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646B1 -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 - Google Patents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646B1
KR102551646B1 KR1020210019329A KR20210019329A KR102551646B1 KR 102551646 B1 KR102551646 B1 KR 102551646B1 KR 1020210019329 A KR1020210019329 A KR 1020210019329A KR 20210019329 A KR20210019329 A KR 20210019329A KR 102551646 B1 KR102551646 B1 KR 102551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late
pulley
coupled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5382A (ko
Inventor
김형용
Original Assignee
김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용 filed Critical 김형용
Priority to KR1020210019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6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구동풀리와 동력전달벨트에 의해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를 보호하기 위한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풀리안전커버유니트은 동력전달벨트,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 분해 없이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풀리안전커버유니트은 전방판 만 분리가 가능하여, 동력전달수단 수리 및 교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Pulley safety cover unit}
본 발명은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구동풀리와 동력전달벨트에 의해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를 보호하기 위한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에어컴프레셔 등의 동력전달수단은 주로 풀리와 벨트로 구성되는데 이들 풀리와 벨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은 풀리와 벨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288호에는 공기압축기에 설치되는 모터의 축과 압축기의 프라이휠을 감싸도록 보호망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공기압축기용 보호망은 고정메쉬에 모터풀리축과 플라이휠축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그 설치작업에 있어 풀리를 분해하고서 조립하여야 하고 상기 고정메쉬를 먼저 공기압축기에 설치하고 다음으로 보호메쉬를 설치하여야 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압축기용 보호망은 풀리와 축이 접촉되지 않도록, 풀리가 장착된 축의 길이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위치를 설정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동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288호 : 에어컴프레셔용 안전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동력전달벨트 및 풀리 분해 없이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풀리안전커버유니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전달벨트의 정상회전방향 식별이 용이하며, 초기위치세팅이 용이한 풀리안전커버유니트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풀리안전커버유니트는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지면 또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상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수용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풀리가 결합된 회전축이 각각 관통되게 관통형성되게 하방으로 개방된 제1 및 제2축관통홈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의 하방이 폐쇄되게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메인안전커버부와, 상기 제1 및 제2축관통홈이 형성된 상기 메인안전커버부의 일측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상기 제1 및 제2축관통홈을 각각 가로지르도록 장착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메인안전커버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속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가 상호 이격되는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일정한 폭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안전커버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축 관통홈이 형성된 후방판과, 상기 후방판과 이격된 사이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모터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후방판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된 내측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안전망이 설치된 전방판과,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의 각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방을 덮는 제1측판과,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의 각 길이방향 타측을 연결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방을 덮는 제2측판과, 상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져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방을 덮는 상판과, 하방으로 개방되게 관통형성된 내측이 상기 제1축 관통홈 또는 상기 제2축 관통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축 관통홈의 상부측 둘레에 위치되게 상기 후방판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축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판은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게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축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판보다 상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1수직연장부와, 상기 제1축관통홈과 상기 제2축관통홈 사이의 상기 제1수직연장부 하단에서 상기 전방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제1축관통홈과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길이방향 일단 사이의 상기 제1수직연장부 하단에서 상기 전방판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리브와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2지지리브와, 상기 제2축관통홈과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길이방향 타단 사이의 상기 제1수직연장부 하단에서 상기 전방판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3지지리브와, 상기 전방판을 바라보는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폭 방향 일측을 지지하는 제1상판지지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은 일정한 폭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상판지지리브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전방판이 상단에 지지되는 제2수평연장부와, 상기 제2수평연장부의 폭 방향 일단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상판지지리브 상방의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일면과 볼트 결합되는 후방판결합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판은 상기 제1수직연장부에 나란하게 상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되 상단이 상기 제1상판지지리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일정한 폭을 가지며 내측이 상기 제1방향으로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된 관통부에 상기 안전망이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동력전달벨트의 회전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재가 장착되는 제2수직연장부와,상기 제2수직연장부의 상단에서 상기 후방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연장부의 타측과 볼트결합되는 제2상판지지리브와, 상기 제2수직연장부의 하단에서 상기 후방판에 멀어지는 방향을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볼트결합되는 제4지지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측판은 상기 제1방향에 이격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방향의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방을 덮는 제3수직연장부와, 상기 제3수직연장부 하단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6지지리브와, 상기 제3수직연장부의 폭 방향 양단에서 나란하게 상기 수용공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제1 및 제2결합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2측판은 상기 제1방향에 이격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방향의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방을 덮는 제4수직연장부와, 상기 제4수직연장부 하단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7지지리브와, 상기 제4수직연장부의 폭 방향 양단에서 나란하게 상기 수용공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제3 및 제4결합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풀리안전커버유니트은 동력전달벨트,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 분해 없이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풀리안전커버유니트은 전방판 만 분리가 가능하여, 동력전달수단 수리 및 교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풀리안전커버유니트은 전방판의 상부에 표시부재가 장착되어 있어, 동력전달벨트의 정상회전방향 식별이 용이하여 관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에 대한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풀리안전커버유니트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풀리안전커버유니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에 대한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풀리안전커버유니트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풀리안전커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10)은 모터(미도시)의 구동축(2)에 결합된 구동풀리(3), 구동풀리(3)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종동풀리(6), 종동풀리(6)에 구동풀리(3)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8)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를 보호할 수 있도록 동력전달수단을 수용하며, 동력전달벨트(8)의 정상회전방향 유무식별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풀리안전커버유니트(10)은 지면 또는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미도시) 상에 장착되는 베이스부(11)와, 동력전달수단이 수용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21a)이 형성되며 구동축(2)과 종동풀리(6)가 결합된 회전축(5)이 각각 관통되게 관통형성되게 하방으로 개방된 제1 및 제2축관통홈(25,26)을 가지며 수용공간(21a)의 하방이 폐쇄되게 베이스부(11)와 결합되는 메인안전커버부(21)와, 제1 및 제2축관통홈(25,26)이 형성된 메인안전커버부(21)의 일측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제1 및 제2축관통홈(25,26)을 각각 가로지르도록 장착되어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메인안전커버부(21)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구속플레이트(81,84)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1)는 구동풀리(2)와 종동풀리(6)가 상호 이격되는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일정한 폭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 제1수평연장부(12)와, 제1수평연장부(12)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하방으로 상호 나란하게 돌출되는 제1 및 제2커버리브(13,1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커버리브(13,14)는 제1수평연장부(12)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후방판 및 전방판의 다수의 지지리브(27,28,29,37)들이 제1수평연장부(12)와 결합시 제1수평연장부(12)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트가 위치되는 볼트커버공간(11a)을 형성한다.
제1수평연장부(12)는 후술되는 제1 내지 제6지지리브와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된다. 볼트(95)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되 외경이 감소되는 나사볼트 또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관통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메인안전커버부(21)는 후방판(22)과, 전방판(32)과, 제1 및 제2측판(42,52)과, 상판(62)과, 축커버부재(71)를 구비한다.
후방판(22)은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제1 및 제2축 관통홈(25,26)이 형성된다.
전방판(32)은 후방판(22)과 이격된 사이로 수용공간(21a)이 형성되게 모터(미도시)에 멀어지는 방향, 즉 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방판(22)과 나란하게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된다. 전방판(32)은 동력전달수단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된 내측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안전망(39)이 설치된다.
제1측판(42)은 전방판(32)과 후방판(22)의 각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여 수용공간(21a)의 일측방을 덮으며, 제2측판(52)은 전방판(32)과 후방판(22)의 각 길이방향 타측을 연결하여 수용공간(21a)의 타측방을 덮는다.
그리고, 상판(62)은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전방판(32)과 후방판(22)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져 전방판(32)과 후방판(22)의 상단과 결합되어 수용공간(21a)의 상방을 덮는다.
축커버부재(71)는 하방으로 개방되게 관통형성된 내측이 상기 제1축 관통홈(25) 또는 제2축 관통홈(26)과 연통되도록, 제1 또는 제2축 관통홈(25,26)의 상부측 둘레에 위치되게 후방판(22)에 장착되어 구동축(2) 또는 회전축(5)을 감싼다.
후방판(22)은 도 2를 참고하면,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게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제1 및 제2축 관통홈(25,26)이 형성되고 전방판(32)보다 상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1수직연장부(23)와, 제1축관통홈(25)과 제2축관통홈(26) 사이의 제1수직연장부(23) 하단에서 전방판(32)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수평연장부(12)와 결합되는 제1지지리브(27)와, 제1축관통홈(25)과 제1수직연장부(23)의 길이방향 일단 사이의 제1수직연장부(23) 하단에서 전방판(32)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지지리브(27)와 엇갈리게 배치되며 제1수평연장부(12)와 결합되는 제2지지리브(28)와, 제2축관통홈(26)과 제1수직연장부(12)의 길이방향 타단 사이의 제1수직연장부(12) 하단에서 전방판(32)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수평연장부(12)와 결합되는 제3지지리브(29)와, 전방판(32)을 바라보는 제1수직연장부(23)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제1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판(62)의 폭 방향 일측을 지지하는 제1상판지지리브(30)를 구비한다.
상판(62)은 일정한 폭으로 제1 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일측이 제1상판지지리브(30)에 지지되고 타측이 전방판(32)이 상단에 지지되는 제2수평연장부(63)와, 제2수평연장부(64)의 폭 방향 일단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1상판지지리브(30) 상방의 제1수직연장부(23)의 일면과 볼트 결합되는 후방판결합리브(64)를 구비한다.
한편, 전방판(32)은 제2수직연장부(33)와, 제2상판지지리브(35)와, 제4지지리브(37)를 구비한다.
제2수직연장부(33)는 제1수직연장부(23)에 나란하게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되 상단이 제1상판지지리브(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일정한 폭을 갖는다. 제2수직연장부(33)는 내측이 제1방향으로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된 관통부(34)에 안전망(39)이 장착되고 상부에 동력전달벨트(8)의 회전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 형상의 표시부재(40)가 장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방판(32)의 상부의 표시부재(40)에 인접한 측에 '회전방향'이리는 문구(미도시)가 인쇄되거나, '회전방향'에 대응된 형상을 이루도록 관통된 다수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안전망(39)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면 한정되지 않으나, 형성되는 익스펜디드 메탈이 적용될 수 있다.
제2상판지지리브(35)는 제2수직연장부(33)의 상단에서 후방판(2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수평연장부(63)의 타측과 볼트 결합된다. 제4지지리브(37)는 제2수직연장부(33)의 하단에서 후방판(22)에 멀어지는 방향을 돌출되어 제1수평연장부(12)와 볼트결합된다.
제1측판(42)은 제1방향에 이격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하로 연장되어, 제1방향의 수용공간(21a)의 일측방을 덮는 제3수직연장부(43)와, 제3수직연장부(43) 하단에서 수용공간(21a)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돌출되어 제1수평연장부(12)에 결합되는 제5지지리브(미도시)와, 제3수직연장부(43)의 폭 방향 양단에서 나란하게 수용공간(21a)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방판(32)과 후방판(22)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제1 및 제2결합리브(45,46)를 구비한다.
제2측판(52)은 제1방향에 이격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하로 연장되어, 제1방향의 수용공간(21a)의 타측방을 덮는 제4수직연장부(53)와, 제4수직연장부(53) 하단에서 수용공간(21a)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돌출되어 제1수평연장부(12)에 결합되는 제6지지리브(54)와, 제4수직연장부(53)의 폭 방향 양단에서 나란하게 수용공간(21a)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방판(32)과 후방판(22)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제3 및 제4결합리브(55,56)를 구비한다.
그리고, 베이스부(11)와, 제1 및 제2구속플레이트(81,84)와 분리된 메인안전커버부(2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제3수직연장부(43)와 제4수직연장부(53)의 상호 대응되는 높이에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87)가 각각 장착된다.
파지부(87)는 전방판(32)과 후방판(22)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3수직연장부 또는 제4수직연장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결합편(88)과,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이 결합편(88)들에 연결된 고리부(89)를 구비한다.
그리고, 축커버부재(71)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1 또는 제2축관통홈(25,26)의 상부에 대응되게 관통형성되어 하방으로 개방되는 커버홈(73)이 형성되며 후방판(22)에 볼트결합되는 결합판(72)과, 커버홈(73)의 둘레를 따라 결합판(72)에서 돌출되는 축커버본체(75)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축커버부재(71)는 회전축(5)을 보호하도록, 제2축관통홈(26) 둘레에 위치되게 장착되어 있으나, 하나 더 구비되어 제1축관통홈(25) 둘레에 위치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복수의 구속플레이트(81,84)는 제1축수용홈(25)의 하단측을 가로지르도록 후방판(22)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는 제1구속플레이트(81)와, 제2축수용홈(26)의 하단측을 가로지르도록 후방판(22)의 타측 하부에 장착되는 제2구속플레이트(8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10)은 동력전달벨트(8), 구동풀리(3) 및 종동풀리(6) 분해 없이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10)은 전방판(32) 만 분리가 가능하여, 동력전달수단 수리 및 교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10)은 전방판(32)의 상부에 표시부재(40)가 장착되어 있어, 동력전달벨트(8)의 회전방향 식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1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110)는 안전망(39)을 관통하여 구동축(2)에 장착되는 구동상태확인부재(191)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안전망(39)은 구동축(2)의 단부와 마주하는 측이 관통형성되고 관통형성된다. 안전망(39)의 관통된 측 둘레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링(190)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전방판(32)의 관통부(34)에 장착된 안전망(39)을 통해 동력전달벨트(8)의 회전상태를 파악할 수 는 있으나, 원거리에서는 파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구동상태확인부재(191)는 구동축(2)과 일측이 결합되고 전방판(32) 외측으로 타측이 일부 돌출되어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작업자가 회전방향 및 구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상태확인부재(191)는 전방판(32)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구동축(2)의 단부와 결합되어 구동축(2)과 함께 회전가능한 결합바(192)와, 전방판(32)에 대해 돌출된 결합바(192)의 일단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바(192)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방향 식별돌기(196)를 구비한다.
식별돌기(19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동일한 폭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식별돌기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노랑색이나, 빨강색 등 원색계열의 색상이 도포될 수 있다.
결합바(192)는 일측에 외경 축소되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축(2)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홈(2a)에 결합가능한 결합돌기(194)가 마련된다.
결합돌기(194)는 구동축(2)의 홈(2a)에 억지끼움될 수 있으며, 억지끼움 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일측면에는 볼플랜지(197)가 장착되고, 구동축(2)의 홈(2a) 내주면 일측에는 볼플랜지(197)가 진퇴가능한 볼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상태확인부재(191)는 작업자와 간섭 시 안전사고 발생 방지를 위하여, 유연한 소재의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110)는 결합돌기(194)의 회전을 원거리에서도 확인이 가능하여, 관리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210)은 제1 및 제2초기위치세팅부(220,2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10)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초기위치세팅부(220)는 제1축 관통홈(25) 및 제2축 관통홈(26)의 상부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상호 이격되며 제1축 관통홈(25) 및 제2축 관통홈(26) 측으로 돌출되게 후방판(22)의 일면측에 일측이 각각 장착되는 다수의 제1간격유지돌기(221,221')를 구비한다.
다수의 제1간격유지돌기(221,221')는 각 일단들이 상호 이루는 반경(R1,R1')이 회전축 또는 구종축의 반경(R2,R3)보다 크도록 후방판(22)에 각각 장착된다. 제1간격유지돌기(221,221')는 볼트결합 또는 접착방식을 통해 후방판(31)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초기위치세팅부(230)는 도 6을 참고하면, 수용공간(22a) 측의 전방판(32)의 일면에 돌출되게 장착되되 구동풀리(3)와 종동풀리(6)가 제1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와 제1방향에 교차하는 상하방향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도록 장착되며 제1축관통홈(25) 또는 제2축관통홈(26)과 마주하는 한 쌍의 제2간격유지돌기(231)를 구비한다.
제2간격유지돌기(231)는 안전망(39) 측에 고정되는 외경확장부(232)와, 외경확장부(232)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구동축(2) 또는 회동축(5)과 마주하는 돌기본체부(233)를 구비한다.
외경확장부(232)는 안전망(39) 측에 용접방싱을 통해 고정되게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력을 통해 부착고정되도록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본체부(233)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나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풀리안전커버유니트(210)은 제1 및 제2초기위치세팅부에 의해 동력전달수단에 간섭되지않도록 초기위치세팅이 용이하므로 설치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 구동축 3 : 구동풀리
5 : 회전축 6 : 종동풀리
8 : 동력전달벨트 10 : 풀리 안전커버 유니트
11 : 베이스부 21 : 메인안전커버부
22 : 후방판 32 : 전방판
39 : 안전망 40 : 표시부재
42 : 제1측판 52 : 제2측판
62 : 상판 71 : 축커버부재
81 : 제1구속플레이트 84 : 제2구속플레이트

Claims (6)

  1.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을 보호하는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에 있어서,
    지면 또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상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가 상호 이격되는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는 베이스부에 장착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수용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풀리가 결합된 회전축이 각각 관통되게 관통형성되게 하방으로 개방된 제1 및 제2축관통홈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의 하방이 폐쇄되게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메인안전커버부와;
    상기 제1 및 제2축관통홈이 형성된 상기 메인안전커버부의 일측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상기 제1 및 제2축관통홈을 각각 가로지르도록 장착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메인안전커버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속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안전커버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축 관통홈이 형성된 후방판과, 상기 후방판과 이격된 사이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모터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후방판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된 내측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안전망이 설치된 전방판과,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의 각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연결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방 또는 타측방을 덮는 제1 측판 및 제2측판과, 상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져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방을 덮는 상판과, 하방으로 개방되게 관통형성된 내측이 상기 제1축 관통홈 또는 상기 제2축 관통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축 관통홈의 상부측 둘레에 위치되게 상기 후방판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축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측판, 상기 상판,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후방판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판만 전방측으로 분리될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측판, 상기 상판, 상기 베이스부에 각각 상기 전방판이 볼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판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상기 구동축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가능한 결합바와, 상기 전방판에 대해 돌출된 상기 결합바의 일단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바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방향 식별돌기를 구비하는 구동상태확인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식별돌기는 상기 결합바에서 돌출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유연한 합성수지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안전커버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판은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게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축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판보다 상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1수직연장부와, 상기 제1축관통홈과 상기 제2축관통홈 사이의 상기 제1수직연장부 하단에서 상기 전방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제1축관통홈과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길이방향 일단 사이의 상기 제1수직연장부 하단에서 상기 전방판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리브와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2지지리브와, 상기 제2축관통홈과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길이방향 타단 사이의 상기 제1수직연장부 하단에서 상기 전방판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3지지리브와, 상기 전방판을 바라보는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폭 방향 일측을 지지하는 제1상판지지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은
    일정한 폭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1상판지지리브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전방판이 상단에 지지되는 제2수평연장부와, 상기 제2수평연장부의 폭 방향 일단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상판지지리브 상방의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일면과 볼트 결합되는 후방판결합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판은
    상기 제1수직연장부에 나란하게 상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되 상단이 상기 제1상판지지리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일정한 폭을 가지며 내측이 상기 제1방향으로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된 관통부에 상기 안전망이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동력전달벨트의 회전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재가 장착되는 제2수직연장부와,상기 제2수직연장부의 상단에서 상기 후방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연장부의 타측과 볼트결합되는 제2상판지지리브와, 상기 제2수직연장부의 하단에서 상기 후방판에 멀어지는 방향을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볼트결합되는 제4지지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안전커버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은
    상기 제1방향에 이격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방향의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방을 덮는 제3수직연장부와,
    상기 제3수직연장부 하단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5지지리브와,
    상기 제3수직연장부의 폭 방향 양단에서 나란하게 상기 수용공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제1 및 제2결합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2측판은
    상기 제1방향에 이격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방향의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방을 덮는 제4수직연장부와,
    상기 제4수직연장부 하단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6지지리브와,
    상기 제4수직연장부의 폭 방향 양단에서 나란하게 상기 수용공간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판과 상기 후방판에 각각 볼트결합되는 제3 및 제4결합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안전커버유니트.
  5. 삭제
  6.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을 보호하는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에 있어서,
    지면 또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상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가 상호 이격되는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는 베이스부에 장착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수용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풀리가 결합된 회전축이 각각 관통되게 관통형성되게 하방으로 개방된 제1 및 제2축관통홈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의 하방이 폐쇄되게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메인안전커버부와;
    상기 제1 및 제2축관통홈이 형성된 상기 메인안전커버부의 일측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상기 제1 및 제2축관통홈을 각각 가로지르도록 장착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메인안전커버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속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안전커버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상하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축 관통홈이 형성된 후방판과, 상기 후방판과 이격된 사이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모터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후방판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통된 내측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안전망이 설치된 전방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축 관통홈 및 상기 제2축 관통홈의 상부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1축 관통홈 및 상기 제2축 관통홈 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후방판의 일면측에 장착되는 다수의 제1간격유지돌기를 갖는 제1초기위치세팅부와,
    상기 수용공간 측의 상기 전방판의 일면에 돌출되게 장착되되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와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축관통홈 또는 상기 제2축관통홈과 마주하는 한 쌍의 제2간격유지돌기를 갖는 제2초기위치세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안전커버유니트.
KR1020210019329A 2021-02-10 2021-02-10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 KR102551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329A KR102551646B1 (ko) 2021-02-10 2021-02-10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329A KR102551646B1 (ko) 2021-02-10 2021-02-10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382A KR20220115382A (ko) 2022-08-17
KR102551646B1 true KR102551646B1 (ko) 2023-07-04

Family

ID=8311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329A KR102551646B1 (ko) 2021-02-10 2021-02-10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6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498B1 (ko) * 2018-11-19 2019-07-26 이상운 냉각탑 전동부재용 안전커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771U (ko) * 1989-08-28 1991-04-15
KR200262288Y1 (ko) 2001-10-20 2002-03-18 주식회사코핸즈 공기압축기용보호망
KR102372932B1 (ko) * 2015-10-14 2022-03-10 유명 조립식 송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498B1 (ko) * 2018-11-19 2019-07-26 이상운 냉각탑 전동부재용 안전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382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70736A1 (ko) 예초기용 보호커버 및 이에 적용되는 베어링 유니트
KR100957627B1 (ko)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US6831382B1 (en) Cover for electric motor
US9017194B2 (en) Top drive
KR20070115294A (ko) 드럼세탁기
KR102551646B1 (ko) 풀리 안전 커버유니트
KR100910237B1 (ko) 예초기용 보호커버
CA3062659A1 (en) Grass trimmer
DE20204729U1 (de) Gebläse mit eingebauten Selbstkühleigenschaften
EP3360711B1 (en) Working vehicle
JP6780974B2 (ja) カップリングガードおよび機械装置
KR101372457B1 (ko) 와이어 로프 릴 스탠드
GB2513577A (en) Opening protection system
KR101063974B1 (ko)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EP3366845B1 (en) Utility vehicle
CN105008262B (zh) 电梯门停止装置
CN214837275U (zh) 一种工业吊扇用扇叶轮毂防脱落装置
JP4866617B2 (ja) 刈払機
EP3025572A1 (en) Grass trimmer
CN210316837U (zh) 一种门锁手柄驱动轴的防护结构
KR20170134051A (ko) 충격발생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발생장치
CN113003329A (zh) 一种提升机控制系统
US4981196A (en) Cable protector
US20060144201A1 (en) Adjustable rotating shaft guard
KR101417628B1 (ko) 트랙터의 피티오축 보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