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724B1 -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724B1
KR102552724B1 KR1020210025848A KR20210025848A KR102552724B1 KR 102552724 B1 KR102552724 B1 KR 102552724B1 KR 1020210025848 A KR1020210025848 A KR 1020210025848A KR 20210025848 A KR20210025848 A KR 20210025848A KR 102552724 B1 KR102552724 B1 KR 102552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active material
fluid
thin film
plasma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965A (ko
Inventor
강헌
최진웅
김홍모
나정수
서현우
강성모
강선기
주남식
박성현
이억균
현용범
Original Assignee
(주)엔오엔그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오엔그리드 filed Critical (주)엔오엔그리드
Priority to KR102021002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7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 H05H1/2418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the electrodes being embedded in the di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체 내에서 공급 또는 유입되는 액체를 미립화 후 박막 형태로 이동시켜 고정 전극 사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도체 상에서 미립화된 유체와 기체에 균일한 방전에 의한 우수한 살균력과 산화력 등을 가지는 균일한 밀도의 플라즈마 생성물질을 생성시켜 방출되도록 는 상부 브래킷 및 하부 브래킷; 회전체; 및 고정 전극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살균력과 산화력이 요구되는 각종 분야에서 활용성이 우수한 조건을 가짐은 물론 제작비용 또한 저렴하면서 청정화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Rotary plasma active material generator}
본 발명은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회전체 내에서 공급 또는 유입되는 액체를 미립화 후 박막 형태로 이동시켜 고정 전극 사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도체 상에서 미립화된 유체와 기체에 균일한 방전에 의한 우수한 살균력과 산화력 등을 가지는 균일한 밀도의 플라즈마 생성물질을 생성시켜 방출되도록 한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또는 물에 대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하면 고활성 물질이 생성되어 세균 및 바이러스 문제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응 가능한 조건을 구축할 수 있다.
기존의 고정 전극 상에서의 플라즈마(Plasma) 방전에 있어, 방전에 따른 전극손상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전극손상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하여, 유전체 장벽 플라즈마(Dielectric-barrier Discharge Plasma) 발생설비는 방전 효과에 비하여 비교적 수명이 긴 장점이 있으나, 작동 중 미소한 손상 지점이 발생하면 그쪽으로 방전 집중하려는 전기의 특성상 에너지 집중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유전체가 파괴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1741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중에서 저전압 방전에 의해 강력한 전기적 에너지를 띤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물(H2O) 분자를 분리하여 이 과정에서 발생된 다량의 수산화이온(OH-)을 비롯한 산소계활 성종(O-, O2, O3, HO2, H2O2, OH)의 화학적 반응으로 수산기를 생성시켜 수중의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살균하고, 질소화합물이나 황산화 물을 제거하거나 중금속과 독극물의 중화 작용을 하는 수산기 생성용 수중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368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노즐을 원형으로의 설계로 인하여 플라즈마의 발생 범위를 넓히고, 무전원으로 팬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챔버 내의 축 상에 복수의 전극 하우징과 회전 팬, 전극 회전판, 전극 침, 노즐부 및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식 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305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오존 발생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열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인 유전체의 방전을 유지하고, 다양한 형태로 전극을 구성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를 감싸는 유전체 및 반응공간을 포함하는 유전체 장벽 방전을 이용한 오존 발생장치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오존 발생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기술적 구성이 복잡한 단점은 물론 사용 용도가 한정되는, 즉 선행기술문헌 1은 수처리 용도에 한정되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 또한 기술적 구성이 복잡한 단점과 함께 그로 인한 제작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살균용도 등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은 공기만을 대상으로 하는 사용 용도 역시 제한되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17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36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3052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회전체 내에서 공급 또는 유입되는 액체를 미립화 후 박막 형태로 이동시켜 고정 전극 사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도체 상에서 미립화된 유체와 기체에 균일한 방전에 의한 우수한 살균력과 산화력 등을 가지는 균일한 밀도의 플라즈마 생성물질을 생성시켜 방출되도록 한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유체의 미립화가 초미립화로 더욱더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초미립화되어 박막 형태로 흐르는 유체를 더욱더 초박막 형태로 흘러 이동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방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 부재에 의해 소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는 상부 브래킷 및 하부 브래킷; 상기 하부 브래킷에 장착되는 모터에 의해 3,500 rpm 이상으로 고속 회전되면서 공급 또는 유입되는 유체를 내측에서 30㎛ 이하로 미립화 후 두께 2.6㎛ 이하의 박막 형태로 이동시키면서 회전 도체를 통하여 외측으로 미립화된 유체를 박막 형태로 이동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브래킷 상에 상기 회전 도체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각각의 고정 전극에서 그 회전 도체를 타고 흐르는 미립화된 유체 및 그 미립화 유체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방전시켜 플라즈마 활성물질로 방출하는 고정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는 상 회전체 및 하 회전체, 상기 상,하 회전체의 테두리 측 서로 마주보는 중간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개재되면서 상기 고정 전극부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 도체, 상기 상,하 회전체의 내측에 공급 또는 유입되는 유체를 미립화와 함께 박막 형태로 이동시키는 유체 미립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 회전체의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 면에는 미립화된 유체가 통과되는 각각의 복수 개의 슬릿홈, 상기 각각의 슬릿홈에는 그 각각의 슬릿홈을 타고 흐르는 일부의 10㎛ 이하로 초미립화된 유체가 통과되어 흐르는 각각의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미립화부는 하 회전체에 공급 또는 유입되는 유체가 1차 충돌에 의해 미립화와 함께 박막 형태로 타고 흘러 넘어가는 제1 가이드 벽, 상기 제1 가이드 벽을 타고 흘러 넘어오는 미립화된 유체가 재차 충돌에 의해 초미립화 되면서 상부와 하부로 박막 형태로 흘러 이동되면서 상하부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 공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가이드 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 벽과 회전 도체가 개재된 상 회전체 및 하 회전체의 내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벽의 각각의 가이드 공을 통과한 미립화된 유체가 두께 1.6㎛ 이하의 초박막 형태로 타고 흘러 상기 회전 도체와 슬릿홈 및 통과공으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마주보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는 각각의 초박막 이동면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 도체와 고정 전극부의 각 고정전극에는 각각의 유전체가 코팅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간격 유지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상,하부 브래킷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 전극부의 각 고정 전극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각각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 조절부는 간격 유지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 브래킷 또는 하부 브래킷을 간격을 조절하는 각각의 조절볼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회전체 내에서 공급 또는 유입되는 액체를 미립화 후 박막 형태로 이동시켜 고정 전극 사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도체 상에서 미립화된 유체와 기체에 균일한 방전에 의한 우수한 살균력과 산화력 등을 가지는 균일한 밀도의 플라즈마 생성물질을 생성시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살균력과 산화력이 요구되는 각종 분야에서 활용성이 우수한 조건을 가짐은 물론 제작비용 또한 저렴하면서 청정화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유체의 미립화가 초미립화로 더욱더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효율성을 향상과 함께 방전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초미립화되어 박막 형태로 흐르는 유체를 더욱더 초박막 형태로 흘러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이 더욱더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이 역시 방전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또, 방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라즈마 활성물질의 생성량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활성물질이 생성되어 방출되는 것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상 회전체와 하 회전체의 각 단면 및 저면 또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활성물질이 생성되어 방출되는 것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상 회전체와 하 회전체의 각 단면 및 저면 또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그 사용 용도가 상당히 제한, 즉 수처리 용도 또는 공기만을 적용하거나 기술적 구성, 즉 구조 또한 복잡하여 제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회전체 내에서 공급 또는 유입되는 액체를 미립화 후 박막 형태로 이동시켜 고정 전극 사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도체 상에서 미립화된 유체와 기체에 균일한 방전에 의한 우수한 살균력과 산화력 등을 가지는 균일한 밀도의 플라즈마 생성물질을 생성시켜 방출되도록 한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1)는 간단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부 브래킷(10A) 및 하부 브래킷(10B), 회전체(20) 및 고정 전극부(30)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부 브래킷(10A) 및 하부 브래킷(10B)은 전체적인 외관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 부재(12)에 의해 상기 회전체(20)와 고정 전극부(30)가 그 상부 브래킷(10A)과 하부 브래킷(10B) 사이에 위치하도록 소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간격유지 부재(12)는 상,하부 브래킷(10A)(10B)의 테두리 측에 소정 간격으로 상기 상,하부 브래킷(10A)(10B)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유지 관(12A)과 상기 상,하부 브래킷(10A)(10B)과 간격유지 관(12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12B) 및 너트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상,하부 브래킷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시킨다.
아울러, 상기 간격유지 부재(12A)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상,하부 브래킷(10A)(10B)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 전극부(30)의 후술하는 고정 전극(30A)(30B)의 간극을 조절하여 방전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플라즈마 활성물질의 방출 속도 또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 또한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간격유지 부재(1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고정 전극부(30)의 각 고정 전극(30A)(30B)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각각 간격 조절부(14)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 조절부(14)는 간격유지 부재(1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 블록(14A), 상기 고정 블록(14A)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 브래킷(10A) 또는 하부 브래킷(10B)의 간격을 조절하는 각각의 조절볼트(14B)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간격유지 부재의 볼트 및 너트를 가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를 회전시켜 고정 전극부의 각 고정 전극 사이의 간극을 조절한 후 간격유지 부재의 볼트와 너트를 고정함에 따라 고정 전극부의 각 고정 전극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고정 전극부에서의 방전 효율성을 높을 수 있음은 물론 간극 조절에 따른 플라즈마 활성물질의 방출 속도 또한 조절할 수 있는 조건도 구축할 수 있다.
회전체(20)는 상기 하부 브래킷(10B)에 장착되는 모터(M)에 의해 3,500 rpm 이상으로 고속 회전되면서 공급 또는 유입되는 유체를 내측에서 30㎛ 이하로 미립화 후 두께 2.6㎛ 이하의 박막 형태로 이동시키면서 회전 도체(22)를 통하여 외측으로 미립화된 유체를 박막 형태로 이동시키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유체의 공급은 별도의 공급관을 통하여 회전체(2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회전체(20)의 고속 회전에 의해 후술하는 하 회전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21)을 통하여 유체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상기한 회전체(20)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상 회전체(20A) 및 하 회전체(20B), 상기 상,하 회전체(20A)(20B)의 테두리 측 서로 마주보는 중간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개재되면서 상기 고정 전극부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 도체(22), 상기 상,하 회전체(20A)(20B)의 내측에 공급 또는 유입되는 유체를 미립화와 함께 박막 형태로 이동시키는 유체 미립화부(24)를 포함한다. 상기 하 회전체(20B)의 바닥면에는 원주 형태로 공기 또는 유체가 흡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21)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하 회전체(20A)(20B)의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 면에는 미립화된 유체가 통과되는 각각의 복수 개의 슬릿홈(23), 상기 각각의 슬릿홈(23)에는 그 각각의 슬릿홈(23)을 타고 흐르는 일부의 10㎛ 이하로 초미립화된 유체가 통과되어 흐르는 각각의 통과공(23A)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상기 미립화된 유체는 대부분이 플랜지 면에 형성되는 슬릿홈을 통하여 통과되면서 일부의 미립화된 유체는 그 슬릿홈에 형성되는 통과공을 통하여 통과된다. 이는 미립화된 유체를 일부 분할된 형태로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 전극부로 초미립화된 유체와 함께 외부 공기의 유입을 더욱더 활성화함에 따라 방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미립화부(24)는 하 회전체(10B)에 공급 또는 유입되는 유체가 1차 충돌에 의해 미립화와 함께 박막 형태로 타고 흘러 넘어가는 제1 가이드 벽(24A), 상기 제1 가이드 벽(24A)을 타고 흘러 넘어오는 미립화된 유체가 재차 충돌에 의해 초미립화 되면서 상부와 하부로 박막 형태로 흘러 이동되면서 상하부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 공(24B-1)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가이드 벽(24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벽은 제2 가이드 벽의 1/2의 높이로 제1 가이드 벽에서 미립화된 유체가 제2 가이드 벽에서 초미립화와 함께 상하로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미립화부는 공급 또는 유입되는 유체가 1차적으로 제1 가이드 벽에서 미립화 되면서 그 제1 가이드 벽을 타고 흐르도록 한 후 2차적으로 제2 가이드 벽에서 재차 충돌에 의한 초미립화와 함께 상하로의 분할되어 흘러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초미립화된 유체의 이동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가이드 벽(24B)과 회전 도체(22)가 개재된 상 회전체(20A) 및 하 회전체(20B)의 내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벽(24B)의 각각의 가이드 공(24B-1)을 통과한 미립화된 유체가 두께 1.6㎛ 이하의 초박막 형태로 타고 흘러 상기 회전 도체(22)와 슬릿홈(23) 및 통과공(23A)으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마주보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는 각각의 초박막 이동면(26)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각각의 초박만 이동면은 제2 가이드 벽을 타고 흐르는 초립화된 유체를 고속회전에 의해 계단 방식으로 타고 흐르는 과정에서 초박막 형태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조건과 함께 회전 도체와 슬릿홈 및 통과공을 통하여 더욱더 신속하게 이동되도록 함은 물론 고정 전극부에서의 방전 효율성 또한 향상시킨 조건도 가진다.
고정 전극부(30)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브래킷(10A)(10B)의 각각의 지지대(32) 상에 상기 회전 도체(22)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각각의 고정 전극(30A)(30B)에 의해 그 회전 도체(22)를 타고 흐르는 초미립화된 유체 및 그 초미립화 유체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방전시켜 플라즈마 활성물질로 방출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고정 전극부는 회전 도체의 상부와 하부에서 방전에 따른 균일한 방전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고정 전극부는 고속 회전되는 회전 도체의 상부와 하부를 타고 흐르는 초미립화된 유체와 그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방전함에 따라 플라즈마 활성물질로 변환시켜 회전력에 의해 방출한다.
또한, 상기 고정 전극부는 초미립화된 유체에 의해 냉각 효율성을 가짐에 따라 오랜 사용기간의 확보와 함께 방출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회전 도체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 활성물질 양을 증대시킨다.
아울러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 활성물질은 고활성물질(ROS, Reactive Oxygen Species)로, 즉 OH- 이온으로 감싸서 물방울 구성하는 표면장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는 초미립 물방울이 ROS를 공기 부유 미세먼지 또는 표면에 접촉해 있는 유기 피 반응물과 접촉 확률 및 접속 시간 증대로 인하 바이러스 비활성화를 극대화하게 된다. 특히, 물방울에 갖친 ROS의 지속적인 반응으로 인하여 표면에서의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사멸과 함께 비활성화를 촉진한다.
더욱이 물방울에 감싸 있기 때문에 잔류 오존 등이 인체 호흡기로 들어갈 가능성은 최소화하면서 공간 및 표면 소독 효율성을 높임에 따라 살균 및 바이러스 비활성화가 가능하다. 또, 유체인 한 습도 조절 또한 가능한 조건도 가진다.
한편, 상기 회전 도체(22)와 고정 전극부(30)의 각 고정전극(30A)(30B)에는 아노다이징 코팅, 유리, 석영 등과 같은 각각의 유전체(34)가 코팅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는 방전에 따른 방전 효율성 상승과 함께 오랜 사용기간 확보로 인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가 아닌 단순한 구조이면서 부피 또한 콤팩트하게 제작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즉 각 건물 내는 물론 출입구 등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 축사 등에도 다량의 오존으로 인한 악취 또한 상쇄시킬 수 있다.
더욱이, 산화력과 살균력이 요구되는 어떠한 곳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1 : 생성장치
10A : 상 브래킷 10B : 하 브래킷
12 : 간격유지 부재 12A : 간격유지 관
12B : 볼트 14 : 간격 조절부
14A : 고정 블록 14B : 조절볼트
20 : 회전체 20A : 상 회전체
20B : 하 회전체 22 : 회전 도체
23 : 슬릿홈 23A : 통과공
24 : 유체 미립화부 24A : 제1 가이드벽
24B : 제2 가이드벽 24B-1 : 가이드공
30 : 고정 전극부 30A : 고정 전극
32 : 지지대 34 : 유전체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 부재에 의해 소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는 상부 브래킷 및 하부 브래킷;
    상기 하부 브래킷에 장착되는 모터에 의해 3,500 rpm 이상으로 고속 회전되면서 공급 또는 유입되는 유체를 내측에서 30㎛ 이하로 미립화 후 두께 2.6㎛ 이하의 박막 형태로 이동시키면서 회전 도체를 통하여 외측으로 미립화된 유체를 박막 형태로 이동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브래킷 상에 상기 회전 도체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각각의 고정 전극에서 그 회전 도체를 타고 흐르는 미립화된 유체 및 그 미립화 유체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방전시켜 플라즈마 활성물질로 방출하는 고정 전극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 회전체 및 하 회전체, 상기 상,하 회전체의 테두리 측 서로 마주보는 중간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개재되면서 상기 고정 전극부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 도체, 상기 상,하 회전체의 내측에 공급 또는 유입되는 유체를 미립화와 함께 박막 형태로 이동시키는 유체 미립화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회전체의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 면에는 미립화된 유체가 통과되는 각각의 복수 개의 슬릿홈, 상기 각각의 슬릿홈에는 그 각각의 슬릿홈을 타고 흐르는 일부의 10㎛ 이하로 초미립화된 유체가 통과되어 흐르는 각각의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미립화부는 하 회전체에 공급 또는 유입되는 유체가 1차 충돌에 의해 미립화와 함께 박막 형태로 타고 흘러 넘어가는 제1 가이드 벽, 상기 제1 가이드 벽을 타고 흘러 넘어오는 미립화된 유체가 재차 충돌에 의해 초미립화 되면서 상부와 하부로 박막 형태로 흘러 이동되면서 상하부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 공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가이드 벽을 포함하는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벽과 회전 도체가 개재된 상 회전체 및 하 회전체의 내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벽의 각각의 가이드 공을 통과한 미립화된 유체가 두께 1.6㎛ 이하의 초박막 형태로 타고 흘러 상기 회전 도체와 슬릿홈 및 통과공으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마주보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는 각각의 초박막 이동면을 더 포함하는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도체와 고정 전극부의 각 고정전극에는 각각의 유전체가 코팅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상,하부 브래킷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 전극부의 각 고정 전극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각각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 조절부는 간격 유지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 브래킷 또는 하부 브래킷을 간격을 조절하는 각각의 조절볼트로 구성되는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KR1020210025848A 2021-02-25 2021-02-25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KR102552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848A KR102552724B1 (ko) 2021-02-25 2021-02-25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848A KR102552724B1 (ko) 2021-02-25 2021-02-25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65A KR20220121965A (ko) 2022-09-02
KR102552724B1 true KR102552724B1 (ko) 2023-07-18

Family

ID=8328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848A KR102552724B1 (ko) 2021-02-25 2021-02-25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7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0818A1 (en) 2007-07-06 2009-01-08 Seok Kyun Song Atmospheric Pressure Plasma Generating Apparatus by Induction Electrode
US20110284437A1 (en) 2010-05-20 2011-11-24 Symbios Technologies LLC Tubular high-density plasma reactor
JP6736063B2 (ja) 2015-05-28 2020-08-05 国立大学法人佐賀大学 プラズマ殺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741B1 (ko) 2005-02-18 2007-08-02 주식회사 에코프롬 수산기 생성용 수중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1553683B1 (ko) 2014-03-21 2015-09-17 주식회사 썬더기술 회전식 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1683052B1 (ko) 2015-05-14 2016-12-06 남윤혜 유전체 장벽 방전을 이용한 오존발생장치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오존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0818A1 (en) 2007-07-06 2009-01-08 Seok Kyun Song Atmospheric Pressure Plasma Generating Apparatus by Induction Electrode
US20110284437A1 (en) 2010-05-20 2011-11-24 Symbios Technologies LLC Tubular high-density plasma reactor
JP6736063B2 (ja) 2015-05-28 2020-08-05 国立大学法人佐賀大学 プラズマ殺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65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76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ntibiotic liquid
ES2544591T3 (es) Dispositivo de descontaminación del aire
US8968576B2 (en) Nebulizing treatment method
KR102418203B1 (ko) 과산화수소의 생성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JP5714955B2 (ja) 空調装置
CN102552957B (zh) 一种消毒剂蒸气消毒设备
JP2007333316A (ja) 液処理装置、空気調和装置、及び加湿器
JP2006305321A (ja) 空気浄化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空気清浄機および加湿器
JP2006280698A (ja) 空気浄化装置
CN111511462A (zh) 自由基发生器和使用方法
JP4915958B2 (ja) 空気清浄装置
JP4697625B2 (ja) 殺菌脱臭装置
KR102552724B1 (ko) 회전식 플라즈마 활성물질 생성장치
KR20200111576A (ko) 썬더볼트방전과 마이크로버블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시스템
WO2024051629A1 (zh) 雾化电晕油烟废气净化装置及净化方法
JP2006212588A (ja) 空気浄化装置および空気清浄機および加湿器
JP2006097960A (ja) 空気浄化装置および空気清浄機および加湿器
CN116697512A (zh) 水雾洗装置
CN113398308B (zh) 蒸发装置和蒸发方法
JP2009115440A (ja) 遠心式加湿器
WO2023127836A1 (ja) 気体処理装置、及び気体処理方法
CN115297898B (zh) 使用等离子体放电水的防疫系统以及将等离子体放电水雾化成液滴的喷嘴
WO2023127838A1 (ja) 活性酸素供給装置
KR102611637B1 (ko) 씰링부가 불필요한 회전형 기액 혼합장치
WO2023127832A1 (ja) 活性酸素供給装置、活性酸素による処理装置及び活性酸素による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