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053B1 -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053B1
KR102550053B1 KR1020220154861A KR20220154861A KR102550053B1 KR 102550053 B1 KR102550053 B1 KR 102550053B1 KR 1020220154861 A KR1020220154861 A KR 1020220154861A KR 20220154861 A KR20220154861 A KR 20220154861A KR 102550053 B1 KR102550053 B1 KR 102550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window
profile
window fram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화석
표진욱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장화석
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화석, 박민호 filed Critical 장화석
Priority to KR102022015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5Fireproof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69Specific material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87Performing extra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94Strengthening arrangements in case of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는 유리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창짝 프레임; 상기 창짝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창짝 프레임에 연결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의 실외 및 실내 측 노출부위에 덧대어 결합되며, 고온의 열로부터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을 보호하는 커버;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의 실외 및 실내 측 노출부위와 상기 커버 사이에 설정 두께의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난연제; 및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상기 난연제를 접착시키는 난연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ALUMINUM SYSTEM WINDOW FOR FIREPRO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관한 것이다.
방화창호는 내화에 적합한 소재로 특수하게 제작된 프레임에 방화유리를 사용하여 창으로 제작되는 창호 구조물을 말한다.
방화창호는 KS F 2845(내화성), KS F 2278(단열성), KS F 2292(기밀성)의 세가지 성능 시험을 통과한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는 단열성과 기밀성 성능은 만족되지만, 내화성 성능 시험에서 큰 문제점이 발견되어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를 방화창호로 개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방화창호 중에는 1.2T 스테인레스 스틸(SUS)과 8T 방화유리를 가공하여 만든 제품이 소개되어 있다. 이 제품의 경우 방화성능은 뛰어나지만 단열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다른 종래의 방화창호의 예로서, 1.2T 스테인레스 스틸(SUS)과 PVC 이중창을 결합하여 제작된 제품이 소개되어 있다. 이 제품의 경우 방화성적과 단열성능을 별도로 제출함으로써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KS F 2845(내화성), KS F 2278(단열성), KS F 2292(기밀성)의 세가지 성능 시험을 모두 통과한 일체형 제품이 아니라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방화창호의 예로서, 알루미늄 이중창 방화창호가 있다. 이 제품의 경우 방화성적과 단열성적은 우수하지만 슬라이딩 이중창이 적용된 구조이며, 제품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단창이 적용된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를 기본으로 하여, KS F 2845(내화성), KS F 2278(단열성), KS F 2292(기밀성)의 세가지 성능 시험을 모두 통과할 수 있는 방화창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고가 제품인 슬라이딩 이중창 구조가 아니며 단창 아웃워드 방화창호로서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며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한 방화창호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단창 구조이지만 시스템 창호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단열성과 기밀성이 뛰어난 방화창호의 개발이 필요하다.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5622호(2021.12.27, 공고일)에는 방화 단열 창호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56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단창이 적용된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를 기본으로 하여, 내화성, 단열성, 기밀성의 세가지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이중창 구조가 아니라 단창 구조의 아웃워드 방화 창호로서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며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한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창 구조가 아닌 단창의 시스템 창호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단열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 창호를 주로 사용하는 단독주택의 경우에도 제품을 통일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자인이 우수한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의 이중창 구조가 아니라 단창이 적용된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를 기본으로 하여, 내화성, 단열성, 기밀성의 세가지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는, 유리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창짝 프레임; 상기 창짝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창짝 프레임에 연결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의 실외 및 실내 측 노출부위에 덧대어 결합되며, 고온의 열로부터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을 보호하는 커버;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의 실외 및 실내 측 노출부위와 상기 커버 사이에 설정 두께의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난연제; 및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에 상기 난연제를 접착시키는 난연테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서는,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가지고, 상기 커버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을 가지며, 상기 난연제는 세라믹 분말, 바인더, 및 용매를 설정 중량부로 포함하는 세라믹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는 용융점이 높은 SUS304 재질을 가지며, 최 외측에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화기열로부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갖는 창짝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와 상기 창짝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 공간이 확보되며, 이 틈새 공간에는 난연제 및 난연테이프가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열 전달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난연제는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페이스트(paste) 형태의 세라믹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비 한정적인 예로서, 카올린 분말을 설정 중량부로 포함하고, 카올린 분말의 함유량에 따라 선택된 바인더, 용매(예: 물 등)가 설정 중량부로 포함되는 페이스트 형태의 세라믹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난연제는 상기 커버를 통해 전달된 고온의 열에 의해 소결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창짝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간의 직접적인 열 전달을 차단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갖는 창짝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는 폴리아미드 재질을 갖는 단열바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어 단열바가 고온의 열에 의해 멜팅 되거나 열손상을 입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테이프는 세라믹 재질을 갖는 상기 난연제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갖는 창짝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및/또는 폴리아미드 재질을 갖는 단열바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난연테이프는 카올린 분말과 같은 난연성 세라믹 분말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난연테이프는 접착력을 제공하는 효과는 물론, 상기 난연제와 함께 외부의 화기열이 상기 창짝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및/또는 단열바에 영향을 주는 것을 차단하여 창호 구조물의 내화성을 향상시켜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서, 상기 창짝 프레임은, 복수의 창짝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창짝 프로파일은, 실외 측에 위치하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 및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실내 측에 위치하는 내부 창짝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은, 복수의 창틀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창틀 프로파일은, 실외 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을 지지하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 및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실내 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을 지지하는 내부 창틀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측면을 덮는 외부 창짝 커버부; 상기 외부 창짝 커버부의 상단에서 상기 유리를 향하여 교차 연결되며,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상단을 덮는 상단 창짝 커버부; 상기 외부 창짝 커버부의 하단에서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을 향하여 교차 연결되며,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하단을 덮는 하단 창짝 커버부;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측면을 덮는 외부 창틀 커버부; 및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하단을 덮는 하단 창틀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을 덮는 내부 창짝 커버부; 및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을 덮는 내부 창틀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는, 상기 하단 창짝 커버부와 상기 외부 창틀 커버부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과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결합 부위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과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 사이의 결합 부위를 보호하는 삽입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 커버부는 외부 연결 개스킷의 하단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삽입 커버부의 상단이 외부 연결 개스킷의 하단에 밀착되어 틈새가 밀봉됨으로써, 외부 화기열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갖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과 외부 창틀 프로파일 간의 결합 틈새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서, 상기 난연제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측면과 상기 외부 창짝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난연제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상단과 상기 상단 창짝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난연제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측면과 상단 사이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되는 제3 난연제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4 난연제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하단과 상기 하단 창짝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5 난연제부; 및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측면과 상기 외부 창틀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6 난연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서, 상기 난연제는,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과 상기 내부 창짝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내부 난연제부; 및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과 상기 내부 창틀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내부 난연제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4 난연제부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에서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수직 난연제부; 및 상기 수직 난연제부에 교차 연결되며, 상기 유리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수평 난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난연제부 및 상기 수평 난연제부는 상기 유리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난연재부 특히, 수직 난연제부의 상단은 외부 유리 개스킷의 하단과 밀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제4 난연재부, 특히 수직 난연제부의 상단이 외부 유리 개스킷의 하단에 밀착되어 틈새가 밀봉됨으로써, 외부 화기열이 유리가 삽입된 틈새 공간을 통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갖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서, 상기 난연테이프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측면에 상기 제1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1 난연테이프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상단에 상기 제2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2 난연테이프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측면과 상단 사이의 모서리부위에 상기 제3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3 난연테이프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에 상기 제4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4 난연테이프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하단에 상기 제5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5 난연테이프부; 및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측면에 상기 제6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6 난연테이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서, 상기 난연테이프는,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에 상기 제1 내부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1 내부 난연테이프부; 및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에 상기 제2 내부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2 내부 난연테이프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4 난연제부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에서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수직 난연제부; 및 상기 수직 난연제부에 교차 연결되며, 상기 유리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수평 난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난연제부 및 상기 수평 난연제부는 상기 유리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난연테이프부는, 상기 수직 난연제부를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에서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으로 접착시키는 수직 난연테이프부; 및 상기 수평 난연제부를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에서 상기 유리의 두께 방향으로 접착시키는 수직 난연테이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연테이프부는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측면 하단을 감싸도록 L자 형상으로 굽혀져 부착되는 제7 난연테이프부를 더 포함한다. 제7 난연테이프부는 상기 제6난연테이프부의 하단에서 교차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부와, 상기 수평연결부의 말단에서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측면 하단을 감싸며 상향 절곡된 수직연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7 난연테이프부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측면 하단을 소정 길이로 감싸면서 상기 난연제는 물론 상기 커버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외부 노출을 최대한 차단하여 내화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단부 상단과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의 외측단부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단열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단부 하단과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의 외측단부 하단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단열바;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내측단부 상단과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의 외측단부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단열바; 및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내측단부 하단과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의 외측단부 하단 사이에 개재되는 제4 단열바;를 포함한다. 이들 단열바 각각은 폴리아미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서, 상기 난연제부는, 상기 제1 단열바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단열바 난연제부; 상기 제2 단열바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단열바 난연제부; 상기 제3 단열바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3 단열바 난연제부; 및 상기 제4 단열바의 하단부에 도포되는 제4 단열바 난연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고온에 약한 폴리아미드 재질을 갖는 제1 단열바, 제2 단열바, 제3 단열바, 제4 단열바의 열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변형을 막아 강도를 확보하고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난연제부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에서 상기 유리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수직 난연제부; 및 상기 수직 난연제부에 교차 연결되며, 상기 유리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수평 난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난연제부 및 상기 수평 난연제부는 상기 유리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열바 난연제부는 상기 수평 난연제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유리의 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화기열이 제1 단열바를 향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서, 상기 제1 단열바 난연제부는 제1 단열바 난연테이프에 의해 상기 제1 단열바의 상단부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바 난연테이프는 상기 제4 난연테이프부를 구성하는 수직 난연테이프부 및 수평 난연테이프부 중에서 수평 난연테이프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단열바에 고온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단열바 난연제부는 제2 단열바 난연테이프부에 의해 상기 제2 단열바의 하단부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열바 난연제부는 제3 단열바 난연테이프부에 의해 상기 제3 단열바의 상단부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4 단열바 난연제부는 제4 단열바 난연테이프부에 의해 상기 제4 단열바의 상단부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과 상기 유리의 외부 면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유리 개스킷;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과 상기 유리의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유리 개스킷;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과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연결 개스킷; 및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과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연결 개스킷;을 포함한다. 외부 유리 개스킷과 내부 유리 개스킷은 유리가 삽입되는 유리 장착 공간에서의 틈새를 막아 밀봉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외부 연결 개스킷과 내부 연결 개스킷은 창짝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사이의 연결 부위 틈새를 막아 밀봉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창호 구조물을 포함한다. 창호 구조물은 전술한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및 상기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결합되는 단창 형태의 유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의하면, 단창이 적용된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를 기본으로 하여, 내화성, 단열성, 기밀성의 세가지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의하면, 슬라이딩 이중창 구조가 아니라 단창 구조의 아웃워드 방화 창호로서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며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의하면, 이중창 구조가 아닌 단창의 시스템 창호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단열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의하면, 시스템 창호를 주로 사용하는 단독주택의 경우에도 제품을 통일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의하면,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의 전체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입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창호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D"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E"영역을 확대하여 시스템 방화창호의 실내 측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의 전체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입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창호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C"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D"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2의 "E"영역을 확대하여 시스템 방화창호의 실내 측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0)는 기존의 이중창 구조가 아니라 단창 구조의 유리(11)가 적용된 창호 구조물(1)에 적용될 수 있는 방화창호(10)로서, 내화성, 단열성, 기밀성의 세가지 성능을 만족할 수 있다.
도 2 내지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0)는 창짝 프레임(100), 창틀 프레임(200), 커버(300), 난연제(400), 및 난연테이프(500)를 포함한다.
창짝 프레임(100)은 유리(11)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창짝 구조의 프레임 부재를 말한다.
창틀 프레임(200)은 창짝 프레임(100)을 지지하도록 창짝 프레임(100)의 외곽에 연결되는 창틀 구조의 프레임을 말한다.
이들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커버(300)는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의 실외 및 실내 측 노출부위에 덧대어 결합되며, 고온의 열로부터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을 보호한다.
난연제(400)는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의 실외 및 실내 측 노출부위와 상기 커버(300) 사이에 설정 두께의 층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난연테이프(500)는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에 상기 난연제(400)를 접착시키는 접착용 테이프를 말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0)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창짝 프레임(100)은 유리(11)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프레임이고, 창틀 프레임(200)은 창짝 프레임(100)을 지지하도록 창짝 프레임(100)의 외곽에 연결되는 프레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0)에서는,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의 재질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300)는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의 실외 및 실내 측 노출부위에 덧대어 결합되며, 고온의 열로부터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을 보호한다.
예를 들어, 커버(30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 한정적인 일 예로서, 커버(300)는 용융점이 높은 SUS304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300)는 최 외측에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화기열로부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갖는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을 외부의 화기열로부터 보호하고 구조적인 강성을 유지시켜 주어 변형 또는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300)와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 틈새 공간에는 난연제(400) 및 난연테이프(500)가 설정 두께를 갖도록 배치되어 외부 화기열에 의한 고온의 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난연제(400)는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의 실외 및 실내 측 노출부위와 상기 커버(300) 사이에 설정 두께의 층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난연제(400)는 세라믹 분말, 바인더, 및 용매를 설정 중량부로 포함하는 세라믹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난연제(400)는 카올린 등의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페이스트(paste) 형태의 세라믹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비 한정적인 예로서, 난연제(400)는 카올린 분말을 설정 중량부로 포함하고, 카올린 분말의 함유량에 따라 바인더, 용매(예: 물 등)가 각각 설정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난연제(400)는 커버(300)와 창짝 프레임(100) 및 창틀 프레임(200) 사이에서 설정 두께를 갖는 층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는데, 만일 커버(300)를 통해 외부 화기열이 전달될 경우 고온의 열에 의해 소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연제(400)는 커버(300)와 창짝 프레임(100) 및 창틀 프레임(200) 사이에서의 직접적인 열 전달을 차단하여, 고온의 열에 약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갖는 창짝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을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난연제(400)는 폴리아미드 재질을 갖는 단열바(171, 172, 271, 272)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어 단열바(171, 172, 271, 272)가 고온의 열에 의해 멜팅 되거나 열손상을 입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난연테이프(500)는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에 난연제(400)를 접착시키는 용도로 이용되는 테이프를 말한다.
또한, 난연테이프(500)는 세라믹 재질을 갖는 난연제(300)를 폴리아미드 재질을 갖는 단열바(171, 172, 271, 272)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난연테이프(500)는 카올린 분말과 같은 난연성 세라믹 분말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연테이프(500)는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에 난연제(400)를 접착시키는 기능은 물론, 난연제(400)와 함께 외부의 화기열이 창짝 프레임(100, 창틀 프레임(200), 단열바(171, 172, 271, 272)에 열손상을 주는 것을 차단하여 창호 전체의 내화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창짝 프레임(100)은 복수의 창짝 프로파일(11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창짝 프로파일(110)은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과 내부 창짝 프로파일(112)을 포함한다.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은 실외 측에 위치한다. 내부 창짝 프로파일(112)은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실내 측에 위치한다.
창틀 프레임(200)은 복수의 창틀 프로파일(21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창틀 프로파일(210)은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과 내부 창틀 프로파일(212)을 포함한다.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은 실외 측에 위치하며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을 지지한다. 내부 창틀 프로파일(212)은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실내 측에 위치하며 내부 창짝 프로파일(112)을 지지한다.
커버(300)는 외부 창짝 커버부(310), 상단 창짝 커버부(320), 하단 창짝 커버부(330), 외부 창틀 커버부(340), 삽입 커버부(350), 및 하단 창틀 커버부(36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창짝 커버부(31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단 창짝 커버부(320)는 외부 창짝 커버부(310)의 상단에서 상기 유리(11)를 향하여 교차 연결되며,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단 창짝 커버부(330)는 외부 창짝 커버부(310)의 하단에서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을 향하여 교차 연결되며,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하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부 창틀 커버부(340)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단 창틀 커버부(360)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의 하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한편, 삽입 커버부(350)는 하단 창짝 커버부(330)와 외부 창틀 커버부(340)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과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의 결합 부위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삽입 커버부(35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과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 사이의 결합 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
삽입 커버부(350)는 외부 연결 개스킷(291)의 하단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삽입 커버부(350)의 상단이 외부 연결 개스킷(291)의 하단에 밀착되어 틈새가 밀봉됨으로써, 외부 화기열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갖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과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이 결합되는 틈새를 막아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열손상을 방지하고,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난연제(400)는 제1 난연제부(410), 제2 난연제부(420), 제3 난연제부(430), 제4 난연제부(440), 제5 난연제부(450), 제6 난연제부(460)를 포함한다(도 3 내지 도 6 참조).
예를 들어, 제1 난연제부(41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측면과 외부 창짝 커버부(3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난연제부(42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상단과 상단 창짝 커버부(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난연제부(43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측면과 상단 사이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난연제부(44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내측에 형성되며, 수직 난연제부(441)와 수평 난연제부(442)를 포함한다. 또한, 제5 난연제부(45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하단과 하단 창짝 커버부(3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6 난연제부(460)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의 측면과 외부 창틀 커버부(3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난연제부(440)를 구성하는 수직 난연제부(441)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내측에서 유리(1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난연제부(442)는 수직 난연제부(441)에 교차 연결되며, 유리(11)의 두께 방향, 즉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난연제부(441)와 수평 난연제부(442)는 유리의 삽입 말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직 난연제부(441)의 상단은 외부 유리 개스킷(191)의 하단과 밀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수직 난연제부(441)의 상단이 외부 유리 개스킷(191)의 하단에 밀착되어 틈새가 밀봉됨으로써, 외부 화기열이 유리가 삽입된 틈새 공간을 통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갖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을 향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난연테이프(500)는 제1 난연테이프부(510), 제2 난연테이프부(520), 제3 난연테이프부(530), 제4 난연테이프부(540), 제5 난연테이프부(550), 제6 난연테이프부(560)를 포함한다(도 3 내지 도 6 참조).
예를 들어, 제1 난연테이프부(51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측면에 제1 난연제부(410)를 접착시킨다. 또한, 제2 난연테이프부(52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상단에 제2 난연제부(420)를 접착시킨다. 또한, 제3 난연테이프부(53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측면과 상단 사이의 모서리부위에 제3 난연제부(430)를 접착시킨다. 또한, 제4 난연테이프부(54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내측에 제4 난연제부(440)를 접착시킨다. 제4 난연테이프부(540)는 수직 난연테이프부(541)와 수평 난연테이프부(542)를 포함한다. 제5 난연테이프부(550)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하단에 제5 난연제부(450)를 접착시킨다. 또한, 제6 난연테이프부(560)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의 측면에 제6 난연제부(460)를 접착시킨다.
이때, 제4 난연테이프부(540)를 구성하는 수직 난연테이프부(541)는 수직 난연제부(441)를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내측에서 유리(11)의 길이 방향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 난연테이프부(542)는 수평 난연제부(442)를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내측에서 유리(11)의 두께 방향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한편, 난연테이프부(500)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의 측면 하단을 감싸도록 L자 형상으로 굽혀져 부착되는 제7 난연테이프부(570)를 더 포함한다(도 4 참조).
예를 들어, 제7 난연테이프부(570)는 제6 난연테이프부(560)의 하단에서 교차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부(571)와, 수평연결부(571)의 말단에서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의 측면 하단을 감싸며 상향 절곡된 수직연결부(57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7 난연테이프부(570)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의 측면 하단을 소정 길이로 감싸면서 난연제(400)는 물론 커버(3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외부 노출을 차단하여 내화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0)는 복수의 단일바(171, 172, 271, 272)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일바(171, 172, 271, 272)는 제1 단일바(171), 제2 단일바(172), 제3 단일바(271), 제4 단일바(27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단일바(171)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내측단부(1111) 상단과 내부 창짝 프로파일(112)의 외측단부(1121)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일바(172)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의 내측단부(1111) 하단과 내부 창짝 프로파일(112)의 외측단부(1121) 하단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일바(271)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의 내측단부(2111) 상단과 내부 창틀 프로파일(212)의 외측단부(2121)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단일바(272)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의 내측단부(2111) 하단과 내부 창틀 프로파일(212)의 외측단부(2121) 하단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들 복수의 단일바(171, 172, 271, 272)는 폴리아미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아미드 재질을 갖는 복수의 단열바((171, 172, 271, 272)를 고온의 외부 화기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난연제(400)를 추가로 더 형성한다.
이를 위해, 난연제부(400)는 제1 단열바(17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단열바 난연제부(4421), 제2 단열바(17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단열바 난연제부(4431), 제3 단열바(27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3 단열바 난연제부(4441), 제4 단열바(27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4 단열바 난연제부(4451)을 포함한다. 이들 제1, 2, 3, 4 단열바 난연제부(4421, 4431, 4441, 4451)이 단열바 외부 노출 부위마다 소정의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고온에 취약한 폴리아미드 재질을 갖는 제1, 2, 3, 4 단열바(171, 172, 271, 272)의 멜팅을 방지하고 구조적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열바 난연제부(4421)는 수평 난연제부(441)와 일체로 연결되며 유리(11)의 삽입 단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화기열에 의한 제1 단열바(171)의 열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열바 난연제부(4421)는 제1 단열바 난연테이프(5421)에 의해 제1 단열바(171)의 상단부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열바 난연제부(4431)는 제2 단열바 난연테이프부(5431)에 의해 제2 단열바(172)의 하단부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열바 난연제부(4441)는 제3 단열바 난연테이프부(5441)에 의해 제3 단열바(271)의 상단부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4 단열바 난연제부(4451)는 제4 단열바 난연테이프부(5451)에 의해 제4 단열바(271)의 상단부에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2, 3, 4 단열바 난연제부(442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 2, 3, 4 단열바 난연테이프부(5421, 5431, 5441, 5451)에 의해 단열바 외부 노출 부위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단열바 열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0)는 복수의 개스킷(191, 192, 291, 292)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개스킷(191, 192, 291, 292)은 외부 유리 개스킷(191), 내부 유리 개스킷(192), 외부 연결 개스킷(291), 내부 연결 개스킷(29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유리 개스킷(191)은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과 유리(11)의 외부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유리 개스킷(192)은 내부 창짝 프로파일(112)과 유리(11)의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연결 개스킷(291)은 외부 창짝 프로파일(111)과 외부 창틀 프로파일(2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연결 개스킷(292)은 내부 창짝 프로파일(112)과 내부 창틀 프로파일(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유리 개스킷(191)과 내부 유리 개스킷(192)은 유리(11)가 삽입되는 유리 장착 공간에서의 틈새를 막아 밀봉시키며, 외부 연결 개스킷(291)과 내부 연결 개스킷(292)은 창짝 프레임(100)과 창틀 프레임(200) 사이의 연결 부위 틈새를 막아 밀봉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 난연제(400), 난연테이프(5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실외 측은 물론 실내 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의 실내 측 영역인 "E"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의 커버는 내부 창짝 커버부(370)와, 내부 창틀 커버부(380)를 더 포함한다.
내부 창짝 커버부(370)는 내부 창짝 프로파일(112)의 실내 측 노출부위를 덮는 커버 부위이다. 내부 창틀 커버부(380)는 내부 창틀 프로파일(212)의 실내 측 노출부위를 덮는 커버 부위이다.
이들 내부 창짝 커버부(370)와 내부 창틀 커버부(380)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창짝 커버부(370)와 내부 창틀 커버부(380)는 반드시 도 7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창호의 종류, 스펙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 구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의 난연제는 제1 내부 난연제부(470)와, 제2 내부 난연제부(480)를 더 포함한다.
제1 내부 난연제부(470)는 내부 창짝 프로파일(112)과 내부 창짝 커버부(370) 사이에 형성되는 난연제 부위이다. 제2 내부 난연제부(480)는 내부 창틀 프로파일(212)과 내부 창틀 커버부(380) 사이에 형성되는 난연제 부위이다.
이들 제1 내부 난연제부(470)와 제2 내부 난연제부(480)는 반드시 도 7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창호의 종류, 스펙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 구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의 난연테이프는 제1 내부 난연테이프부(580)와, 제2 내부 난연테이프부(590)을 포함한다.
제1 내부 난연테이프부(580)는 내부 창짝 프로파일(112)에 제1 내부 난연제부(470)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내부 난연테이프부(590)는 내부 창틀 프로파일(212)에 제2 내부 난연제부(480)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1)는 실외 측은 물론 실내 측에도 커버, 난연제, 난연테이프가 적용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단창이 적용된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를 기본으로 하여, 내화성, 단열성, 기밀성의 세가지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의하면, 슬라이딩 이중창 구조가 아니라 단창 구조의 아웃워드 방화 창호로서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며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한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이중창 구조가 아닌 단창의 시스템 창호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단열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시스템 창호를 주로 사용하는 단독주택의 경우에도 제품을 통일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창호 구조물
10;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11: 유리
100: 창짝 프레임
110: 창짝 프로파일
111: 외부 창짝 프로파일
1111: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단부
112: 내부 창짝 프로파일
1121: 내부 창짝 프로파일의 외측단부
171: 제1 단열바
1711: 제1 단열바의 상단부
172: 제2 단열바
1721: 제2 단열바의 하단부
191: 외부 유리 개스킷
192; 내부 유리 개스킷
200: 창틀 프레임
210: 창틀 프로파일
211: 외부 창틀 프로파일
2111: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내측단부
212: 내부 창틀 프로파일
2121: 내부 창틀 프로파일의 외측단부
271: 제3 단열바
2711: 제3 단열바의 상단부
272: 제4 단열바
2721: 제4 단열바의 하단부
291: 외부 연결 개스킷
292: 내부 연결 개스킷
300: 커버
310: 외부 창짝 커버부
320: 상단 창짝 커버부
330: 하단 창짝 커버부
340: 외부 창틀 커버부
350: 삽입 커버부
360: 하단 창틀 커버부
370: 내부 창짝 커버부
380: 내부 창틀 커버부
400: 난연제
410: 제1 난연제부
420: 제2 난연제부
430: 제3 난연제부
440: 제4 난연제부
441: 수직 난연제부
442: 수평 난연제부
4421: 제1 단열바 난연제부
4431: 제2 단열바 난연제부
4441: 제3 단열바 난연제부
4451: 제4 단열바 난연제부
450: 제5 난연제부
460: 제6 난연제부
470: 제1 내부 난연제부
480: 제2 내부 난연제부
500: 난연테이프
510: 제1 난연테이프부
520: 제2 난연테이프부
530: 제3 난연테이프부
540: 제4 난연테이프부
541: 수직 난연테이프부
542: 수평 난연테이프부
5421: 제1 단열바 난연테이프부
5431: 제2 단열바 난연테이프부
5441: 제3 단열바 난연테이프부
5451: 제4 단열바 난연테이프부
550: 제5 난연테이프부
560: 제6 난연테이프부
570: 제7 난연테이프부
571: 수평연결부
572: 수직연결부
580: 제1 내부 난연테이프부
590: 제2 내부 난연테이프부

Claims (10)

  1. 유리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창짝 프레임; 상기 창짝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창짝 프레임에 연결되는 창틀 프레임; 및 고온의 열로부터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을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는, 복수의 단열바;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의 실외 및 실내 측 노출부위와 상기 커버 사이에 설정 두께의 층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열바의 표면에 형성되는 난연제; 및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단열바에 상기 난연제를 접착시키는 난연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창짝 프레임은, 실외 측에 위치하는 외부 창짝 프로파일, 및 실내 측에 위치하는 내부 창짝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창틀 프레임은, 실외 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을 지지하는 외부 창틀 프로파일, 및 실내 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을 지지하는 내부 창틀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측면을 덮는 외부 창짝 커버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상단을 덮는 상단 창짝 커버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하단을 덮는 하단 창짝 커버부,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측면을 덮는 외부 창틀 커버부,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하단을 덮는 하단 창틀 커버부,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을 덮는 내부 창짝 커버부, 및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을 덮는 내부 창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열바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단부 상단과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의 외측단부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단열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단부 하단과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의 외측단부 하단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단열바,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내측단부 상단과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의 외측단부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단열바, 및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내측단부 하단과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의 외측단부 하단 사이에 개재되는 제4 단열바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가지고,
    상기 커버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을 가지며,
    상기 난연제는 세라믹 분말, 바인더, 및 용매를 설정 중량부로 포함하는 세라믹 재질을 갖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측면과 상기 외부 창짝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난연제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상단과 상기 상단 창짝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난연제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측면과 상단 사이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되는 제3 난연제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4 난연제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하단과 상기 하단 창짝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5 난연제부; 및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측면과 상기 외부 창틀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6 난연제부;
    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과 상기 내부 창짝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내부 난연제부; 및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과 상기 내부 창틀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내부 난연제부;
    를 더 포함하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테이프는,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측면에 상기 제1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1 난연테이프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상단에 상기 제2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2 난연테이프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측면과 상단 사이의 모서리부위에 상기 제3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3 난연테이프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내측에 상기 제4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4 난연테이프부;
    상기 외부 창짝 프로파일의 하단에 상기 제5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5 난연테이프부; 및
    상기 외부 창틀 프로파일의 측면에 상기 제6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6 난연테이프부;
    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테이프는,
    상기 내부 창짝 프로파일에 상기 제1 내부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1 내부 난연테이프부; 및
    상기 내부 창틀 프로파일에 상기 제2 내부 난연제부를 접착시키는 제2 내부 난연테이프부;
    를 더 포함하는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10. 제1항, 제2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및
    상기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에 결합되는 단창 형태의 유리;
    를 포함하는 창호 구조물.
KR1020220154861A 2022-11-17 2022-11-17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KR102550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861A KR102550053B1 (ko) 2022-11-17 2022-11-17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861A KR102550053B1 (ko) 2022-11-17 2022-11-17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053B1 true KR102550053B1 (ko) 2023-06-29

Family

ID=8694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861A KR102550053B1 (ko) 2022-11-17 2022-11-17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0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030A (ko) * 2014-03-13 2015-09-23 (주)동양윈텍 창호시스템
KR20170004000U (ko) * 2016-05-18 2017-11-28 (주)유엔아이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345622B1 (ko) 2021-06-04 2021-12-31 주식회사 에프알인더스 방화 단열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030A (ko) * 2014-03-13 2015-09-23 (주)동양윈텍 창호시스템
KR20170004000U (ko) * 2016-05-18 2017-11-28 (주)유엔아이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2345622B1 (ko) 2021-06-04 2021-12-31 주식회사 에프알인더스 방화 단열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0998B2 (ja) 断熱窓ユニットのためのスペーサ枠用スペーサプロファイル及び断熱窓ユニット
KR101247236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US3054153A (en) Double pane element
ES2599817T3 (es) Perfil separador para un marco separador para una unidad de vidrio aislante con elementos intersticiales y unidad de vidrio aislante
JP4518954B2 (ja) エネルギ効率の良い窓の密封システム
KR101365699B1 (ko) 복합 창호 및 그의 비접착식 단열재 시공방법
JP2012136928A (ja) サッシ
US10087635B2 (en) Curb-mounted skylight
KR102483054B1 (ko) 화염 및 연기 차단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방화창호
JP2012127048A (ja) サッシ
KR102550053B1 (ko)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PL202733B1 (pl) Płaski element utrudniający zapłon z przynajmniej dwiema przejrzystymi przeciwpożarowymi szklanymi płytami
GB2055937A (en) An insulating frame assembly for a window or glazed door
KR101437089B1 (ko) 커튼 월 복합 창호 프레임 및 커튼 월 복합 창호의 수평 프레임 시공 방법
JP2023129624A (ja) 複合建具
JP2017061832A (ja) 建具
JP6813404B2 (ja) 障子及び建具
KR102421568B1 (ko) 가변 결합구조의 단열재가 구비되는 창호
KR102619172B1 (ko)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KR20210004879A (ko) 단열부로 향하는 자외선 차단층을 구비한 커튼월 시스템
JP6026733B2 (ja) 複層ガラスパネル、障子、及び開口部装置
KR20060084775A (ko) 방화유리문의 프레임구조
KR102633635B1 (ko) 알루미늄 시스템 방화창호
JPH09184372A (ja) 複層ガラスの装着構造
CN209838181U (zh) 一种新型防火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