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500B1 - 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ump truck - Google Patents

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ump tr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500B1
KR102553500B1 KR1020230030273A KR20230030273A KR102553500B1 KR 102553500 B1 KR102553500 B1 KR 102553500B1 KR 1020230030273 A KR1020230030273 A KR 1020230030273A KR 20230030273 A KR20230030273 A KR 20230030273A KR 102553500 B1 KR102553500 B1 KR 10255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roller
opening
closing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0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김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재 filed Critical 김영재
Priority to KR1020230030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5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5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E05B2015/026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pivoting or ti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는, 양측 측벽의 후미 상단에는 브라켓이 고정 설치된 적재함; 상단 양측에는 회전 플레이트들이 고정 설치되고, 회전 플레이트들에는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이 고정 설치되되, 적재함을 후방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적재함의 후미를 개방시키고, 상기 적재함을 차대 프레임에 안착시키면 상기 적재함의 후미를 폐쇄시키는 테일게이트; 적재함이 차대 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하는 개폐작동부; 및 개폐작동부에 의해 열린 테일게이트를 지지하는 단속부;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includes a loading box with a bracket fixed to the rear top of both side walls; Rotating plates are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rotating shafts are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s so as to be able to pivo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rackets. a tailgate that opens the rear of the loading box and closes the rear end of the loading box when the loading box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An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that allows the tailgate to be opened or closed while the cargo box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and an intermittent unit supporting the tailgate opened by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Description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UMP TRUCK}Tail gat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ump truck {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UMP TRUCK}

본 발명(Disclosure)은,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재함이 차대 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는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relates to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that allows the tailgate to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even when a loader is seated on a chassis frame. it's about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 backgroun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ey do not necessarily mean prior art (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은 흙이나 골재 등을 담는 적재함을 유압장치에 의해 후방향으로 기울여 적재된 흙이나 골재 등이 적재함의 테일게이트를 통해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dump truck is configured such that a loading box containing soil or aggregate is tilted backward by a hydraulic device so that the loaded soil or aggregate can be unloaded through the tailgate of the loading box.

그리고 적재함의 테일게이트는 적재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면 자동으로 적재함을 개방시키고, 적재함이 원상태(차대 프레임에 안착)로 복귀되면 자동으로 적재함의 닫을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ailgate of the loading box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n the loading box when the loading box is tilted backward, and to automatically close the loading box when the loading box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seated on the chassis frame).

즉, 테일게이트는 양측 상부가 회전축를 매개로 적재함의 후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at is, both upper portions of the tailgate are rotatab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loading box via a rotating shaft.

그러나 종래 덤프트럭은 적재함이 차대 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테일게이트를 개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ump truck has a problem in that the tailgate cannot be opened and closed while the loading box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557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6557.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997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7997.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34587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3458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95801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195801.

본 발명(Disclosure)은, 적재함을 덤핑 작동과 연동하여 적재함의 후미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함이 차대 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는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is a tailgate for a dump truck that not only opens and closes the rear end of the load box in conjunction with the dumping operation, but also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tailgate even when the load box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On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Disclosure)은, 적재함이 차대 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 열린 테일게이트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dump truck that can safely support an open tailgate in a state where a loader is seated on a chassis fram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could be.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는, 양측 측벽의 후미 상단에는 브라켓이 고정 설치된 적재함; 상단 양측에는 회전 플레이트들이 고정 설치되고, 회전 플레이트들에는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이 고정 설치되되, 적재함을 후방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적재함의 후미를 개방시키고, 상기 적재함을 차대 프레임에 안착시키면 상기 적재함의 후미를 폐쇄시키는 테일게이트; 적재함이 차대 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하는 개폐작동부; 및 개폐작동부에 의해 열린 테일게이트를 지지하는 단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one of the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box with a bracket fixed to the rear end of both side walls; Rotating plates are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rotating shafts are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s so as to be able to pivo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rackets. a tailgate that opens the rear of the loading box and closes the rear end of the loading box when the loading box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An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that allows the tailgate to be opened or closed while the cargo box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and an intermittent unit supporting the tailgate opened by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에서, 개폐작동부는, 측벽의 외부면 측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노출된 회전축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 1 롤러; 회전축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측벽의 외부면 하부 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롤러; 및 실린더 로드를 제 2 롤러 측으로 신장시키고, 신장된 실린더 로드를 제 2 롤러 측에서 멀어지도록 복귀시킬 수 있게 측벽의 외부면 하부 측에 고정 설치되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를 경유하는 체인을 매개로 테일게이트와 연결되는 개폐 실린더;를 포함하되, 개폐 실린더가 실린더 로드를 복귀시키면 테일게이트는 열리고, 개폐 실린더가 실린더 로드를 신장시키면 테일게이트는 닫힐 수 있다.In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includes: a first roller fixedly installed to an exposed rotating shaft extending toward an outer surface of a sidewall; A second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a fixed shaft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facing the rotation shaf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hain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to extend the cylinder rod toward the second roller and return the extended cylinder rod away from the second roller, and pass through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n opening/closing cylinder connected to the tailgate via a medium; however, the tailgate can be opened when the opening/closing cylinder returns the cylinder rod, and the tailgate can be closed when the opening/closing cylinder extends the cylinder rod.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에서, 제 1 롤러의 양측에는 제 1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제 1 플랜지가 형성되고, 제 1 플랜지의 외주면 상에는 단속부의 스트라이커가 진출입하는 그루브가 제 1 플랜지의 회전 중심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lang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oller to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intermittent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 groove through which the striker moves in and out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flange.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에서, 체인의 일단은 실린더 로드의 연장단에 연결되고, 체인의 타단은 제 2 롤러의 하부 및 제 1 롤러의 상부를 경유해 테일게이트 상단에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에 연결되되, 회전 플레이트에는 체인의 타단 측이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제 1 롤러와 마주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hain is connected to the extended end of the cylinder rod, and the other end of the chain passe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oller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oller. A link connected to a rotation plat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tailgat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in to the rotation plate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first roller.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에서, 단속부는, 제 1 롤러와 연동하여 제 1 롤러를 단속 및 단속을 해제하는 괘해정 슬라이더; 및 괘해정 슬라이더를 제 1 롤러와 연동시키는 연동 암;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ing unit includes: a sliding control slider for interlocking and releasing the interlocking of the first roller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roller; and an interlocking arm that interlocks the unlocking slider with the first roller.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에서, 괘해정 슬라이더는, 제 1 롤러 측으로 근접하게 또는 제 1 롤러 측에서 멀어지도록 측벽의 외부면 상부 측에는 서브 프레임들을 매개로 설치되는 사각 각관 형태의 레일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롤러와 마주하는 괘해정 슬라이더의 일측면 상에는 제 1 롤러의 선회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교차하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스트라이커가 설치되고, 스트라이커는 개폐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테일게이트 열림 작동 시 제 1 롤러의 제 1 플랜지들에 형성된 그루브에 끼워지고, 개폐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테일게이트 닫힘 작동 시 그루브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In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unlocking slid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so as to move closer to or away from the first roller through sub-frames. It is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rail in the form of a square tube, and a strik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rossing at right angles to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first roll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lock slider facing the first roller. The strik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first flanges of the first roller when the tailgate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and can come out of the groove when the tailgate is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에서, 연동 암은 한 쌍으로 제공되고, 연동 암들의 일단 측은 제 1 힌지핀들을 매개로 각각 제 1 플랜지들의 외측면 상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동 암들의 타단 측은 제 2 힌지핀들을 매개로 각각 괘해정 슬라이더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레일의 양측면 상에는 제 2 힌지핀이 괘해정 슬라이더과 연결되게 하며 동시에 제 2 힌지핀들이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안내장공이 형성되되, 개폐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테일게이트 열림 작동 시 연동 암의 일단 측은 제 1 플랜지를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괘해정 슬라이더가 제 1 롤러 측으로 이동되게 해 스트라이커가 그루브 내부로 끼워지게 하며, 개폐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테일게이트 닫힘 작동 시 연동 암의 일단 측은 제 1 플랜지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괘해정 슬라이더가 제 1 롤러 측에서 멀어지게 이동되게 해 스트라이커가 그루브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할 수 있다.In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locking arms are provided as a pair, and one end of the interlocking arms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langes via first hinge pins. It is pivotally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s of the interlocking arms are pivot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ail unlocking slider via second hinge pins, respectively, and on both sides of the rail, the second hinge pin is connected to the rail unlocking slider At the same time, a guide hole is formed to guide the second hinge pins along the length of the rail, and when the tailgate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one end of the interlocking arm rotates counterclockwise along the first flange. When the tailgate is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one end of the interlocking arm rotates clockwise along the first flange while the unlocking slider moves to the side of the first roller. It can be moved away from the side of the first roller to allow the striker to come out of the groove.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함을 덤핑 작동과 연동하여 적재함의 후미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적재함이 차대 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며, 열린 테일게이트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of the loading box can be opened and closed by interlocking the loading box with the dumping operation, and the tailgate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even when the loading box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and the open tailgate can be safely supported. It will be able to provide the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 및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덤프트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4는 테일게이트가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테일게이트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1 and 2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tailgate for a dump truck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mp truck in which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4 and 5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tailgate,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tailgate A schematic drawing of the closed sta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mplement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However, the essential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based on the essential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below It is reveal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include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proposed as a method of substitution or change.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s used below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grasping the essential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are appropriately interpreted in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및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 and 2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tailgate for a dump truck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10)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덤프트럭의 적재함(20)의 개방된 후미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적재함(20)에 설치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tailgate 10 for a dump truck is installed in the loading box 20 to open or close the open rear of the loading box 20 of the dump truck, as anyone can know.

다시 말해, 테일게이트(10)의 상단 양측에는 회전 플레이트(12)들이 고정 설치되고, 적재함(20)의 양 측벽(22) 상단에는 브라켓(24)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회전 플레이트(12)는 회전축(14)을 매개로 인접한 브라켓(24)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In other words, the rotation plates 12 are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tailgate 10, and the brackets 24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ends of both side walls 22 of the loading box 20. Further, each rotation plate 12 is pivotal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adjacent bracket 24 via the rotation shaft 14 .

여기서, 회전축(14)은 회전 플레이트(12)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브라켓(24)에는 선회 가능하게 끼워진다.Here, the rotating shaft 14 is fixedly installed to the rotating plate 12, and is pivotally fitted into the bracket 24.

이렇게 설치된 테일게이트(10)는 적재함(20)을 후방 측으로 기울이면 적재함(20)의 후미를 개방시켜 적재함(20)에 실린 적재물을 내릴 수 있게 하고(도 2 참조), 적재함(20)이 차대 프레임(30)에 안착되면 복귀되면서 적재함(20)의 후미를 닫을 수 있게 한다(도 1 참조).The tailgate 10 installed in this way opens the rear end of the loading box 20 when the loading box 20 is tilted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load loaded on the loading box 20 can be unloaded (see FIG. 2), and the loading box 20 is installed on the chassis. When seated on the frame 30, it returns and closes the rear of the loading box 20 (see FIG. 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100)는 적재함(20)이 차대 프레임(30)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테일게이트(10)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한다.Meanwhile,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100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tailgate 10 to be opened or closed even when the loading box 20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30.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100)는 적재함(20)의 양측 측벽(22) 상에 각각 설치된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3 to 5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22 of th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100)는 적재함(20)이 차대 프레임(30)에 안착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10)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하는 개폐작동부(110) 및 개폐작동부(110)에 의해 열린 테일게이트(10)를 지지하는 단속부(130)를 포함한다.3 to 5,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for a tailgate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or close the tailgate 10 in a state where the loading box 20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30. It includes an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110 and an intermittent unit 130 supporting the tailgate 10 opened by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110.

먼저, 개폐작동부(110)는 체인(124)을 매개로 테일게이트(10)와 연결되는 개폐실린더(120)와, 체인(124)을 안내하는 제 1 및 제 2 롤러(112, 116)를 포함한다.First,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110 operates the opening/closing cylinder 120 connected to the tailgate 10 via the chain 124 and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2 and 116 guiding the chain 124. include

제 1 롤러(112)는 측벽(22)의 외부면 측으로 노출된 회전축(14)에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first roller 112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14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

바람직하게는, 회전축(14)은 제 1 롤러(112)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종래의 덤프트럭들과는 다르게 측벽(22)의 외부면 측으로 그 길이가 더 연장되게 형성된다.Preferably, the rotational shaft 14 is formed to extend further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unlike conventional dump trucks, so that the first roller 112 can be fixedly installed.

이때, 제 1 롤러(112)의 양측에는 제 1 플랜지(114)가 제 1 롤러(112)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제 1 롤러(112)의 외주면과 한 쌍의 제 1 플랜지(114)들의 내부면 사이로는 체인(124)이 안내된다.At this time, on both sides of the first roller 112, a first flange 114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11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112 thus formed and a pair of first flanges A chain 124 is gu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114's.

그리고 한 쌍의 제 1 플랜지(114)의 외주면 상에는 후술하는 단속부(130)의 스트라이커(136)가 진출입하는 그루브(115)가 제 1 플랜지(114)의 회전 중심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된다.Fur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flanges 114, a groove 115 into which a striker 136 of an intermittent portion 130 to be described later enters and exits is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flange 114.

제 2 롤러(116)는 회전축(14)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측벽(22)의 외부면 하부 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축(2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econd roller 116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ed shaft 26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to face the rotation shaft 14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제 2 롤러(116)의 양측에는 제 1 롤러(112)와 마찬가지로, 제 2 플랜지(118)가 제 2 롤러(116)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제 2 롤러(116)의 외주면과 한 쌍의 제 2 플랜지(118)들의 내부면 사이로는 체인(124)이 안내된다.At this time,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oller 116, like the first roller 112, the second flange 118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116, and the second roller 116 thus formed The chain 124 is gu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second flanges 118 .

한편, 개폐 실린더(120)는 덤프트럭의 유압 시스템(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며, 제 2 롤러(116)와 마찬가지로 측벽(22)의 외부면 하부 측에 고정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120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system (not shown) of the dump truck,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like the second roller 116.

이렇게 설치된 개폐 실린더(120)는 실린더 로드(122)를 제 2 롤러(116) 측으로 신장시키고, 신장된 실린더 로드(122)를 제 2 롤러(116) 측에서 멀어지도록 복귀(수축)시킨다.The opening/closing cylinder 120 installed in this way extends the cylinder rod 122 toward the second roller 116 and returns (retracts) the extended cylinder rod 122 away from the second roller 116 side.

그리고 개폐 실린더(120)는 제 1 및 제 2 롤러(112, 116)를 경유하는 체인(124)을 매개로 테일게이트(10)와 연결된다. Also, the opening/closing cylinder 120 is connected to the tailgate 10 via a chain 124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2 and 116.

체인(124)의 일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실린더(120)의 실린더 로드(122)의 연장단에 연결되고, 체인(124)의 타단은 제 2 롤러(116)의 하부 및 제 1 롤러(112)의 상부를 경유해 테일게이트(10)의 상단에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12)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chain 124 is connected to the extended end of the cylinder rod 122 of the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120, as shown, and the other end of the chain 124 is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oller 116 and the first roller 112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plate 12 installed at the top of the tailgate 10 via the top of ).

이때, 회전 플레이트(12)에는 체인(124)의 타단 측이 연결되는 연결고리(126)가 제 1 롤러(112)와 마주하게 설치된다.At this time, a link 126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chain 124 is connected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 12 to face the first roller 112 .

즉, 적재함(20)이 차대 프레임(30)에 안착된 상태 하에서 개폐 실린더(120)가 실린더 로드(122)를 제 2 롤러(116) 측에서 멀어지게 복귀(수축)시키면 체인(124)은 실린더 로드(122)를 따라 개폐 실린더(120) 측으로 안내되고, 이렇게 체인(124)이 개폐 실린더(120) 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체인(124)은 테일게이트(10)를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에 의해 회전축(14) 및 테일게이트(10)는 도면 상 반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며 열리게 된다(도 4 참조).That is, when the opening/closing cylinder 120 returns (retracts) the cylinder rod 122 away from the second roller 116 side in a state where the loading box 20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30, the chain 124 moves the cylinder Guided to the opening/closing cylinder 120 along the rod 122, and as the chain 124 is guided to the opening/closing cylinder 120 in this way, the chain 124 pulls the tailgate 10, whereby the rotating shaft 14 ) and the tailgate 10 turns counterclockwise on the drawing and opens (see FIG. 4).

반대로, 적재함(20)이 차대 프레임(30)에 안착된 상태 하에서 개폐 실린더(120)가 실린더 로드(122)를 제 2 롤러(116) 측에 근접하게 신장시키며 체인(124)은 실린더 로드(122)를 따라 테일게이트(10) 측으로 안내되고, 이렇게 체인(124)이 테일게이트(10) 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체인(124)은 테일게이트(10)를 잡아당기던 힘을 소실하는데, 이에 의해 회전축(14) 및 테일게이트(10)는 도면 상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며 닫히게 된다.Conversel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loading box 20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30, the opening/closing cylinder 120 extends the cylinder rod 122 close to the second roller 116 side, and the chain 124 moves the cylinder rod 122 ), and as the chain 124 is guided to the tailgate 10 in this way, the chain 124 loses the force pulling the tailgate 10, whereby the rotation shaft ( 14) and the tailgate 10 are closed by turning clockwise in the drawing.

단속부(130)는 제 1 롤러(112)와 연동하여 제 1 롤러(112)를 단속 및 단속을 해제하는 괘해정 슬라이더(132)와, 괘해정 슬라이더(132)를 제 1 롤러(112)와 연동시키는 연동 암(138)을 포함한다.The interlocking unit 130 interlocks with the first roller 112 to interlock and uninterrupt the first roller 112, and an unlocking slider 132 and an unlocking slider 132 are connected to the first roller 112. and an interlocking arm 138 for interlocking.

괘해정 슬라이더(132)는 제 1 롤러(112) 측으로 근접하게 또는 제 1 롤러(112) 측에서 멀어지도록 측벽(22)의 외부면 상부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liding release slider 132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so as to come closer to or away from the first roller 112.

이를 위해서, 측벽(22)의 외부면 상부 측에는 적재함(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사각 각관 형태의 레일(134)이 서브 프레임들을 매개로 설치되며, 괘해정 슬라이더(132)는 레일(134)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To this en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a square tube-shaped rail 134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20 is installed via sub-frames, and the rail 134 ) is slidably installed inside.

그리고 제 1 롤러(112)와 마주하는 괘해정 슬라이더(132)의 일측면 상에는 제 1 롤러(112)의 선회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교차하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스트라이커(136)가 설치된다. Also, a striker 136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crossing at right angles to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first roller 11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lock slider 132 facing the first roller 112.

스트라이커(136)는 개폐작동부(110)의 작동에 의한 테일게이트(10) 열림 작동 시 제 1 롤러(112)의 제 1 플랜지(114)들에 형성된 그루브(115)에 끼워지고(도 4 참조), 개폐작동부(110)의 작동에 의한 테일게이트(10) 닫힘 작동 시 그루브(115)에서 빠져나온다(도 5 참조).The striker 13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5 formed in the first flanges 114 of the first roller 112 when the tailgate 10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110 (see FIG. 4 ), when the tailgate 10 is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110, it comes out of the groove 115 (see FIG. 5).

한편, 연동 암(138)은 개폐작동부(110)의 작동에 의한 테일게이트(10) 열림 작동 시 스트라이커(136)가 제 1 롤러(112)의 제 1 플랜지(114)들에 형성된 그루브(115)에 끼워지도록 괘해정 슬라이더(132)를 안내하며, 개폐작동부(110)의 작동에 의한 테일게이트(10) 닫힘 작동 시 스트라이커(136)가 그루브(115)에서 빠져나오도록 괘해정 슬라이더(132)를 안내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locking arm 138 has a groove 115 formed on the first flanges 114 of the first roller 112 by the striker 136 when the tailgate 10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110. ) Guides the unlocking slider 132 to fit into the groove, and when the tailgate 10 closes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110, the striker 136 comes out of the groove 115. ) to guide

이를 위해서, 연동 암(138)은 한 쌍으로 제공되되, 연동 암(138)들의 일단 측은 제 1 힌지핀(P1)들을 매개로 각각 제 1 롤러(112)의 제 1 플랜지(114)의 외측면 상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동 암(138)들의 타단 측은 제 2 힌지핀(P2)들을 매개로 각각 괘해정 슬라이더(132)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To this end, the interlocking arms 138 are provided as a pair, and one end of the interlocking arms 138 extends through the first hinge pins P1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4 of the first roller 112,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locking arms 138 are pivot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cking slider 132 via the second hinge pins P2, respectively.

이때, 레일(134)의 양측면 상에는 괘해정 슬라이더(132)과의 연결을 위해서 제 2 힌지핀(P2)들이 관통할 수 있게 하며, 제 2 힌지핀(P2)들이 레일(1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안내장공(140)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on both sides of the rail 134, second hinge pins (P2) are allowed to pass through for connection with the unlocking slider 132, and the second hinge pins (P2) a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34 A guide hole 140 to be guided along is formed.

안내장공(14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롤러(112)와 마주하는 레일(134)의 일단 측에서부터 타단 측으로 레일(1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The guide holes 140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34 from one end side of the rail 134 facing the first roller 112 to the other end side, as shown.

즉, 개폐작동부(110)의 작동에 의한 테일게이트(10) 열림 작동 시 제 1 힌지핀(P1)을 매개로 제 1 플랜지(114)와 연결된 연동 암(138)의 일단 측은 제 1 롤러(112), 제 1 플랜지(114) 및 테일게이트(10)를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는데, 이렇게 연동 암(138)의 일단 측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동 암(138)의 타단 측은 괘해정 슬라이더(132)를 제 1 롤러(112) 측으로 이동시키고, 제 1 롤러(112) 측으로 이동되는 괘해정 슬라이더(132)의 스트라이커(136)는 제 1 플랜지(114)에 형성된 그루브(115) 내부로 진입해 그루브(115)에 끼워진다(도 4 참조).That is, when the tailgate 10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110, one end side of the interlocking arm 138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114 via the first hinge pin P1 is connected to the first roller ( 112), rotates counterclockwise along the first flange 114 and the tailgate 10, and as one end of the interlocking arm 138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is way,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arm 138 rotates The unlocking slider 132 is moved to the first roller 112 side, and the striker 136 of the unlocking slider 132 moved to the first roller 112 side is inside the groove 115 formed in the first flange 114. into the groove 115 (see FIG. 4).

이렇게 괘해정 슬라이더(132)의 스트라이커(136)가 그루브(115) 내부로 끼워지기 때문에 열린 테일게이트(10)가 자중에 의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striker 136 of the unlocking slider 13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 tailgate 10 from being arbitrarily closed by its own weight.

반대로, 개폐작동부(110)의 작동에 의해 테일게이트(10) 닫힘 작동 시 제 1 힌지핀(P1)을 매개로 제 1 플랜지(114)와 연결된 연동 암(138)의 일단 측은 제 1 롤러(112), 제 1 플랜지(114) 및 테일게이트(1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는데, 이렇게 연동 암(138)의 일단 측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동 암(138)의 타단 측은 괘해정 슬라이더(132)를 제 1 롤러(112) 측에서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제 1 롤러(112) 측에서 멀어지게 이동되는 괘해정 슬라이더(132)에 의해 스트라이커(136)는 제 1 플랜지(114)에 형성된 그루브(115)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며, 이에 의해 회전축(14) 및 테일게이트(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닫히게 된다(도 5 참조).Conversely, when the tailgate 10 is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110, the first roller ( 112), rotates clockwise along the first flange 114 and the tailgate 10, and as one end of the interlocking arm 138 rotates clockwise in this way,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arm 138 rotates the slider 132 is moved away from the first roller 112 side, and the striker 136 is formed on the first flange 114 by the sliding slider 132 moving away from the first roller 112 side. It comes out of the groove 115, whereby the rotating shaft 14 and the tailgate 10 rotate clockwise and are closed (see FIG. 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100)와 연결된 테일게이트(10)는 제 1 및 제 2 롤러(112. 116)와 체인(124)이 상호 미끄럼운동을 하기 때문에 종래 덤프트럭의 테일게이트들과 마찬가지로 적재함(20)을 후방으로 기울어지면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적재함(20)의 후미를 개방시키고, 반대로 테일게이트(10)는 적재함(20)을 원상태(차대 프레임에 안착)로 복귀시키면 종래 덤프트럭의 테일게이트들과 마찬가지로 적재함(20)의 후미를 폐쇄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the tailgate 10 connected to the automatic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12.116 and the chain 124 slide mutually, the conventional dump truck Like the tail gates of a truck, when the load box 20 is tilted backward, the rear end of the load box 20 is opened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y its own weight around the rotation shaft 14, and on the contrary, the tail gate 10 opens the load box ( When 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seated on the chassis frame), the rear of the loading box 20 is closed like the tailgates of a conventional dump truck.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100)는 적재함(20)이 차대 프레임(30)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테일게이트(10)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며, 열린 테일게이트(10)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for a dump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tailgate 10 to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even when the loading box 20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30, and the open tailgate The gate 10 can be safely supported.

Claims (7)

양측 측벽의 후미 상단에는 브라켓이 고정 설치된 적재함;
상단 양측에는 회전 플레이트들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들에는 상기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이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적재함을 후방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적재함의 후미를 개방시키고, 상기 적재함을 차대 프레임에 안착시키면 상기 적재함의 후미를 폐쇄시키는 테일게이트;
상기 적재함이 차대 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하는 개폐작동부; 및
상기 개폐작동부에 의해 열린 상기 테일게이트를 지지하는 단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측벽의 외부면 측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노출된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 1 롤러;
상기 회전축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상기 측벽의 외부면 하부 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롤러; 및
실린더 로드를 상기 제 2 롤러 측으로 신장시키고, 신장된 상기 실린더 로드를 상기 제 2 롤러 측에서 멀어지도록 복귀시킬 수 있게 상기 측벽의 외부면 하부 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를 경유하는 체인을 매개로 상기 테일게이트와 연결되는 개폐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 실린더가 상기 실린더 로드를 복귀시키면 상기 테일게이트는 열리고, 상기 개폐 실린더가 상기 실린더 로드를 신장시키면 상기 테일게이트는 닫히며,
상기 단속부는,
상기 제 1 롤러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롤러를 단속 및 단속을 해제하는 괘해정 슬라이더; 및
상기 괘해정 슬라이더를 상기 제 1 롤러와 연동시키는 연동 암;을 포함하는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
A loading box with brackets fixed at the top of the aft end of both side walls;
Rotating plates are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rotating shafts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s so as to be able to pivo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rackets. a tailgate that opens the rear of the loading box while forming and closes the rear end of the loading box when the loading box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an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that allows the tailgate to be opened or closed while the load box is seated on the chassis frame; and
A control unit supporting the tailgate opened by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a first roller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rotational shaft, the length of which extend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is exposed;
a second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a fixed shaft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facing the rotating shaf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to extend the cylinder rod toward the second roller and return the extended cylinder rod away from the second roller,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connected to the tailgate via a chain passing through,
When the opening/closing cylinder returns the cylinder rod, the tailgate opens, and when the opening/closing cylinder extends the cylinder rod, the tailgate closes.
the control department,
an unlocking slider interlocking with the first roller to regulate and release the first roller; and
An automatic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dump truck comprising: an interlocking arm interlocking the rail unlocking slider with the first roll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제 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플랜지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단속부의 스트라이커가 진출입하는 그루브가 상기 제 1 플랜지의 회전 중심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는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flang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oller to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 groov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striker of the intermittent portion is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first flan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일단은 실린더 로드의 연장단에 연결되고,
상기 체인의 타단은 상기 제 2 롤러의 하부 및 상기 제 1 롤러의 상부를 경유해 상기 테일게이트 상단에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인의 타단 측이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상기 제 1 롤러와 마주하게 설치되는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chain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end of the cylinder rod,
The other end of the chain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plat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ailgate via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oller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oller,
An automatic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dump truck, wherein a linkag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chain is connected faces the first roller on the rotating pla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괘해정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롤러 측으로 근접하게 또는 상기 제 1 롤러 측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측벽의 외부면 상부 측에는 서브 프레임들을 매개로 설치되는 사각 각관 형태의 레일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롤러와 마주하는 상기 괘해정 슬라이더의 일측면 상에는 상기 제 1 롤러의 선회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교차하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스트라이커가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개폐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상기 테일게이트 열림 작동 시 상기 제 1 롤러의 제 1 플랜지들에 형성된 그루브에 끼워지고, 상기 개폐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상기 테일게이트 닫힘 작동 시 상기 그루브에서 빠져나오는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ule-of-thumb slider,
It is slidably installed inside a square tube-shaped rail installed via subframes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so as to be closer to or away from the first roller,
A strik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ntersec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first roll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unlocking slider facing the first roller,
The strik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first flanges of the first roller when the tailgate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and comes out of the groove when the tailgate is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ump truck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동 암은 한 쌍으로 제공되고,
상기 연동 암들의 일단 측은 제 1 힌지핀들을 매개로 각각 상기 제 1 플랜지들의 외측면 상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동 암들의 타단 측은 제 2 힌지핀들을 매개로 각각 상기 괘해정 슬라이더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레일의 양측면 상에는 상기 제 2 힌지핀이 상기 괘해정 슬라이더과 연결되게 하며 동시에 상기 제 2 힌지핀들이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안내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개폐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상기 테일게이트 열림 작동 시 상기 연동 암의 일단 측은 상기 제 1 플랜지를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괘해정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롤러 측으로 이동되게 해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그루브 내부로 끼워지게 하며,
상기 개폐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상기 테일게이트 닫힘 작동 시 상기 연동 암의 일단 측은 상기 제 1 플랜지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괘해정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롤러 측에서 멀어지게 이동되게 해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그루브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하는 덤프트럭용 테일게이트 자동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interlocking arms are provided as a pair,
One end sides of the interlocking arms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lang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via first hinge pins, and the other ends of the interlocking arms are connected via second hinge pins, respectively, to the locking sliders. It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be able to turn,
Guide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ail to allow the second hinge pin to be connected to the rail unlocking slider and to guide the second hinge p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When the tailgate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one end of the interlocking arm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long the first flange to move the locking slider toward the first roller so that the striker moves inside the groove. to be inserted into
When the tailgate is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unit, one end side of the interlocking arm rotates clockwise along the first flange and moves the sliding locking slider away from the first roller, so that the striker is A 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ump trucks that allows it to come out of the groove.

KR1020230030273A 2023-03-08 2023-03-08 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ump truck KR102553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273A KR102553500B1 (en) 2023-03-08 2023-03-08 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ump 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273A KR102553500B1 (en) 2023-03-08 2023-03-08 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ump tru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500B1 true KR102553500B1 (en) 2023-07-07

Family

ID=8715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273A KR102553500B1 (en) 2023-03-08 2023-03-08 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ump tr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50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1275B2 (en) * 1989-03-22 1997-01-16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dump bed structure
KR19980034587U (en) 1996-12-11 1998-09-15 박병재 Rear gate opener for dump truck
KR200427997Y1 (en) 2006-07-03 2006-10-04 윤계용 Device for shutting the rear gate of dump truck
KR200486557Y1 (en) 2018-04-05 2018-06-04 윤윤한 Door apparatus for dump truck
KR102195801B1 (en) 2020-06-26 2020-12-28 김도연 Mounted agricultural product dump carrier
CN218287538U (en) * 2022-10-20 2023-01-13 泉州市华茂机械设备有限公司 Manual lock mechanism of rear dump truc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1275B2 (en) * 1989-03-22 1997-01-16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dump bed structure
KR19980034587U (en) 1996-12-11 1998-09-15 박병재 Rear gate opener for dump truck
KR200427997Y1 (en) 2006-07-03 2006-10-04 윤계용 Device for shutting the rear gate of dump truck
KR200486557Y1 (en) 2018-04-05 2018-06-04 윤윤한 Door apparatus for dump truck
KR102195801B1 (en) 2020-06-26 2020-12-28 김도연 Mounted agricultural product dump carrier
CN218287538U (en) * 2022-10-20 2023-01-13 泉州市华茂机械设备有限公司 Manual lock mechanism of rear dump tru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3693A (en) Vertically sliding door mounted in horizontally pivoted frame
US5896704A (en) Track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JP4404045B2 (en) Auto swing sliding door system
KR100999734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ng slide door
US4024671A (en) Mutually counterbalancing upper and lower flap doors of wide doorway
KR102553500B1 (en) Tailgat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dump truck
US4051960A (en) Locking end actuating mechanism for railway hopper car doors
US3636658A (en) House car plug door control mechanism
US5297840A (en) Latch for truck swing door lock
US2344755A (en) Truck
KR20140101137A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ure-Locking Structure for Door of Dump-Type Container
US3544153A (en) Door structure for open top trailer
JP2000045664A (en) Movable platform fence device
JP2007145092A (en) Vehicle body structure
US4339222A (en) Door locking mechanism for hopper car doors
IE45527B1 (en) Improvements to transportable freight dontainers
JP4544138B2 (en) Swing slide door
US4046268A (en) Hopper door actuating mechanism
US4280778A (en) Hopper car door operating mechanism
JPS5937252B2 (en) Dump truck loading platform rear door lifting device
US2195772A (en) Dump body door actuating mechanism
US3636656A (en) Door assembly
US1253160A (en) Grain-car door.
US3816965A (en) Door actuating mechanism for laterally movable and slidable door
JP6846372B2 (en) Tailgat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