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394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394B1
KR102554394B1 KR1020170175099A KR20170175099A KR102554394B1 KR 102554394 B1 KR102554394 B1 KR 102554394B1 KR 1020170175099 A KR1020170175099 A KR 1020170175099A KR 20170175099 A KR20170175099 A KR 20170175099A KR 102554394 B1 KR102554394 B1 KR 10255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cover
stator
area portion
reinforc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877A (ko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3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과 접촉하는 터미널;및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부는 상기 로터 및 스테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부는 커넥터 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제 1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제1 영역부와 상기 제2 영역부에 걸쳐 상기 커버에 결합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스테이터에는 코일이 감긴다. 스테이터에 감긴 코일의 연결단은 버스바와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는 몸체와 터미널을 포함한다. 터미널은 코일의 연결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터미널은 케이블을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어러한 모터는 차량의 변속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모터를 덮는 커버가 포함될 수 있다 커버에는 외부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는 커넥터와 커넥터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모터가 위치하는 공간과 커넥터 하우징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판형 소재일 수 있다. 이때, 커버 중 커넥터 하우징이 사출 성형되는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사출물의 양이 크기 때문에, 커버의 다른 영역에서 뒤틀림이나 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의 커버에서, 성형 시 발생하는 휨 현상이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과 접촉하는 터미널 및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부는 상기 로터 및 스테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부는 커넥터 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제 1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제1 영역부와 상기 제2 영역부에 걸쳐 상기 커버에 결합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배치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영역부와 상기 제2 영역부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리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제1 영역부와 상기 제2 영역부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는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영역부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1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몸체에서 분기되어 배치되며, 상기 리브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꺽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은 상기 몸체에서 분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은 상기 몸체에서 분기되는 접속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핀은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의 커버에서 발생하는 휨 또는 뒤틀림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제1 보강부를 구비한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 1 보강부와 제2 보강부와 리브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리브에 포함된 제2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와, 로터(200)와, 스테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200)와 스테이터(300)는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전기적 상호 작용이 유발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가 회전한다. 샤프트(100)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 Dual-clutch Transmission)과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은, 종래의 수동 트랜스미션 차량에 탑재되는 단판 클러치 트랜스미션과는 달리 2조의 클러치를 탑재하고 있어서, 하나의 클러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1, 3, 5단을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클러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2, 4, 6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은 샤프트(10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은, 종래의 자동 트랜스미션 차량과 같은 편리한 운전성 및 부드러운 변속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종래의 수동 트랜스미션 차량보다 높은 연비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스테이터(300)는 복수 개의 티스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는 환형의 요크 부분이 마련되고, 요크에서 중심방향으로 코일이 감기는 티스가 마련될 수 있다. 티스는 요크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상호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슐레이터(400)는 스테이터(300)의 티스에 설치될 수 있다.
코일(500)은 인슐레이터(400)에 감긴다. 코일(500)은 로터(2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회로기판(600)은 스테이터(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회로기판(600)에는 제어모듈이나 자속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커버(700)는 회로기판(6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커버(700)는 도 1의 x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판형 부재일 수 있다. 커버(700)의 하측에는 로터(200)와 스테이터(300)를 수용하는 하우징(미도시)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700)의 상측에는 외부 어플리케이션의 하우징(미도시)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700)는 커넥터 하우징(72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700)는, 커버(700)의 길이 방향(도 1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커넥터 하우징(721)의 위치에 따라 제1 영역부(710)와 제2 영역부(720)로 구분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721)이 배치된 부분이 제2 영역부(720)이고, 그렇지 않은 부분이 제1 영역부(710)로 정의한다. 제1 영역부(710)의 하측에는 로터(200)와 스테이터(300)가 배치되고, 제2 영역부(720)의 상측에는 커넥터 하우징(721)이 배치된다.
도 1의 L과 같이, 커넥터 하우징(721)의 후단을 경계로 하여, 일측이 제1 영역부(710)이고, 타측이 제2 영역부(720)이다. 커넥터 하우징(721)의 내부에는 커넥터(10)가 배치된다. 커넥터(10)는 회로기판(6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721)의 전면은 개방된다. 커넥터 하우징(721)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외부 커넥터가 삽입되어 커넥터(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721)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체적이 요구된다. 커넥터 하우징(721)은 높이 방향(도 1의 z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따라서, 커버(700)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제1 영역부(710)보다 커넥터 하우징(721)이 포함된 제2 영역부(720)측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사출물이 투입된다. 그 결과, 제1 영역부(710)와 제2 영역부(720)의 연결부위에서, 휨이나 뒤틀림과 같은 변형(warpage)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이러한 변형을 물리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제1 보강부(도 3의 820)와, 제2 보강부(900)와, 리브(730)를 포함한다.
도 3은 제1 보강부를 구비한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700)의 제1 영역부(710)에는 제1 홀(711)이 배치된다. 샤프트(100)가 제1 홀(711)을 관통한다. 제1 홀(711)의 둘레를 따라 3개의 제2 홀(7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712)에 인접하여 터미널(800)이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800)은 회로기판(600)과 스테이터(300)에 감긴 코일(500)을 연결한다.
이러한 터미널은(800)은 몸체(810)와, 제1 보강부(820)와, 연결부(830)와, 접속핀(84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810)와, 제1 보강부(820)와, 연결부(830)와, 접속핀(840)은 기능상 구분되어 설명될 뿐,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몸체(810)는 제2 홀(712)에 인접하여, 커버(7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강부(820)는 몸체(810)에서 분기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보강부(820)는 커버(700)의 테두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보강부(820)는 커버(7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영역부(710)와 제2 영역부(720)를 걸쳐 배치된다. 이때, 제1 보강부(820)는 커버(700)의 내측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부(820)는 제1 영역부(710)와 제2 영역부(720)를 연결하여, 구조적으로 보강하기 때문에, 제1 영역부(7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휨이나 뒤틀림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830)는 몸체(810)에서 하향하여 분기된 형태일 수 있다. 연결부(830)는 제2 홀(712)을 관통하여 커버(70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커버(700)의 상측으로 노출된 연결부(830)의 끝단은 스테이터(300)에 감긴 코일(500)과 연결된 터미널 단자와 퓨징되어 결합된다.
접속핀(840)은 몸체(810)의 상측에서 돌출된다. 접속핀(840)은 커버(70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속핀(840)은 회로기판(600)에 삽입되어, 터미널(800)과 회로기판(600)을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터미널(800)은 스테이터(300)에 감긴 코일(500)과 회로기판(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커버(700)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제 1 보강부와 제2 보강부와 리브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리브에 포함된 제2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영역부(7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브(730)가 마련된다. 리브(730)의 커버(70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돌출된 형태이며, 커버(700)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730)는 커버(7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영역부(710)와 제2 영역부(720)를 걸쳐 배치된다. 리브(730)는 커버(700)에 작용하는 휨이나 뒤틀림에 대해서 구조적으로 저항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보강부(900)는 리브(7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부(900)는 바(bar) 형상의 금속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강부(900)는 커버(7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영역부(710)와 제2 영역부(720)를 걸쳐 배치된다. 제2 보강부(900)는 제1 보강부(820)와 리브(730)와 아울러 제1 제1 영역부(710)와 제2 영역부(720)를 구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커버(700)에 작용하는 휨이나 뒤틀림에 대해서 구조적으로 저항성을 추가적으로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보강부(900) 또는 리브(730)와 평행하도록, 제1 보강부(820)가 꺽여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보강부(820)는 리브(73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는, 커버(700)에 작용하는 휨이나 뒤틀림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크게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샤프트
200: 로터
300: 스테이터
400: 인슐레이터
500: 코일
600: 회로기판
700: 커버
710: 제1 영역부
711: 제1 홀
712: 제2 홀
720: 제2 영역부
721: 커넥터 하우징
730: 리브
800: 터미널
810: 몸체
820: 제1 보강부
830: 연결부
840: 접속핀
900: 제2 보강부

Claims (9)

  1.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과 접촉하는 터미널;및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부는 상기 로터 및 스테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부는 커넥터 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제 1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제1 영역부와 상기 제2 영역부에 걸쳐 상기 커버에 결합하는 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배치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1 영역부와 상기 제2 영역부에 걸쳐 배치되는 모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리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제1 영역부와 상기 제2 영역부에 걸쳐 배치되는 모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는 나란히 배치되는 모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부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1 홀을 포함하는 모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몸체에서 분기되어 배치되며, 상기 리브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꺽여 배치되는 모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몸체에서 분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모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몸체에서 분기되는 접속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핀은 회로기판에 결합하는 모터.
KR1020170175099A 2017-12-19 2017-12-19 모터 KR10255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99A KR102554394B1 (ko) 2017-12-19 2017-12-19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99A KR102554394B1 (ko) 2017-12-19 2017-12-19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77A KR20190073877A (ko) 2019-06-27
KR102554394B1 true KR102554394B1 (ko) 2023-07-11

Family

ID=6705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099A KR102554394B1 (ko) 2017-12-19 2017-12-19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3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612B1 (ko) 2013-01-23 2014-04-30 뉴모텍(주) 모터의 센서 커버
WO2017033917A1 (ja) 2015-08-27 2017-03-0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977A (ja) * 1991-04-08 1993-04-16 Ebara Corp ガリウムヒ素ウエハの洗浄方法及び装置
KR101092195B1 (ko) * 2009-12-30 2011-12-13 계양전기 주식회사 브러시리스 모터의 하우징
KR102455644B1 (ko) * 2015-10-19 2022-10-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636265B1 (ko) * 2016-01-19 2024-02-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버스바 조립체,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612B1 (ko) 2013-01-23 2014-04-30 뉴모텍(주) 모터의 센서 커버
WO2017033917A1 (ja) 2015-08-27 2017-03-0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77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4150B2 (en) Cable connector
CN105633869A (zh) 平面排布体组件
EP3246666A1 (en) Sensor unit and magnetism collecting module and sensor apparatus
KR10234592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3168315A (ja) ターミナル成形体、モータユニット、ワイパーモータ装置、及びカバー製造方法
CN111699616A (zh) 马达
US9343889B2 (en) Electric wire fixing device
JP2012028011A (ja) カバー付コネクタ
KR102554394B1 (ko) 모터
WO2014103469A1 (ja) 車輪速センサ及び車輪速センサ製造方法
CN103580343B (zh) 电机
CN103887747B (zh) 电接线箱
JP4434885B2 (ja) モータ
JP6244184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EP2600471A1 (en) Terminal cable assembly having water proof structure
WO2015012065A1 (ja) コネクタ
CN205283511U (zh) 电子结构单元
US20200256095A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having an antenna
JP6204163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KR102517687B1 (ko) 모터 및 모터의 제조방법
CN205724185U (zh) 电子卡连接装置
JP4733527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と回路基板との接続構造
CN204024894U (zh) 发动机组件及其挠性盘组件
JP2015108553A (ja) 電流検出装置
CN103812064A (zh) 电气接线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