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347B1 -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 Google Patents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347B1
KR102552347B1 KR1020210107701A KR20210107701A KR102552347B1 KR 102552347 B1 KR102552347 B1 KR 102552347B1 KR 1020210107701 A KR1020210107701 A KR 1020210107701A KR 20210107701 A KR20210107701 A KR 20210107701A KR 102552347 B1 KR102552347 B1 KR 10255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air
members
bed frame
air out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5517A (ko
Inventor
김우람
Original Assignee
(주)가구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구타운 filed Critical (주)가구타운
Priority to KR102021010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347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04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integrated in or forming part of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프레임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전면, 후면, 양 측면 및 저면 및 상부 표면이 EPP(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형성되고, 외부 송풍기와 연결 가능한 공기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주입구와 연결되어 통풍 가능한 공기 통로 층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 표면에 매트리스 수용 홈을 가지며 상기 매트리스 수용 홈의 상부에 복수의 공기 송출구가 형성되는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라텍스 소재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매트리스 수용 홈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는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사이로 공기가 송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의 상부 표면은 상기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의 전면, 후면, 양 측면 및 저면에 비해 낮은 강도의 EPP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MATTRESS FRAME WITH BLASTING FUNCTION}
본원은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에 연관된다. 구체적으로는, 친환경 EPP 소재로 제조된 침대 프레임 내부에 공기층, 공기층에 연결되는 공기주입구, 및 공기층으로부터 침대 프레임 상부 표면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송출구를 구비하여 프레임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위에 누워있는 사람에게 냉풍 또는 온풍을 제공할 수 있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에 연관된다.
종래의 매트리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여름 또는 겨울에 매트리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온도 때문에 매트리스의 온도 또한 높아져 불편을 야기하거나 실내 온도가 낮아져 사용자가 추위를 느끼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고려하여, 통풍이 가능한 소재를 이용한 매트리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통풍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매트리스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통풍 기능을 장착하거나 매트리스 하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매트리스 상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종래기술들은 매트리스 하부 또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므로 매트리스의 모든 방향으로 공기가 송출될 수 있어 공기가 상부로 집중되지 못하여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원의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은 공기 통로층의 공기가 프레임의 상부 표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으로는 공기가 송출될 수 없는 구조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전면, 후면, 양 측면 및 저면 및 상부 표면이 EPP(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형성되고, 외부 송풍기와 연결 가능한 공기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주입구와 연결되어 통풍 가능한 공기 통로 층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 표면에 매트리스 수용 홈을 가지며 상기 매트리스 수용 홈의 상부에 복수의 공기 송출구가 형성되는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EPP 소재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매트리스 수용 홈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는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사이로 공기가 송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의 상부 표면은 상기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의 전면, 후면, 양 측면 및 저면보다 낮은 강도의 EPP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공기 주입구에는 송풍 모터가 연결되고, 송풍 모터는 냉풍 또는 온풍의 주입이 가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공기 송출구들은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송출구들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기 통로 층 및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들은 배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기 송출구들은 배관 형상으로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은, 이미지 센서; 구동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들 각각에는 이미지 센서 및 복수의 커버 부재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침대 프레임 상에 물체가 놓여져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 상에 물체가 놓여져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가 놓여져 있는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커버 부재들을 이용하여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공기 송출구를 커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대 프레임 상의 물체의 무게, 크기 및 경도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가 사람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물체가 사람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커버 부재들이 상기 물체가 커버하는 범위 외의 공기 송출구들을 커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체가 사람이라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버 부재들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프레임은,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사이의 간격에 공기 송출구을 배치하여 매트리스 겸용 프레임 내부의 밀폐된 공기 통로층으로부터 프레임의 상부로 공기가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송출구로부터 송출되는 공기가 인체에 직접 닿게 하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공기송출구가 구비되는 본원의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 송출구 및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내부에 타공되어 형성되는 공기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또한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공기 송출구가 구비되는 본원의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100)은, 매트리스를 수용 가능한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 프레임 상부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1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따른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의 형상은 원형, 사다리꼴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는, 전면, 후면, 양 측면, 저면 및 상부 표면이 EPP (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람이 침대에 누웠을 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부 표면의 EPP 소재는 다른 측면보다 더 낮은 강도를 갖는 EPP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는, 외부 송풍기와 연결 가능한 공기 주입구(10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공기 주입구(104)가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측면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에는, 공기 주입구(104)와 연결되어 통풍 가능한 공기 통로 층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통로 층은, 일정한 두께의 층으로 형성되거나 배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 주입구(104)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공기 통로 층 안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구에는 송풍 모터가 연결되고, 송풍 모터는 냉풍 또는 온풍을 주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에는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101)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매트리스 수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101)은 매트리스 수용 홈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쿠션감 및 복원력이 뛰어난 라텍스 소재로 제조되어 침대 매트리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의 매트리스 수용 홈 상부에는 복수의 공기 송출구(102, 10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송출구(102, 103)는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사이로 공기가 송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침대 프레임 내부, 특히 공기 통로층은 완전 밀폐된 구조로서 공기 주입구(104)를 통해 주입된 공기는 공기 송출구(102, 103)를 통해서만 송출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기의 송출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사이의 간격에 공기 송출구가 배치되므로 공기 송출구로부터 송출되는 공기가 인체에 직접 닿게 되어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는 공기 배출구(105)를 구비할 수 있다. 본원은, 가볍고 내구성이 탁월한 방수/방풍이 완벽한 친환경 EPP 소재의 특성을 활용하여 공기 통로 층 및 공기 송출구를 별도의 장치가 아닌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내부에 타공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정시간 사용 후에 청소가 필요한 경우 공기 주입구(104)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개폐가 가능한 공기 배출구(105)를 통해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 송출구 및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통로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부재(100)의 매트리스 수용 홈에 배치되는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204) 사이에는, 복수의 공기 송출구(202, 20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송출구(202, 203)는 프레임 부재(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통로층(201)을 통해 공기 주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의 공기 통로층(201)은 배관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원의 공기 통로층(201)은 도 1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내부의 공기층 전체가 비어 있도록 타공되어 제조될 수 있다. 공기 송출구(202, 203)는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204) 사이에 형성되므로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204)의 측면 및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204)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공기 송출구들은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송출구들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은 공기 통로층의 공기가 프레임의 상부 표면을 통해서만 직접적으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매트리스 하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구조에 비해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은, 제어부(401), 구동부(402) 및 이미지 센서(403)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들 각각에는 이미지 센서(403) 및 복수의 커버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침대 프레임 상에 물체가 놓이는 경우, 제어부(401)는 이미지 센서(403)를 이용하여 전체 침대 프레임 중에서 물체가 놓여있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영역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401)는 상기 이미지 센서(403)를 이용하여 상기 침대 프레임 상에 물체가 놓여져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403)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 상에 물체가 놓여져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401)는 상기 물체가 놓여져 있는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커버 부재들을 이용하여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공기 송출구를 커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누워있는 영역에 대한 공기 송출구만 개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집중적인 바람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1)는, 상기 침대 프레임 상의 물체의 무게, 크기 및 경도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가 사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1)는, 물체의 무게, 크기 및 경도를 판단한 결과 물체가 사람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402)를 이용하여 커버 부재들이 상기 물체가 커버하는 범위 외의 공기 송출구들을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01)는, 상기 물체가 사람이라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버 부재들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커버 부재의 구동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직육면체의 형태로 전면, 후면, 양 측면 및 저면 및 상부 표면이 EPP(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형성되고, 외부 송풍기와 연결 가능한 공기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주입구와 연결되어 통풍 가능한 공기 통로 층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 표면에 매트리스 수용 홈을 가지며 상기 매트리스 수용 홈의 상부에 복수의 공기 송출구가 형성되는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
    라텍스 소재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매트리스 수용 홈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는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 사이로 공기가 송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의 상부 표면은 상기 매트리스 수용 프레임의 전면, 후면, 양 측면 및 저면보다 낮은 강도의 EPP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공기 송출구들은 상기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들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송출구들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고, 상기 공기 송출구들의 지름은 공기 통로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구에는 송풍 모터가 연결되고, 송풍 모터는 냉풍 또는 온풍의 주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 층 및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들은 배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
    구동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들 각각에는 이미지 센서 및 복수의 커버 부재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침대 프레임 상에 물체가 놓여져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송출구 상에 물체가 놓여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가 놓여져 있는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커버 부재들을 이용하여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공기 송출구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대 프레임 상의 물체의 무게, 크기 및 경도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가 사람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물체가 사람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커버 부재들이 상기 물체가 커버하는 범위 외의 공기 송출구들을 커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체가 사람이라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버 부재들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KR1020210107701A 2021-08-14 2021-08-14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KR10255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701A KR102552347B1 (ko) 2021-08-14 2021-08-14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701A KR102552347B1 (ko) 2021-08-14 2021-08-14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517A KR20230025517A (ko) 2023-02-21
KR102552347B1 true KR102552347B1 (ko) 2023-07-06

Family

ID=8532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701A KR102552347B1 (ko) 2021-08-14 2021-08-14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3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00B1 (ko) * 2006-01-06 2007-02-22 박종윤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142B1 (ko) * 2012-03-06 2013-12-20 (주)에스티에너지 냉난방 기구가 구비된 침대
KR20150121929A (ko) * 2014-04-22 2015-10-30 케이제이알디 (주) 온열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00B1 (ko) * 2006-01-06 2007-02-22 박종윤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517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3597B1 (en) Body support cushion with ventilation system
ES2826991T3 (es) Soporte del cuerpo con sistema de fluido y método de funcionamiento de éste
CN111712222B (zh) 主动控制舒适度的床具系统
US8640281B2 (en) Non-inflatable temperature control system
ES2558537T3 (es) Soporte amortiguador
EP3634181B1 (en) Active comfort controlled bedding systems
US20220007846A1 (en) Active comfort controlled bedding systems
US20160346113A1 (en) Sleep device
KR102589796B1 (ko) 스마트 베드 시스템
EP2957191B1 (en) A top mattress
KR102552347B1 (ko)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KR20090108518A (ko) 냉풍, 자연풍 송풍 기능 및 온열 기능을 구비한온수보일러 에어 매트리스
KR102572452B1 (ko) 송풍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겸용 침대 프레임
JP7334002B1 (ja) マットレス
KR20210035183A (ko) 베딩 시스템 및 방법
KR102589797B1 (ko) 스마트 베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70050471A (ko) 기능층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US20200029702A1 (en) Bedding system and method
KR20100009876U (ko) 송풍수단을 구비하는 매트리스
WO2005034690A1 (en) Cushion for improving health
JP2005342225A (ja) 通気型ベッド
JP3073621U (ja) ペット動物の保冷保温用クッション具
KR200423686Y1 (ko) 통풍매트
JPH0870960A (ja) ふとん通気マット
JP2002136394A (ja) 送風機構付マット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