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967B1 -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967B1
KR102550967B1 KR1020210152411A KR20210152411A KR102550967B1 KR 102550967 B1 KR102550967 B1 KR 102550967B1 KR 1020210152411 A KR1020210152411 A KR 1020210152411A KR 20210152411 A KR20210152411 A KR 20210152411A KR 102550967 B1 KR102550967 B1 KR 102550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rtual camera
resolution
tile
t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6906A (ko
Inventor
김켄
정지욱
나타나일 산토소 케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아이
Priority to KR102021015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967B1/ko
Priority to US17/869,789 priority patent/US20230140932A1/en
Priority to JP2022135777A priority patent/JP7469762B2/ja
Publication of KR2023006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5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3D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08Bandwidth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전자 장치는 가상 좌표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그래픽 공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1 해상도의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을 로드하고, 가상 좌표계 상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고,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하고, 가상 카메라가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하는 경우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제2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IMAGE}
기술 분야는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래픽 공간에 대한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1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2020-0-00994, 이용 환경을 반영하는 자율적 VR·AR 콘텐츠 생성 기술개발)
가상 환경에서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 텍스처 표현이 다를 수 있다. 사용자에게 가능한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상 환경의 모든 방향에 대해서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서버로부터 수신해야 할 데이터량이 증가하므로, 데이터의 전송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제공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반면에,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실감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빠르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출력 방법은, 가상 좌표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그래픽 공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1 해상도의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을 로드하는 동작, 상기 가상 좌표계 상에 가상 카메라의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가상 카메라가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zoom in)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대한 절두체(frustrum) 정보를 계산하는 동작, 및 상기 절두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두체 정보 및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변경된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출력 방법은, 상기 가상 카메라가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3 해상도의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출력 방법은, 상기 가상 카메라가 상기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을 줌인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3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 또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 또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재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가상 좌표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그래픽 공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1 해상도의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을 로드하는 동작, 상기 가상 좌표계 상에 가상 카메라의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가상 카메라가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zoom in)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출력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출력 방법은,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이 가상 좌표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그래픽 공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1 해상도의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을 로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상 좌표계 상에 가상 카메라의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시스템의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가상 카메라가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zoom in)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빠르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그래픽 공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기본 이미지 타일들, 상세 이미지 타일들 및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기초하여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따른 절두체 정보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제3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그래픽 공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목적을 위해 미리 생성된 그래픽 공간(100)(또는, 가상 공간) 내에 사용자의 시점에 대응하는 가상 카메라(110)를 배치하고, 가상 카메라(110)의 시점(130)에 따른 그래픽 공간의 장면(scene)을 사용자에게 이미지(140)로 제공하는 방법들이 나타나고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를 통해 그래픽 공간(100)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게임 또는 여행과 같은 다양한 목적을 위한 서비스를 통해 미리 생성된 그래픽 공간(100)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는 전자 장치(10)과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서버(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래픽 공간(100)은 미리 설정된 가상 좌표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좌표계는 x 축, y축 및 z축으로 표현되는 3차원 좌표계일 수 있고, 그래픽 공간(100)은 3차원 좌표계에 기초하여 6면체(예: 큐브)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서버는 미리 생성(또는, 촬영)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그래픽 공간(10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생성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은 현실의 장면을 촬영한 파노라마 이미지일 수 있다. 파노라마 이미지를 여섯 부분들로 나누고, 나뉜 부분들에 기초하여 그래픽 공간(100)이 생성될 수 있다. 파노라마 이미지는 고화질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상 좌표계는 구 좌표계로 표현되고, 그래픽 공간(100)은 구 좌표계에 기초하여 구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가상 좌표계 및 그래픽 공간(100)이 기재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고화질의 이미지로 생성된 그래픽 공간(100)이 전자 장치(10)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10)는 서버로부터 그래픽 공간(100)을 구성하는 부분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부분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그래픽 공간(100)을 재구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에서 재구성된 그래픽 공간(100) 내에 가상 카메라(110)를 설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그래픽 공간(100)에 대한 이미지(140)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그래픽 공간(100)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서버로부터 그래픽 공간(100)을 구성하는 부분 이미지들을 수신해야 하는데, 고화질의 부분 이미지들을 그대로 수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10)가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이는 이미지 출력의 지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지연 없이 그래픽 공간(100)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전자 장치(10)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PC(personal computer), 모바일 장치, 스마트 폰일 수 있고, 기재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210)는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A"를 송수신한다라는 표현은 "A를 나타내는 정보(information)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200) 내의 회로망(circuitry)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내부 버스(internal bus) 및 외부 버스(external bu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200)와 외부의 장치를 연결하는 요소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메모리(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230))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서(220)에 의해 유발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한다.
메모리(23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22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코딩되어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신텍스(syntax)들의 집합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전자 장치(200)를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전자 장치(200)를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된다.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에 대해, 아래에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시스템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전자 장치(200) 및 전자 장치와 연결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동작들 310 내지 370은 전자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310에서, 전자 장치(200)는 가상 좌표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그래픽 공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1 해상도의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을 서버로부터 로드(또는, 수신)할 수 있다. 서버에 의해 최초에 생성된 그래픽 공간은 가장 높은 해상도(예: 아래의 제3 해상도)의 이미지 타일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전자 장치(200)에 의해 최초로 재구성되는 그래픽 공간은 낮은 해상도(예: 제1 해상도)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재구성될 수 있다. 제1 해상도는 512 픽셀* 512픽셀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낮은 해상도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을 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써 그래픽 공간을 재구성하기 위한 시간 지연이 감소될 수 있다.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에 대해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동작 320에서, 전자 장치(200)는 가상 좌표계 상에 가상 카메라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는 그래픽 공간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눈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카메라의 좌표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 좌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상 카메라의 좌표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전자 장치(200)는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은 가상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주시하고 있는 방향에 대응하는 기본 이미지 타일일 수 있다.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동작 340에서, 전자 장치(200)는 가상 카메라의 절두체(frustrum) 정보 및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기초하여 제1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의 절두체 정보에 대해 아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그래픽 공간의 장면을 렌더링함으로써 제1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동작 350에서, 전자 장치(200)는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현재 출력되는 이미지는 제1 해상도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주시(또는, 출력)하고 있는 장면을 상세히 보기 위해 추후에 줌인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사용자가 줌인을 수행한 이후에 전자 장치(200)가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가 출격되기까지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을 방지하고자,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줌인을 수행하기 이전에 미리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360에서, 전자 장치(200)는 서버로부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해상도는 제1 해상도 보다 높은 해상도일 수 있다.
동작 370에서, 전자 장치(200)는 가상 카메라가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하는 경우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한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제2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줌인된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그래픽 공간의 장면을 렌더링함으로써 제2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가 줌인을 하기 전에 미리 수신된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제2 해상도의 이미지가 생성 및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이미지의 출력 지연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해상도의 이미지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즉, 줌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가상 카메라의 좌표 또는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변경된 가상 카메라의 좌표 또는 시점에 대응하는 기본 이미지 타일이 동작 330에서 결정된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과 상이한 경우, 새로운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기초하여 동작 340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해상도의 이미지가 출력되고 있다가, 주시되는 기본 이미지 타일이 변경된 경우에는 줌아웃(zoom out)되어 제1 해상도의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의 예와는 다르게, 카메라의 좌표 또는 시점이 일부 변경되더라도 주시되는 기본 이미지 타일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해상도의 이미지가 계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카메라의 좌표 또는 시점이 변경됨에 따라 출력되는 제2 해상도의 이미지는 카메라의 좌표 또는 시점이 변경되기 전의 이미지와는 이미지일 수 있으나, 해상도는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기본 이미지 타일들, 상세 이미지 타일들 및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 의해 재구성된 그래픽 공간의 일 부분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40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그래픽 공간이 큐브의 형태인 경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400)은 큐브의 어느 일 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에는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400) 중 제1 기본 이미지 타일(401)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410)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410)은 제1 상세 이미지 타일들(411), 제2 상세 이미지 타일들(412), 제3 상세 이미지 타일들(413) 및 제4 상세 이미지 타일들(41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410)의 각각은 제2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 330에서 전자 장치(200)가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로서 제1 기본 이미지 타일(401)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서버는 제1 기본 이미지 타일(401)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410)을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에는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410) 중 제1 상세 이미지 타일(411)에 대응하는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420)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420)은 제1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421), 제2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422), 제3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423) 및 제4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42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410)의 각각은 제3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제3 해상도는 제2 해상도 보다 높은 해상도일 수 있다.
서버가 전자 장치(200)로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420)을 전송하는 실시예에 대해, 아래의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기초하여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 330은 아래의 동작들 510 내지 530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200)는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그래픽 공간의 가상 좌표계 내의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한다. 가상 카메라의 시점은 카메라의 좌표를 기준으로 카메라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 또는 광축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200)는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대한 절두체 정보를 계산한다. 절두체에 대해 아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동작 530에서, 전자 장치(200)는 절두체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그래픽 공간의 장면에 대응하는 기본 이미지 타일이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따른 절두체 정보를 도시한다.
그래픽 공간의 가상 좌표계 내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좌표(610)에 기초하여 사각뿔의 입체(620)가 정의된다. 좌표(610)에 대한 이미지를 위해 사각뿔의 입체 내부에 제1 평면(630) 및 제2 평면(640)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평면(630) 및 제2 평면(640)에 기초하여 절두체(650)가 생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평면(630) 및 제2 평면(640) 중 적어도 하나는 가상 카메라의 렌즈의 초점 거리와 같은 내부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기재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 510은 아래의 동작들 710 및 720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좌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가상 카메라의 좌표 또는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이로 센서, 키보드, 마우스, 및/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기재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동작 720에서, 전자 장치(200)는 변경된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720이 수행된 경우 동작들 520 및 530을 통해 변경된 가상 카메라의 좌표 또는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재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시점이 변경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1 해상도의 이미지가 다시 렌더링될 수 있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제3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 360이 수행된 후 아래의 동작들 810 내지 840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들 810 내지 830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 370과 독립적이고,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제2 해상도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안, 동작들 810 내지 830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200)는 가상 카메라가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하는 경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 중 가상 카메라의 좌표, 가상 카메라의 시점 및 가상 카메라의 내부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주시하고 있는 방향에 대응하는 상세 이미지 타일을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전자 장치(200)는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현재 출력되는 이미지는 제2 해상도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주시(또는, 출력)하고 있는 장면을 상세히 보기 위해 추후에 추가적인 줌인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사용자가 추가적인 줌인을 수행한 이후에 전자 장치(200)가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해상도가 더 높은 이미지가 출격되기까지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을 방지하고자,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추가적인 줌인을 수행하기 이전에 미리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3 해상도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전자 장치(200)는 서버로부터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3 해상도의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3 해상도는 제2 해상도 보다 높은 해상도일 수 있다.
동작 840에서, 전자 장치(200)는 가상 카메라가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을 추가적으로 줌인하는 경우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한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제3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추가적으로 줌인된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그래픽 공간의 장면을 렌더링함으로써 제3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가 추가적인 줌인을 하기 전에 미리 수신된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제3 해상도의 이미지가 생성 및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이미지의 출력 지연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 350은 아래의 동작들 910 및 9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200)는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이전에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주시함으로써 서버로부터 이미 수신한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이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전자 장치(200)는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이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이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로부터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다시 수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작 370이 바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출력 방법은,
    가상 좌표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그래픽 공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1 해상도의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을 로드하는 동작;
    상기 가상 좌표계 상에 사용자의 시점에 대응하는 가상 카메라를 배치하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가상 카메라가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zoom in)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해상도의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고, 줌인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대한 절두체(frustrum) 정보를 계산하는 동작; 및
    상기 절두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두체 정보 및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변경된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시점을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가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3 해상도의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가 상기 타겟 상세 이미지 타일을 줌인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추가-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3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 또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 또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재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0.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가상 좌표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그래픽 공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1 해상도의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을 로드하는 동작;
    상기 가상 좌표계 상에 사용자의 시점에 대응하는 가상 카메라를 배치하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가상 카메라가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zoom in)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
    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해상도의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고, 줌인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
  11.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출력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출력 방법은,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이 가상 좌표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그래픽 공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1 해상도의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을 로드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상 좌표계 상에 사용자의 시점에 대응하는 가상 카메라를 배치하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상 카메라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시스템의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에 대응하는 제2 해상도의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가상 카메라가 상기 타겟 기본 이미지 타일을 줌인(zoom in)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세 이미지 타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해상도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해상도의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기본 이미지 타일들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고, 줌인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이미지 출력 방법.
KR1020210152411A 2021-11-08 2021-11-08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255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411A KR102550967B1 (ko) 2021-11-08 2021-11-08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US17/869,789 US20230140932A1 (en) 2021-11-08 2022-07-21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JP2022135777A JP7469762B2 (ja) 2021-11-08 2022-08-29 イメージ出力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411A KR102550967B1 (ko) 2021-11-08 2021-11-08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906A KR20230066906A (ko) 2023-05-16
KR102550967B1 true KR102550967B1 (ko) 2023-07-05

Family

ID=8623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411A KR102550967B1 (ko) 2021-11-08 2021-11-08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40932A1 (ko)
JP (1) JP7469762B2 (ko)
KR (1) KR1025509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5945B2 (ja) 2008-08-12 2013-06-1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
JP2010125040A (ja) 2008-11-27 2010-06-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画像処理装置
JP2011090633A (ja) 2009-10-26 2011-05-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処理装置
JP6066602B2 (ja) 2012-07-13 2017-01-25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処理装置
US9459825B2 (en) * 2013-09-09 2016-10-04 Opus Medicu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resolution image viewing
US9936187B2 (en) 2016-05-18 2018-04-03 Siemens Healthcare Gmbh Multi-resolution lightfield rendering using image pyramids
US10032308B2 (en) * 2016-06-22 2018-07-24 Advanced Micro Devices, Inc. Culling objects from a 3-D graphics pipeline using hierarchical Z buffers
EP3571845B1 (en) * 2017-01-20 2021-06-30 PCMS Holdings, Inc. Field-of-view prediction method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for 360-degree vr video
KR20200131817A (ko) * 2018-01-25 2020-11-24 베르텍스 소프트웨어, 엘엘씨 여러 장치에 대한 3d 개체 시각화 및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78111B1 (ko) * 2019-04-25 2020-11-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70056A (ja) 2023-05-18
KR20230066906A (ko) 2023-05-16
JP7469762B2 (ja) 2024-04-17
US20230140932A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61471B (zh) 混合渲染
EP3274966B1 (en) Facilitating true three-dimensional virtual representation of real objects using dynamic three-dimensional shapes
US11200724B2 (en) Texture processor based ray tracing acceleration method and system
CN111242908B (zh) 一种平面检测方法及装置、平面跟踪方法及装置
JP2018537755A (ja) 中心窩ジオメトリテッセレーション
US20170186219A1 (en) Method for 360-degree panoramic display, 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8938093B2 (en) Addition of immersive interaction capabilities to otherwise unmodified 3D graphics applications
KR20190125526A (ko) 사용자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8805989B (zh) 场景穿越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终端设备
CN109992103B (zh) 用于在渲染期间调整角度采样率的方法、系统和存储介质
US11044398B2 (en) Panoramic light field capture, processing, and display
US11120591B2 (en) Variable rasterization rate
CN114494328B (zh) 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286906B (zh) 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与移动终端
JP2014006901A (ja) 関与媒質により受光された光量を推定する方法及び対応する装置
US2018030085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ndering a panorama image
KR101764063B1 (ko) Vr 컨텐츠의 분석 및 프리-렌더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4419226A (zh) 全景渲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0212406B2 (en) Image generation of a three-dimensional scene using multiple focal lengths
KR102550967B1 (ko)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US10339722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748911B2 (en) Shader function based pixel count determination
CN110853143A (zh) 场景实现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00117408A (ko) 증강현실에서 조명 환경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34428B1 (ko) 합성 영상 생성 방법, 합성 영상 생성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