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444B1 -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 및 콜렛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 및 콜렛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444B1
KR102552444B1 KR1020210031108A KR20210031108A KR102552444B1 KR 102552444 B1 KR102552444 B1 KR 102552444B1 KR 1020210031108 A KR1020210031108 A KR 1020210031108A KR 20210031108 A KR20210031108 A KR 20210031108A KR 102552444 B1 KR102552444 B1 KR 102552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collet body
fitting hole
extension part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871A (ko
Inventor
강대혁
서충수
황도연
Original Assignee
강대혁
서충수
황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혁, 서충수, 황도연 filed Critical 강대혁
Priority to KR102021003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4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06Making more than one part out of the same blank; Scrapless wo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1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rings, e.g. barrel h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 및 콜렛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조립식 콜렛은, 호스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의 수용공간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콜렛바디와; 상기 콜렛바디의 수용공간내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수단에 조립 방식으로 결합하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된 호스를 고정하는 라쳇티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은, 콜렛바디와 라켓티스가 조립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치수 정밀도가 양호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콜렛 제작방법은, 인서트사출 방식이 아니므로 고가의 사출금형이 필요 없어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정밀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 및 콜렛 제작방법{Assembling type collet for hose conn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호스의 연결에 사용되는 피팅용 콜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서트사출 방식이 아닌 조립 방식으로 제작되므로, 생산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정밀한 치수 규격을 갖는,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 및 콜렛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체나 기체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호스는, 다양한 종류의 피팅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피팅은, 분리되어 있는 호스의 단부가 끼움 결합하는 부속으로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설계를 가지며, 호스의 배관을 보다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피팅으로서, 도 1에 도시한, 정수기의 호스를 연결하는 피팅(10)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팅(10)을 호스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피팅(10)은, 내부 유로를 제공하는 바디(11)와, 바디(11)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콜렛(12)으로 이루어진다. 콜렛(12)은 외부로부터 끼워진 호스(13)의 단부를 물어 고정하는 부속이다. 분리된 두 개의 호스(13)는 피팅(10)을 통해 상호 연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콜렛(12)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프레싱된 금속소재(14)에 콜렛바디(17)가 사출 성형된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콜렛(12)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콜렛바디(17)와, 콜렛바디(17)에 내장되는 라쳇티스(15)로 이루어지며,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작된다. 즉, 프레싱 가공을 마친 금속소재(14)을 사출금형 내에 세팅한 후, 금형 내 수지를 압입하여 콜렛바디(17)를 성형하는 것이다.
압입된 수지는 설계된 모양으로 성형되며 라쳇티스(15)와 일체를 이룬다. 라쳇티스(15)는, 라쳇부(15a)와 지지다리(15c)로 이루어지고 콜렛바디(17) 내에 매몰되되, 라쳇부(15a)가 콜렛바디(17)의 내측 공간으로 노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콜렛(12)은,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작되므로, 인서트 사출용 금형을 사용해야 하는 만큼,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제품의 단가도 높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제품의 정밀성도 그다지 높지 못하다. 그 이유는, 금형 내 수지의 압입 시, 수지의 압력에 의해 금속소재(14)이 미세하게 움직이거나, 라쳇티스(15)가 위아래로 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피팅과 관련한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4122호 (정수기용 피팅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피팅장치는, 양측단에 콜레트가 삽입되는 설치공간부를 형성하고 양단의 설치공간부는 내측 유로에 의해 연결된 조인트 몸체와 설치공간부에 삽입 설치되는 콜레트와 조인트 내에서 누수를 방지하는 O-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정수기용 피팅장치에 있어서, 조인트 몸체에 콜레트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요홈과; 배관 및 호스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한 바디의 일측단으로 환테를 일체로 구비하고 타측단으로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걸림턱 내주면에는 인서트판이 설치되며 바디와 걸림턱은 절결홈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져 형성되되 환테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콜레트로 구성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4122호 (정수기용 피팅장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94412호 (버튼 타입의 정수기 호스 피팅부재)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치수 정밀도가 양호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높은, 호스 연결용 조립식 콜렛과 콜렛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은, 호스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의 수용공간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콜렛바디와; 상기 콜렛바디의 수용공간내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수단에 조립 방식으로 결합하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된 호스를 고정하는 라쳇티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콜렛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을 갖는 원통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콜렛바디의 방사 방향으로 관통되며, 콜렛바디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끼움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라쳇티스는;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한 것으로서,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일체를 이루며 연장부가 끼움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라쳇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구멍은; 중앙끼움구멍과, 중앙끼움구멍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사이드끼움구멍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중앙끼움구멍에 삽입되는 메인연장부와, 각 사이드끼움구멍에 삽입되는 측부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연장부의 단부는, 벌림홈에 의해 갈라져 있고, 메인연장부의 연장단부는, 메인연장부가 중앙끼움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벌림홈을 기준으로 좌우로 벌어져, 콜렛바디의 외주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부연장부의 단부는, 사이드끼움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단부가 벤딩되어 콜렛바디의 외주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부연장부의 단부는, 사이드끼움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단부가 벤딩되어 콜렛바디의 외주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콜렛 제작방법은, 호스가 끼워질 수 있는 내경의 수용공간을 갖는 콜렛바디를 제작하는 콜렛바디 성형단계와;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상기 콜렛바디내에 조립할 라쳇티스를 얻는 라쳇티스 제작단계와; 상기 라쳇티스 제작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라쳇티스를, 콜렛바디의 수용공간내에 삽입 후 콜렛바디에 결합시키는 조립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콜렛바디에는, 라쳇티스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더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립단계는; 상기 라쳇티스를 지지수단에 근접 배치시키는 정위치공정과, 상기 정위치공정을 통해 정위치 된 라쳇티스를, 상기 지지수단에 가조립하는 가조립공정과; 가조립된 상태의 라쳇티스를 소성변형 시켜, 콜렛바디에 대한 라쳇티스의 결합을 완료하는 고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콜렛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콜렛바디의 방사방향으로 관통되어 수용공간을 방사방향으로 개방하는 다수의 끼움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라쳇티스는,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일체를 이루며 연장부가 끼움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라쳇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위치공정은;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끼움구멍의 입구부위에 대응 배치시키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조립공정은, 상기 연장부를 끼움구멍으로 완전히 삽입시켜 연장부의 단부가 콜렛바디의 외부으로 돌출되게 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공정은; 상기 콜렛바디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연장부의 단부를 벤딩시켜, 연장부가 끼움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는 컬링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은, 콜렛바디와 라켓티스가 조립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치수 정밀도가 양호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콜렛 제작방법은, 인서트사출 방식이 아니므로 고가의 사출금형이 필요 없어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정밀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피팅을 호스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콜렛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 제작방법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 제작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조립식 콜렛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콜렛에 사용할 수 있는 라쳇티스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도 6a에 도시한 라쳇티스가 적용되는 콜렛의 조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콜렛에 적용 가능한 다른 형식의 라쳇티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a의 라쳇티스가 적용되는 콜렛의 조립 방식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콜렛 제작방법은, 호스가 끼워질 수 있는 내경의 수용공간을 갖는 콜렛바디를 제작하는 콜렛바디 성형단계와;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상기 콜렛바디내에 조립할 라쳇티스를 얻는 라쳇티스 제작단계와; 상기 라쳇티스 제작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라쳇티스를, 콜렛바디의 수용공간내에 삽입 후 콜렛바디에 결합시키는 조립단계가 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콜렛은, 호스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의 수용공간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콜렛바디와; 상기 콜렛바디의 수용공간내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수단에 조립 방식으로 결합하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된 호스를 고정하는 라쳇티스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 제작방법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렛 제작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콜렛 제작 방법은, 콜렛바디 성형단계(101), 라쳇티스 제작단계(103), 조립단계(111)를 포함한다.
콜렛바디 성형단계(101)는, 도 4a에 도시한 콜렛바디(30)를 제작하는 과정이다. 콜렛바디(30)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대략 원통의 형상을 취한다. 또한 콜렛바디(30)의 중심축부에는 일정 내경의 수용공간(30a)이 마련되어 있다. 수용공간(30a)은 일정 내경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삽입된 호스(미도시)를 수용한다.
또한 콜렛바디(30)에는 상부로 개방된 네 개의 절개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절개홈(31a)은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콜렛바디(30)에 네 개의 분할편(31)을 만든다. 분할편(31)은 상호 분리된 상태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콜렛바디(30)에는 후수할 라쳇티스(40)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수단은, 각 분할편(31)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끼움구멍(32a)과, 두 개의 사이드끼움구멍(32c)이다. 사이드끼움구멍(32c)은 중앙끼움구멍(32a)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중앙끼움구멍(32a)과 사이드끼움구멍(32c)은, 분할편(3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다. 다시 말하면 콜렛바디(30)의 방사 방향으로 관통된 것이다.
라쳇시트 제작단계(103)는, 콜렛바디(30)에 결합시킬 라쳇티스(40)를 만드는 과정이다. 라쳇티스(40)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소재(14)를 프레싱 하여 제작되며, 네 개가 상호 연접한 상태로 수용공간(30a)에 수용된다.
각 라쳇티스(40)는, 라쳇부(41), 메인연장부(42), 측부연장부(43)를 갖는다. 메인연장부(42)는, 중앙끼움구멍(32a)에, 측부연장부(43)는 사이드끼움구멍(32c)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특히 메인연장부(42)의 연장단부에는 벌림홈(42a)이 형성되어 있다. 벌림홈(42a)은 벌림공구(도 4d의 63)의 선단삽입부(63a)의 삽입에 의해 벌어지는 부분이다.
메인연장부(42)의 연장단부는 벌림공구(63)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벤딩되어,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렛바디의 외주면에 걸림으로서, 라쳇티스(40)가 콜렛바디(3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라쳇부(41)는, 메인연장부(42) 및 측부연장부(43)가, 중앙끼움구멍(32a) 및 사이드끼움구멍(32c)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공간(30a)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된다.(도 4d 참조) 라쳇부(41)는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삽입된 호스의 외주면을 찍어 눌러 호스가 빠지지 않게 작용한다.
콜렛바디 성형단계(101)와 라쳇티스 제작단계(103)를 통해, 콜렛바디(30) 및 라쳇티스(40)의 제작이 완료되었다면, 조립단계(111)를 수행한다. 조립단계(111)는, 네 개의 라쳇티스(40)를, 콜렛바디(30)의 수용공간(30a)내에 삽입 한 후,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려 콜렛바디(30)에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이러한 조립단계(111)에는, 정위치공정(113), 가조립공정(114), 고정공정(115)이 포함된다.
정위치공정(113)은, 라쳇티스(40)를, 지지수단, 즉 중앙끼움구멍(32a) 및 사이드끼움구멍(32c)에 대응 배치시키는 과정이다. 즉, 도 4b 및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쳇티스(40)를 수용공간(30a)내에 위치시키되 메인연장부(42)와 측부연장부(43)가, 중앙끼움구멍(32a)과 사이드끼움구멍(32c)에 각각 대응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 때의 라쳇티스(40)는 네 개가 상호 연접한 상태이다. 정위치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지그를 사용할 수 있다.
가조립공정(114)은, 정위치 된 라쳇티스(40)를 벌려 중앙끼움구멍(32a) 및 사이드끼움구멍(32c)에 삽입하는 과정이다. 즉 라쳇티스(40)를 도 4d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라쳇티스(40)의 메인연장부(42)는 중앙끼움구멍(32a)에, 측부연장부(43)는 사이드끼움구멍(32c)에 완전히 끼우는 것이다.
가조립공정(114)을 완료함에 따라, 메인연장부(42)의 연장단부는, 중앙끼움구멍(32a)을 완전히 통과하여 분할편(31)의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되게 된다. 돌출거리는 라쳇티스(40)의 설계 사항이다. 또한 이 때 라쳇부(41)는 분할편(31)의 내주면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어지는 고정공정(115)은, 가조립된 상태의 메인연장부(42)의 단부를 화살표 a방향으로 벌려, 메인연장부(42)의 단부가 분할편(3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컬링과정(115a)을 포함한다. 컬링과정(115a)은 벌림홈(42a)에 선단삽입부(63a)를 밀어 넣어, 메인연장부(42)의 단부를 a방향으로 벌려 소성변형 시키는 과정이다.
컬링과정(115a)을 수행함에 따라, 콜렛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의 단부가 벤딩되므로, 연장부가 끼움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컬링과정(115a)을 진행하는 동안 수용공간(30a) 내에 별도의 지지용 지그(미도시)를 끼워, 각 라쳇티스(40)가 밀리지 않게 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컬링과정(115a)을 수행함에 있어서, 메인연장부(42)만 벤딩시킬 수도 있고, 도 6b에 도시한 것처럼 메인연장부(42)와 측부연장부(43)를 모두, 또는 도 8b와 같이 측부연장부(43)만 벤딩 시킬 수 있다. 어떤 부분을 구부릴지는, 사용할 라쳇티스(40)의 모양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도 4e에 도시한 구조의 콜렛(50) 제작이 완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조립식 콜렛(50)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에 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조립식 콜렛(50)은, 원통형 콜렛바디(30)와, 라쳇티스(40)로 구성된다. 콜렛바디(3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한 것으로서, 일정 내경의 수용공간(30a)을 제공한다. 수용공간(30a)은 호스가 끼워지는 공간이다.
아울러 수용공간(30a)의 내주면에는 라쳇부(41)가 고정되어 있다. 라쳇부(41)는, 수용공간(30a)에 삽입된 호스의 외주면을 찍어 눌러, 호스가 자력으로 빠지지 않게 한다.
라쳇티스(40)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소재(14)를 프레싱 가공한 부품으로서, 각 분할편(31)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수단인 중앙끼움구멍(32a) 및 사이드끼움구멍(32c)에 삽입된 후 벤딩되어 콜렛바디(30)에 대한 결합을 유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콜렛(50)은, 호스 연결용 피팅의 바디(도 1의 11)에 장착되어 본연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콜렛바디의 수용공간내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수단에 조립 방식으로 결합하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된 호스를 고정하는 라쳇티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조립식 콜렛.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콜렛(50)에 사용할 수 있는 라쳇티스(40)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7c는 도 6a에 도시한 라쳇티스가 적용되는 콜렛의 조립 방식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 라쳇부(41)에 메인연장부(42) 및 측부연장부(43)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메인연장부(42)의 단부에는 벌림홈(4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6b에 도시한 라쳇티스(40)는, 측부연장부(43)의 길이가 도 4에 도시한 타입의 라쳇티스의 측부연장부보다 상대적으로 길어, 측부연장부(43)를 사이드끼움구멍(32c)에 완전히 삽입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연장부(43)의 단부가 분할편(31)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된다. 측부연장부(43)를 길게 제작한 이유는, 측부연장부(43)의 단부를 컬링가공하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하면, 측부연장부(43)의 단부를 구부리기 위해서이다.
도 6b는 라쳇티스(40)가 콜렛바디(30)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연장부(62)의 선단부가 양측으로 벌어져 있고, 측부연장부(43)는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라쳇티스(40)를 콜렛바디(3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네 개의 라쳇티스(40)를 수용공간(30a)에 동시에 삽입한 후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 메인연장부(42)는 중앙끼움구멍(32a)에, 측부연장부(43)는 사이드끼움구멍(32c)에 완전히 끼워지게 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메인연장부(42)와 측부연장부(43)의 단부가, 분할편(31)을 두께 방향으로 통과하여 분할편(3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메인연장부(42)의 단부와 양측의 측부연장부(43)의 단부를 구부리면, 도 7c와 같이, 콜렛바디(30)에 대한 라쳇티스(40)의 결합이 완료된다. 라쳇부(41)는 분할편(31)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됨은 물론이다. 라쳇부(41)는 수용공간(30a)에 끼워진 호스의 외주면을 물어 호스가 자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콜렛에 적용 가능한 다른 형상의 라쳇티스(4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a의 라쳇티스가 적용되는 콜렛의 조립 방식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8a의 라쳇티스(40)는, 메인연장부(42)에 벌림홈(42a)이 생략되어 있는 타입의 라쳇티스로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측부연장부(43)만 벤딩시켜 고정시킨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렛바디(30)의 수용공간(30a)에 네 개의 라쳇티스(40)를 삽입 후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 각 라쳇티스(40)를 중앙끼움구멍(32a) 및 사이드끼움구멍(32c)에 끼우면, 메인연장부(42)의 단부와 측부연장부(43)의 단부가, 중앙끼움구멍(32a) 및 사이드끼움구멍(32c)을 통과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각 측부연장부(43)의 단부를 한쪽방향으로 구부리면, 콜렛바디(30)에 대한 라쳇티스(40)의 결합이 완료되어 콜렛(50)이 완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피팅 11:바디 12:콜렛
13:호스 14:금속소재 15:라쳇티스
15a:라쳇부 15c:지지다리 17:콜렛바디
30:콜렛바디 30a:수용공간 31:분할편
31a:절개홈 32a:중앙끼움구멍 32c:사이드끼움구멍
40:라쳇티스 41:라쳇부 42:메인연장부
42a:벌림홈 43:측부연장부 50:콜렛
63:벌림공구 63a:선단삽입부

Claims (11)

  1. 호스가 끼워질 수 있는 내경의 수용공간을 갖는 콜렛바디를 제작하는 콜렛바디 성형단계;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상기 콜렛바디내에 조립할 라쳇티스를 얻는 라쳇티스 제작단계;
    상기 라쳇티스 제작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라쳇티스를, 콜렛바디의 수용공간내에 삽입 후 콜렛바디에 결합시키는 조립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콜렛바디에는, 라쳇티스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더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립단계는 상기 라쳇티스를 지지수단에 근접 배치시키는 정위치공정과, 상기 정위치공정을 통해 정위치 된 라쳇티스를, 상기 지지수단에 가조립하는 가조립공정 및 가조립된 상태의 라쳇티스를 소성변형 시켜, 콜렛바디에 대한 라쳇티스의 결합을 완료하는 고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콜렛 제작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렛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콜렛바디의 방사방향으로 관통되어 수용공간을 방사방향으로 개방하는 다수의 끼움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라쳇티스는,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일체를 이루며 연장부가 끼움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라쳇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위치공정은,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끼움구멍의 입구부위에 대응 배치시키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콜렛 제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조립공정은, 상기 연장부를 끼움구멍으로 완전히 삽입시켜 연장부의 단부가 콜렛바디의 외부으로 돌출되게 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콜렛 제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정은, 상기 콜렛바디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연장부의 단부를 벤딩시켜, 연장부가 끼움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는 컬링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콜렛 제작방법.
  6. 호스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의 수용공간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콜렛바디와,
    상기 콜렛바디의 수용공간내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수단에 조립 방식으로 결합하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된 호스를 고정하는 라쳇티스를 구비하며,
    상기 콜렛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을 갖는 원통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콜렛바디의 방사 방향으로 관통되며, 콜렛바디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끼움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라쳇티스는,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한 것으로서,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일체를 이루며 연장부가 끼움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라쳇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조립식 콜렛.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멍은, 중앙끼움구멍과, 중앙끼움구멍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사이드끼움구멍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중앙끼움구멍에 삽입되는 메인연장부와, 각 사이드끼움구멍에 삽입되는 측부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조립식 콜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연장부의 단부는, 벌림홈에 의해 갈라져 있고, 메인연장부의 연장단부는, 메인연장부가 중앙끼움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벌림홈을 기준으로 좌우로 벌어져, 콜렛바디의 외주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조립식 콜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연장부의 단부는, 사이드끼움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단부가 벤딩되어 콜렛바디의 외주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조립식 콜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연장부의 단부는, 사이드끼움구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단부가 벤딩되어 콜렛바디의 외주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조립식 콜렛.
KR1020210031108A 2021-03-10 2021-03-10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 및 콜렛 제작방법 KR102552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108A KR102552444B1 (ko) 2021-03-10 2021-03-10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 및 콜렛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108A KR102552444B1 (ko) 2021-03-10 2021-03-10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 및 콜렛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871A KR20220126871A (ko) 2022-09-19
KR102552444B1 true KR102552444B1 (ko) 2023-07-06

Family

ID=8346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108A KR102552444B1 (ko) 2021-03-10 2021-03-10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 및 콜렛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4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919B1 (ko) * 1996-11-14 2000-06-01 최민철 튜브관 연결구용 콜레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12B1 (ko) 2007-07-26 2009-04-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버튼 타입의 정수기 호스 피팅부재
KR20170054122A (ko) 2015-11-09 2017-05-17 김기래 정수기용 피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919B1 (ko) * 1996-11-14 2000-06-01 최민철 튜브관 연결구용 콜레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871A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134B1 (ko) 커넥터 조립체
US6270125B1 (en) Molded tubing assemblies
US4969667A (en) Hose coupling
JP2005509824A (ja) クイックリリース型管継手
US5314210A (en) Device for connecting a flexible pipe to a rigid tubular joining piece
US8782872B2 (en) Multi-piece piping connector using grooves and method of connecting pipe using the same
JPH03140695A (ja) 管継手
US5758905A (en) Tube joint
RU2536461C2 (ru) Муфта с активируемым уплотнением
CZ294360B6 (cs) Způsob výroby spojovacího dílu a montážní sada pro jeho kompletaci
JP2004011912A (ja) 二つのダクト要素を相互接続するための接続手段
EP2372210A2 (en) Coupling element
JP2006266345A (ja) 差込式管継手
KR102552444B1 (ko) 호스연결용 조립식 콜렛 및 콜렛 제작방법
JP2010019298A (ja) 継手
RU2313718C2 (ru) 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высоконапор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5135267A (en) Connection fittings and combination thereof with conduits and method of assembly
JP5400367B2 (ja) 電気融着継手
CN112236612A (zh) 用于软管结构的接头装置
CN106247041B (zh) 具有固定部件的接头和制造密封连接的方法
KR100998520B1 (ko) 니플의 제조방법
JP7312389B2 (ja) プレス式管継手
EP3301339B1 (en) Assembly of a press-fitting connector and a corrugated pipe and kit comprising the assembly and a press-fitting tool for its application
KR0145311B1 (ko) 튜브를 빠르게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US11815208B2 (en) Fitting for connecting pipes, in particular flexible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