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872B1 -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872B1
KR102551872B1 KR1020220101257A KR20220101257A KR102551872B1 KR 102551872 B1 KR102551872 B1 KR 102551872B1 KR 1020220101257 A KR1020220101257 A KR 1020220101257A KR 20220101257 A KR20220101257 A KR 20220101257A KR 102551872 B1 KR102551872 B1 KR 10255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user
nft
metaverse
pie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현
Allan Ambe Awanchiri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인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인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인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8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AI음악 작곡 시스템 내부의 인공지능작곡모델이 복수의 AI음악을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AI음악 각각을 기설정된 길이 단위로 분할하여 AI음악조각을 생성하고, 상기 AI음악조각을 메타버스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면, 메타버스에 입장한 사용자는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을 통해 1 이상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하고, 수집한 1 이상의 AI음악조각을 통해 본인만의 노래를 쉽게 작곡할 수 있으며, 해당 노래에 대한 NFT를 발행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The Music-NFT Generating System based on AI Performed in Metaverse}
본 발명은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AI음악 작곡 시스템 내부의 인공지능작곡모델이 복수의 AI음악을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AI음악 각각을 기설정된 길이 단위로 분할하여 AI음악조각을 생성하고, 상기 AI음악조각을 메타버스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면, 메타버스에 입장한 사용자는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을 통해 1 이상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하고, 수집한 1 이상의 AI음악조각을 통해 본인만의 노래를 쉽게 작곡할 수 있으며, 해당 노래에 대한 NFT를 발행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메타버스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및 발명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메타버스(Metaverse)란,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가상세계를 가리킨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으로, 아바타를 활용해 단지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 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술한 메타버스에서 내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지식재산권 혹은 고유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NFT란 개념이 도입되어,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NFT(Non-Fungible Token)란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대표하는 토큰을 의미하며, 기존의 가상자산과 달리 디지털 자산에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하고 있어 상호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즉, NFT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따라서 최초 발행자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어 위조 등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NFT 관련 기술은 메타버스 혹은 게임 등과 같은 가상현실에서의 활용성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
한편,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한 작곡 기술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는데,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4706호와 같이,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곡을 학습하고, 학습된 신경망에 초기 멜로디를 새로 넣어주면 새로운 곡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기재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걸맞는 곡을 직접 작곡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메타버스 등에 적용시키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즉, 메타버스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인공지능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본인이 원하는 음악을 작곡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4706호 (2018.04.27.)
본 발명은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AI음악 작곡 시스템 내부의 인공지능작곡모델이 복수의 AI음악을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AI음악 각각을 기설정된 길이 단위로 분할하여 AI음악조각을 생성하고, 상기 AI음악조각을 메타버스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면, 메타버스에 입장한 사용자는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을 통해 1 이상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하고, 수집한 1 이상의 AI음악조각을 통해 본인만의 노래를 쉽게 작곡할 수 있으며, 해당 노래에 대한 NFT를 발행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으로서, 기계학습된 인공지능작곡모델을 이용하여 AI음악을 생성하고, 생성한 AI음악을 복수의 AI음악조각으로 분할하는 AI음악생성부; 메타버스를 운영하는 메타버스관리부; 및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음악을 데이터베이스에 오디오파일형태로 저장하고,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해 NFT를 발행하는 NFT발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관리부는, 복수의 사용자가 본인의 캐릭터를 통해 입장가능한 가상공간으로 구성된 메타버스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AI음악조각을 메타버스 내 임의의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메타버스에 입장가능한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내에 배치된 복수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되,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AI음악조각을 발견하여 수집하거나, 혹은 AI음악조각마다 설정된 수행과제를 해결함으로써 해당 AI음악조각을 수집할 수 있는 메타버스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가 수집한 2 이상의 AI음악조각을 조합 또는 배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고유의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조각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NFT발행부는, 사용자가 작곡한 오디오파일형태의 사용자음악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오디오파일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사용자음악검증단계; 상기 사용자음악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 오디오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음악, 및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음악저장단계; 상기 사용자음악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 오디오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오디오파일을 블록체인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사용자음악등록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된 음악NFT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음악NFT발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악NFT는, 해당 음악에 대한 사용자음악정보; 및 해당 음악이 생성되는데 사용된 음악조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타버스관리부는, 상기 NFT발행부에 의하여 발행된 음악NFT에 해당하는 사용자음악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음악의 일부를 사용자음악조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음악조각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오디오파일, 혹은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사용자음악조각을 제3사용자에게 판매, 교환, 및 양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NFT거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악NFT거래부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음악조각을 상기 제3사용자에게 판매, 교환, 혹은 양도한 경우, 해당 사용자음악조각의 판매, 교환, 혹은 양도이력을 상기 NFT발행부로 전달하고, 상기 NFT발행부는, 상기 NFT발행부는,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상기 판매, 교환, 혹은 양도이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음악조각에 해당하는 음악NFT 및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상기 판매, 교환, 혹은 양도이력이 기록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3사용자에게 판매, 교환, 혹은 양도된 사용자음악조각은, 상기 제3사용자가 상기 제3사용자의 음악을 작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타버스관리부는, 복수의 사용자가 본인이 작곡한 음악을 공개하고, 공개한 음악의 스트리밍 횟수, 및 다운로드 횟수에 기초하여 순위를 매기는 차트를 생성하는 차트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은 공개된 사용자음악에 대해 소정의 비용을 상기 메타버스관리부에 지불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누구나 쉽게 음악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신이 만든 창작 영상 등과 같은 편집 영상물에 필요한 저작권 없는 음악을 직접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이 만든 음악조각을 바탕으로 작곡하므로 작곡에 대해 잘 모르는 사용자에게 저작권에 대한 우려를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내에서 본인의 활동에 따라 음악조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재미를 느끼고 서비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동기를 부여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인이 수집한 음악조각에 기초하여 본인이 직접 작곡할 수 있어 작곡의 난이도가 쉽고, 본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작곡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작곡한 음악에 대해 NFT를 발행함으로써, 본인이 직접 작곡한 곡에 대해 저작권을 등록하거나 소유권을 인정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작곡한 음악을 커뮤니티에 공개할 수 있고, 차트를 통해 본인이 작곡한 음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어, 본인이 작곡한 음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인이 작곡한 곡을 분할하여 생성한 사용자음악조각을 다른 사용자와 거래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작곡될 수 있는 음악이 더욱 다양해지고, 이를 통해 AI음악의 시장이 활성화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음악생성부에서 AI음악 및 그에 해당하는 AI음악조각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내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발행부에서 수행되는 사용자음악에 대한 NFT를 발행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본인의 사용자음악조각을 제3사용자에게 판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사용자가 구매한 사용자음악조각을 이용하여 제3사용자의 사용자음악을 작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음악조각의 거래이력을 해당 NFT에 기록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트생성부에서 차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으로서, 기계학습된 인공지능작곡모델을 이용하여 AI음악을 생성하고, 생성한 AI음악을 복수의 AI음악조각으로 분할하는 AI음악생성부(1000); 메타버스를 운영하는 메타버스관리부(2000); 및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음악을 데이터베이스에 오디오파일형태로 저장하고,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해 NFT를 발행하는 NFT발행부(3000);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는, 복수의 사용자가 본인의 캐릭터를 통해 입장가능한 가상공간으로 구성된 메타버스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AI음악조각을 메타버스 내 임의의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메타버스에 입장가능한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내에 배치된 복수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되,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AI음악조각을 발견하여 수집하거나, 혹은 AI음악조각마다 설정된 수행과제를 해결함으로써 해당 AI음악조각을 수집할 수 있는 메타버스제공부(2100); 및 상기 사용자가 수집한 2 이상의 AI음악조각을 조합 또는 배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고유의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조각병합부(2200);를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본 발명의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은 AI음악 및 AI음악조각을 생성하는 AI음악생성부(1000); 본 발명의 메타버스를 운영하는 메타버스관리부(2000); 및 사용자음악에 대해 NFT를 발행하는 NFT발행부(30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I음악생성부(1000)는 기계학습된 인공지능작곡모델을 이용하여 AI음악을 생성하는 AI음악작곡부(1100); 및 상기 AI음악작곡부(1100)에서 생성된 AI음악을 복수의 AI음악조각으로 분할하는 AI음악분할부(1200);를 포함한다.
상기 AI음악작곡부(1100)는 상기 인공지능작곡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AI음악을 작곡한다. 상기 인공지능작곡모델이 작곡하는 AI음악의 수는, 본 발명의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AI음악이란, 상기 인공지능작곡모델이 종래의 음원파일 등을 학습함으로써 생성한 음악에 해당하며, 상기 AI음악은 종래의 음원파일과 동일하지 않으며, 사람이 작곡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저작권자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I음악분할부(1200)는 상기 AI음악작곡부(1100)에서 생성한 복수의 AI음악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시간길이만큼 분할하여 AI음악조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AI음악작곡부(1100)에서 4분가량의 제1 AI음악을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의 관리자가 AI음악조각의 길이를 15초로 설정하면, 상기 AI음악분할부(1200)는 상기 제1 AI음악의 처음부터 끝까지 15초 간격으로 분할하여 총 16개의 AI음악조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AI음악분할부(1200)에서 생성된 복수의 AI음악조각은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로 전달된다.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는 메타버스를 운영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게 메타버스를 제공하는 메타버스제공부(2100); 사용자가 메타버스 내에 존재하는 2 이상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한 뒤 이를 병합하여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음악조각병합부(2200); 사용자가 본인의 사용자음악의 일부를 사용자음악조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음악조각생성부(2300); 사용자가 본인의 사용자음악에 대한 음악NFT를 발급받고 해당 사용자음악전체 혹은 해당 사용자음악조각을 제3사용자와 거래할 수 있는 음악NFT거래부(2400); 및 복수의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음악에 대한 순위 차트를 제공하는 차트생성부(2500);를 포함한다.
상기 메타버스제공부(2100)는, 복수의 사용자가 본인의 캐릭터를 통해 입장가능한 가상공간으로 구성된 메타버스를 생성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상공간은 3차원 가상공간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2차원 가상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는 상술한 "AI음악조각"이 배치될 수 있도록 구현된 가상현실 공간이며, 대중들이 인터넷 등의 공공네트워크를 통해 가상현실에 입장한 뒤 각자의 캐릭터를 이용하여 임의의 활동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상기 AI음악조각을 수집할 수 있는 가상현실 공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타버스는 본 발명의 음악NFT 생성 시스템이 제공하는 게임과 같은 응용서비스가 개시되는 가상현실 공간에 해당한다.
상기 메타버스제공부(2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메타버스를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는 상기 메타버스에 입장하여 AI음악조각을 수집하고, 사용자음악 및 사용자음악조각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한 음악NFT를 제공받는 등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가 제공하는 일련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음악조각병합부(2200)는,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특정 공간에 위치한 AI음악조각을 발견하거나 혹은 특정 AI음악조각에 설정된 수행과제를 해결함으로써 해당 AI음악조각을 획득하고, 이와 같은 메타버스 내의 활동을 통해 2 이상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하였을 때, 수집한 AI음악조각을 조합 또는 배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고유의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음악조각병합부(2200)는 후술하는 사용자음악조각을 상기 AI음악조각과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음악조각생성부(23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악조각병합부(2200)에서 생성된 사용자음악에 대해 음악NFT를 발급받은 후에, 상기 사용자음악의 일부를 사용자음악조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음악조각이란, 해당 사용자음악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만큼에 해당하는 음악조각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3분 30초 길이의 사용자음악에 대해서 해당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음악의 1분 내지 1분 17초 사이 구간을 사용자음악조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악NFT거래부(2400)는, 음악NFT를 발급받은 사용자음악; 혹은 음악NFT를 발급받은 사용자음악의 사용자음악조각;을 다른 사용자와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거래는 판매, 구매, 교환, 및 양도와 같은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NFT발행부(3000)는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해 NFT를 발행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음악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오디오파일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지를 검증하는 사용자음악검증부(3100); 상기 사용자음악 및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음악저장부(3200); 상기 사용자음악 및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시스템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사용자음악등록부(3300); 및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음악의 음악NFT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음악NFT발행부(3400);를 포함한다. 상기 NFT발행부(30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Data Base, DB)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오디오파일형태의 복수의 사용자음악, 각 사용자음악에 대한 사용자음악정보 및 각 사용자음악이 생성되는데 사용된 음악조각정보 등이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음악은 오디오파일형태, 예를 들어, mp3와 같은 파일로 저장되므로, 사용자는 본인의 사용자음악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해당 오디오파일을 오프라인 혹은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해 생성한 사용자음악을 본인이 제작한 동영상의 BGM(Back Ground Music)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생성된 사용자음악은 저작권이 없는 AI음악을 기반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시중의 다양한 동영상 플랫폼에서 사용하기 유용하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음악생성부(1000)에서 AI음악 및 그에 해당하는 AI음악조각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은, 기계학습된 인공지능작곡모델을 이용하여 AI음악을 생성하고, 생성한 AI음악을 복수의 AI음악조각으로 분할하는 AI음악생성부(10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상기 AI음악생성부(1000)는 기계학습된 인공지능작곡모델을 이용하여 AI음악을 생성하는 AI음악작곡부(1100); 및 상기 AI음악작곡부(1100)에서 생성된 AI음악을 복수의 AI음악조각으로 분할하는 AI음악분할부(1200);를 포함한다. 상기 인공지능작곡모델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장르별 복수의 기존 음원을 기학습함으로써, 각 장르에 해당하는 AI음악을 작곡할 수 있으며, 상기 학습되는 복수의 기존 음원은 10,000 곡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인공지능작곡모델은 기존에 존재하던 음원뿐만 아니라, 복수의 악기소리 및 코드패턴 등을 학습함으로써, 더욱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AI음악을 작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I음악작곡부(1100)의 인공지능작곡모델은 n 개(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AI음악을 작곡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AI음악을 제1 AI음악, 제2 AI 음악, ... 제n AI음악으로 명명하나, 실제 본 발명에서는 각 AI음악마다 각기 상이한 이름이 부여된다. 상기 n은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관리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메타버스에 접속하는 사용자, 상기 시스템이 운영하는 응용서비스의 총 이용자, 혹은 응용서비스 운영방향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n AI음악은 모두 다른 음악에 해당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AI음악 및 그에 해당하는 AI음악조각에 따른 수요에 기초하여, 동일한 AI음악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AI음악의 수요가 월등히 높은 경우, 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하여 제3 AI음악과 동일한 AI음악을 생성할 수 있으며, 혹은 제3 AI음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다른 AI음악의 수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AI음악작곡부(1100)에 의해 n개의 AI음악이 작곡되면, 상기 AI음악분할부(1200)는 상기 n개의 AI음악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시간길이만큼 분할하여 AI음악조각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AI음악은 제1-1 AI음악조각, 제1-2 AI음악조각, ... 제1-m AI음악조각으로 분할될 수 있고(m은 2 이상의 자연수), 상기 제n AI음악조각은, 제n-1 AI음악조각, 제n-2 AI음악조각, ... 제n-i AI음악조각으로 분할(i는 2 이상의 자연수)될 수 있다. 전술한 음악조각 각각의 이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명명하나, 실제 본 발명에서는 각 AI음악조각마다 각기 상이한 이름이 부여된다. 상기 m 및 상기 i는 해당 AI음악 및 AI음악조각의 기설정된 시간길이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AI음악이 6분 20초만큼의 길이를 가진 음악이고 해당 AI음악에 대한 AI음악조각의 길이를 5초로 설정하는 경우, 총 m = 76 개의 음악조각이 생성된다. 즉, 상기 AI음악분할부(1200)는 제1-1 AI음악조각 내지 제1-76 AI음악조각을 생성하며, 각각의 음악조각은 5초 분량의 음악파일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m과 i는 서로 다른 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AI음악 및 제n AI음악의 길이가 다를 경우, AI음악조각의 길이를 같은 길이로 설정하여도 각각의 AI음악을 분할하여 생성되는 AI음악조각의 수는 다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내지 제n AI음악 각각에 해당하는 AI음악조각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복수의 AI음악조각을 생성한 뒤, 상기 복수의 AI음악조각은, 도 1을 참고하여, 메타버스관리부(2000)로 전달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의 메타버스제공부(2100)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로 전달된 복수의 AI음악조각은, 상기 메타버스제공부(2100)에서 제공되는 메타버스 내부 곳곳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내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수집한 2 이상의 AI음악조각을 조합 또는 배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고유의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조각병합부(2200);를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도 3의 (a)는 사용자가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의 (b)는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음악의 구성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상기 메타버스 내에는 상기 AI음악생성부(1000)에서 생성된 복수의 AI음악조각이 메타버스 내부 임의의 공간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는 본인의 캐릭터인 캐릭터A를 통해 상기 메타버스에 입장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A는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을 통해 복수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활동은,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이동하면서 특정 공간에 위치한 AI음악조각을 발견하거나 혹은 특정 AI음악조각에 설정된 수행과제를 해결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A는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숨겨진 AI음악조각을 단순히 발견함으로써, 해당 AI음악조각을 캐릭터A의 인벤토리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혹은 상기 메타버스 내의 특정 공간에 위치한 AI음악조각을 발견한 뒤, 해당 AI음악조각에 설정된 수행과제를 해결함으로써, 해당 AI음악조각을 캐릭터A의 인벤토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행과제는 간단한 퀴즈; 기설정된 동작의 수행; 및 레벨 제한 등의 기설정된 조건; 등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캐릭터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릭터A의 인벤토리 안에 상기 캐릭터A가 수집한 6개의 AI음악조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벤토리란, 상기 캐릭터A가 메타버스 내에서 수집한 음악조각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에 해당한다. 상기 메타버스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캐릭터들은 각자 개개인의 인벤토리를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벤토리에 저장할 수 있는 음악조각의 수는 한정될 수 있다.
2 이상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한 캐릭터A는 본 발명의 음악조각병합부(2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본인의 사용자음악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캐릭터A는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캐릭터A의 인벤토리에 저장된 복수의 AI음악조각을 이용하여 본인의 사용자음악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A는 본인이 수집한 6개의 AI음악조각을 모두 사용하여 사용자음악 M4를 생성하였다.
즉, 상기 음악조각병합부(2200)는,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상기 캐릭터A가 수집한 복수의 AI음악조각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캐릭터A는 본인의 인벤토리 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AI음악조각을 사용하거나, 혹은 본인의 인벤토리 안에 저장되어 있는 AI음악조각 중 2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자음악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A는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AI음악조각을 다양한 순서로 직접 배열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음악의 길이 또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캐릭터A가 사용자음악 M4를 생성할 때 사용된 AI음악조각은 해당 사용자음악이 생성되면 소멸된다.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A가 가진 모든 AI음악조각을 사용하여 사용자음악 M4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캐릭터A가 가진 모든 AI음악조각은 소멸되고, 생성된 사용자음악 M4가 캐릭터A의 인벤토리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메타버스에 배치되는 복수의 AI음악조각 중 일부는,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소멸되지 않는 AI음악조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메타버스 내의 캐릭터가 상기 소멸되지 않는 AI음악조각을 이용하여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더라도 해당 AI음악조각은 소멸되지 않고, 다른 사용자음악을 생성할 때 다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발행부(30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음악에 대한 NFT를 발행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FT발행부(3000)는, 사용자가 작곡한 오디오파일형태의 사용자음악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오디오파일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사용자음악검증단계(S10); 상기 사용자음악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 오디오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음악, 및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음악저장단계(S11); 상기 사용자음악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 오디오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오디오파일을 블록체인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사용자음악등록단계(S12); 및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된 음악NFT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음악NFT발행단계(S13);를 포함하고, 상기 음악NFT는, 해당 음악에 대한 사용자음악정보; 및 해당 음악이 생성되는데 사용된 음악조각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캐릭터A가 사용자음악 M4를 생성하면, 상기 캐릭터A는 상기 사용자음악 M4에 대한 NFT를 발행할 것을 본 발명의 NFT발행부(3000)에 요청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FT발행부(3000)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되는 사용자음악인 사용자음악 M4를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사용자음악 M4와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복수의 오디오파일과 비교하는 사용자음악검증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음악검증단계(S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오디오파일과 상기 사용자음악 M4와의 유사도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사용자검증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모든 오디오파일 중에 상기 사용자음악 M4와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 오디오파일이 있는지 탐색한다.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기설정된 시간동안 멜로디의 일치여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검증단계를 통해, 만약 사용자음악 M4와 기설정된 기준 이상 유사한 오디오파일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경우, 상기 NFT발행부(3000)는 상기 사용자음악 M4에 대한 NFT발행 요청을 반려한다.
하지만, 사용자음악 M4와 기설정된 기준 이상 유사한 오디오파일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NFT발행부(3000)는 해당 사용자음악인 사용자음악 M4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음악저장단계(S11)를 수행하고, 이후, 상기 NFT발행부(3000)와 연동되는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음악 M4를 등록하는 사용자음악등록단계(S12)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음악등록단계(S12)는, 상기 NFT발행부(3000)와 연동되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블록체인 노드에 사용자음악을 등록하는 단계이다.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기관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블록체인인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기술; 혹은 여러 기관들이 컨소시엄(consortium)을 이뤄 구성되며 허가된 기관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상술한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술 혹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블록체인 전체를 의미하거나, 또는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술 혹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체인에 속한 복수의 노드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서버는, 상기 하나의 기관; 혹은 상기 허가된 기관;에 해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누구나 네트워크에 참여가능한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블록체인에 속한 복수의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상기 NFT발행부(3000)가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복수의 노드에 해당하며, 상기 복수의 노드는 블록체인 전체의 노드일 수 있고, 혹은 블록체인 전체의 노드 중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음악등록단계(S12)는 상기 사용자음악 M4를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등록하면서 해당 사용자음악에 대한 NFT의 발급을 요청하며,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서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해당 사용자음악에 대한 NFT를 발급하면, 상기 NFT발행부(3000)는, 해당 NFT를 상기 캐릭터A에게 전달하는 음악NFT발행단계(S13)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한 NFT는 음악NFT로서, 해당되는 사용자음악에 대한 사용자음악정보 및 해당되는 사용자음악이 생성되는데 사용된 음악조각에 대한 음악조각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음악 M4에 대한 사용자음악정보는, 사용자음악 M4의 생성자, 생성일자, 해당 오디오파일의 길이, 음질 및 용량 등을 포함하고, 상기 음악조각정보는, 사용자음악 M4가 생성되는데 사용된 음악조각 즉, 제1-4 AI음악조각, 제2-6 AI음악조각, 제2-9 AI음악조각, 제4-2 AI음악조각, 제7-2 AI음악조각, 및 제9-9 AI음악조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각각의 음악조각이 몇 번이나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음악조각정보는 AI음악조각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사용자음악조각에 대한 정보 또한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본인의 사용자음악조각을 제3사용자에게 판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는, 상기 NFT발행부(3000)에 의하여 발행된 음악NFT에 해당하는 사용자음악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음악의 일부를 사용자음악조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음악조각생성부(2300); 및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오디오파일, 혹은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사용자음악조각을 제3사용자에게 판매, 교환, 및 양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NFT거래부(240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음악조각생성부(2300)는,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음악NFT를 발행한 사용자음악 M4를 소유한 캐릭터A에게 본인의 사용자음악을 1 이상의 음악조각으로 분할하여 1 이상의 사용자음악조각을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5를 참고하면, 캐릭터A는 해당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음악 M4에 기초하여 사용자음악조각 A1, A2, 및 A3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A는 본인의 사용자음악을 이용하여 원하는 만큼의 개수로 사용자음악조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음악조각 각각에 해당되는 구간 및 사용자음악조각 각각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A가 사용자음악 M4를 이용하여 사용자음악조각 A1 내지 A3를 생성하여도, 사용자음악 M4가 소멸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음악 M4의 0초부터 40초까지를 사용자음악조각 A1으로 생성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음악 M4에서 해당 구간을 잘라 사용자음악조각 A1으로 생성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음악 M4에서 해당 구간을 복제하여 별도의 사용자음악조각 A1을 생성한다.
위와 같이, 상기 사용자음악조각생성부(2300)는 메타버스 내의 캐릭터로부터 사용자음악조각의 생성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요청에 상응하는 사용자음악조각을 생성하여 상기 캐릭터에게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1 이상의 사용자음악조각을 생성한 캐릭터는 후술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음악조각에 대해 다른 사용자와 거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악NFT거래부(2400)는, 음악NFT를 발행한 사용자음악, 혹은 음악NFT를 발행한 사용자음악의 사용자음악조각을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메타버스에 입장가능한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상기 복수의 사용자는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본인의 캐릭터가 소유하고 있는 음악NFT를 발행한 사용자음악을 판매, 교환, 혹은 양도할 수 있고, 혹은 타인의 캐릭터가 소유하고 있는 음악NFT를 발행한 사용자음악을 구매, 교환, 혹은 양도받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B가 캐릭터B를 통해 상기 메타버스 내로 입장하여 사용자의 캐릭터A에게 사용자음악조각 A1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상기 캐릭터B는 상기 캐릭터A가 사용자음악조각 A1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뒤 상기 캐릭터A에게 상기 사용자음악조각 A1을 요청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상기 캐릭터 A는 상기 캐릭터B로부터 사용자음악조각 A1의 요청을 수신한 뒤, 상기 사용자음악조각 A1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캐릭터 간 거래에 있어서 지불수단은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반한 가상화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사용자가 구매한 사용자음악조각을 이용하여 제3사용자의 사용자음악을 작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사용자에게 판매, 교환, 혹은 양도된 사용자음악조각은, 상기 제3사용자가 상기 제3사용자의 음악을 작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개략적으로, 도 6의 (a)는 제3사용자인 사용자B가 AI음악조각 및 사용자음악조각을 이용하여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6의 (b)는 상기 사용자B가 생성한 사용자음악의 구성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A와 다른 제3사용자인 사용자B는 캐릭터B를 통해, 메타버스에 입장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설명한 캐릭터A와 마찬가지로 상기 캐릭터B는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의 활동을 통해 복수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하고, 수집한 AI음악조각을 본인의 인벤토리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B는 캐릭터B가 수집한 AI음악조각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도 5를 참고하여, 캐릭터A로부터 사용자음악조각 A1을 구매하게 되면, 캐릭터B의 인벤토리에는 기존에 있던, 제3-7 AI음악조각, 제6-1 AI음악조각, 제6-5 AI음악조각, 및 제8-3 AI음악조각과 함께 사용자음악조각 A1이 저장된다.
이후, 상기 캐릭터B는 본 발명의 음악조각병합부(2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본인의 인벤토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음악조각을 이용하여 본인의 사용자음악 S6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B는 본인이 수집한 4개의 AI음악조각 및 사용자음악조각 A1을 사용하여 사용자음악 S6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음악 M4를 생성할 때와 마찬가지로, 캐릭터B는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음악조각을 다양한 순서로 직접 배열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음악의 길이 또한 상기 캐릭터B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캐릭터B가 사용자음악 S6를 생성할 때 사용된 복수의 음악조각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음악이 생성되면 소멸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6을 비교하였을 때, 사용자음악조각은 AI음악조각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다양한 사용자음악이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다양한 사용자음악에서 생성되는 사용자음악조각을 통해 더욱 다양한 사용자음악이 생성될 수 있어 AI음악의 시장이 더욱 활성화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버스 내에서 사용자음악 혹은 사용자음악조각의 거래가 발생되면, 해당 거래이력이 NFT발행부(3000)로 전달된다.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설명은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음악조각의 거래이력을 해당 NFT에 기록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악NFT거래부(2400)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음악조각을 상기 제3사용자에게 판매, 교환, 혹은 양도한 경우, 해당 사용자음악조각의 판매, 교환, 혹은 양도이력을 상기 NFT발행부(3000)로 전달하고, 상기 NFT발행부(3000)는, 상기 NFT발행부는,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상기 판매, 교환, 혹은 양도이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음악조각에 해당하는 음악NFT 및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상기 판매, 교환, 혹은 양도이력이 기록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음악NFT거래부(2400)는 NFT발행부(3000)로 사용자음악조각 A1의 거래이력을 전달(S20)한다. 상기 거래이력은,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2 이상의 캐릭터 간에 발생된 사용자음악 혹은 사용자음악조각의 판매, 교환, 혹은 양도이력을 포함한다. 해당 거래이력을 전달받은 NFT발행부(3000)는,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로 해당 거래이력을 전달(S21)한다.
상기 거래이력을 전달받은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노드에 거래이력을 기록(S22)한다. 이 때, 상기 거래이력에 해당되는 음악NFT를 소유하고 있는 캐릭터는 상기 NFT발행부(3000)로 상기 음악NFT를 전달(S23)한다. 즉,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캐릭터A가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음악 M4의 사용자음악조각 A1의 거래가 발생하였으므로, 캐릭터A가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음악 M4에 대한 음악NFT를 상기 NFT발행부(3000)로 전달(S23)한다.
상기 NFT발행부(3000)는 캐릭터A로부터 전달받은 음악NFT를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전달(S24)하고,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상기 음악NFT에 해당 거래이력에 대한 정보를 추가(S25)한다. 그 결과, 상기 음악NFT는 기존의 사용자음악정보 및 음악조각정보에 추가적으로 해당 사용자음악에 대한 거래이력에 대한 거래이력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상기 음악NFT에 포함되는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음악NFT를 상기 NFT발행부(3000)로 전달(S26)하고, 상기 NFT발행부(3000)는 상기 음악NFT를 해당 캐릭터인 캐릭터A에게 전달(S27)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트생성부(2500)에서 차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는, 복수의 사용자가 본인이 작곡한 음악을 공개하고, 공개한 음악의 스트리밍 횟수, 및 다운로드 횟수에 기초하여 순위를 매기는 차트를 생성하는 차트생성부(2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은 공개된 사용자음악에 대해 소정의 비용을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에 지불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타버스에 존재하는 복수의 캐릭터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음악을 생성할 수 있으며, 본인이 생성한 사용자음악을 커뮤니티에 업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뮤니티는 복수의 사용자가 접속가능한 웹 사이트 형태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메타버스 내에 형성된 가상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에 업로드되어 공개된 복수의 사용자음악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들려지거나 거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음악NFT거래부(2400)는 상기 커뮤니티에서 상기 커뮤니티에 공개된 복수의 사용자음악 각각에 대한 스트리밍(streaming) 이용권 및 다운로드권을 판매하거나, 복수의 사용자음악의 소유권을 판매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스트리밍 이용권이란, 해당 사용자음악에 대해 기설정된 기간동안 해당 사용자음악을 잠시 보유하여 들을 수 있는 이용권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캐릭터 B가 캐릭터A의 사용자음악 M4의 1개월 스트리밍 이용권을 구매한 경우, 캐릭터B는 상기 사용자음악 M4를 구매일로부터 1개월동안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권이란, 기설정된 기간없이 해당 사용자음악을 보유하여 듣거나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에 해당한다. 다만, 사용자음악에 대해 스트리밍 이용권 혹은 다운로드권을 구매하여도 해당 사용자음악에 대한 음악NFT를 구매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음악의 소유권 및 저작권을 가질 수는 없으며, 해당 사용자음악에 대해 사용자음악조각을 생성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에서는 사용자음악의 음악NFT를 거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캐릭터B가 생성한 사용자음악 S6를 캐릭터A가 구매하고 싶은 경우, 상기 캐릭터A는 상기 커뮤니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음악 S6의 음악NFT를 구매할 수 있으며, 상기 음악NFT를 구매한 경우, 상기 사용자음악 S6의 소유권은 캐릭터B에서 캐릭터A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캐릭터A는 사용자음악 S6를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음악의 사용자음악조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음악NFT의 거래는 경매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타버스관리부(2000)의 차트생성부(2500)는 상기 커뮤니티에 업로드 된 복수의 사용자음악의 스트리밍 횟수 및 다운로드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음악의 순위를 매기는 차트를 생성하고 상기 커뮤니티에 상기 차트를 공개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차트생성부(2500)는 상기 커뮤니티에 업로드 된 복수의 사용자음악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기간 동안 해당 사용자음악의 스트리밍 횟수 및 다운로드 횟수를 전달받아,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음악 순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차트를 대중에게 공개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사용자음악의 생성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음악 각각의 가치가 산출될 수 있어, AI음악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110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의 전체 혹은 일부는 후술하는 도 9에 도시된 컴퓨팅장치(11000)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1200)는 상기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1100)나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상기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상기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상기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상기 프로세서(11100) 및 상기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는 상기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상기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상기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예는, 상기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상기 컴퓨팅장치(11000)는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 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표준편차되어서, 표준편차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누구나 쉽게 음악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신이 만든 창작 영상 등과 같은 편집 영상물에 필요한 저작권 없는 음악을 직접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이 만든 음악조각을 바탕으로 작곡하므로 작곡에 대해 잘 모르는 사용자에게 저작권에 대한 우려를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내에서 본인의 활동에 따라 음악조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재미를 느끼고 서비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동기를 부여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인이 수집한 음악조각에 기초하여 본인이 직접 작곡할 수 있어 작곡의 난이도가 쉽고, 본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작곡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작곡한 음악에 대해 NFT를 발행함으로써, 본인이 직접 작곡한 곡에 대해 저작권을 등록하거나 소유권을 인정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작곡한 음악을 커뮤니티에 공개할 수 있고, 차트를 통해 본인이 작곡한 음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어, 본인이 작곡한 음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인이 작곡한 곡을 분할하여 생성한 사용자음악조각을 다른 사용자와 거래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작곡될 수 있는 음악이 더욱 다양해지고, 이를 통해 AI음악의 시장이 활성화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으로서,
    기계학습된 인공지능작곡모델을 이용하여 AI음악을 생성하고, 생성한 AI음악을 복수의 AI음악조각으로 분할하는 AI음악생성부;
    메타버스를 운영하는 메타버스관리부; 및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음악을 데이터베이스에 오디오파일형태로 저장하고,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해 NFT를 발행하는 NFT발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관리부는,
    복수의 사용자가 본인의 캐릭터를 통해 입장가능한 가상공간으로 구성된 메타버스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AI음악조각을 메타버스 내 임의의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메타버스에 입장가능한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내에 배치된 복수의 AI음악조각을 수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되,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상기 메타버스 내에서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AI음악조각을 발견하여 수집하거나, 혹은 AI음악조각마다 설정된 수행과제를 해결함으로써 해당 AI음악조각을 수집할 수 있는 메타버스제공부;
    상기 사용자가 수집한 2 이상의 AI음악조각을 조합 또는 배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고유의 사용자음악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조각병합부;
    상기 NFT발행부에 의하여 발행된 음악NFT에 해당하는 사용자음악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음악의 일부를 사용자음악조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음악조각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오디오파일, 혹은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사용자음악조각을 제3사용자에게 판매, 교환, 및 양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NFT거래부;를 포함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T발행부는,
    사용자가 작곡한 오디오파일형태의 사용자음악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오디오파일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사용자음악검증단계;
    상기 사용자음악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 오디오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음악, 및 상기 사용자음악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음악저장단계;
    상기 사용자음악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일치하는 오디오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오디오파일을 블록체인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사용자음악등록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된 음악NFT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음악NFT발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악NFT는,
    해당 음악에 대한 사용자음악정보; 및
    해당 음악이 생성되는데 사용된 음악조각정보;를 포함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악NFT거래부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음악조각을 상기 제3사용자에게 판매, 교환, 혹은 양도한 경우, 해당 사용자음악조각의 판매, 교환, 혹은 양도이력을 상기 NFT발행부로 전달하고,
    상기 NFT발행부는,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상기 판매, 교환, 혹은 양도이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음악조각에 해당하는 음악NFT 및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상기 판매, 교환, 혹은 양도이력이 기록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3사용자에게 판매, 교환, 혹은 양도된 사용자음악조각은, 상기 제3사용자가 상기 제3사용자의 음악을 작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관리부는,
    복수의 사용자가 본인이 작곡한 음악을 공개하고, 공개한 음악의 스트리밍 횟수, 및 다운로드 횟수에 기초하여 순위를 매기는 차트를 생성하는 차트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은 공개된 사용자음악에 대해 소정의 비용을 상기 메타버스관리부에 지불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KR1020220101257A 2022-08-12 2022-08-12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Active KR10255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257A KR102551872B1 (ko) 2022-08-12 2022-08-12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257A KR102551872B1 (ko) 2022-08-12 2022-08-12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872B1 true KR102551872B1 (ko) 2023-07-05

Family

ID=8715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257A Active KR102551872B1 (ko) 2022-08-12 2022-08-12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8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706B1 (ko) 2017-01-20 2018-05-08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20200136274A (ko) *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시스원 퍼즐 방식의 작곡 지원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컴퓨팅 장치
KR102421159B1 (ko) * 2021-12-06 2022-07-14 넥스터 주식회사 현실 세계를 모델링한 가상현실에서 사용자들이 생성한 컨텐츠의 유사도 분석을 통한 저작권 침해 분석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706B1 (ko) 2017-01-20 2018-05-08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자동 작곡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20200136274A (ko) *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시스원 퍼즐 방식의 작곡 지원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컴퓨팅 장치
KR102421159B1 (ko) * 2021-12-06 2022-07-14 넥스터 주식회사 현실 세계를 모델링한 가상현실에서 사용자들이 생성한 컨텐츠의 유사도 분석을 통한 저작권 침해 분석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678B1 (ko) 특정 공간에서만 접속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US20230070586A1 (en) Methods for Evolution of Tokenized Artwork, Content Evolution Techniques, Non-Fungible Token Peeling, User-Specific Evolution Spawning and Peeling,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plex Token Development and Simulation
US202102721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online music marketplace
US12217255B2 (en) Media licensing method and system using blockchain
Goanta Selling LAND in Decentraland: The regime of non-fungible tokens on the Ethereum blockchain under the digital content directive
TW202118260A (zh) 基於區塊鏈的個人數據處理方法及電腦裝置
US20090307110A1 (en) Management of virtual universe item returns
Guan et al. An ecosystem approach to Web3. 0: a systematic review and research agenda
Panda Revolution of the metaverse and blockchain technology
KR20210063730A (ko)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Shilina A comprehensive study on Non-Fungible Tokens (NFTs): Use cases, ecosystem, benefits & challenges
WO2021082019A1 (zh) 游戏账号的交易方法
KR102495340B1 (ko)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duraru et al. Enhancing the security of gaming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Budnik Risks and prospects of creativity tokenization
KR102551872B1 (ko) 메타버스 내에서 수행되는 ai기반 음악nft 생성 시스템
Cheng Metaverse and digital asset
Magaudda The future of digital music infrastructures: Expectations and promises of the blockchain ‘revolution’
Parker New Kids On The Blockchain: How Nfts Might Bring About A Digital First Sale Doctrine
KR20230155858A (ko) 토큰 관리 서버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연계에 기반한 음악저작권료의 분배를 위한 토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50834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of musical stems between users of an online gaming platform and mixing of the musical stems
KR102492987B1 (ko) 무형자산의 가치책정 및 가상화폐의 발행과 분배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Tsampas Survey on decentralized applications
Renard Unbundling the supply chain for the international music industry
Newland et al. Blockchain and the sports tech dilem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