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892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892B1
KR102550892B1 KR1020180065564A KR20180065564A KR102550892B1 KR 102550892 B1 KR102550892 B1 KR 102550892B1 KR 1020180065564 A KR1020180065564 A KR 1020180065564A KR 20180065564 A KR20180065564 A KR 20180065564A KR 102550892 B1 KR102550892 B1 KR 10255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housings
lower bridge
upper bridg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050A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8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하우징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병렬로 배치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 브릿지와 하부 브릿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릿지는 정면 및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갖고, 상기 하부 브릿지는 정면 및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하부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이하의 설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기기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냉장고 등의 가전 제품을 비롯한 각종 전기 장치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기 장치의 메인보드와 메인보드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개별 장치 및 부품 간에는 전기적 연결이 필요하여, 플러그 및 리셉터클로 구성된 커넥터가 메인보드 및 개별장치의 케이블을 상호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기존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를 타고 물과 같은 액체가 흐르면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었을 때 단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커넥터를 타고 액체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도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케이스의 일 방향 측면 측의 저부를 제외한 원주 방향 전역에, 개구 단면의 외측을 향해서 개구가 서서히 펼쳐지는 확경(擴徑)부를 형성함으로써, 액체의 적하 위치나 전자회로장치의 설치 각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액체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전자회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 기재의 전자회로장치는 개구된 부분에만 확경부가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다른 부분을 통해서 흐르는 액체를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들 사이에서 흐르는 액체를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은 어렵다 할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PCT 국제출원 공개공보 WO2013/042714호
실시 예의 목적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액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병렬로 배치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 브릿지와 하부 브릿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릿지는 정면 및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갖고, 상기 하부 브릿지는 정면 및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하부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배치되며,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릿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브릿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하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릿지 및 상기 하부 브릿지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과 각각 연결되는 양단부는 곡면의 연결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단부가 각각 ">"자 형태로 각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를 연결시키는 수직의 수직 격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 격벽은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측면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격벽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브릿지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직 격벽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브릿지보다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격벽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격벽은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의 절곡된 중앙 부분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을 타고 흐르는 액체를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어서, 액체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Ⅳ-Ⅳ 선에 따른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연결부만의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 예들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Ⅳ-Ⅳ 선에 따른 연결부(3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에서 연결부(30)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는, 병렬로 배치된 제1 및 제2 하우징(10, 20)과, 제1 및 제2 하우징(10, 20)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은 내부에 터미널(T1, T2) 및 와이어(W1, W2)가 장착되고, 대략 직육면체 통 형상을 갖는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의 형상은 와이어(W1, W2) 및 터미널(T1, T2)이 장착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병렬로 배치된다. 여기서, '병렬로 배치된다' 함은,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길이 방향'이라 함은, 하우징(10, 20)에 터미널(T1, T2) 및 와이어(W1, W2)가 삽입되는 방향을 말한다.
연결부(30)는 제1 및 제2 하우징(10, 20) 사이에 구비되어서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을 결합시키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 사이로 흐르는 액체를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30)는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 및 수직 격벽(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는 커넥터 어셈블리(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는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서 구비된다.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는 액체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면(311, 312, 321, 322)들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부 브릿지(3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상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브릿지(31)를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 대해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하우징(10, 20) 사이로 유입된 액체가 연결부(30)로 유입되어 상부 브릿지(31)를 타고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브릿지(3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하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브릿지(32)를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 대해서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이 반전되어서 하부 브릿지(32)가 상측에 위치하였을 때는, 액체가 하부 브릿지(32)를 타고 연결부(30)를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는 경사면(311, 312, 321, 322)들 이외에도 액체가 보다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고,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에 정체 또는 잔류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313, 314, 323, 324)는 각각 ">"자 형태로 각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의 양 단부(313, 314, 323, 324)를 뾰족하게 형성함으로써, 상부 브릿지(31) 또는 하부 브릿지(32)에 액체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가 각각 제1 및 제2 하우징(10, 20)과 연결되는 양 단부의 연결 단부(315, 316, 325, 326)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가 연결 단부(315, 316, 325, 326)에서 곡면으로 연결되므로,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을 타고 흐르는 액체가 곡면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연결부(30)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는 제1 및 제2 하우징(10, 20)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부 브릿지(31)는 하우징(10, 20)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구비되고, 하부 브릿지(32)는 하우징(10, 20)의 하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구비된다. 또한,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는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수직 격벽(33)은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의 중앙 부분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의 측면에 평행하게 구비된다.
또한, 수직 격벽(33)은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된다. 즉, 수직 격벽(33)은 그 상단부가 상부 브릿지(31)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단부는 하부 브릿지(32)보다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 격벽(33)을 상부 브릿지(31)와 하부 브릿지(32)보다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부 브릿지(31) 또는 하부 브릿지(32) 중 어느 일 측에서 타측으로 액체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커넥터 어셈블리
10, 20: 하우징
30: 연결부
31: 상부 브릿지
311, 312: 경사면
313, 314: 단부
315, 316: 하우징과의 연결 단부
32: 하부 브릿지
321, 322: 경사면
323, 324: 단부
325, 326: 하우징과의 연결 단부
33: 수직 격벽
W1, W2: 와이어
T1, T2: 터미널

Claims (11)

  1. 병렬로 배치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 브릿지와 하부 브릿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릿지는 정면 및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브릿지는 정면 및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하부로 볼록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하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구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배치되며,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릿지 및 상기 하부 브릿지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과 각각 연결되는 양단부는 곡면의 연결 단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단부가 각각 ">"자 형태로 각이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를 연결시키는 수직의 수직 격벽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측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브릿지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직 격벽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브릿지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격벽은 상기 상부 브릿지와 상기 하부 브릿지의 절곡된 중앙 부분을 따라 구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80065564A 2018-06-07 2018-06-07 커넥터 어셈블리 KR10255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64A KR102550892B1 (ko) 2018-06-07 2018-06-07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64A KR102550892B1 (ko) 2018-06-07 2018-06-07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050A KR20190139050A (ko) 2019-12-17
KR102550892B1 true KR102550892B1 (ko) 2023-07-04

Family

ID=6905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564A KR102550892B1 (ko) 2018-06-07 2018-06-07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8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709Y1 (ko) 2005-10-05 2006-02-03 유니콘 일렉트로닉스 컴포넌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JP2006136116A (ja) 2004-11-05 2006-05-2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ハーネス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8237B2 (ja) * 1994-01-31 1999-12-13 住友電装株式会社 簡易防水コネクタ
WO2013042714A1 (ja) 2011-09-22 2013-03-2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展開用電子回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6116A (ja) 2004-11-05 2006-05-2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ハーネス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7709Y1 (ko) 2005-10-05 2006-02-03 유니콘 일렉트로닉스 컴포넌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050A (ko)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1419B2 (en) Electric connector
US8758043B2 (en) Fitting confirmation construction of connector for connecting circuit board
US9640886B2 (en) Fitting confirmation construction for connectors
JP6330587B2 (ja) 通信用コネクタ
JP2016186940A (ja) 保護導体ブリッジ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WO2015037699A1 (ja) 電気接続箱
JP2010029011A (ja) 電気接続箱
CN102035100B (zh) 带壳体的电连接器
KR10255089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6457651B2 (ja) 端子台
KR101089789B1 (ko) 커넥터
JP2014230470A (ja) 電線保持構造
EP3261190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JP7195843B2 (ja) 分電盤
US479990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afety partition
KR100988794B1 (ko) 커넥터
JP2017224473A (ja) コネクタ
JP6279993B2 (ja) レセプタクルおよび電子機器
JP6901703B2 (ja) 電源接続用コネクタ
KR100952434B1 (ko) 다방향 조인트장치
KR102519137B1 (ko) 모듈 커넥터 어셈블리
JP6201931B2 (ja) 電気接続箱
KR102048916B1 (ko)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
KR20100056186A (ko) 박스의 커버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