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895B1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895B1
KR102550895B1 KR1020170025350A KR20170025350A KR102550895B1 KR 102550895 B1 KR102550895 B1 KR 102550895B1 KR 1020170025350 A KR1020170025350 A KR 1020170025350A KR 20170025350 A KR20170025350 A KR 20170025350A KR 102550895 B1 KR102550895 B1 KR 10255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protective substrate
polarizer
polarizing plate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789A (ko
Inventor
노세진
김동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8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구비된 제1 보호기재;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구비된 제2 보호기재; 및 상기 편광자와 접하지 않은 상기 제1 보호기재의 상면 또는 상기 제2 보호기재의 상면에 구비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기재, 상기 제2 보호기재 및 상기 점착제층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흡수파장(λmax) 470 내지 510nm의 제1 염료를 포함하고, 단, 상기 제1 보호기재, 상기 제2 보호기재 및 상기 점착제층이 모두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제1 보호 기재, 상기 제2 보호기재 및 상기 점착제층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흡수파장(λmax) 580 내지 600nm의 제2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고온 고습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변색 및 블리드 아웃(bleed-out)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는 시인성, 색순도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디스플레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부재 중 하나로서 유용하다. 편광판은 통상,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고,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셀 등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한쪽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액정디스플레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는 광원의 특정 스펙트럼을 컬러필터에 의해 컷팅하여 컬러 화상을 얻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 등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특성에 의해 색순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79216호는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코팅층, 선편광자, 원편광층 및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420nm 이하 및 630nm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경우 고온 고습 환경에 노출시 변색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염료의 블리드 아웃(bleed-out) 현상이 발생하여 시인성 및 색순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고온 고습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시인성 및 색순도가 저하되지 않는 편광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79216호 (2014.06.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온 고습 환경에서 장시간 노출되어도 변색 및 블리드 아웃(bleed-out)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인성 및 색순도가 향상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구비된 제1 보호기재;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구비된 제2 보호기재; 및 상기 편광자와 접하지 않은 상기 제1 보호기재의 상면 또는 상기 제2 보호기재의 상면에 구비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기재, 상기 제2 보호기재 및 상기 점착제층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흡수파장(λmax) 470 내지 510nm의 제1 염료를 포함하고, 단, 상기 제1 보호기재, 상기 제2 보호기재 및 상기 점착제층이 모두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제1 보호 기재, 상기 제2 보호기재 및 상기 점착제층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흡수파장(λmax) 580 내지 600nm의 제2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전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고온 고습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변색 및 블리드 아웃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특정 파장을 흡수하는 편광판을 포함하기 때문에 시인성, 색순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구조를 예시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편광판>
본 발명의 한 양태는 편광자(10); 상기 편광자(10)의 일면에 구비된 제1 보호기재(20); 상기 편광자(10)의 타면에 구비된 제2 보호기재(30); 및 상기 편광자(10)와 접하지 않은 상기 제1 보호기재(20)의 상면 또는 상기 제2 보호기재(30)의 상면에 구비된 점착제층(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 및 상기 점착제층(40)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흡수파장(λmax) 470 내지 510nm의 제1 염료를 포함하고, 단,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 및 상기 점착제층(40)이 모두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제1 보호 기재, 상기 제2 보호기재(30) 및 상기 점착제층(40)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흡수파장(λmax) 580 내지 600nm의 제2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판(100)에 관한 것이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100)은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 및 상기 점착제층(40) 중 1 이상이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 및 상기 점착제층(40)이 모두 제1 염료를 포함하는 것은 제외하며,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 및 상기 점착제층(40) 중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지 않은 구성 중 1 이상이 상기 제2 염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염료는 중심흡수파장(λmax) 470 내지 510nm의 안트라퀴논계, 메틴계, 아조메틴계, 옥사딘계, 아조계, 스티릴계, 쿠마린계, 포르피린계, 디벤조푸라논계, 디케토피롤로피롤계, 로다민계, 키산텐계 및 피롤메틴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흡수파장 470 내지 510nm의 안트라퀴논계, 메틴계, 아조메틴계, 옥사딘계, 아조계, 스티릴계, 쿠마린계, 포르피린계, 디벤조푸라논계, 디케토피롤로피롤계, 로다민계, 키산텐계 및 피롤메틴계 염료는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상기 제1 염료로 사용되는 경우 고온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변색 및 블리드 아웃(bleed-out)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 염료는 예컨대, 상기 옥사딘계 염료로서, 옥사진-170(oxazine-170), 인돌로[2,1-b][1,3]벤조옥사진(indolo[2,1-b][1,3]benzoxazine)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아조계 염료로서 p-페닐아조아닐린(p-phenylazoaniline)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로다민계 염료로 로다민 6G(Rhodamine 6G, R6G)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쿠마린계 염료로서, 쿠마린 6(Coumarin 6, C6)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포르피린계 염료로서 5-(1-(4-카르복시부틸)피리디늄-4-일)10,10,20-트리스(1-메틸피리디늄-4-일)포르피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염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19723239-pat00001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염료는 중심흡수파장(λmax) 580 내지 600nm의 포피린계, 퀴노프탈론계, 티오크산틴계, 메틴계, 페리논계, 안트라피리돈계 및 퀴나크리돈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흡수파장(λmax) 580 내지 600nm의 포피린계, 퀴노프탈론계, 티오크산틴계, 메틴계, 페리논계, 안트라피리돈계 및 퀴나크리돈계 염료의 경우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온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변색 및 블리드 아웃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 염료는, 예컨대 페리논계 염료로 디사조 페리논(disazo perinone)을 사용할 수 있으며, 퀴나크리돈계 염료로 디(메틸설포닐)퀴나크리돈(di(methylsulphonyl)quinacridon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염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포피린계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19723239-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X는 질소 또는 탄소이고,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알릴,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 고리이며,
다만, 상기 X가 질소인 경우 R3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염료는 470 내지 510nm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상기 제2 염료는 580 내지 600nm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100)은 상기 제1 염료 및 상기 제2 염료를 포함함으로써 화상표시장치에 적용 시 시인성이 우수하고 색순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 염료는 상기 제1 염료가 포함된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 점착제층(40) 각각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보호기재(30)가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염료는 상기 제2 보호기재(30)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염료는 상기 제2 염료가 포함된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 점착제층(40) 각각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보호기재(30)가 상기 제2 염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염료는 상기 제2 보호기재(30)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염료 및 상기 제2 염료가 각각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화상표시장치에 적용 시 시인성 및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편광판(100)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제1 보호기재(20) 및 상기 제2 보호기재(30)는 각각 독립적으로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을 고려할 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의 바인더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수지의 함량은 상기 제1 보호기재(20) 및 상기 제2 보호기재(30) 각각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8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7 중량부인 것이 좋다. 상기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고투명성을 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점착제층(40)은 액정셀 등과 접합하기 위한 층으로서,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플루오르계 또는 고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점착제층(40)은 흡습에 의한 벗겨짐 현상, 기포발생 현상의 방지와 열팽창계수들 간의 차이에 의한 액정셀의 뒤틀림, 광학 특성 저하의 방지와 같이 품질과 내구성에서 우수한 화상표시장치의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흡습율이 낮고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경화 또는 건조와 같은 어떠한 고온처리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장기간의 경화 또는 건조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40)의 두께는 사용 목적과 재박리성(resork)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 상기 점착제층(40)의 제조 방법을 본 발명에서 제한하지는 않으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보호기재, 즉 제1 보호기재(20), 제2 보호기재(30)는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TAC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정량의 염료와 DDDMAB(Didodecyldimethyl ammoniumbromide)분산제를 THF(Tetrahydrofuran)에 녹여 해당 보호기재에 섞은 후,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보호기재는 접착제를 이용해 편광자(10)에 접합하게 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100)은 편광자(10)의 한면에는 제1 보호기재(20)가 구비되고, 다른 한면에는 제2 보호기재(30) 및 점착제층(40)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보호기재(20) 또는 상기 제2 보호기재(30)는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층(40)과 접한 상기 제1 보호기재(20) 또는 상기 제2 보호기재(30)는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보호기재(20)의 하면에는 편광자(10), 제2 보호기재(30) 및 점착제층(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40)과 접한 상기 제2 보호기재(30)는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100)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한 광학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광학층이 편광자(10) 상에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편광판(100)은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방지층, 확산방지층, 눈부심방지층 등의 표면처리층이 적층되거나, 편광자(10)의 적어도 한면 또는 제1 보호기재(20) 및/또는 제2 보호기재(30) 상에 시야각을 보상하는 배향액정층 또는 또 다른 기능성 막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각종 화상표시장치를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편광변환장치와 같은 광학막, 리플렉터, 반투과판, 1/2 파장판 또는 1/4 파장판 등의 파장판(λ판 포함)을 포함하는 위상차판, 시야각 보상막, 휘도향상막 중의 하나 이상이 광학층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적층된 제1 보호기재(20) 및/또는 제2 보호기재(30) 상에 리플렉터 또는 반투과 리플렉터가 적층된 반사형 편광판(100)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100), 위상차판이 적층된 타원형 또는 원형 편광판(100), 시야각 보상층 또는 시야각 보상막이 적층된 넓은 시야각 편광판(100), 또는 휘도 향상막이 적층된 편광판(100) 등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상기 편광판(10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편광판(100) 및 상기 편광판(100)에 포함되는 편광자(10) 등의 제조 방법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편광자(10)는 연신된 고분자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으로서, 편광자(10)를 구성하는 고분자 필름은 이색성 물질, 예컨대 요오드에 의해 염색 가능한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 등과 같은 친수성 고분자 필름; 또는 탈수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등과 같은 폴리엔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면내에서 편광도의 균일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이색성 물질에 대한 염색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100)은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 및 상기 점착제층(40) 중 적어도 하나가 중심흡수파장(λmax) 470 내지 510nm의 제1 염료를 포함하고, 단, 상기 제1 보호기재(20), 상기 제2 보호기재(30) 및 상기 점착제층(40)이 모두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염료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제1 보호 기재, 상기 제2 보호기재(30) 및 상기 점착제층(40)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흡수파장(λmax) 580 내지 600nm의 제2 염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 470 내지 510nm의 제1 스펙트럼 및 피크 파장 580 내지 600nm의 제2 스펙트럼을 동시에 흡수하기 때문에 발광 스펙트럼에서 청색과 녹색 피크 파장이 교차되는 점 및 녹색과 적색의 피크 파장이 교차되는 점이 감도(intensity)가 낮아지므로, 화상표시장치에 적용시 색순도 및 색재현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전술한 편광판(100)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액정표시장치; LCD), 유기 EL 디스플레이(유기 EL 표시장치), 액정 프로젝터, 게임기용 표시장치, 휴대전화 등의 휴대단말용 표시장치, 디지털 카메라용 표시장치, 카 네비게이션용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100) 내에 포함되어 있는 내구성이 뛰어난 제1 염료 및 제2 염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고온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변색 및 블리드 아웃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제1 염료 및 상기 제2 염료가 특정 파장을 흡수함으로써 시인성 및 색순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참조예 , 실시예 비교예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상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서, 에폭시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보호기재 및 제2 보호기재를 접착하고, 편광자와 접하지 않은 제2 보호기재의 상면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1 보호기재, 제2 보호기재에 하기 표 1에 따른 구성 및 조성에 따라 제1 염료 및 제2 염료를 제1 염료 및 제2 염료가 포함되는 각각의 층(제1 보호기재, 제2 보호기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를 포함하였으며, 제1 보호기재 및 제2 보호기재는 표 1에 따른 구성 및 조성에 따른 염료와 DDDMAB(Didodecyldimethyl ammonium bromide) 분산제를 THF(Tetrahydrofuran)에 녹여 각 보호기재에 섞음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참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보호기재(제1 보호기재 및 제2 보호기재) 및 점착제층, 편광판의 투과율, 내광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고 항목 참조예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제1 보호기재 λmax 470~510nm의 염료 - 안트라퀴논계 염료1 ) 안트라퀴논계 염료1 ) - 시아닌계 염료3) -
제2 보호기재 λmax 580~600nm의 염료 - 포피린계 염료2) - 포피린계 염료2) - 스쿠아릴륨계 염료4 )
보호기재, 점착제층 @476nm
투과율(%)
92.12 13.24 13.21 92.34 13.78 92.41
보호기재, 점착제층 @593nm
투과율(%)
92.77 10.21 92.54 10.24 92.99 12.11
편광판 @476nm
투과율(%)
44.42 6.11 6.12 44.44 6.42 44.48
편광판 @593nm
투과율(%)
44.54 4.65 44.52 4.78 44.47 7.84
편광판 내광성 × ×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트라퀴논계 염료
[화학식 1]
Figure 112017019723239-pat00003
2)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포피린계 염료
[화학식 2]
Figure 112017019723239-pat00004
(R1:수소, R2:수소, R3:수소, X:탄소)
3)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시아닌계 염료
[화학식 3]
Figure 112017019723239-pat00005
4)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스쿠아릴륨계 염료
[화학식 4]
Figure 112017019723239-pat00006
(R1: 메틸기, R2: 메틸기, R3: 메틸기, R4: 수소, R5: 수소, X: 탄소)
(1) 투과율 및 단체 투과율
UV-VIS Spectroscopy (Jasco사의 V-710)을 이용하여 투과율(단체 투과율)을 측정한 뒤 그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UV-VIS Spectroscopy는 본체, 광원, 샘플 스테이지, 컴퓨터 본체, 모니터 등으로 구성되며, 샘플을 가운데 원 모양의 구멍이 있는 홀더에 붙인 후 스테이지에 맞춰 끼워 넣은 뒤 투과율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측정이 끝난 후 편광판의 단체 투과율, 평행 투과율, 직교 투과율, 편광도와 같은 전반적인 광학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 단체 투과율은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단체 투과율(TY) = (TMD + TTD) / 2
(식 중, TMD는 흡수축 방향의 평균 투과율이고, TTD는 투과축 방향의 평균 투과율이다.)
(2) 내광성
페이드 미터(Fade meter)(SUGA사의 U48AU)를 이용하여 점착제층이 포함된 편광판의 내광성을 측정하였다. 평가 조건은 40℃/50%RH에서 자외선(388nm)을 48시간 동안 조사한 후, 초기 대비 광특성 저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저하가 없을 시 ○, 10%이내 △, 10% 초과는 ×로 표시하였다.
상기 표 1을 보면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470~510nm 및 580~600nm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있고, 내광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으나, 비교예에 따른 편광판은 해당파장의 흡수율이 낮고 내광성에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0: 편광자
20: 제1 보호기재
30: 제2 보호기재
40: 점착제층
100: 편광판

Claims (4)

  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구비된 제1 보호기재;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구비된 제2 보호기재; 및
    상기 편광자와 접하지 않은 상기 제1 보호기재의 상면 또는 상기 제2 보호기재의 상면에 구비된 점착제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기재는 중심흡수파장(λmax) 470 내지 510nm의 제1 염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보호기재는 중심흡수파장(λmax) 580 내지 600nm의 제2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염료의 함량은 상기 제1 보호기재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이며,
    상기 제2 염료의 함량은 상기 제2 보호기재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인,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염료는 안트라퀴논계, 메틴계, 아조메틴계, 옥사딘계, 아조계, 스티릴계, 쿠마린계, 포르피린계, 디벤조푸라논계, 디케토피롤로피롤계, 로다민계, 키산텐계 및 피롤메틴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염료는 포피린계, 퀴노프탈론계, 티오크산틴계, 메틴계, 페리논계, 안트라피리돈계 및 퀴나크리돈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70025350A 2017-02-27 2017-02-27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550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350A KR102550895B1 (ko) 2017-02-27 2017-02-27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350A KR102550895B1 (ko) 2017-02-27 2017-02-27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789A KR20180098789A (ko) 2018-09-05
KR102550895B1 true KR102550895B1 (ko) 2023-07-03

Family

ID=6359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350A KR102550895B1 (ko) 2017-02-27 2017-02-27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8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265B1 (ko) 2015-09-15 2019-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586B1 (ko) * 2010-02-24 2012-03-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고투과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장치
KR101549725B1 (ko) 2012-12-18 2015-09-02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KR20150101106A (ko) * 2014-02-26 2015-09-03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용 광학 필터
KR101799975B1 (ko) * 2014-10-31 2017-11-21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유) 액정표시장치용 색순도 향상 및 휘도 보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70027486A (ko)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265B1 (ko) 2015-09-15 2019-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789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1144B2 (en) Polarizing plate for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563000B2 (en) Polarizing plate for OLED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9835771B2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337005B1 (ko) 편광판용 보호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0209417B2 (en) Achromatic dye-based highly-transmissive polarization element, and polarization plate
CN101598829A (zh) 偏振片
KR101549725B1 (ko)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US9684105B2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plate
US10209418B2 (en) Achromatic polarization element, and polarization plate
KR102540849B1 (ko)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JP2019061241A (ja) 画像表示装置
JP5151296B2 (ja) 粘着剤層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複合偏光板のセット
US20190204479A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7351621B2 (ja) 円偏光板および光学表示デバイス
KR102550895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108561B1 (ko) 자외선 차단 필름
KR20200115083A (ko) 광학 적층체 및 그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10224378A (ja) 粘着剤層付き複合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21261303A1 (ja) 偏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WO2021131792A1 (ja) 光吸収異方性層、積層体、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KR102472996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7195168B2 (ja) 偏光板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TW202144858A (zh) 抬頭顯示器
US10852579B2 (en) Polyester protection film for polarising plate, polarising plate compris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160112576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