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810B1 -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0810B1 KR102550810B1 KR1020220001655A KR20220001655A KR102550810B1 KR 102550810 B1 KR102550810 B1 KR 102550810B1 KR 1020220001655 A KR1020220001655 A KR 1020220001655A KR 20220001655 A KR20220001655 A KR 20220001655A KR 102550810 B1 KR102550810 B1 KR 1025508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s
- wheel
- value
- upper arm
- damp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6—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복수 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자작자동차에 구비된 현가장치는, 상기 바퀴에 결합되는 너클과, 회축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차체의 어퍼 암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너클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 암과,회축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차체의 로어 암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너클의 하부에 결합되는 로어 암과,상기 어퍼 암과 상기 로어 암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가 노면에 접지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압축 구동으로 댐퍼를 포함하되,상기 너클, 어퍼 암, 로어 암 및 댐퍼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바퀴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바퀴가 지지하는 차체의 위치에 있어 상기 차체의 높이값을 측정하고, 복수 개의 상기 바퀴에 구비된 상기 댐퍼의 댐핑 저항값을 측정하는 센서 유닛과, 상기 바퀴의 높이값을 제어하며, 상기 바퀴의 댐핑 저항값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된다. 이외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자동차 바퀴의 높이값과 댐핑 저항값을 제어하는 센서 유닛과 제어 유닛이 구비되어 차체의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작자동차를 제작에 있어, 서스펜션의 높이를 세밀하게 조정하지 않아 차체 밸런스가 맞지 않아 주행이 부드럽지 않거나, 주행 도중 로 로어암과 어퍼암의 수직 각도가 맞지 않아 회전 시 타이어의 각도가 오차범위보다 더 많이 기울어지는 것과 동시에 직진할 때 한쪽으로 끌리는 현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차체의 밸런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바퀴의 높이값을 측정하고, 노면에 접하는 바퀴의 두께값을 측정하여 원래의 정상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센서 유닛과 제어 유닛이 구비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바퀴에 결합되는 현가장치의 댐핑값을 제어할 수 있도록, 어퍼 암, 로어 암, 어퍼 암 브라켓, 로어 암 브라켓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유닛이 구비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복수 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자작자동차에 구비된 현가장치로서, 상기 바퀴에 결합되는 너클과, 회축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차체의 어퍼 암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너클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 암과, 회축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차체의 로어 암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너클의 하부에 결합되는 로어 암과, 상기 어퍼 암과 상기 로어 암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가 노면에 접지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압축 구동으로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너클, 어퍼 암, 로어 암 및 댐퍼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바퀴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바퀴가 지지하는 차체의 위치에 있어 상기 차체의 높이값을 측정하고, 복수 개의 상기 바퀴에 구비된 상기 댐퍼의 댐핑 저항값을 측정하는 센서 유닛과, 상기 바퀴의 높이값을 제어하며, 상기 바퀴의 댐핑 저항값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유닛은, 노면에 접하는 각각의 상기 바퀴의 두께값을 측정하여 상기 차체의 높이값을 측정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된 상기 바퀴의 두께값 또는 상기 댐퍼의 댐핑 저항값으로부터, 이상(異常) 인 바퀴를 감지하여, 상기 두께값 또는 상기 댐핑 저항값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 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퀴의 두께값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바퀴의 두께값과 상이하여 소정의 두께값 허용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이상(異常)인 바퀴의 상기 어퍼 암 브라켓 및 상기 로어 암 브라켓을 조절하여, 상기 이상(異常)인 바퀴의 두께값이 두께값 허용 범위 내로 회귀되도록 제어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댐퍼의 댐핑 저항값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댐퍼의 댐핑 저항값과 상이하여 소정의 댐핑 저항값 허용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이상(異常)인 댐퍼의 상기 어퍼 암 및 상기 로어 암을 조절하여, 상기 이상(異常)인 댐퍼의 댐핑 저항값이 댐핑 저항값 허용 범위 내로 회귀되도록 제어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노면에 접하는 바퀴의 두께값을 측정하여 원래의 정상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센서 유닛과 제어 유닛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차체의 밸런스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어퍼 암, 로어 암, 어퍼 암 브라켓, 로어 암 브라켓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유닛이 구비됨으로써, 복수 개의 바퀴에 결합되는 댐퍼의 댐핑값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와 현가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와 현가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110)는 너클(111), 어퍼 암(112), 로어 암(113), 댐퍼(114), 센서 유닛(115), 제어 유닛(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자작자동차로서, 차체(101)와, 차체(101)에 결합된 복수 개의 바퀴(1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111), 어퍼 암(112), 로어 암(113), 댐퍼(114) 등은 자동차의 일반적인 구성들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111)은 자동차 바퀴(102)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해 바퀴(102)에 결합되는 것으로, 너클(111)의 상부에는 어퍼 암(112)이 결합될 수 있고, 너클(111)의 하부에는 로어 암(113)이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암(112)은 일측이, 차체(101)에 결합된 어퍼 암 브라켓(112a)에 결합되고, 타측은 너클(111)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 암(113)은 일측이, 차체(101)에 결합된 로어 암 브라켓(113a)에 결합되고, 타측은 너클(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은 현가장치(110)의 구성으로, 자동차(100)의 주행 시 노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너클(111)을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암(112), 로어 암(113)은 자동차의 현가장치 구조 중의 하나인,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의 구성으로 V나 Y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은 각각의 일측이 차체(101)에 결합된 어퍼 암 브라켓(112a)과 로어 암 브라켓(113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 암(112)은 어퍼 암 브라켓(112a)을 중심으로 회축 운동이 가능하고, 로어 암(113)은 로어 암 브라켓(113a)을 중심으로 회축 운동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114)는 바퀴(102)가 노면에 접지되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댐퍼(114)의 상부는 어퍼 암(112)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고, 댐퍼(114)의 하부는 로어 암(112)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115)은 복수 개의 바퀴(102)가 지지하는 차체(101)의 위치에 있어 차체(101)의 높이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바퀴(102)에 구비된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네 개의 바퀴(10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바퀴(102)는 노면에 접하면서 차체(101)의 무게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바퀴(102)가 지지하는 부분의 차체(101)의 높이값이 센서 유닛(115)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이값은, 노면에 접하는 바퀴(102)의 두께값을 센서 유닛(115)이 측정함으로써 높이값을 측정할 수 있다. 자동차의 각 바퀴(102)는, 각 바퀴(102)가 위치하는 부분에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부품, 각 바퀴(102)의 위치에 따른 기능 등에 따라 적정 두께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적정 두께값이 고려되면서, 전체 차체(101)의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115)은 차체(101)의 일부분이 높거나 낮는 등과 같이 차체(101)의 밸런스가 맞지 않은 경우가 감지될 경우, 각 바퀴(102)가 위치하는 차체(101)의 높이값을 측정하고, 이상(異常) 범위에 있는 바퀴(102)를 감지하여 그 바퀴(102)의 두께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115)은, 자동차가 정지하는 경우, 구동하는 경우 등의 환경에서 바퀴(102)의 두께값을 측정한다. 바퀴(102)의 두께값은 센서 유닛(115)에 구비된 압력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바퀴(102)는 내부의 적정 압력을 유지하면서 차체(101)를 지지할 수 있지만, 적정 압력의 미만일 경우 바퀴(102)의 두께값이 감소하고, 적정 압력을 초과할 경우 바퀴(102)의 두께값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바퀴(102)의 두께값은 너클(111) 등에 구비된 단차 센서 등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단차 센서는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지면과의 높이나 단차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이러한 단차 센서가 구비됨에 따라 각 센서가 위치한 높이를 감지하여, 각 바퀴(102)의 두께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115)은 복수 개의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댐퍼는 댐퍼 몸체,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상하 방향 등에서 작용하는 힘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댐퍼가 이상(異常)일 경우, 차체(101)의 높이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댐퍼의 댐핑 저항값이 클 경우,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대해 저항값이 크게 발생하여 댐퍼가 외력을 완충하는 정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지면의 미세한 변화에도 큰 충격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어느 바퀴의 댐핑 저항값이 클 경우, 다른 바퀴가 외부 변화에서 소정 범위로 댐핑을 하는 동안, 어느 바퀴의 댐핑이 감소됨에 따라 차체(101)의 높이도 높아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유닛(115)은 자동차가 정지하거나 운행하는 경우, 복수 개의 바퀴(102)에 구비된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6)은 센서 유닛(115)에서 측정된 높이값으로부터 이상(異常)인 바퀴(102)를 판단하여 바퀴(102)의 높이값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116)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퀴의 두께값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바퀴의 두께값과 상이하여 소정의 두께값 허용 범위, 또는 허용 오차를 초과하였다고 감지할 경우, 어느 하나의 바퀴를 이상(異常) 바퀴로 판단하고, 이상(異常)인 바퀴에 결합된 어퍼 암 브라켓(112a)과 로어 암 브라켓(113a)를 조정함으로써, 이상(異常)인 바퀴의 두께값이 두께값 허용 범위 내로 회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퀴(102)의 두께는 바퀴(102)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지만, 특히, 바퀴(102)가 차체(101)에 결합되어 지면에 접하는 높이 자체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즉, 차체(101)에 결합된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이 바퀴(102)에 결합된 너클(111)에 연결될 수 있는데,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이 너클(111)에 연결되어 너클(111)이 위치하는 높이가 조정됨으로써, 바퀴(102)가 지면에 접하는 높이가 달라질 수 있는 바,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이 너클(111)로 연결되는 각도가 높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116)은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이 차체(101)에 결합된 어퍼 암 브라켓(112a)과 로어 암 브라켓(113a)에 연결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어퍼 암 브라켓(112a) 및 로어 암 브라켓(113a)의 회동 축과(도면번호 생략), 회동 축에 연결된 어퍼 암(112) 및 로어 암(113)이 결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퍼 암 브라켓(112a)의 회동 축에 어퍼 암(112)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약 5도의 각도로 결합되도록 설정되었는데, 바퀴(102)가 노면에 접하면서 압축되는 길이값이 증가하여, 바퀴(102)의 전체 두께값이 감소하게 될 경우, 제어 유닛(116)은 해당 바퀴의 두께값이 두께값 정상 범위의 미만의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116)은 어퍼 암 브라켓(112a)의 회동 축에서 어퍼 암(112)이 결합되는 각도를 상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조절하여 해당 바퀴의 두께값이 증가함으로써 해당 바퀴의 두께값이 정상 범위 이내로 회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차체(101) 전체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유닛(116)의 두께값 조정은 어퍼 암 브라켓(112a)과 로어 암 브라(113b)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116)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과 상이하여, 소정의 댐핑 저항값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상(異常)인 댐퍼(114)의 상기 어퍼 암(112) 및 상기 로어 암(113)을 조절하여, 상기 이상(異常)인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이 댐핑 저항값 허용 범위 이내로 회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의 변화는 현가장치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즉, 스프링의 탄성이 약해질 경우, 댐핑 저항값이 감소됨에 따라, 미세한 충격에 의해도 댐퍼(114)가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어, 차체가 많이 흔들리게 되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116)에 의해 댐핑 저항값은 어퍼 암(112) 또는 로어 암(113)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너클(111)에 결합되는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은 타측이 어퍼 암 브라켓(112a)과 로어 암 브라켓(113a)의 결합축에 각각 결합되며,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은 각각의 브라켓의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동 운동을 할 수 있다.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이 회동 운동할 수 있는 각도, 즉,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방 및 하방으로 회동할 수 있는 각도는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이 각각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결합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퍼 암(112)이 어퍼 암 브라켓(112a)의 결합축에 상대적으로 강하게 체결되는 경우, 어퍼 암(112)의 회동이 제한되게 되므로, 그 회동 범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퍼 암(112)의 회동이 제한되는 경우, 댐퍼(114)가 댐핑할 수 있는 범위도 제한되게 되어 댐핑 저항값이 커지게 된다.
반면에, 어퍼 암(112)이 어퍼 암 브라켓(112a)의 결합축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체결되는 경우, 어퍼 암(112)이 보다 자유롭게 회동하여 회동 범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댐퍼(114)가 댐핑할 수 있는 범위도 증가하는 바, 댐핑 저항값이 작아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이 어퍼 암(112)과 로어 암(113)이 각각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결합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116)은 센서 유닛(115)에서 측정된 각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어느 하나의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이 소정의 댐핑 저항값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어퍼 암(112) 및 어퍼 암 브라켓(112a)의 결합 강도를 조절하여, 댐핑 저항값이 댐핑 저항값 허용 범위 이내로 회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이 댐핑 저항값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어퍼 암(112) 및 어퍼 암 브라켓(112a)의 결합 강도를 약하게 하여 댐핑 저항값을 감소시킬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댐퍼(114)의 댐핑 저항값이 댐핑 저항값 허용 범위보다 낮아질 경우, 어퍼 암(112) 및 어퍼 암 브라켓(112a)의 결합 강도를 강하게 하여 댐핑 저항값을 증가시킴으로써, 댐퍼(114)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제어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자동차 101: 차체
102: 바퀴 110: 현가장치
111: 너클 112: 어퍼 암
113: 로어 암 114: 댐퍼
115: 센서 유닛 116: 제어 유닛
102: 바퀴 110: 현가장치
111: 너클 112: 어퍼 암
113: 로어 암 114: 댐퍼
115: 센서 유닛 116: 제어 유닛
Claims (5)
- 차체, 복수 개의 바퀴들을 포함하는 자작자동차에 구비된 현가장치로서,
상기 바퀴들에 결합되는 너클과,
회축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차체의 어퍼 암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너클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 암과,
회축 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차체의 로어 암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너클의 하부에 결합되는 로어 암과,
상기 어퍼 암과 상기 로어 암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들이 노면에 접지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압축 구동으로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너클, 어퍼 암, 로어 암 및 댐퍼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바퀴들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바퀴들이 지지하는 차체의 위치에 있어 상기 차체의 높이값을 측정하고, 상기 바퀴들에 구비된 상기 댐퍼의 댐핑 저항값을 측정하고 노면에 접하는 각 바퀴의 두께값을 측정하여 상기 차체의 높이값을 측정하는 센서 유닛과,
상기 바퀴들의 높이값을 제어하며, 상기 바퀴들의 댐핑 저항값을 제어하고, 각 바퀴의 두께값 또는 상기 댐퍼의 댐핑 저항값으로부터, 이상(異常)인 바퀴를 감지하여, 상기 두께값 또는 상기 댐핑 저항값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퀴의 두께값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바퀴의 두께값과 상이하여 소정의 두께값 허용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이상(異常)인 바퀴의 상기 어퍼 암 브라켓 및 상기 로어 암 브라켓을 조절하여, 상기 이상(異常)인 바퀴의 두께값이 두께값 허용 범위 내로 회귀되도록 제어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댐퍼의 댐핑 저항값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댐퍼의 댐핑 저항값과 상이하여 소정의 댐핑 저항값 허용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이상(異常)인 댐퍼의 상기 어퍼 암 및 상기 로어 암을 조절하여, 상기 이상(異常)인 댐퍼의 댐핑 저항값이 댐핑 저항값 허용 범위 내로 회귀되도록 제어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1655A KR102550810B1 (ko) | 2022-01-05 | 2022-01-05 |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1655A KR102550810B1 (ko) | 2022-01-05 | 2022-01-05 |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0810B1 true KR102550810B1 (ko) | 2023-07-04 |
Family
ID=8715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1655A KR102550810B1 (ko) | 2022-01-05 | 2022-01-05 |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081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01418A (ja) * | 2005-06-23 | 2007-01-11 | Nissan Motor Co Ltd | キャンバ角調整装置 |
JP2011131850A (ja) * | 2009-12-25 | 2011-07-07 | Equos Research Co Ltd | 車両用制御装置 |
JP2019077315A (ja) * | 2017-10-24 | 2019-05-23 | Kyb株式会社 | 車体姿勢制御装置 |
JP2020100319A (ja) * | 2018-12-24 | 2020-07-0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
-
2022
- 2022-01-05 KR KR1020220001655A patent/KR1025508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01418A (ja) * | 2005-06-23 | 2007-01-11 | Nissan Motor Co Ltd | キャンバ角調整装置 |
JP2011131850A (ja) * | 2009-12-25 | 2011-07-07 | Equos Research Co Ltd | 車両用制御装置 |
JP2019077315A (ja) * | 2017-10-24 | 2019-05-23 | Kyb株式会社 | 車体姿勢制御装置 |
JP2020100319A (ja) * | 2018-12-24 | 2020-07-0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52657B1 (en) | Height determination for two independently suspended wheels using a height sensor for only one wheel | |
US6688620B2 (en) | Vehicle suspension with camber control | |
US10464601B2 (en) | Automatic tilting vehicle | |
US7427072B2 (en) | Active vehicle suspension | |
US6918600B2 (en) | Electronic control of vehicle air suspension | |
US20060267296A1 (en) | Electronic control of vehicle air suspension | |
JPH0585369B2 (ko) | ||
EP1824693B1 (en) | Anti-roll/pitch system for use in a vehicle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system | |
JP4844026B2 (ja) |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KR100550070B1 (ko) | 전자 제어 현가 장치와 이를 이용한 댐퍼 감쇠력 제어 방법 | |
KR102550810B1 (ko) | 어퍼 암 및 로어 암이 제어되는 자작자동차용 현가장치 | |
JPH0240522B2 (ko) | ||
JP5151307B2 (ja) | サスペンション | |
JP4306484B2 (ja) | 車高検出装置具備車両 | |
KR20060110381A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KR101339218B1 (ko) | 차량의 차고 제어장치 | |
JP4844500B2 (ja) | サスペンション | |
JP2000264205A (ja) | 車両用制振装置 | |
KR100350275B1 (ko) | 액티브 휠 얼라이먼트 제어 시스템 | |
WO2024127990A1 (ja) | センサ異常検出装置 | |
KR102417364B1 (ko) | 차량의 스트럿형 현가장치 | |
WO2024053513A1 (ja) | 懸架システム | |
JPH0123845Y2 (ko) | ||
KR102316602B1 (ko) |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 | |
JPH0640231A (ja) | 車高検出器の取付け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