 아울러 도막을 형성하여 크랙 부분으로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하도층의 주입 전에 메쉬형 그물망을 V홈(10) 내에 덧댐으로써 하도층(70)의 강도를 더욱 강화하고 움직임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도층의 주입 전에 프라이머를 V홈(10) 내에 코팅함으로써 하도층(7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은 보수 부분의 접착성 저하로 인한 하도층(70)의 들뜸 및 탈락현상이 없어 크랙 보수 후 재크랙이 재발생하지 않아 1회 시공으로 반영구적인 보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벽(W)의 크랙 부분이 확대되지 않아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연한을 늘릴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은 아파트, 주택, 공장의 외벽, 창틀 등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A) 건물 외벽 균열부위 상에 하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하도층 상에 제1중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제1중도층 상에 섬유시트 양면에 연질합성수지시트가 합지된 보강시트를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보강시트 상에 제2중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중도층 상에 상도층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도층은 물 84 내지 94 중량부,
    2-Propenoic acid polymer with butyl 2-propenoate, ethenylbenzene 및 2-ethylhexyl 2-propenoate의 공중합체 9 내지 19 중량부 및
    1,2-에테인다이올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건물 외벽 균열부위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 외벽 균열부위에 프라이머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시트는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유리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및 나이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은,
    방청제를 더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제는 인산계 방청제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도층 및 제2중도층 각각은
    물 24 내지 34 중량부,
    탄산 칼슘 43 내지 53 중량부,
    플라자설퓨론 19 내지 29 중량부,
    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2-hydroxyethyl methacrylate의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수소탈황된 중질 나프타 (석유) 1 내지 10 중량부,
    이산화 티타늄 1 내지 10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에테르 0.1 내지 4 중량부 및
    벤조페논 0.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층은,
    물 24 내지 44 중량부,
    이산화 티타늄 21 내지 31 중량부,
    2-Methyl-2-propenoic acid polymer with 2-ethylhexyl 2-propenoate 및 methyl 2-methyl-2-propenoate의 공중합체 16 내지 26 중량부,
    탄산 칼슘 14 내지 24 중량부,
    Propanoic acid, 2-methyl- 및 monoester with 2,2,4-trimethyl-1,3-의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1,2-에테인다이올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KR1020220115115A 2022-09-13 2022-09-1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KR102554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15A KR102554591B1 (ko) 2022-09-13 2022-09-1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15A KR102554591B1 (ko) 2022-09-13 2022-09-1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591B1 true KR102554591B1 (ko) 2023-07-13

Family

ID=8716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115A KR102554591B1 (ko) 2022-09-13 2022-09-1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5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017B1 (ko) * 2014-03-21 2014-12-02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건물 외벽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2344283B1 (ko) * 2021-07-13 2021-12-30 (주)리콘 교량 구조물 표면 보수 보강용 도장 시공 방법
KR20220006727A (ko) * 2020-07-09 2022-01-18 (주)썬앤문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017B1 (ko) * 2014-03-21 2014-12-02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건물 외벽 보수 및 보강 공법
KR20220006727A (ko) * 2020-07-09 2022-01-18 (주)썬앤문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KR102344283B1 (ko) * 2021-07-13 2021-12-30 (주)리콘 교량 구조물 표면 보수 보강용 도장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12261A (zh) 严寒大风地区聚苯乙烯板薄抹面外墙保温施工方法
Chew Maintainability of Facilities: Green FM for Building Professionals Second Edition
CN106801517A (zh) 一种预制多孔板砖混合结构的校舍体外加固加强方法
Lin Maintainability of facilities: for building professionals
KR101468017B1 (ko) 건물 외벽 보수 및 보강 공법
CN110273490A (zh) 一种内嵌式轻质墙板钢结构建筑构造及施工方法
CN110093825A (zh) 一种道路修复施工工艺
CN104695706B (zh) Aac砌块自由加载墙施工工法
KR100906565B1 (ko) 타일이 부착된 구조물의 리모델링 공법
CN107761968A (zh) 外墙内保温砂浆交接部位施工方法
KR101134498B1 (ko) 친환경 주차장 바닥재 시공방법
KR101564722B1 (ko) 외단열 방수 복합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554591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트균열보강 및 중성화방지 도장 공법
KR102076259B1 (ko) 콘크리트 건물의 박락 부위 또는 균열 부위 보수용 보수유닛 및 그 보수유닛을 이용한 박락 부위 또는 균열 부위 보수방법
KR19990084102A (ko) 스프레이공법을 이용한 폴리머시멘트 모르터 단면수복보수공법
KR102351177B1 (ko) 단면보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E2702330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astischen fugenlosen beschichtung
KR100412783B1 (ko) 스프레이 공법을 이용한 폴리머 모르터 단면수복 보수공법
CN109487951B (zh) 一种蒙古包墙板的安装方法
KR20120077760A (ko) 건축물의 방수 시공 방법
CN112127752A (zh) 外齐式外窗安装防渗漏施工工艺
CN204510524U (zh) 一种蒸压砂加气混凝土砌块组合砌筑墙体
KR101759316B1 (ko) 저수조의 내부보강방법
RU2242571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и заделки межпанельных швов, а также узел заделки шва межпанельного стыка стены
JP4726437B2 (ja) 基礎コンクリートの改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