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904B1 - 동결 보존 장치 - Google Patents

동결 보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904B1
KR102550904B1 KR1020177025242A KR20177025242A KR102550904B1 KR 102550904 B1 KR102550904 B1 KR 102550904B1 KR 1020177025242 A KR1020177025242 A KR 1020177025242A KR 20177025242 A KR20177025242 A KR 20177025242A KR 102550904 B1 KR102550904 B1 KR 102550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drawer
cryopreservation
cas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123A (ko
Inventor
히로키 아오타
시게히로 요시무라
코지 마키노
Original Assignee
다이요 닛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닛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닛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42Apparatuses, i.e. devices used in the process of preservation of living parts, such as pumps, refrigeration devices or any other devices featuring moving parts and/or temperature controlling components
    • A01N1/0252Temperature controlling refrigerating apparatus, i.e. devices used to a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designated internal volume, e.g. refrigerators, freeze-drying apparatus or liquid nitrogen baths
    • A01N1/0257Stationary or portable vessels generating cryogenic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78Physical preservation processes
    • A01N1/0284Temperature processes, i.e. using a designated change in temperature ov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42Apparatuses, i.e. devices used in the process of preservation of living parts, such as pumps, refrigeration devices or any other devices featuring moving parts and/or temperature controlling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63Non-refrigerated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living parts whilst preserving, e.g. cool boxes, blood bags or "straws" for cryopreservation
    • A01N1/0268Carriers for immersion in cryogenic fluid, both for slow-freezing and vitrification, e.g. open or closed "straws" for embryos, oocytes or se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2Integrated assemblies, e.g. cassettes or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A01N1/0221Freeze-process protecting agents, i.e. substances protecting cells from effects of the physical process, e.g. cryoprotectants, osmolarity regulators like oncotic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B01L7/525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with physical movement of samples between temperature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목적으로 하는 시료를 자동으로 취출할 수 있고, 또한 목적으로 하는 시료 이외의 시료가 승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결 보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바이알을 박스마다 연직 방향으로 나열하여 수납하는 드로워(13)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작업 공간(3)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상면에 형성된 동결 보존 용기(2)와 드로워(13)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구부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연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킴과 함께, 드로워(13)를 임의의 높이로 유지하는 드로워 승강 장치(4)와, 동결 보존 용기(2)의 상방으로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박스를 재치 가능한 제1 스테이지(5)와, 박스를 압압하여 제1 스테이지(5)로 이동시키는 제2 압압 장치(8)를 구비하는 동결 보존 장치(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결 보존 장치
본 발명은 동결 보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약의 개발이나 의료의 기초 연구에서는, 실험 동물의 정자, 수정란, 세포 등의 생체 시료가 이용되고 있다. 생체 시료는 상온에서는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열화되기 때문에, 동결 보존 장치 등에 의해 동결 보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결 보존 장치로는, 액체 질소를 사용한 동결 보존 장치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액체 질소를 사용한 동결 보존 장치로서, 용기의 직경보다 절반 정도인 개구부를 갖고, 내부의 재치 트레이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동결 보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동결 보존 용기에서는, 시료를 대량으로 수납하기 때문에, 복수의 시료를 수납 상자에 수납하고, 추가로 복수의 수납 상자를 케이스 본체에 수납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3873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동결 보존 용기에서는, 작업자 자신이 동결 보존 용기로부터 시료 등의 보존 대상이 수납된 케이스 본체를 입출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동결 보존 용기 내의 저온의 액체 질소에 대한 동상 방지를 위한 장비나 지그를 사용해야 하는 등 작업자에 대한 부담이 컸다. 또한, 케이스 본체를 동결 보존 용기로부터 출고한 상태에서, 목적으로 하는 보존 대상을 취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 내에 수납된 다른 보존 대상도 승온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목적으로 하는 시료 등의 보존 대상을 자동으로 취출할 수 있고, 또한 목적으로 하는 보존 대상 이외의 보존 대상이 승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결 보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1)∼(16)의 동결 보존 장치를 제공한다.
(1) 보존 대상을 나열하여 수납하는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상면에 형성된 동결 보존 용기와,
상기 케이스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를 연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킴과 함께, 상기 케이스를 임의의 높이로 유지하는 제1 아암과,
상기 동결 보존 용기의 상방으로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보존 대상을 재치 가능한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제1 스테이지와 인접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보존 대상을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 스테이지로 이동시키는 제2 아암을 구비하는 동결 보존 장치.
(2) 적어도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1)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3) 상기 제1 스테이지에 재치된 상기 보존 대상을 상기 케이스로 이동시키는 제3 아암을 추가로 구비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4) 상기 동결 보존 용기 내의 바닥부에 회전 테이블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원의 원주 상에 상기 케이스가 재치 가능하게 됨과 함께,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가 상기 원의 원주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이다.
(5) 상기 동결 보존 용기의 상면에 2 이상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하나의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이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2 이상의 동심원의 각 원주 상에 상기 케이스가 재치 가능하게 됨과 함께,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가 상기 동심원의 각 원주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6) 상기 제1 아암, 상기 제2 아암, 상기 제3 아암 및 상기 제1 스테이지가 상기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5)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이다.
(7) 상기 동결 보존 용기의 상방이며,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위치로서,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스테이지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스테이지를 추가로 구비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이다.
(8) 상기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제2 스테이지가 한 쌍이 되어, 상기 케이스측에서 제1 스테이지측으로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7)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9)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가 상기 개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를 연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또는 (8)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10) 상기 제1 스테이지 상에 재치된 상기 보존 대상을 식별하는 식별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11) 상기 보존 대상이 바이알에 수용되고,
상기 바이알이 연직 방향으로 2차원으로 나열되어 상자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12) 상기 제1 스테이지에 재치된 보존 대상을 상기 케이스로 이동시키는 제3 아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아암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압압 아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아암에는 1개의 압압 아암이 형성되고, 이 1개의 압압 아암은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2 스테이지로 향하는 하나의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스테이지에는, 상기 복수의 압압 아암이 삽입되는 공간을 갖는 홀더가 추가로 형성되는 (1)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13) 상기 홀더에는, 상기 복수의 압압 아암이 삽입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이 형성되어 있는 (12)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14) 상기 케이스가 연직 방향으로 승강할 때의 위치 편차를 규제하는 가이드가 상기 케이스의 승강 방향을 따라 상방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와, 그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12)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15) 상기 동결 보존 용기의 상방이며,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위치로서,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스테이지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스테이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가 상기 제1 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제2 가이드가 상기 제2 스테이지에 장착되어 있는 (14)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16) 상기 구획판의 선단부에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13)에 기재된 동결 보존 장치.
본 발명의 동결 보존 장치는 보존 대상을 나열하여 수납하는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상면에 형성된 동결 보존 용기와, 케이스를 유지한 상태에서, 개구부를 개재하여 케이스를 연직 방향으로 상승시킴과 함께, 케이스를 임의의 높이로 유지하는 제1 아암과, 동결 보존 용기의 상방으로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보존 대상을 재치 가능한 제1 스테이지와, 보존 대상을 제1 스테이지로 이동시키는 제2 아암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에 인접하도록 제1 스테이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아암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시료 등의 보존 대상을 동결 보존 용기에서 취출할 때, 케이스 전체를 동결 보존 용기에서 끌어올리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보존 대상만을 제2 아암에 의해 제1 스테이지 상에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보존 대상을 자동으로 취출할 수 있고, 또한 목적으로 하는 보존 대상 이외의 보존 대상이 승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드로워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동결 보존 용기를 측면에서 본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동결 보존 용기를 위에서 본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드로워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드로워 승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제1 스테이지, 제2 스테이지, 제1 압압 장치 및 제2 압압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계통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드로워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드로워 승강 장치, 드로워, 제1 드로워 가이드, 제2 드로워 가이드,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드로워 승강 장치, 드로워, 제1 드로워 가이드, 제2 드로워 가이드, 제1 스테이지 및 제2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의 제1 압압 장치 및 제2 압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은 특징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편의상 특징이 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는 경우가 있고, 각 구성 요소의 치수 비율 등이 실제와 동일하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
<동결 보존 장치>
우선,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1)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는 동결 보존 용기(2)와, 작업 공간(3)에 드로워 승강 장치(제1 아암)(4)와, 제1 스테이지(5)와, 제2 스테이지(6)와, 제1 압압 장치(제3 아암)(7)와, 제2 압압 장치(제2 아암)(8)와, 적어도 드로워 승강 장치(제1 아암)(4) 및 제2 압압 장치(제2 아암)(8)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제어부)(도시 생략)와, 외부에 제어 장치에 대한 바이알이나 드로워(케이스)의 입출고 정보에 대해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관리용의 입출력 장치(9)를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드로워 승강 장치(4) 및 제2 압압 장치(8)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동결 보존 용기(2) 내에 보존되어 있는 목적으로 하는 생체 시료를 자동으로 취출함과 함께, 목적 이외의 생체 시료의 승온을 저감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에서는, 복수의 바이알(보존 대상)(11)이 배열되어 박스(유닛)(12) 내에 수납되어 있고, 또한 박스(12)는 드로워(케이스)(13)에 연직 방향(이하, 「Z축 방향」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으로 나열되어 수납되어 있다.
바이알(11)은 생체 시료 등의 시료를 직접 수용하기 위한 원통 형상 용기이다. 바이알(11)은 생체 시료 등의 시료를 직접 수용할 수 있고, 동결 보존 용기 내의 저온에 견딜 수 있는 것이면, 수지, 유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박스(12)는 바이알(11)을 수납하기 위한 상자이다. 박스(12)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8개, 96개의 복수의 바이알(11)을 2차원으로 나열하여 수납할 수 있고, 박스(12)에 수납한 채로 바이알(11)의 바닥면에 첩부된 바코드를, 후술하는 바코드 리더로 판독할 수 있도록, 박스(12)의 바닥면이 개구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드로워(13)에는, 박스(12)를 Z축 방향으로 나열하여 수납하기 위한 선반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파지되고,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드로워(13)로는, 박스(12)를 수납할 수 있고, 또한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결 보존 용기(2)는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동결 보존 용기(2)는 드로워(13)를 내부에 수용하고, 동결 보존하기 위한 용기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인 동결 보존 장치(1)에 있어서의 동결 보존 용기(2)를 측면에서 본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결 보존 용기(2)는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조(21)와 외조(22)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이며, 내조(21)와 외조(22) 사이의 공극이 진공인 진공 이중 단열 용기이다. 따라서, 내조(21)의 내부에 액체 질소 등의 저온 액화 가스를 채움으로써, 내부를 저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조(21)의 바닥부 부근까지,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드로워 테이블(회전 테이블)(24) 아래까지 액체 질소를 채움으로써, 내조(21)의 내부의 기상부를 -150℃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동결 보존 용기(2)의 상면에는, 2개의 개구부(23a, 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3a, 23b)를 개재하여, 동결 보존 용기(2)의 내부 공간과 작업 공간(3)이 연통되어 있다.
2개의 개구부(23a, 23b)는 후술하는 드로워 테이블(회전 테이블)(24)의 반경 방향에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개구부(23a, 23b)가 인접하여 나열되는 방향을 「X축 방향」이라고 기재한다.
각 개구부(23a, 23b)의 개구 면적은 드로워(13)를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면적과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 공간(3)에 있어서, 드로워(13)에서 박스(12)를 반송할 때, 실수로 박스(12)가 개구부(23a, 23b)에서 동결 보존 용기(2) 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개구부(23a, 23b)는 당해 개구부를 폐색하는 캡(25)이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서는, 개구부(23a)에 캡(25)이 형성되어 폐색되어 있고, 개구부(23b)에는 캡(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각 개구부(23a, 23b)에 각각 캡(25)을 형성함으로써, 당해 개구부가 폐색되기 때문에, 동결 보존 용기(2)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캡(25)의 재질로는, 단열 성능이 높은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캡(25)의 상면에는 파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부(26)의 형상은 캡(25)을 각 개구부(23a, 23b)에서 착탈시킬 때, 파지하기 쉬운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하는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 바람직하다.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파지부(26)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드로워 승강 장치(4)를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캡(25)을 개구부(23a, 23b)에서 자동으로 착탈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결 보존 용기(2) 내의 바닥부에는, 드로워(13)를 재치시키기 위한 드로워 테이블(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드로워 테이블(24)은 동결 보존 용기(2)의 외측에 형성되고, 드로워 테이블(24)의 중심축(28)에 결합한 모터(27)에 의해, 회전축(28)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로워 테이블(24) 상에는, 회전축(28)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2개의 동심원의 각 원주 상에 복수의 드로워(13)를 각각 재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a, 23b)가 상기 동심원의 각 원주 상이 되도록 각 개구부와 동심원이 위치 맞춤되어 있다.
이로써, 임의의 드로워(13)를 취출할 때, 드로워 테이블(24)을 회전시킴으로써, 임의의 드로워(13)를 개구부(23a) 또는 개구부(23b)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로워 테이블(24) 상에는 각 드로워(13)를 재치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단부가 확장된 테이퍼 형상으로 된 드로워 가이드(29)가 형성되어 있다. 드로워 가이드(29)를 형성함으로써, 각 드로워(13)가 소정의 위치에 재치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드로워 테이블(24)을 회전시켰을 때, 드로워 테이블(24) 상에서 각 드로워(13)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로워 가이드(29)의 테이퍼부가 드로워(13) 하강시의 위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로워(13)는 측면이 되는 한 쌍의 세로판(31, 31)과 세로판(31, 31) 사이에 걸쳐 형성된 복수의 바닥판(32)에 의해 구성된다. 이로써, Z축 방향으로 연속하여 선반이 형성되고, 각 선반에 박스(12)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세로판과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박스(12)의 출납이 가능해졌다.
각 드로워(13)를 드로워 테이블(24) 상에 재치할 때는, 후술하는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드로워(13)를 상승했을 경우에, 개구되어 있는 측면이 제1 스테이지(5)측을 향하도록 재치한다.
드로워(13)의 상면에는 파지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부(33)의 형상은 드로워(13)를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하는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 바람직하다.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파지부(33)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드로워 승강 장치(4)를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드로워(13)를 개구부(23a, 23b)에서 자동으로 입출고시킬 수 있다.
작업 공간(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결 보존 용기(2)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3a, 23b)를 개재하여 동결 보존 용기(2)로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는 케이스(도시 생략)에 둘러싸여 있고, 작업 공간(3)은 동결 보존 용기(2) 내에서 증발한 질소 가스 등에 의해, 예를 들면 노점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노점 -50℃ 이하의 드라이 환경으로 유지되어 있다. 동결 보존 용기(2)의 개구부(23a, 23b)를 포함한 작업 공간을 케이스로 덮음으로써, 드로워(13)나 액체 질소에 작업자가 직접 접하는 것에 의한 동상이나, 개구부(23a, 23b)에서 증발하는 질소 가스에 의한 산소 결핍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 환경에 케이스 내를 유지함으로써, 작업 공간(3) 내에서의 결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로워 승강 장치(4)는 드로워(13)를 파지하는 등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개구부(23a, 23b) 중 어느 한쪽을 개재하여 드로워(13)를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부재이며, 작업 공간(3)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드로워 승강 장치(4)는 지지 레일(41)과, 승강 장치 구동부(42)와, 주축부(43)와, 후크(4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지 레일(41)은 작업 공간(3)의 상방에 X축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레일(41)에는, 승강 장치 구동부(42)가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승강 장치 구동부(42)에는, 주축부(43)가 수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축부(43)의 하단에는, 후크(44)가 형성되어 있다.
주축부(43)의 형태는 승강 장치 구동부(42)와 후크(44) 사이를 연결하고, 승강 장치 구동부(42)에서 후크(44)를 수하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봉 형상의 부재여도 되고, 2 이상으로 분할 가능한 체인을 조합한 양태여도 된다.
또한, 승강 장치 구동부(42)는 주축부(43)를 개재하여 후크(44)를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술한 주축부(43)의 양태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축부(43)의 양태가 봉 형상의 부재인 경우에는, 주축부(43)를 축지하는 롤러 부재를 회전시키는 기구여도 된다. 또한, 주축부(43)의 양태가 2 이상으로 분할 가능한 체인의 조합인 경우에는, 체인의 분할 기능 및 권취 기능을 갖는 기구여도 된다.
후크(44)의 형상은 드로워(13)를 파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갈고리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드로워(13)의 상부에 형성된 파지부(33)를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하면, 지지 레일(41) 상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시료가 보관된 드로워(13)의 위치에 대응하는 개구부(23a) 및 개구부(23b) 중 어느 상방으로 후크(4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드로워 승강 장치(4)를 동결 보존 용기(2) 내에 하강시켜 드로워(13)의 상부에 형성된 파지부(33)를 파지할 때, 지지 레일(41) 상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후크(44)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드로워 승강 장치(4)가 1개여도, 복수의 개구부(23a, 23b)에서 드로워(13)를 입출고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장치 구동부(42)를 구동시킴으로써, 주축부(43)를 개재하여 후크(44)를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즉, 드로워(13)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구부(23a, 23b) 중 어느 하나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이로써, 드로워(13)를 동결 보존 용기(2)에서 입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 장치 구동부(42)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후크(44)를 Z축 방향의 임의의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드로워(13)를 파지한 상태에서, 드로워(13)를 임의의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공간(3)의 하방에 제1 X축 레일(51)이 X축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5)는 상기 제1 X축 레일(51)에 장착되어 있고,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스테이지(5)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a) 및 개구부(23b)의 각각에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5)가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a, 23b)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고 있음으로써, 드로워(13)에서 임의의 높이에 수납된 원하는 박스(12)를 취출할 때, 드로워(13) 전체를 동결 보존 용기(2)에서 출고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써, 원하는 박스(12)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 공간의 바닥면과 제1 스테이지(5)가 동일한 높이가 될 때까지 드로워(13)를 상승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제2 압압 장치(8)(제2 아암)에 의해, 원하는 박스(12)만을 제1 스테이지(5) 상에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시료 이외의 시료가 승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드로워(13) 전체를 끌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의 높이 방향을 소형화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5)는 박스(12)를 재치 가능하고, 재치면의 일부에 개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개구부(52)를 개재하여 제1 스테이지(5)의 하방에서 각 바이알(11)을 밀어올릴 수 있다. 또한, 개구부(52)를 개재하여 제1 스테이지(5)의 하방에서 각 바이알(11)의 예를 들면, 바닥부에 형성된 바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개구부(52)의 형상으로는, 바이알(11)의 밀어올림이나 바코드의 판독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박스(12)보다 한 단계 작고, 개구된 것이어도 되고, 슬릿 형상이나 격자 형상으로 복수 개구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스테이지(5)에는 재치면에 박스 가이드(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스 가이드(53)에 의해, 후술하는 제2 압압 장치(8)에 의해 압압된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 상의 소정의 위치에 재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간(3)의 하방으로서, 개구부(23a, 23b)를 사이에 두고 제1 X축 레일(51)의 반대측에, 제2 X축 레일(54)이 X축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테이지(6)는 상기 제2 X축 레일(54)에 장착되어 있고,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스테이지(6)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a) 및 개구부(23b)의 각각에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5) 및 제2 스테이지(6)는 상술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한 쌍이 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면 개구부(23a)에서 드로워(13)를 입출고할 때, 제1 스테이지(5), 개구부(23a) 및 제2 스테이지(6)가 이 순서로 인접하여 나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테이지(5), 개구부(23a) 및 제2 스테이지(6)가 인접하여 나열되는 방향을 「Y축 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또한, 제1 스테이지(5) 및 제2 스테이지(6)는 한 쌍으로 동시에 움직일 뿐만 아니라, 개별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스테이지(5) 및 제2 스테이지(6)의 개구부(23b)측의 측면에는, 드로워 가이드(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드로워(13)가 개구부(23b)를 개재하여 Z축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때, 드로워(13)의 양측에서 드로워 가이드(55)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도록 드로워(13)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드로워(13)의 흔들림 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드로워(13)의 상승 및 하강, 드로워(13)와 제1 스테이지(5) 사이에서의 박스(12)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드로워 가이드(55)로는, 드로워(13)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드로워(13)의 네 모서리의 X축 방향측의 면 및 Y축 방향측의 면에 수지제의 차륜을 각각 당접시킴으로써, 드로워(13)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1 압압 장치(7)는 제1 스테이지(5) 상에 재치된 박스(12)를 드로워(13)측에 압압함으로써, 박스(12)를 드로워(13)에 수납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압압 장치(7)는 제1 스테이지(5)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압압 장치(7)는 제1 지지부(56)와 제1 압압부(5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56)는 제1 스테이지(5) 상으로서, 개구부(23a, 23b)와 대향하는 측의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에 기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지지부(56)는 선단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압압부(57)는 제1 지지부(56)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압압부(57)에 의해 박스(12)를 Y축 방향으로 압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압압 장치(7)에 의하면, 제1 스테이지(5) 상에 재치된 박스(12)를 드로워(13)측으로 압압함으로써, 박스(12)를 드로워(13)에 수납할 수 있다.
제2 압압 장치(8)는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제1 스테이지(5)와 인접하는 높이로 유지되는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측으로 압압함으로써,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 상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제2 압압 장치(8)는 제2 스테이지(6)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압압 장치(8)는 제2 지지부(58)와 제2 압압부(5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지지부(58)는 제2 스테이지(6) 상으로서, 개구부(23a, 23b)와 대향하는 측의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에 기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지지부(58)는 선단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압압부(59)는 제2 지지부(58)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압압부(59)에 의해 박스(12)를 Y축 방향으로 압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압압 장치(8)에 의하면, 드로워(13) 내의 제1 스테이지(5)와 인접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측으로 압압함으로써,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에 재치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5)와, 제2 스테이지(6)와, 제1 압압 장치(7)와, 제2 압압 장치(8)가 연계하여 동작함으로써,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동결 보존 용기(2)에서 출고한 드로워(13)에서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 상에 재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테이지(5) 상에 재치된 박스(12)를 드로워(13)에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개구부(23b)를 개재하여 출고한 후에, 드로워(13)에서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에 재치하는 경우, 우선, 제1 스테이지(5) 및 제2 스테이지(6)가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동결 보존 용기(2)에서 개구부(23b)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출고하고, 원하는 박스(12)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 공간의 바닥면과 제1 스테이지(5)가 동일한 높이가 될 때까지 드로워(13)를 상승시킨다. 드로워(13)를 상승시킬 때, 제1 스테이지(5) 및 제2 스테이지(6)에 형성된 드로워 가이드(55)에 의해, 드로워(13)를 지지함으로써, 드로워(13)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다음으로, 드로워(13)를 지지한 상태에서, 제2 압압 장치(8)에 의해 원하는 박스(12)를 Y축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원하는 박스(12)를 드로워(13)에서 제1 스테이지(5)로 이동시킨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제1 스테이지(5) 상에 원하는 박스(12)를 재치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지(5) 상에 취출된 케이스는 작업 공간(3)에 형성되어 있는 반송 계통(61)에 의해 케이스(도시 생략)의 취출구(도시 생략) 부근까지 반송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계통(61)은 제1 스테이지(5)와, 식별 장치(62)와, 밀어올림부(63)와, 바이알 승강 장치(64)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식별 장치(62)는 바이알(11)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며, 제1 X축 레일(51)의 주변 또는 제1 스테이지(5) 상에 형성되어 있다. 식별 장치로는, 바이알(11)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바이알(11)에 첩부된 화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며, 구체적으로는 바코드 리더 등을 들 수 있다.
식별 장치(62)가 바코드 리더인 경우, 예를 들면 바이알(11)의 바닥부에 식별 코드가 형성되고, 제1 스테이지(5)의 바닥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스테이지(5)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박스(12) 내에 수납된 바이알(11)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식별 장치(62)(바코드 리더)는 제1 스테이지(5)의 X축에 대한 이동 경로로서, 개구부(23a)와 밀어올림부(63) 사이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식별 장치(62)가 바코드 리더인 경우, 1차원 바코드 판독 가능한 리더, 2차원 바코드 판독 가능한 리더 모두 가능하다.
식별 장치(62)를 형성함으로써, 바이알(11)의 보관 장소나 입출고한 일시 등의 재고 정보나 운용 이력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의 시료를 취급하는 경우여도, 판독 간과 등의 미스를 줄일 수 있고, 시료의 채취 오류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밀어올림부(63)는 제1 스테이지(5) 상에 재치된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각 바이알(11)을 제1 스테이지(5)의 하방에서, 제1 스테이지(5)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52)를 개재하여, 각 바이알(11)의 바닥부를 밀어올리기 위한 장치이다.
밀어올림부(63)는 예를 들면, 지지대(65)와, 이 지지대(65) 상에 직선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기둥 형상부(66A, 66B)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지지대(65)는 2개의 유닛으로 분할되어 있고, 한쪽의 유닛에는, 박스 열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알 열 중, 홀수 번째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기둥 형상부(66A)가, 다른 쪽의 유닛에는, 박스 열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알 열 중, 짝수 번째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기둥 형상부(66B)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65)는 2개의 유닛을 교대로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졌고, 한쪽의 유닛을 상승시킴으로써, 박스(12) 내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알 열 중, 홀수 번호의 바이알을 동시에 밀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동일하게, 다른 쪽의 유닛을 상승시킴으로써, 동일 바이알 열 중, 짝수 번호의 바이알을 동시에 밀어올릴 수 있다. 또한, 지지대(65)가 2개의 유닛으로 분할됨으로써, 밀어올려진 바이알(11) 사이의 간격이 전체 바이알(11)을 한 번에 밀어올리는 경우보다 넓어지기 때문에, 바이알 승강 장치(64)의 파지부(68)가 열린 상태가 되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바이알 승강 장치(64)는 케이스(도시 생략)의 작업 공간(3)의 상부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된 Y축 레일(도시 생략)과, 이 Y축 레일(도시 생략)에 형성되고, Y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승강 장치 구동부(67)와, 승강 장치 구동부(67)의 하단에 형성된 파지부(6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승강 장치 구동부(67)는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강하 가능한 기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파지부(68)는 바이알(11)을 1개씩 파지할 수 있는 기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이간 및 근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판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파지부(68)를 열린 상태로 하려면 판 형상 부재를 서로 이간하도록 이동시키고, 닫힌 상태로 하려면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로써, 판 형상 부재 사이의 공간에 바이알(11)을 파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송 계통(61)에 의하면, 제1 스테이지(5) 상에 취출된 박스(12)가 제1 스테이지(5)가 개구부(23a)에서 밀어올림부(63)로 이동할 때, 식별 장치(62)에 의해 원하는 바이알(11)의 위치가 확인된다. 그 후, 제1 스테이지(5)가 밀어올림부(63)까지 이동하면, 식별 장치(62)에 의해 얻어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지대(65)의 대응하는 유닛이 상승함으로써, 원하는 바이알(11)이 상방으로 압출된다. 압출된 바이알(11)의 상방에 바이알 승강 장치(64)를 이동시킨 후에 파지부(68)를 강하시키고, 파지부(68)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바이알(11)을 파지한 후, 바이알 재치소(69)로 반송시킨다. 이로써, 작업자는 원하는 바이알(11)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9)는 케이스(도시 생략)의 외부에 형성된 표시부 및 입력부를 갖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이다. 작업자는 입출력 장치(9)를 조작하고, 동결 보존 장치(1)에 내장된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지시를 내림으로써, 바이알(11) 또는 박스(12)를 취출 및 수납하기 위한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재고 정보에서 취출하는 시료를 선택하고, 바이알(11) 또는 박스(12)의 취출을 지시함으로써, 자동으로 원하는 바이알(11) 또는 박스(12)를 취출구(도시 생략)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입출력 장치(9)가 구비하는 기억부에 있어서, 동결 보존 장치(1)에 있어서, 관리되는 바이알(11) 정보를 기억할 수도 있다.
또한, 동결 보존 장치(1) 내의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는, 드로워 승강 장치(4), 제1 스테이지(5), 제2 스테이지(6), 제1 압압 장치(7), 제2 압압 장치(8), 식별 장치(62), 밀어올림부(63), 바이알 승강 장치(64) 등으로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제2 압압 장치(8)에 의해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 상에 재치한 후에,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드로워(13)를 하강시키고, 동결 보존 용기(2) 내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동작 지시를 할 수 있다. 이로써, 드로워(13) 내에 수납된 다른 시료가 승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의 사용 방법, 즉, 상술한 동결 보존 장치(1)를 사용하고, 개구부(23b)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출고하고, 원하는 박스(12)를 취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입출력 장치(9)를 조작하여, 원하는 박스(12)의 취출을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지시한다. 이로써, 드로워 테이블(24)이 회전하고, 원하는 박스(12)를 수납한 드로워(13)가 개구부(23b)의 바로 아래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드로워 승강 장치(4)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개구부(23b)의 바로 위로 이동한다. 그 후, 후크(44)가 Z축 하방향으로 하강하고, 캡(25)의 파지부(26)를 파지한다. 그 후, 후크(44)가 Z축 상방향으로 상승함으로써, 캡(25)이 개구부(23b)에서 벗겨진다. 개구부(23b)에서 벗겨진 캡(25)은 드로워 승강 장치(4) 및 후크(44)가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예를 들면 또 한쪽의 캡(25) 위 등의 비어 있는 스페이스에 재치된다.
다음으로, 제1 스테이지(5) 및 제2 스테이지(6)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a)의 양측을 사이에 두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드로워 승강 장치(4)가 캡(25)이 벗겨진 개구부(23b)의 바로 위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동결 보존 용기(2)에서 개구부(23b)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출고하고, 원하는 박스(12)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 공간의 바닥면과 제1 스테이지(5)가 동일한 높이가 될 때까지 드로워(13)를 상승시킨다. 드로워(13)를 상승시킬 때, 제1 스테이지(5) 및 제2 스테이지(6)에 형성된 드로워 가이드(55)에 의해 드로워(13)를 지지함으로써, 드로워(13)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다음으로, 제2 압압 장치(8)에 의해 원하는 박스(12)를 Y축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원하는 박스(12)를 드로워(13)에서 제1 스테이지(5)로 이동시킨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제1 스테이지(5) 상에 원하는 박스(12)가 재치된다.
다음으로, 잔여 박스가 승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로워 승강 장치(4)를 하강시키고, 드로워(13)를 동결 보존 용기(2)에 입고한다. 그 후, 상술한 캡(25)을 벗기는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캡(25)에 의해 개구부(23b)를 폐색한다.
다음으로, 박스(12)를 재치한 제1 스테이지(5)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박스(12)가 취출구(도시 생략)로 반출된다. 그 후, 작업자는 취출구(도시 생략)에서 목적으로 하는 박스(12)를 취출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박스(12)의 취출 동작이 완료된다.
이어서, 상술한 동결 보존 장치(1)를 사용하고, 개구부(23b)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출고하고, 원하는 바이알(11)을 취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가 입출력 장치(9)를 조작하여,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원하는 바이알(11)의 취출을 지시한다. 이로써, 상술한 박스(12)의 취출과 동일한 동작에 의해, 동결 보존 용기(2)에서 개구부(23b)를 개재하여 원하는 드로워(13)를 출고하고, 원하는 박스(12)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 공간의 바닥면과 제1 스테이지(5)가 동일한 높이가 될 때까지 드로워(13)를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제2 압압 장치(8)에 의해 원하는 박스(12)를 Y축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원하는 박스(12)를 드로워(13)에서 제1 스테이지(5)로 이동시킨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제1 스테이지(5) 상에 원하는 박스(12)가 재치된다.
다음으로, 잔여 박스가 승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로워(13)를 상면이 동결 보존 용기(2)로 들어갈 때까지 하강시키고, 이 상태로 대기한다. 그 때, 드로워 승강 장치(4)는 드로워(13)를 파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박스(12)를 재치한 제1 스테이지(5)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스테이지(5)를 밀어올림부(63)까지 이동시킨다. 제1 스테이지(5) 상에 취출된 박스(12)는 제1 스테이지(5)가 개구부(23b)에서 밀어올림부(63)로 이동할 때, 식별 장치(62)에 의해 원하는 바이알(11)의 위치가 확인된다.
다음으로, 제1 스테이지(5)가 밀어올림부(63)까지 이동하면, 식별 장치(62)에 의해 얻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지대(65)의 대응하는 유닛이 상승함으로써, 원하는 바이알(11)이 상방으로 압출된다.
다음으로, 압출된 바이알(11)의 상방에 바이알 승강 장치(64)를 이동시킨 후에 파지부(68)를 강하시키고, 파지부(68)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바이알(11)을 파지한 후, 바이알 재치소(69)로 반송시킨다. 이로써, 작업자는 원하는 바이알(11)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원하는 바이알(11)을 취출한 후의 박스(12)는 제1 스테이지(5)에 재치된 채로, X축 방향을 이동하고, 드로워(13)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후,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드로워(13) 내의 원하는 박스(12)를 수납하는 공간의 바닥면이 제1 스테이지(5) 및 제2 스테이지(6)와 나란해질 때까지, 드로워(13)를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제1 압압 장치(7)에 의해, 박스(12)를 Y축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에서 드로워(13)로 이동시킨다. 박스(12)를 이동한 후,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드로워(13)를 하강시키고, 동결 보존 용기(2)에 입고한다. 그 후, 상술한 캡(25)을 벗기는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캡(25)으로 개구부(23b)를 폐색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바이알(11)의 취출 동작이 완료된다.
이상, 원하는 박스(12) 또는 바이알(11)을 취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박스(12) 또는 바이알(11)을 수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취출할 때의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에 의하면, 바이알(11)을 박스(12)마다 연직 방향으로 나열하여 수납하는 드로워(13)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작업 공간(3)과 연통하는 개구부(23a, 23b)가 상면에 형성된 동결 보존 용기(2)와, 드로워(13)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구부(23a, 23b)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연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킴과 함께, 드로워(13)를 임의의 높이로 유지하는 드로워 승강 장치(4)와, 동결 보존 용기(2)의 상방으로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a, 23b)에 인접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박스(12)를 재치 가능한 제1 스테이지(5)와, 박스(12)를 압압하여 제1 스테이지(5)로 이동시키는 제2 압압 장치(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a, 23b)에 인접하도록 제1 스테이지(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시료를 동결 보존 용기(2)에서 취출할 때, 드로워(13) 전체를 동결 보존 용기로부터 끌어올리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시료만을 제2 압압 장치(8)에 의해 제1 스테이지(5) 상에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시료를 자동으로 취출할 수 있고, 또한 목적으로 하는 시료 이외의 시료가 승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드로워(13) 전체를 끌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의 높이 방향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에 의하면, 적어도 드로워 승강 장치(4)와, 제2 압압 장치(8)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압압 장치(8)에 의해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에 재치한 후에, 드로워 승강 장치(4)에 의해 드로워(13)를 하강시키고, 동결 보존 용기(2) 내에 수용시키는 일련의 조작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이로써, 목적으로 하는 시료 이외의 시료가 승온되는 것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에 의하면, 제1 스테이지(5)에 재치된 박스(12)를 제1 스테이지(5)측에서 드로워(13)측으로 압압하고, 드로워(13)에 수납하는 제1 압압 장치(7)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바이알(11) 또는 박스(12)를 자동으로 동결 보존 용기(2)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에 의하면, 동결 보존 용기(2) 내의 바닥부에 드로워 테이블(24)을 추가로 구비하고, 드로워 테이블(24)의 회전축(28)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2개의 동심원의 각 원주 상에 드로워(13)가 재치 가능하게 됨과 함께,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a, 23b)가 상기 동심원의 원주상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대량의 드로워(13)를 동결 보존 용기(2)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1)에 의하면,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a, 23b)에 인접하는 제1 스테이지(5) 및 제2 스테이지(6)가 개구부(23a, 23b)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Z축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드로워(13)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드로워(13)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드로워(13)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드로워(13)의 상승 및 하강이나, 드로워(13)와 제1 스테이지(5) 사이에서의 박스(12)의 이동 등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에서는, 보존 대상이 수용되는 바이알(11)을 동결 보존한 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존 대상이 수용되는 엔벨로프를 동결 보존한다. 이 보존 대상의 변경에 따라, 동결 보존 장치 자체의 구성도 상이하다. 이하,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엔벨로프란, 그 중에 혈액백이나 제대혈백 등의 주머니 형상의 보존 대상물을 수납하는 박스이다. 엔벨로프를 사용함으로써, 보존 대상이 부정 형상이어도 취출 또는 수납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보존 대상을 충격 등에서 지킬 수도 있다. 엔벨로프는 그 자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이면 어떠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엔벨로프는 수지로 형성되어도 되며, 열전도율이 큰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이 엔벨로프에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이알과 마찬가지로, 식별 코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벨로프(10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드로워(13)의 선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몇 개 수용되어 있다. 도 9에서는, 4개의 선반에 각각 5개의 엔벨로프(100)가 직립하여 수용되어 있다. 엔벨로프(100)의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하기 위해, 드로워(13)의 선반에는 구획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획판 대신에 엔벨로프(100)를 직립시키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드로워(13)가 개구부(23b)를 개재하여 Z축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때, 드로워(13)를 지지하기 위해, 제1 스테이지(5) 및 제2 스테이지(6)의 개구부(23b)측의 측면에 드로워 가이드(55)를 형성했다. 이 하나의 드로워 가이드(55)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2개의 드로워 가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드로워 가이드(155 및 255)가 드로워(13)가 이동하는 Z축 방향으로 상하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개소에 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드로워(13)가 승강할 때, 드로워(13)의 위치 편차를 규제할 수 있고, 따라서 드로워(13)의 승강을 보다 정확한 장소에 보다 정확한 자세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드로워 가이드(155)는 드로워 승강 장치(4)의 일부인 지지 레일(4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드로워(13)를 끌어올릴 때, 특히 드로워(13)의 상부의 위치 편차를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드로워 가이드(255)는 상기 제1 드로워 가이드(155)보다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드로워(13)를 끌어올릴 때, 특히 드로워(13)의 하부의 위치 편차를 규제할 수 있다. 제2 드로워 가이드(255)는 제2 스테이지(6)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드로워 가이드(155 및 255)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로워(1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X축 및 Y축 방향의 두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편차를 규제할 수 있다. 드로워(13)의 형상이 사각 기둥이면, 제1 및 제2 드로워 가이드(155 및 255)의 형상은 사각의 프레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는 제1 압압 장치(7) 및 제2 압압 장치(8)를 구비하고, 이 제1 및 제2 압압 장치(7 및 8)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부(56 및 58)와, 제1 및 제2 압압부(57 및 59)를 구비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압압 장치(7)는 추가로 엔벨로프 홀더(153)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압압 장치(7)의 제1 압압부(57)에는 복수개의 압압 아암(15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2 압압 장치의 제2 압압부(59)에는 1개의 압압 아암(1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압압 장치에 형성된 압압부(59)인 1개의 제2 압압 아암(159)은 제2 스테이지(6)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스테이지(5)와 인접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드로워(13) 내의 특정의 엔벨로프(100)를 제1 스테이지(5)측에 압압하여, 제1 스테이지(5)에 재치할 수 있다. 즉, 제2 압압 아암(159) 중 적어도 선단은 하나의 엔벨로프(100)를 압출할 수 있는 크기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압압 아암(159)이 1개이지만, 복수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엔벨로프(100)를 동시에 압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압압 장치(7)는 엔벨로프 홀더(153)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압압 장치(7)의 제1 압압부(57)에는 복수개의 압압 아암(1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엔벨로프 홀더(153)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로워(13)의 선반에 형성된 구획판과 대응하도록 구획판이 형성되어 있다. 즉, 드로워(13)에 수용된 엔벨로프(1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획판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엔벨로프 홀더(153)의 구획판으로서, 드로워(13)에 형성된 구획판에 대한 단부(153a)에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드로워(13)에 대해 엔벨로프 홀더(153)를 정밀도 높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압 아암(157)은 엔벨로프 홀더(153)에 형성된 구획판과 구획판과의 공간을 통과하는 복수의 아암을 구비한다. 이로써, 엔벨로프(100)가 엔벨로프 홀더(153)의 어느 부분에 수용되어 있어도, 그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제1 압압 아암(157)을 드로워(13)를 향해 압출함으로써, 엔벨로프(100)를 드로워(13)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엔벨로프(100)가 복수 있는 경우여도, 드로워(13)에 한번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압 아암(157)은 제2 압압 아암(159)과 동일하게, 1개의 압압 아암만 구비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압압 아암(157)은 제1 스테이지(5) 상을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는, 작업 공간(3)을 덮는 케이스의 취출구에 자동문을 형성하고, 이 자동문에 연동하여 제1 스테이지(5)를 X축 상으로 이동시키고, 자동 슬라이드문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케이스 내에 손을 넣지 않고, 엔벨로프(100)를 취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동결 보존 장치를 사용하고, 개구부(23b)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출고하고, 원하는 엔벨로프(100)를 취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작업자가 입출력 장치(9)를 조작하여,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원하는 엔벨로프(100)의 취출을 지시한다. 이로써, 원하는 엔벨로프(100)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 공간의 바닥면과 제1 스테이지(5)가 동일한 높이가 될 때까지, 개구부(23b)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상승시킨다. 이 때, 제1 및 제2 드로워 가이드(155 및 255)가 드로워(13)가 이동하는 Z축 방향으로 상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로워(13)를 소정 위치에, 또한 소정의 자세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압압 장치(8)의 제2 압압 아암(159)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엔벨로프(100)에 대향한다. 이어서, 제2 압압 아암(159)이 원하는 엔벨로프(100)를 Y축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원하는 엔벨로프(100)만을 드로워(13)에서 제1 스테이지(5) 상의 엔벨로프 홀더(153)로 이동시킨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엔벨로프 홀더(153) 상에 원하는 엔벨로프(100)가 재치된다.
다음으로, 엔벨로프(100)가 재치된 엔벨로프 홀더(153)를 재치한 제1 스테이지(5)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작업 공간(3)을 덮는 케이스의 취출구까지 이동시킨다. 작업자는 케이스의 취출구에서 손을 넣어 엔벨로프(100)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슬라이드문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케이스 안에 손을 넣지 않고, 엔벨로프(100)를 취출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원하는 엔벨로프(100)의 취출 동작이 완료된다.
이하, 엔벨로프(100)를 동결 보존 장치에 수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입출력 장치(9)를 조작하여, 엔벨로프 홀더(153)를 재치한 제1 스테이지(5)를 수용구까지 이동시킨다. 여기서, 이 수용구는 취출구와 겸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엔벨로프 홀더(153)의 지정 장소에 엔벨로프(100)를 수용한다. 이 지정 장소는 입출력 장치(9)가 입출고 상황에 기초하여 지시한다.
다음으로, 엔벨로프 홀더(153)를 재치하는 제1 스테이지(5)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개구부(23b)에 인접시킨다. 이 때, 제1 스테이지(5)와 수용해야 할 드로워의 선반의 바닥면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드로워(13)는 이동하고 있다.
이어서, 제1 압압 장치(7)의 제1 압압 아암(157)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엔벨로프 홀더(153)상의 엔벨로프(100)에 당접시킨다. 그 후, 추가로 엔벨로프(100)를 압출하고, 엔벨로프(100) 전체가 드로워(13)에 수용되면,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엔벨로프(100)를 드로워(13)에 수용시킨다.
이 때, 제1 압압 아암(157)은 복수의 아암을 구비하기 때문에, 엔벨로프(100)가 엔벨로프 홀더(153)의 어디에 수용되어 있어도, 1회의 압출로 확실히 드로워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엔벨로프(100)여도, 1회의 압출로 수용할 수 있다. 그 후, 드로워(13)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동결 보존 용기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에 의하면, 엔벨로프(100)를 연직 방향으로 나열하여 복수 단으로 수납하는 드로워(13)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작업 공간(3)과 연통하는 개구부(23a, 23b)가 상면에 형성된 동결 보존 용기(2)와, 드로워(13)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구부(23a, 23b)를 개재하여 드로워(13)를 연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킴과 함께, 드로워(13)를 임의의 높이로 유지하는 드로워 승강 장치(4)와, 동결 보존 용기(2)의 상방으로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3a, 23b)에 인접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엔벨로프(100)를 수용할 수 있는 엔벨로프 홀더(153)를 재치한 제1 스테이지(5)와, 엔벨로프(100)를 압압하여 제1 스테이지(5) 상의 엔벨로프 홀더(153)로 이동시키는 제2 압압 장치(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드로워 가이드(155 및 255)가 드로워(13)가 승강하는 Z축 방향의 상하에 2개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X축 및 Y축 방향에 있어서의 드로워(13)의 위치 편차를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드로워(13)의 선반에 복수 재치된 엔벨로프(100) 중의 소정의 엔벨로프(100)만을 취출하기 위해, 엔벨로프(100)의 위치에 대해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제1 및 제2 드로워 가이드(155 및 255)가 형성되어 있으면, X축 및 Y축 방향에 있어서의 드로워(13)의 위치 편차를 보다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드로워 가이드(155 및 255)가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하에 형성되어 있으면, 드로워(13)를 승강시킬 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기울기나 흔들림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동결 보존 장치에 있어서는, 제1 압압 장치(7)는 추가로 엔벨로프 홀더(153)를 구비하고, 제1 압압부(57)는 복수의 압압 아암(157)을 갖고, 제2 압압부(59)는 1개의 제2 압압 아암(159)을 구비한다. 제2 압압 아암(159)은 제2 스테이지(6) 상을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원하는 엔벨로프만을 제1 스테이지(5) 방향으로 압출할 수 있다. 제1 압압 장치(7)가 구비하는 엔벨로프 홀더(153)는 드로워(13)에 복수 수용되는 엔벨로프(100)에 대응하여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엔벨로프 홀더(153)는 그 수납 공간과, 드로워(13)의 수납 공간이 Y축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2 압압 아암(159)을 Y축 방향으로 압출함으로써, 드로워(13)에 수용된 엔벨로프(100)를 제1 스테이지(5) 상의 엔벨로프 홀더(153)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아암(157)은 복수의 아암을 구비하고, 이 아암은 드로워에 수용되는 엔벨로프(100)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동결 보존 용기(2)에 수납해야 할 엔벨로프(100)가 엔벨로프 홀더(153)의 어느 위치에 수납되어 있어도, 제1 압압 아암(157)의 한 번의 이동으로 확실히 엔벨로프(100)를 드로워(13)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수납해야 할 엔벨로프(100)가 복수 있다고 해도, 제1 압압 아암(157)을 한 번 이동시킴으로써, 드로워(13)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간(3)을 구획하는 케이스에 자동 슬라이드문이 형성되어 있으면, 작업자는 동결 보존 장치에 손을 넣지 않고, 엔벨로프(100)를 취출할 수 있다.
이상,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동결 보존 장치(1)에서는, 드로워(13)가 동결 보존 용기(2) 내에서 동심원 형상으로 2단에 걸쳐 나열되고, 2개의 개구부(23a, 23b)를 구비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드로워(13)가 동결 보존 용기(2) 내에서 1개의 임의의 원 형상으로 나열되고, 개구부가 1개여도 되며, 드로워(13)가 동결 보존 용기(2) 내에서 3개 이상의 임의의 동심원 형상으로 나열되고, 개구부가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동결 보존 장치(1)에서는, 입출력 장치(9)가 케이스(도시 생략)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장치(9)의 입력부 및 표시부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케이스의 외벽에 형성되는 등에 의해, 동결 보존 장치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동결 보존 장치(1)에서는, 동결 보존 장치(1)에 내장된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드로워 승강 장치(4), 제1 스테이지(5), 제2 스테이지(6), 제1 압압 장치(7), 제2 압압 장치(8), 식별 장치(62), 밀어올림부(63), 바이알 승강 장치(64) 등에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삽입되고, 외부에 접속된 입출력 장치(9)를 작업자가 조작함으로써 제어부에 각종 지시를 내리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장치(9)를 개재하지 않고, 작업자가 제어 장치(도시 생략)를 조작함으로써, 드로워 승강 장치(4) 등의 각 동작부에 직접 지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동결 보존 장치(1)에서는, 제1 스테이지(5)와 제2 스테이지(6)가 연동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각 동작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동결 보존 장치(1)에서는, 보존 대상이 용기와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바이알(11) 또는 엔벨로프(100)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튜브 형상 등, 드로워(13)에 수납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동결 보존 장치는 실험 동물의 정자, 수정란, 세포 등의 생체 시료를 동결 보존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다.
1…동결 보존 장치, 2…동결 보존 용기, 3…작업 공간, 4…드로워 승강 장치(제1 아암), 5…제1 스테이지, 6…제2 스테이지, 7…제1 압압 장치(제3 아암), 8…제2 압압 장치(제2 아암), 9…입출력 장치, 11…바이알(보존 대상), 12…박스(유닛), 13…드로워(케이스), 21…내조, 22…외조, 23a, 23b…개구부, 24…드로워 테이블(회전 테이블), 25…캡, 26…파지부, 27…모터, 28…회전축, 29…드로워 가이드, 31…세로판, 32…바닥판, 33…파지부, 41…지지 레일, 42…승강 장치 구동부, 43…주축부, 44…후크, 51…제1 X축 레일, 52…개구부, 53…박스 가이드, 54…제2 X축 레일, 55…드로워 가이드, 56…제1 지지부, 57…제1 압압부, 58…제2 지지부, 59…제2 압압부, 61…반송 계통, 62…식별 장치, 63…밀어올림부, 64…바이알 승강 장치, 65…지지대, 66A, 66B…기둥 형상부, 67…승강 장치 구동부, 68…파지부, 69…바이알 재치소, 100…엔벨로프, 155…제1 드로워 가이드, 255…제2 드로워 가이드, 159…제2 압압 아암(제2 압압부), 157…제1 압압 아암(제1 압압부), 153…엔벨로프 홀더, 153a…테이퍼부

Claims (16)

  1. 보존 대상을 나열하여 수납하는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상면에 형성된 동결 보존 용기와,
    상기 케이스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를 연직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킴과 함께, 상기 케이스를 임의의 높이로 유지하는 제1 아암과,
    상기 동결 보존 용기의 상방으로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보존 대상을 재치 가능한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제1 스테이지와 인접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보존 대상을 상기 케이스측에서 상기 제1 스테이지로 이동시키는 제2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측면이 되는 한 쌍의 세로판과 당해 한 쌍의 세로판 사이에 걸쳐 형성된 복수의 바닥판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연직 방향으로 연속하여 선반이 형성되고, 각 선반에 상기 보존 대상이 나열하여 수납되는 동결 보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동결 보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에 재치된 보존 대상을 상기 케이스로 이동시키는 제3 아암을 추가로 구비하는 동결 보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 내의 바닥부에 회전 테이블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원의 원주 상에 상기 케이스가 재치 가능하게 됨과 함께,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가 상기 원의 원주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의 상면에 2 이상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케이스측에서 제1 스테이지측으로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이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2 이상의 동심원의 각 원주 상에 상기 케이스가 재치 가능하게 됨과 함께,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가 상기 동심원의 각 원주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 상기 제2 아암, 상기 제3 아암 및 상기 제1 스테이지가 상기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결 보존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의 상방이며,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위치로서,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스테이지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스테이지를 추가로 구비하는 동결 보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제2 스테이지가 한 쌍이 되어, 상기 케이스측에서 제1 스테이지측으로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결 보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스테이지 및 상기 제2 스테이지가 상기 개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를 연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 상에 재치된 상기 보존 대상을 식별하는 식별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동결 보존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 대상이 바이알에 수용되고,
    상기 바이알이 연직 방향으로 2차원으로 나열되어 상자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지에 재치된 보존 대상을 상기 케이스로 이동시키는 제3 아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아암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압압 아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아암에는 1개의 압압 아암이 형성되고, 이 1개의 압압 아암은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2 스테이지로 향하는 하나의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스테이지에는, 상기 복수의 압압 아암이 삽입되는 공간을 갖는 홀더가 추가로 형성되는 동결 보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복수의 압압 아암이 삽입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이 형성되어 있는 동결 보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연직 방향으로 승강할 때의 위치 편차를 규제하는 가이드가 상기 케이스의 승강 방향을 따라 상방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와, 그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동결 보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의 상방이며,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위치로서,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스테이지와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스테이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가 상기 제1 아암에 장착되고,
    상기 제2 가이드가 상기 제2 스테이지에 장착되어 있는 동결 보존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선단부에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동결 보존 장치.
KR1020177025242A 2015-03-18 2016-03-17 동결 보존 장치 KR102550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4572 2015-03-18
JPJP-P-2015-054572 2015-03-18
PCT/JP2016/058581 WO2016148254A1 (ja) 2015-03-18 2016-03-17 凍結保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123A KR20170129123A (ko) 2017-11-24
KR102550904B1 true KR102550904B1 (ko) 2023-07-03

Family

ID=5691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242A KR102550904B1 (ko) 2015-03-18 2016-03-17 동결 보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17116B2 (ko)
EP (1) EP3272324B1 (ko)
JP (1) JP6368032B2 (ko)
KR (1) KR102550904B1 (ko)
CN (1) CN107405257B (ko)
SG (1) SG11201707434VA (ko)
WO (1) WO2016148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6539B2 (en) * 2015-03-30 2019-07-02 Brooks Automation, Inc. Automated cryogenic storage system
EP3415005B1 (en) * 2017-06-16 2022-08-03 Liconic Ag Automatic blood bank
WO2019113913A1 (zh) * 2017-12-15 2019-06-20 国玺干细胞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智能科技生物产品低温储存设备
CN109928071A (zh) * 2017-12-15 2019-06-25 国玺干细胞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智能科技生物产品低温储存设备
CN107972999B (zh) * 2017-12-19 2023-12-19 上海原能细胞生物低温设备有限公司 一种冻存盒存储罐
CN108332506B8 (zh) * 2017-12-30 2020-05-05 何璐 一种冷冻干燥血浆装置
JP6917346B2 (ja) * 2018-03-30 2021-08-11 大陽日酸株式会社 予備凍結装置、及び凍結保存システム
CN108394209A (zh) * 2018-05-13 2018-08-1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淮北供电公司 一种便于保存报销单据的一体式费用报销机
WO2020033578A1 (en) 2018-08-10 2020-02-13 Celltr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yogenic storage
KR102168670B1 (ko) * 2019-02-27 2020-10-21 (주)로봇앤드디자인 극저온 탱크
KR102095404B1 (ko) * 2018-08-10 2020-03-31 (주)로봇앤드디자인 극저온 저장 시스템
CN109275657B (zh) * 2018-09-17 2023-07-04 上海原能细胞生物低温设备有限公司 一种螺旋升降式低温存储装置
CN109673624B (zh) * 2019-03-04 2021-07-02 安徽冠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液氮罐内部旋转可控式冷冻管储存移出设备
CN112481125A (zh) * 2020-12-01 2021-03-12 江苏中慧元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病毒性疫苗毒株提取装置及其提取方法
KR102276406B1 (ko) * 2020-12-23 2021-07-12 천성태 검체 앰플 보관장치
CN113661978B (zh) * 2021-09-10 2022-05-06 许昌学院 一种病理取样保存送检设备及使用方法
KR102515765B1 (ko) * 2021-12-15 2023-03-31 (주)로봇앤드디자인 입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극저온 탱크 장치
WO2023113188A1 (ko) * 2021-12-15 2023-06-22 (주)로봇앤드디자인 극저온 탱크 장치
CN115363019B (zh) * 2022-09-14 2023-08-25 北京集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干细胞冷冻保存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8572A2 (en) * 2002-09-26 2004-04-08 Cryorobotics, S.R.L. Automatic system for conserving samples at a controlled temperatu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3844A (en) * 1991-08-15 1993-08-10 Cryo-Cell International, Inc. Storage apparatus, particularly with automatic insertion and retrieval
EP1757882A2 (en) 2000-08-23 2007-02-28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for freezers and related method thereof
US7162888B2 (en) * 2003-03-31 2007-01-16 Uchicago Argonne Llc Robot-based automation system for cryogenic crystal sample mounting
JP2005143873A (ja) 2003-11-17 2005-06-09 Taiyo Nippon Sanso Corp 凍結保存容器
DE102004053170B4 (de) 2004-11-01 2009-01-08 Fischer, Thomas Lagerungssystem
CN101553701B (zh) 2006-03-30 2011-04-06 康奈尔研究基金会股份有限公司 在快速冷却小型生物学样品中提高冷却速度的系统和方法
EP1939561A3 (de) * 2006-12-07 2008-07-23 Tecan Trading AG Kompaktlagersystem und dessen Verwendung
JP5302803B2 (ja) * 2009-07-13 2013-10-02 大陽日酸株式会社 凍結保存装置
CN201915085U (zh) 2010-12-27 2011-08-03 协和干细胞基因工程有限公司 细胞冻存盒支架
JP5681547B2 (ja) 2011-03-31 2015-03-11 大陽日酸株式会社 凍結保存装置
US8851588B2 (en) 2012-06-05 2014-10-07 Thermo Fisher Scientific (Asheville) Llc Sliding drawer storage rack for cold storage units
CN203633387U (zh) 2013-12-12 2014-06-11 王彦 细胞冻存盒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8572A2 (en) * 2002-09-26 2004-04-08 Cryorobotics, S.R.L. Automatic system for conserving samples at a controlled temper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5257B (zh) 2019-11-26
CN107405257A (zh) 2017-11-28
EP3272324B1 (en) 2020-04-08
KR20170129123A (ko) 2017-11-24
JP6368032B2 (ja) 2018-08-01
WO2016148254A1 (ja) 2016-09-22
US10617116B2 (en) 2020-04-14
EP3272324A1 (en) 2018-01-24
EP3272324A4 (en) 2018-12-12
SG11201707434VA (en) 2017-10-30
US20180055043A1 (en) 2018-03-01
JPWO2016148254A1 (ja)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904B1 (ko) 동결 보존 장치
EP1573340B1 (en) An automatic storage device with a cylindrical rack
US8857208B2 (en) Automated substance storage
JP4648445B2 (ja) 凍結保存装置
KR102646044B1 (ko) 온도 제어 보관 시스템
US11574276B2 (en) Warehouse management, a robot and an adaptor
JP5450326B2 (ja) 低温保管システム
CN109640648B (zh) 在非常低的温度下操纵和储存生物样本的装置
EP2664881B1 (en) Storage device
JP6917346B2 (ja) 予備凍結装置、及び凍結保存システム
CN114828626A (zh) 用于在非常低的温度下处理和储存生物样品的设备,其包括至少一个笛卡尔坐标型机器人和一个至少五轴的机器人
CN210642162U (zh) 一种生物样本多功能工作站
JP2003034407A (ja) 自動倉庫設備並びにこれに使用するトレー
ES2356591T3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para mercancias al detalle y procedimiento correspondiente.
JP2016117570A (ja) 保管システム
JP2022134930A (ja) 凍結保存装置、及び凍結保存装置の運転方法
CN216271841U (zh) 餐饮业自动化配送系统
JP4023589B2 (ja) 自動倉庫設備
JP2004182368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4227472B2 (ja) ワークのピッキング装置
TWI764849B (zh) 低溫保管系統
CN210582650U (zh) 一种取卵手术用器械整理操作转运平台
JP3232293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及び個別試料収容容器
JP2021094218A (ja) 補助冷却器、及び補助冷却システム
JP2017048035A (ja) 低温保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