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026B1 -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026B1
KR102550026B1 KR1020210121711A KR20210121711A KR102550026B1 KR 102550026 B1 KR102550026 B1 KR 102550026B1 KR 1020210121711 A KR1020210121711 A KR 1020210121711A KR 20210121711 A KR20210121711 A KR 20210121711A KR 102550026 B1 KR102550026 B1 KR 10255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andle
fixing
handl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241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21012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02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링크와 손잡이측에 링크부재, 조절볼트, 고정볼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압착기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작업시 압착기의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벌린 다음, 가압구로서 파이프에 가해지는 악력, 즉 손잡이를 오므리는 각도를 사용자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악력(握力) 조정능력으로 압착기의 사용 취급 편의성 주며, 사용자는 압착기를 오므려 누르는 힘의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가압구에 의해 눌러진 파이프 압착 이음작업을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Tools for pipe connection of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파이프 압착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압착기를 양손으로 잡고 누르는 악력(握力)을 사용자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취급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함은 물론, 압착기를 오므려 누르는 힘의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 압착 이음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둥근 아치형으로 뼈대가 되는 파이프 하부를 지면에 박아 고정하고, 횡방향으로 파이프를 엮고, 외측에는 비닐을 씌워 세운 구조물이다.
비닐하우스를 설치할 때에는 파이프를 이용하여 비닐이 씌워지는 지주를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상태에서 필요한 길이가 되도록 연결하여 의도하는 지주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비닐 하우스용 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고정나사를 이용하거나 용법에 의하여 파이프를 연장시켜 고정하고 있다.
파이프의 이음은 슬리브를 각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경에 삽입시키고, 파이프의 외측에서 드릴로 천공한 다음, 천공된 구멍에 나사를 체결하는 방식을 이음이 이루어져 왔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둥근 직경의 파이프 외경에 정확한 위치에 나사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파이프의 둥근 외주면에 대하여 전동 드릴을 이용하여 고정나사를 직접 체결하는 작업이 상당히 어렵다.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 고정 방법은 능률적이지 못하여 비숙련자에게는 상당히 어렵고, 전동 드릴의 사용 숙련도에 따라 작업 시간에 상당한 차이가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파이프 압착기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상호 이음 연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파이프 압착기 구조를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6337호(명칭: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등록일자: 2001년 06월 18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이라 칭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의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는 손잡이(1)(1a), 회전링크(2)(2a), 가압구(3)(3a), 고정부재(4) 및 받침부재(5)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1a)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쪽 단부에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돌기가 형성되는 파지부(6)(6a)가 끼워져 있고, 이것들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하나의 제1고정축(7)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7)의 바깥쪽으로는 회전링크(2)(2a)가 또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회전링크(2)(2a)는 손잡이(1)(1a)와 제2고정축(8)(8a)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편에는 가압구(3)(3a)가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되는 원통체로 되는 홀더(9)(9a)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9)(9a)가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기어로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각각의 제3고정축(10)(10a)에 의하여 고정부재(4)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4)는 두개의 제3고정축(10(10a)으로 회전링크(2)(2a)를 고정하여 회전링크(2)(2a)의 양쪽 단부가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게 하며, 한쪽면의 중앙으로부터 암나사부(11)가 형성되어 받침부재(5)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재(5)는 수나사부(12)가 형성되어 암나사부(11)에 체결되는 보울트로 구성되는데, 머리부는 양쪽 홀더(9)(9a) 사이의 중심 부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파이프를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압구(3)(3a)는 탄소공구강 등과 같이 파이프의 재질 보다는 경질의 금속재로 되며, 파이프를 가압하기 위하여 한쪽 단부가 뾰죽하게 돌출되어 있고, 수나사가 형성되어 홀더(9)(9a)에 체결 분리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교환하거나 끝부분을 연마할 수 있다.
상기 가압구(3)(3a)는 받침부재(5)를 적절하게 회전시켜서 파이프가 받침부재(5)의 머리부에 안착되었을 때에 파이프의 최대 직경을 형성하는 부위가 홀더(9)(9a)에 고정된 가압구(3)(3a)의 뾰죽한 단부와 일치하도록 맞추어 놓은 상태에서 파이프 연결 작업을 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일단 파지구(6)(6a)를 손으로 잡고 바깥쪽으로 당기면 제1고정축(7)을 중심으로 제2고정축(8)(8a)이 고정된 단부는 서로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이때 회전링크(2)(2a)는 고정부재(4)의 제3고정축(10(10a)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9)(9a)가 형성되 단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부재(5)의 머리부에 파이프(P)를 올려놓고 손잡이(1)(1a)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이번에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여 제1고정축(7)을 중심으로 제2고정축(8)(8a)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홀더(9)(9a)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가압구(3)(3a)의 뾰족한 선단이 파이프를 가압하면서 도 2에서와 같이 그 내부의 슬리이브(S)를 같이 가압하면서 홈(20)을 형성하여 파이프(P)와 슬리이브(S)는 서로 연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손잡이를 벌리고 다시 오므리는 동작으로 파이프에 홈을 가공하는 동작에 있어, 특히 오므리는 동작을 초기상로 손잡이가 서로 나란히 대응되는 상태로 힘(악력)을 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는 끝단이 뾰족한 가압구를 가압하는 손잡이의 선회동작은 사용자 마다 악력이 각기 달라 이와 같은 동작은 매우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오므리는 각도에 따라 힘이 더 들어가는 예도 적지않게 발생하고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파이프 압착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압착기를 양손으로 잡고 누르는 악력(握力)을 사용자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취급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함은 물론, 압착기를 오므려 누르는 힘의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 압착 이음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기의 손잡이를 잡고 누르는 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파악하여 파이프 이음작업에 따른 손잡이의 오므리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파이프를 가압하기 위하여 끝이 뽀족한 단부를 갖는 한쌍의 가압구와, 한쪽 단부에는 손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가 제1고정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 제2고정축이 마련된 한쌍의 손잡이와, 상기 제2고정축에 각각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구가 나사 결합되는 홀더가 형성되는 한쌍의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3고정축으로 회전링크 전후면에 연결되며, 일측에 고정너트가 부착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나사체결식으로 이동되어 파이프를 안착시키는 받침부재와, 상기 회전링크가 연결되는 제2고정축 중 어느 하나의 제2고정축과 손잡이측에는 손잡이의 간격조정을 위한 링크부재가 손잡이측단에 마련되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에는 손잡이측과 간격조정을 위한 조절볼트가 나사체결되며, 상기 손잡이측에는 링크부재의 각도조정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볼트가 체결 고정되어 한쌍의 손잡이가 오므려지는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상호 연결하는 제1고정축 주변에는 파이프 압착에 따라 한쌍의 손잡이를 가압하여 오므리는 각도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식별표시부는 하나의 기준점 및 기준점의 위치에 따라 지시되는 다수의 표시점이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는, 회전링크와 손잡이측에 링크부재, 조절볼트, 고정볼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압착기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작업시 압착기의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벌린 다음, 가압구로서 파이프에 가해지는 악력, 즉 손잡이를 오므리는 각도를 사용자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악력(握力) 조정능력으로 압착기의 사용 취급 편의성 주며, 사용자는 압착기를 오므려 누르는 힘의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가압구에 의해 눌러진 파이프 압착 이음작업을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삭제
도 1은 종래기술의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압착기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압착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압착기의 손잡이를 벌린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압착기의 손잡이 벌림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에서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착기의 손잡이를 가압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악력표시부가 적용된 압착기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파이프(P)를 가압하기 위하여 끝이 뽀족한 단부를 갖는 한쌍의 가압구(110)와, 한쪽 단부에는 손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121)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가 제1고정축(122)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 제2고정축(123)이 마련된 한쌍의 손잡이(120)와, 상기 제2고정축(123)에 각각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구(110)가 나사 결합되는 홀더(132)가 형성되는 한쌍의 회전링크(130)와, 상기 회전링크(130)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3고정축(141)으로 회전링크(130) 전후면에 연결되며, 일측에 고정너트(142)가 부착 구비된 고정부재(140)와, 상기 고정부재(140)에 나사체결식으로 이동되어 파이프(P)를 안착시키는 받침부재(1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링크(130)가 연결되는 제2고정축(123) 중 어느 하나의 제2고정축과 손잡이측에는 손잡이의 간격조정을 위한 링크부재(160)가 손잡이(120)측단에 마련되는 힌지축(H)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삭제
즉, 상기 링크부재(160)는 측편에 후술하는 조절볼트(170)이 체결되는 체결공(16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H)이 설치되기 힌지공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재(160)에는 체결공(161)에 손잡이(120)측과 간격조정을 위한 조절볼트(170)가 나사체결되며, 조절볼트(170)의 손잡이의 측편으로부터 이격되거나 혹은 손잡이측편에 밀착되어 상기 힌지축을 기점으로 링크부재의 회동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120)측에는 링크부재(160)의 각도조정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볼트(180)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 고정볼트(180)은 링크부재(16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와셔(W)를 더 포함하며, 손잡이(120)의 측편에 마련되는 체결홈(111)에 체결되어 상기 링크부재(160)의 회동각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한쌍의 손잡이(120)가 오므려지는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20)를 상호 연결하는 제1고정축(122) 주변에는 파이프(P) 압착에 따라 한쌍의 손잡이를 가압하여 오므리는 각도를 육안으로 식별하기위한 식별표시부(190)가 마련된다.
상기 식별표시부(190)는 하나의 기준점(191) 및 기준점의 위치에 따라 지시되는 다수의 표시점(192)이 각인된다.
참고로 상기 받침부재(150)는 육각머리 볼트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고정너트(142)에 체결되며, 육각머리부는 파이프(P)를 상기 홀더(132) 사이에 안내시켜 파이프의 직경 중간지점이 상호 대응된 가압구(110)의 뽀족한 단부에 위치될 수 있게 조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압착기(100)의 사용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손잡이(120)를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에 의해 회전링크(130)의 홀더(132)측 대응된 각도를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에서 회전링크의 홀더에 나사 체결된 가압구(110)가 받침부재(150)에 안치된 파이프(P)의 외경 양측을 가압하여 그 내측에 연결부재인 슬리브를 내경측으로 뽀족형태로 함몰지게 압착하여 파이프와 파이프의 이음이 이루어지게 한다.
첨부된 도 5는 파이프 압착기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호 대응하는 손잡이(120)의 간격(L1)을 유지하며, 첨부된 도 6은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외측방향으로 벌린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통상적인 파이프 압착기는 이와 같은 형태로 손잡이를 다시 도 5와 같은 형태로 힘을 주어 오므리면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를 연결 이음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7은 파이프 압착기(100)를 사용자에 따라 손잡이(120)의 간격(L2)을 벌어놓은 상태로 조정한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손잡이에 가하는 힘의 악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조정은 고정볼트(180)를 손잡이측으로부터 어느정도 풀어준다.
상기와 같이 고정볼트(180)를 풀어주면, 링크부재(160)는 힌지축(H)을 기점으로 회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재에 체결된 조절볼트(170)를 체결방향으로 더 체결하여 주면, 상기 조절볼트(170)의 끝단은 링크부재(160)와 대응하고 있는 손잡이(120)의 측편에 닿게 되고, 여기서 더 체결하면 역으로 링크부재는 상기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라면, 제1고정축(122)을 기점으로 손잡이(120)는 회동되어 상기와 같은 간격(L2)으로 벌어진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볼트(180)를 다시 체결하여 링크부재(160)의 회동을 제한하며, 이때부터는 상기 손잡이(120)의 간격(L2)이 유지된 상태로 사용자는 손잡이에 가하는 악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의 간격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운 각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가압구는 도 5와 도 7에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압착기(100)에 있어, 손잡이(120)를 벌렸다 파이프(P)를 압착하기 위해 오므려 힘을 가하는 형태에서 손잡이 각도를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예이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의 압착조건에서 손잡이(120)를 오므리는 동작시 상기 손잡이(120)를 상호 연결하는 제1고정축(122) 주변에 마련된 식별표시부(190)는 하나의 기준점(191)이 다수의 표시점(192)을 가리키는 위치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어 압착된 정도를 가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손잡이의 간격(L2)을 사용자가 사용쉬운 각도로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식별표시부(190)를 통해 압착정도를 가늠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파이프 압착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작업시 여러지점을 각각 악착시켜 파이프와 파이프를 잇는 작업의 피로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파이프 압착기 110: 가압구
111: 체결홈 120: 손잡이
121: 파지부 122: 제1고정축
123: 제2고정축 130: 회전링크
132: 홀더 140: 고정부재
141: 제3고정축 142: 고정너트
150: 받침부재 160: 링크부재
161: 체결공 170: 조절볼트
180: 고정볼트 190: 식별표시부
191: 기준점 192: 표시점
H: 힌지축 P: 파이프
W: 와셔

Claims (3)

  1.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파이프(P)를 가압하기 위하여 끝이 뽀족한 단부를 갖는 한쌍의 가압구(110)와, 한쪽 단부에는 손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121)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가 제1고정축(122)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 제2고정축(123)이 마련된 한쌍의 손잡이(120)와, 상기 제2고정축(123)에 각각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구(110)가 나사 결합되는 홀더(132)가 형성되는 한쌍의 회전링크(130)와, 상기 회전링크(130)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3고정축(141)으로 회전링크(130) 전후면에 연결되며, 일측에 고정너트(142)가 부착 구비된 고정부재(140)와, 상기 고정부재(140)에 나사체결식으로 이동되어 파이프(P)를 안착시키는 받침부재(150)와, 상기 회전링크(130)가 연결되는 제2고정축(123) 중 어느 하나의 제2고정축과 손잡이측에는 손잡이의 간격조정을 위한 링크부재(160)가 손잡이(120)측단에 마련되는 힌지축(H)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160)에는 손잡이측과 간격조정을 위한 조절볼트(170)가 나사체결되며, 상기 손잡이(120)측에는 링크부재(160)의 각도조정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볼트(180)가 체결 고정되어 한쌍의 손잡이가 오므려지는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0)를 상호 연결하는 제1고정축(122) 주변에는 파이프 압착에 따라 한쌍의 손잡이(120)를 가압하여 오므리는 각도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표시부(190)가 마련되되, 상기 식별표시부(190)는 하나의 기준점(191) 및 기준점의 위치에 따라 지시되는 다수의 표시점(192)이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
  2. 삭제
  3. 삭제
KR1020210121711A 2021-09-10 2021-09-10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 KR10255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711A KR102550026B1 (ko) 2021-09-10 2021-09-10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711A KR102550026B1 (ko) 2021-09-10 2021-09-10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241A KR20210123241A (ko) 2021-10-13
KR102550026B1 true KR102550026B1 (ko) 2023-06-29

Family

ID=7811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711A KR102550026B1 (ko) 2021-09-10 2021-09-10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0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337Y1 (ko) * 2001-04-06 2001-10-11 박영진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JP2003225480A (ja) * 2002-02-01 2003-08-12 Ritsuo Kimura 線材用カッ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337Y1 (ko) * 2001-04-06 2001-10-11 박영진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JP2003225480A (ja) * 2002-02-01 2003-08-12 Ritsuo Kimura 線材用カッ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241A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6675A (en) Auxiliary handle for a power tool
US4524484A (en) Extension handle having cooperating male and female locking sleeves
US8141459B2 (en) Powered adjustable pipe wrench
US10112287B2 (en) Tube clamping hand tool
NZ574745A (en) Clamp and repair tool with one of curved jaws having recess for treatment to gripped work
CN108818431A (zh) 辅助动力工具把手
US5327802A (en) Combination pliers
US20100244348A1 (en) Adjustable C-clamp
US5393289A (en) Roofing handroller
KR10255002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
US7530294B2 (en) Powered adjustable pipe wrench
US6370992B1 (en) Pliers for use in narrow space
KR200236337Y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US20030033909A1 (en) Hose clamp tool
US6389930B1 (en) Hose clamp tool
DE4428479A1 (de) Chirurgisches Instrument
US5398535A (en) Spreader clamp for automobile body repair and the like
WO1999061208A8 (en) Wire tensioning tool
US11035394B2 (en) Connection system
KR102077809B1 (ko) 파이프의 형상 교정장치
JP2000324635A (ja) 活線作業用工具の固定装置
KR101669949B1 (ko) 나사못 용 가압장치
CN219170626U (zh) 一种具备稳定夹持效果的尖嘴钳
KR102521314B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KR100274719B1 (ko) 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