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770B1 -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770B1
KR102553770B1 KR1020220178836A KR20220178836A KR102553770B1 KR 102553770 B1 KR102553770 B1 KR 102553770B1 KR 1020220178836 A KR1020220178836 A KR 1020220178836A KR 20220178836 A KR20220178836 A KR 20220178836A KR 102553770 B1 KR102553770 B1 KR 102553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ylinder
height adjustment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요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투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투윈
Priority to KR102022017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와 브레이크의 원리를 융합함으로써, 차고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한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차고 높이 조절을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차고 조절 실린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height adjustabl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쇽업소버와 브레이크의 원리를 융합함으로써, 차고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한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쇽업소버는 자동차가 주행 중일 때 자동차 스프링과의 반작용에 의하여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 진정 시켜주고 자동차의 코너링 시에는 스프링의 과로한 동작을 억제 시킴으로서 자동차의 안정성과 승차감은 유지시키고 있으나 자동차의 승차감과 고속 안정성은 서로 반비례하는 역학 관계에 있는 바 이는 고속 주행용 경주용차량과 일반 세단형 승용차를 비교하면 알 수 있으며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 시키면 고속 안전성이 떨어지고 차량의 고속 안전성을 향상시키면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쇽업소버는, 화물차량에 대한 운송품 적재 시 자동차 차량의 높이가 주저 앉는 문제로 쇽업소버의 스트로크(움직임)이 줄어들어 승차감과 안정성에 큰 손해를 끼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82147호 (1998.11.25.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쇽업소버와 브레이크의 원리를 융합함으로써, 차고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한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는, 차고 높이 조절을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차고 조절 실린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는,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로 공급되기 위한 오일을 저장해 두는 유체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저장 탱크는,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로 공급되기 위한 오일을 저장해 두는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의 내부 공간에서 오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오일 탱크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압 피스톤; 및 상기 오일 탱크의 하부에 나사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오일 탱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단으로 상기 유압 피스톤을 지지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오일 탱크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면서 상기 유압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켜 주는 피스톤 조절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는, 상기 피스톤 조절 볼트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볼트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 구동부는, 상기 오일 탱크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피스톤 조절 볼트의 하부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조절 볼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토크 모터 잭; 및 상기 토크 모터 잭의 구동을 제어하는 토크 모터 ECU;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 구동부는,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되며, 상기 토크 모터 ECU로 상기 토크 모터 잭의 구동을 요청하는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 구동부는, 상기 토크 모터 ECU의 제어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차량 운행자의 개인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개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요청을 상기 토크 모터 ECU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는,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를 거치하기 위한 실린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 거치대는, 차량에 고정 설치되는 거치대 하우징;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실린더 거치홈; 및 상기 실린더 거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거치홈에 안착되는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의 외측을 따라 밀착 안착되며,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부는, 상기 실린더 거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유닛 설치홈; 상기 유닛 설치홈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거치대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보조홈; 상기 유닛 설치홈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거치대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보조홈; 상기 유닛 설치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유닛 설치홈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유닛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전단으로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의 외측에 밀착 안착되어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지지 유닛; 상기 제1 보조홈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보조홈으로부터 노출되는 단부로 상기 지지 유닛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유닛 지지 탄성체; 및 상기 제2 보조홈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보조홈으로부터 노출되는 단부로 상기 지지 유닛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유닛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유닛 설치홈의 곡률에 둥글게 절곡된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닛 설치홈에 안착되는 곡선형 블록; 상기 유닛 설치홈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상기 유닛 설치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유닛 설치홈으로부터 상기 곡선형 블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곡선형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 돌기;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와 대향하는 상기 곡선형 블록의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곡선형 블록의 내측에 형성되는 커버 안착홈; 상기 커버 안착홈의 개구부를 덮고 상기 곡선형 블록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에 밀착 안착되는 밀착 커버; 상기 커버 안착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밀착 커버의 일측 후단을 지지하는 제1 커버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커버 안착홈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밀착 커버의 타측 후단을 지지하는 제2 커버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커버는,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의 외측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곡선형 플레이트; 상기 커버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어 상기 제1 커버 지지 스프링과 상기 제2 커버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곡선형 플레이트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삽입 블록; 및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의 외측에 밀착되는 상기 곡선형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커버 안착홈에서 상기 제1 커버 지지 스프링과 상기 제2 커버 지지 스프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밀착 커버의 중단을 지지하며, 상기 삽입 블록이 상기 커버 안착홈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실린더; 상기 유닛 설치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곡선형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닛 지지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신장되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유닛 설치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상기 곡선형 블록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닛 지지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신장되는 제3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쇽업소버와 브레이크의 원리를 융합함으로써, 차고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쇽업소버의 구동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에 의한 구동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실린더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6의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10)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1, 100-2)를 포함한다.
차고 조절 실린더(100-1, 100-2)는, 차고 높이 조절을 위해 차량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10)는, 유체 저장 탱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저장 탱크(200)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 공급되기 위한 오일을 저장해 둔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저장 탱크(200)는, 오일 탱크(210), 유압 피스톤(220) 및 피스톤 조절 볼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 탱크(210)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 공급되기 위한 오일을 저장해 둔다.
유압 피스톤(220)은, 오일 탱크(210)의 내부 공간에서 오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오일 탱크(210)의 내측에 설치된다.
피스톤 조절 볼트(230)는, 오일 탱크(210)의 하부에 나사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오일 탱크(2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단으로 유압 피스톤(220)을 지지하며, 후술하는 볼트 구동부(300)에 의해 또는 사용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오일 탱크(21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면서 유압 피스톤(220)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10)는, 볼트 구동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트 구동부(300)는, 피스톤 조절 볼트(230)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볼트 구동부(300)는, 토크 모터 잭(310) 및 토크 모터 ECU(320)를 포함한다.
토크 모터 잭(310)은, 오일 탱크(210)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피스톤 조절 볼트(230)의 하부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토크 모터 ECU(320)의 구동 제어에 의해 피스톤 조절 볼트(2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토크 모터 ECU(320)는, 토크 모터 잭(3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볼트 구동부(300)는, 구동 스위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스위치는,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되며, 토크 모터 ECU(320)로 토크 모터 잭(310)의 구동을 요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볼트 구동부(300)는, 통신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토크 모터 ECU(320)의 제어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차량 운행자의 개인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개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요청을 토크 모터 ECU(320)로 전달한다.
여기서, 개인 단말기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10)는, 쇽업소버와 브레이크의 원리를 융합한 구조로써 메인 랭크인 유체 저장 탱크(200)와 서브 탱크에 해당하는 두 개의 차고 조절 실린더(100-1, 100-2)로 이루어진다.
유체 저장 탱크(200)에서 주사기와 같이 유압피스톤을 밀어내면 좁은 통로에서 구경이 큰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 오일이 통과하며 큰 힘이 작동하게 되고 그러한 힘으로 차량을 들어올린다.
또한, 스프링이 작동할 때에 유압 피스톤(220)이 피스톤 조절 볼트(230)의 볼트 고정으로 위치가 변하지 않아 스프링의 움직임을 제외하고 차 높이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일반 자동차에서도 이와 같은 원리로 차고 높이의 변화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트레일러, 카라반, 보트 등의 적재 시 주저 앉는 현상을 방지하고 편안하고 안정된 승차강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10)에 의한 유압피스톤 작동 방식은 두가지로 경제적인 사용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수동방식과 볼트 구동부(300)를 이용한 지능형 오토방식 두가지가 있다.
먼저, 수동방식은 정비소에서 임펙트 공구를 사용하여 개발품을 작동시키는 방식으로서, 피스톤 조절 볼트(230를 조아주면 차고가 올라가고 피스톤 조절 볼트(230를 풀어주면 차고는 내려갈 수 있다. 이에 의할 경우, 볼트의 고정 위치에 따라서 미세한 차고 조정이 가능하다.
반면, 지능형 오토방식은, 토크모터를 연계하여 실내 센터페시아 쪽으로 스위치를 사용하여 편안한 작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설치가 간편한 고급 오토방식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블루투스로 모터를 조작하여 이용자가 편안하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10)는, 분리형 구조로 수리가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20)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 및 실린더 거치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고 조절 실린더(100) 및 기타 구성들은, 도 2 등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린더 거치대(400)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고 조절 실린더(100)를 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20)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를 차량(P)에 안정적으로 설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량(P)으로부터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차고 조절 실린더(100)의 파손 등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실린더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린더 거치대(400)는, 거치대 하우징(410), 실린더 거치홈(420) 및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거치대 하우징(410)은, 차량(P)에 고정 설치되며, 실린더 거치홈(420) 및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43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실린더 거치홈(420)은, 차고 조절 실린더(10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거치대 하우징(410)의 상부에 형성된다.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430)는, 실린더 거치홈(42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실린더 거치홈(420)에 안착되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의 외측을 따라 밀착 안착되며, 차고 조절 실린더(1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린더 거치대(400)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뿐만 아니라, 차량(P)으로부터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완충 지지부(430)는, 유닛 설치홈(431), 제1 보조홈(432), 제2 보조홈(433), 지지 유닛(500), 제1 유닛 지지 탄성체(434) 및 제2 유닛 지지 탄성체(435)를 포함한다.
유닛 설치홈(431)은, 실린더 거치홈(42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제1 보조홈(432), 제2 보조홈(433), 지지 유닛(500), 제1 유닛 지지 탄성체(434) 및 제2 유닛 지지 탄성체(43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보조홈(432)은, 제1 유닛 지지 탄성체(434)가 설치될 수 있도록 유닛 설치홈(431)의 일측으로부터 거치대 하우징(41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보조홈(433)은, 제2 유닛 지지 탄성체(435)가 설치될 수 있도록 유닛 설치홈(431)의 타측으로부터 거치대 하우징(41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 유닛(500)은, 제1 유닛 지지 탄성체(434) 및 제2 유닛 지지 탄성체(435)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이 지지되어 유닛 설치홈(4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유닛 설치홈(431)에 연결 설치되며, 유닛 설치홈(431)으로부터 노출되는 전단으로 차고 조절 실린더(100)의 외측에 밀착 안착되어 차고 조절 실린더(1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제1 유닛 지지 탄성체(434)는, 제1 보조홈(432)에 설치되며, 제1 보조홈(432)으로부터 노출되는 단부로 지지 유닛(500)의 일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유닛(500)으로부터 전달되는 좌우 수평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유닛 지지 탄성체(435)는, 제2 보조홈에 설치되며, 제2 보조홈으로부터 노출되는 단부로 지지 유닛(500)의 타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유닛(500)으로부터 전달되는 좌우 수평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지지부(430)는, 실린더 거치홈(420)에 안착되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를 안정적으로 체결 지지함은 물론,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부터 전달되거나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 전달되는 전후 수직 방향 및 좌우 수평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유닛(500)은, 곡선형 블록(510), 이탈 방지 돌기(520), 커버 안착홈(530), 밀착 커버(540), 제1 커버 지지 스프링(550) 및 제2 커버 지지 스프링(560)을 포함한다.
곡선형 블록(510)은, 유닛 설치홈(431)의 곡률에 둥글게 절곡된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유닛 설치홈(431)에 안착되며, ), 이탈 방지 돌기(520), 커버 안착홈(530), 밀착 커버(540), 제1 커버 지지 스프링(550) 및 제2 커버 지지 스프링(56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이탈 방지 돌기(520)는, 유닛 설치홈(431)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유닛 설치홈(431)의 곡률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안착되어 유닛 설치홈(431)으로부터 곡선형 블록(5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선형 블록(510)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다.
커버 안착홈(530)은, 차고 조절 실린더(100)와 대향하는 곡선형 블록(510)의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곡선형 블록(510)의 내측에 형성된다.
밀착 커버(540)는, 커버 안착홈(530)의 개구부를 덮고 곡선형 블록(51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차고 조절 실린더(100)에 밀착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밀착 커버(540)는, 곡선형 플레이트(541), 삽입 블록(542) 및 스파이크(543)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플레이트(541)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의 외측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차고 조절 실린더(100)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된다.
삽입 블록(542)은, 커버 안착홈(530)에 삽입 안착되어 제1 커버 지지 스프링(550)과 제2 커버 지지 스프링(5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커버 안착홈(530)의 형상에 대응하여 곡선형 플레이트(541)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스파이크(543)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의 외측에 밀착되는 곡선형 플레이트(541)의 전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제1 커버 지지 스프링(550)은, 커버 안착홈(5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커버 안착홈(530)에 안착되는 밀착 커버(540)의 일측 후단을 지지한다.
제2 커버 지지 스프링(560)은, 커버 안착홈(5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커버 안착홈(530)에 안착되는 밀착 커버(540)의 타측 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유닛(500)은, 제1 실린더(S1), 제2 실린더(S2) 및 제3 실린더(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S1)는, 커버 안착홈(530)에서 제1 커버 지지 스프링(550)과 제2 커버 지지 스프링(560)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 안착홈(530)에 안착되는 밀착 커버(540)의 중단을 지지하며, 삽입 블록(542)이 커버 안착홈(53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물 또는 오일 등의 비압축성 유체를 제2 실린더(S2) 및 제3 실린더(S3)로 공급한다.
제2 실린더(S2)는, 유닛 설치홈(43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곡선형 블록(5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유닛 지지 탄성체(434)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실린더(S1)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신장되어 곡선형 블록(510)의 일측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곡선형 블록(510)의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제3 실린더(S3)는, 유닛 설치홈(43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곡선형 블록(5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유닛 지지 탄성체(435)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실린더(S1)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신장되어 곡선형 블록(510)의 타측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증가시켜 곡선형 블록(510)의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유닛(500)은, 실린더 거치홈(420)에 안착되는 차고 조절 실린더(100)를 안정적으로 체결 지지함은 물론,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부터 전달되거나 차고 조절 실린더(100)로 전달되는 전후 수직 방향 및 좌우 수평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100: 차고 조절 실린더
200: 유체 저장 탱크
300: 볼트 구동부
400: 실린더 거치대

Claims (8)

  1. 차고 높이 조절을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차고 조절 실린더; 및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로 공급되기 위한 오일을 저장해 두는 유체 저장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저장 탱크는,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로 공급되기 위한 오일을 저장해 두는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의 내부 공간에서 오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오일 탱크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압 피스톤; 및
    상기 오일 탱크의 하부에 나사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오일 탱크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단으로 상기 유압 피스톤을 지지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오일 탱크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면서 상기 유압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켜 주는 피스톤 조절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조절 볼트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볼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트 구동부는,
    상기 오일 탱크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피스톤 조절 볼트의 하부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조절 볼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토크 모터 잭; 및
    상기 토크 모터 잭의 구동을 제어하는 토크 모터 ECU;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구동부는,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되며, 상기 토크 모터 ECU로 상기 토크 모터 잭의 구동을 요청하는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구동부는,
    상기 토크 모터 ECU의 제어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차량 운행자의 개인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개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요청을 상기 토크 모터 ECU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를 거치하기 위한 실린더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거치대는,
    차량에 고정 설치되는 거치대 하우징;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실린더 거치홈; 및
    상기 실린더 거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거치홈에 안착되는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의 외측을 따라 밀착 안착되며,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지지부는,
    상기 실린더 거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유닛 설치홈;
    상기 유닛 설치홈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거치대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보조홈;
    상기 유닛 설치홈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거치대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보조홈;
    상기 유닛 설치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유닛 설치홈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유닛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전단으로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의 외측에 밀착 안착되어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지지 유닛;
    상기 제1 보조홈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보조홈으로부터 노출되는 단부로 상기 지지 유닛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유닛 지지 탄성체; 및
    상기 제2 보조홈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보조홈으로부터 노출되는 단부로 상기 지지 유닛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유닛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유닛 설치홈의 곡률에 둥글게 절곡된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닛 설치홈에 안착되는 곡선형 블록;
    상기 유닛 설치홈의 상측 및 하측을 따라 상기 유닛 설치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유닛 설치홈으로부터 상기 곡선형 블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곡선형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 돌기;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와 대향하는 상기 곡선형 블록의 전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곡선형 블록의 내측에 형성되는 커버 안착홈;
    상기 커버 안착홈의 개구부를 덮고 상기 곡선형 블록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차고 조절 실린더에 밀착 안착되는 밀착 커버;
    상기 커버 안착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밀착 커버의 일측 후단을 지지하는 제1 커버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커버 안착홈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밀착 커버의 타측 후단을 지지하는 제2 커버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KR1020220178836A 2022-12-20 2022-12-20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KR102553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836A KR102553770B1 (ko) 2022-12-20 2022-12-20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836A KR102553770B1 (ko) 2022-12-20 2022-12-20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770B1 true KR102553770B1 (ko) 2023-07-10

Family

ID=8715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836A KR102553770B1 (ko) 2022-12-20 2022-12-20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7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147A (ko) 1998-08-27 1998-11-25 하태기 가변홀 자동차 쇽크 엎쇼바.
JP2007099158A (ja) * 2005-10-06 2007-04-19 Aisin Seiki Co Ltd 車高調整装置
KR20170061425A (ko) * 2015-11-26 2017-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 및 차량용 제동장치의 리저버 장치
JP2020029254A (ja) * 2018-08-20 2020-02-27 ハーレー−ダビッドソン・モーター・カンパニー・グループ・エルエルシー 二重液圧タンク調整器
KR20200143786A (ko) * 2019-06-17 2020-12-28 임빈 쇽업소버의 감쇠력 조절 제어시스템
KR20210026062A (ko) * 2019-08-29 2021-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고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147A (ko) 1998-08-27 1998-11-25 하태기 가변홀 자동차 쇽크 엎쇼바.
JP2007099158A (ja) * 2005-10-06 2007-04-19 Aisin Seiki Co Ltd 車高調整装置
KR20170061425A (ko) * 2015-11-26 2017-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 및 차량용 제동장치의 리저버 장치
JP2020029254A (ja) * 2018-08-20 2020-02-27 ハーレー−ダビッドソン・モーター・カンパニー・グループ・エルエルシー 二重液圧タンク調整器
KR20200143786A (ko) * 2019-06-17 2020-12-28 임빈 쇽업소버의 감쇠력 조절 제어시스템
KR20210026062A (ko) * 2019-08-29 2021-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고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799B1 (en) Vehicle anti-rollover device
US3958659A (en) Cab tilting mechanism for trucks
CN103857544B (zh) 包括液压减振器的车辆车轮悬架及其运行方法
US5209316A (en) Truck cab suspension unit
US10632947B2 (en) Rear guard structure system
US9702427B2 (en) Damper device
WO1999007593A1 (en) Leaf spring attachment member
US20030213664A1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uspension strut unit
JP2008001356A (ja) 緩衝装置
KR102553770B1 (ko) 높이조절 쇼바 구조체
CN1417049A (zh) 车辆的空气悬架系统
US20190054791A1 (en) Modified shock absorber for tiltable vehicles
JP2002160894A (ja) 低吊り上げフォークリフト
KR102185228B1 (ko) 차고 조절이 가능한 mr댐퍼 일체형 현가장치
CN210011684U (zh) 一种智能汽车雷达传感器的安装结构
EP4379233A1 (en) Shock absorber assembly and vehicle having same
CN106286664A (zh) 一种减震设备
CN103182914A (zh) 用于车辆的车轮悬架
JP2004277068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80102809A (ko) 리프스프링 적용차량의 현가장치
CA3052228A1 (en) Chassis suspension
CN109263430B (zh) 车辆的悬架高度调节装置和具有其的车辆
KR20080008031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CN110053528B (zh) 乘用车减震座椅
JPH0353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