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314B1 -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314B1
KR102521314B1 KR1020210148547A KR20210148547A KR102521314B1 KR 102521314 B1 KR102521314 B1 KR 102521314B1 KR 1020210148547 A KR1020210148547 A KR 1020210148547A KR 20210148547 A KR20210148547 A KR 20210148547A KR 102521314 B1 KR102521314 B1 KR 10252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iving body
handl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윤
Original Assignee
김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윤 filed Critical 김희윤
Priority to KR102021014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1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 B25B13/5025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중심축을 조절하여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고정 손잡이와 구동체와 상호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는 회전 손잡이, 고정 손잡이와 회전 손잡이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 손잡이의 피니언 기어와 상호 연결되는 렉 기어가 구비된 구동체, 물체를 절단하는 칼날부가 구성되며, 회전 손잡이를 사용해 구동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파이프 내지 슬리브를 가압하여 압착 이음 하거나 물체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Compressor for connecting greenhouse pip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고 압착기로 압착이음을 할 때 작업자가 쉽게 압착기를 작동시켜 파이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압착이음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지면에 고정되어 뼈대를 형성하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이용하여 외벽을 형성하는 비닐을 포함하는 구조물이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파이프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파이프의 양쪽 끝단에 슬리브를 삽입하거나 한쪽 파이프의 끝단에 다른 파이프의 끝단을 삽입하여 파이프를 연결시키고, 연결된 파이프의 외측면을 압착기로 눌러내어 압착 이음한다.
종래의 압착기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고 마주보는 가압구 사이에 파이프 내지 슬리브가 가압구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받침부재를 사용하여 중심축 위치를 조절한 다음, 가압구로 파이프의 외측면을 눌러내어 파이프 내지 슬리브를 압착 이음하는데, 다른 크기(직경)의 파이프를 사용하면 받침부재를 다시 조절하여 중심축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다.
특히, 가압구의 중심축과 파이프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구가 파이프를 눌러내면, 가압구가 파이프를 비켜나가거나 깊게 가압되지 못하는 등 올바르게 압착 이음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 받침부재로 중심축이 조절된 파이프 내지 슬리브를 잡아주는 고정수단이 없어 파이프가 가압되기 전 작업중 발생하는 흔들림 등으로 인해 중심축이 틀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압착기의 작동이 링크식 연결구조에 의해서 작동하여 가압구가 파이프를 압착시키는 작동을 하게 되면, 작업자가 손잡이에 많은 힘을 가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 파이프를 연결하는 작업능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633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압착 이음이 용이한 압착기를 제공함으로써, 가압구의 중심축에 맞춰서 파이프의 중심축을 쉽고 빠르게 조절하고 조절된 파이프의 중심축이 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고, 렉 기어와 피니언 기어로 압착기가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비닐하우스 파이프를 연결하는 작업을 능율적으로 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는, 한쪽은 손잡이로 사용되고 반대쪽은 파이프의 중심을 잡아 홀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손잡이와, 고정 손잡이와 대응하는 회전 손잡이의 한쪽은 손잡이로 사용되고, 반대쪽은 구동체와 상호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손잡이와 고정 손잡이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 손잡이의 피니언 기어와 상호 연결되는 렉 기어와, 파이프를 가압하거나 물체를 절단하는 가압부, 커버에 연결되어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이 형성된 구동체와 상기 가이드 핀이 위치하여 구동체의 움직임을 가이드 내지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커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체에는 소정의 간격을 다수의 핀 홀이 형성되어 있어 핀 홀에 가이드 핀을 삽입하여 구동체가 올바르게 움직이도록 가이드 함과 동시에 전후진 시 이동 거리를 제한하여 파이프의 굵기에 따라서 구동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선 운동하는 가압구와 상기 가압구가 전진하면 파이프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조절하는 받침홈에 의해서 중심축이 틀어지지 않게 고정시켜주기 때문에 가압구가 정확한 위치를 가압해 압착 이음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렉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의해서 가압구가 구비된 구동체를 직선 운동시켜서 파이프를 가압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파이프를 압착 이음하는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압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압착기를 가이드핀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압착기를 구성하는 가이드 핀의 작용상태도
도 4, 5는 본 발명에 대한 압착기를 구성하는 핀홀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의 작용상태도
이하,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바,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기술적 사상을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압착기(1)는 고정 손잡이(10)와 상기 고정 손잡이(10)와 마주보며 소정의 각도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 손잡이(20), 고정 손잡이(10)와 회전 손잡이(20)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 손잡이(20)에 상호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는 구동체(30), 구동체(30)의 움직임을 가이드 내지 제한하며 구동체(30)를 작동시키는 회전 손잡이(20)가 설치되는 커버(4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손잡이(10)는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한쪽 단부에는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기 위한 파지구(50)와 반대쪽 단부에는 파이프(P)를 압착 이음하거나 물체 등을 절단할 수 있도록 받쳐주기 위한 고정부(1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1)에는 파이프(P)가 놓여지고, 이렇게 놓여진 파이프(P)가 구동체(30)에 의해 원활하게 밀려나면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반원의 형상으로 된 받침홈(12)과, 상기 받침홈(12)에서 밀려난 파이프(P)의 일측면이 맞닿아 고정됨과 동시에 구동체(30)의 가압구(33)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조절하는 고정홈(13)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11)의 고정홈(13) 상단에는 물체 등을 절단할 수 있도록 칼날부(14)가 구성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20)는 한쪽에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기 위한 파지구(50)와 반대쪽에 구동체(30)에 향성된 렉 기어(31)와 상호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21)가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1)는 구동체(30)의 렉 기어(31)와 상호 연결되며 회전 손잡이(20)에 의해서 피니언 기어(21)가 회전운동을 하여 렉 기어(31)가 구비된 구동체(30)의 직선 운동으로 구동체(30)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동체(30)는 고정 손잡이(10)와 회전 손잡이(20)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 손잡이(20)의 피니언 기어(21)와 상호 연결되어 작용하기 위한 렉 기어(31)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한쪽 단부에는 고정 손잡이(10)의 고정부(11)와 마주보도록 가압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32)는 파이프(P)를 눌러내어 가압하는 삼각뿔 형상의 가압구(33)와 고정부(11)의 칼날부(14)와 마주보는 구동 칼날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체(30)의 일측면에는 커버(40)의 가이드 슬롯(41)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 핀(35)이 형성되어 있어 구동체(30)가 올바르게 전진 및 후진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구동체(30)의 가이드 핀(35)이 형성된 일측면의 반대되는 다른 측면에는 소정의 간격 거리로 배열되는 다수의 핀 홀(36)이 형성되고, 상기 핀 홀(36) 중에 선택해서 가이드 핀(35-1)을 삽입하여 구동체(30)를 작동시키면, 상기 가이드 핀(35)과 동일하게 커버(40)의 가이드 슬롯(41)을 따라 가이드하면서 가이드 슬롯(41)의 끝단과 맞닿아 최종적으로는 구동체(30)의 전후진 시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한다.
커버(40)는 고정 손잡이(10)와 회전 손잡이(20), 구동체(30)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압착기(1)를 만들며, 구동체(30)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핀(35,35-1)이 위치하는 가이드 슬롯(41)과 회전축(51)이 위치하는 축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과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파이프(P) 내지 슬리브(S)를 압착기(1)를 사용하여 압착 이음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되어 겹쳐진 상태인 파이프(P) 내지 슬리브(S)의 압착 부위를 고정 손잡이(10)의 받침홈(12)에 올려놓는다.
받침홈(12)에 파이프(P)가 놓여진 상태에서 회전 손잡이(20)를 고정 손잡이(10)의 방향으로 눌러내면, 피니언 기어(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체(30)가 전진한다.
이때, 구동체(30)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위치한 가이드 핀(35)(35-1)이 커버(40)의 가이드 슬롯(41)에 각각 위치하고 있어 구동체(30)가 커버(40)의 가이드 슬롯(41)을 따라서 올바르게 전진 또는 후진한다.
또한, 구동체(30)의 일측면에 소정의 간격 거리로 배열된 핀 홀(36)에 선택되어 삽입된 가이드 핀(35-1)으로 인해서 구동체(30)의 전후진 시 이동 거리를 제한하여 반복 작업 시 불필요한 힘이 소모되는 것을 줄여주어 더욱 수월한 압착 이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구동체(30)가 고정 손잡이(10)의 고정부(11)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며, 받침홈(12)에 위치한 파이프(P)에 가압구(33)가 밀어내게 되고, 이렇게 가압구(33)에 의해 밀려진 파이프(P)는 받침홈(12)을 따라 이동하며 어느 순간 파이프(P)의 외측면 일부가 고정홈(13)에 맞닿아 고정됨과 동시에 파이프(P)와 맞닿아 밀어내는 가압구(33)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구(33)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진채 고정된 파이프(P)는 회전 손잡이(20)를 소정의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게 되면, 가압구(33)가 파이프(P) 내지 슬리브(S)를 가압하여 압착 이음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P) 내지 슬리브(S)가 압착 이음되면 회전 손잡이(20)를 올려주면 피니언 기어와 렉 기어가 구동체(30)를 후진시켜 파이프(P)의 고정을 풀어내고, 이렇게 고정이 풀린 파이프(P)는 다른 부위에도 압착 이음 작업을 하여 파이프(P) 내지 슬리브(S)가 견고하게 압착 이음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파이프(P) 내지 슬리브(S)를 압착 이음하는 작업 외에도 물체 등을 절단하는 절단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손잡이(10)의 칼날부(14)와 구동체(30)의 구동 칼날부(34) 사이에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를 위치시키고, 회전 손잡이(20)을 작동하면, 구동체(30)의 구동 칼날부(34)가 직선 운동을 하여 고정 손잡이(10)의 칼날부(14)와 상호 작용하여 물체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구동체(30)의 구동 칼날부(34)보다 좀 더 돌출되어 있는 가압구(33)가 고정 손잡이(10)의 고정홈(13)으로 들어가서 고정 손잡이(10)의 칼날부(14)와 구동체(30)의 구동 칼날부(34)가 온전히 맞닿아 물체를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압착기(1)는 파이프의 중심축을 가압구의 중심축에 맞춰서 조절함과 동시에 조절된 파이프의 중심축이 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쉽고 빠르게 파이프를 압착 이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구동체(30)의 전후진 거리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P)의 압착 이음 작업하기 용이하고, 상기와 같은 압착 이음 작업 외에도 칼날부(14,34)를 이용하여 물체를 절단하는 작업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압착기
10: 고정 손잡이
11: 고정부
12: 받침홈
13: 고정홈
14: 칼날부
20: 회전 손잡이
21: 피니언 기어
30: 구동체
31: 렉 기어
32: 가압부
33: 가압구
34: 구동 칼날부
35, 35-1: 가이드 핀
36: 핀 홀
40: 커버
41: 가이드 슬롯
42: 축구멍
50: 파지구
51: 회전축
P: 파이프
S: 슬리브

Claims (2)

  1. 파이프 내지 슬리브를 압착 이음하는 압착기에 있어서,
    한쪽은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기 위한 파지구(50)와 반대쪽은 파이프(P)가 놓여지는 받침홈(12)과 상기 받침홈(12)에 놓여진 파이프(P)가 밀려나서 맞닿아 고정되는 고정홈(13), 물체를 절단하는 칼날부(14)를 포함하는 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손잡이(10)와,
    한쪽에 파지구와 반대쪽에 구동체(30)의 렉 기어와 상호 연결되게 피니언 기어(21)가 형성되어 고정 손잡이(10)와 마주보며 회전하는 회전 손잡이(20)와,
    상기 회전 손잡이(20)의 피니언 기어(21)와 상호 연결되어 작용하는 렉 기어(31)가 형성되고, 고정 손잡이(10)의 고정홈(13)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져 파이프(P) 내지 슬리브(S)를 가압하는 가압구(33)와, 고정 손잡이(10)의 칼날부(14)와 마주보는 구동 칼날부(34)를 포함하는 가압부(32)와, 커버(40)에 연결되어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35)이 형성되어 회전 손잡이(20)의 사용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동체(30)와,
    상기 회전 손잡이(20)에 의해서 작동하는 구동체(30)가 올바르게 움직일 수 있도록 움직임을 제한 내지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핀(35)이 결합되는 가이드 슬롯(41)과 회전 손잡이(20)가 고정 회전할 수 있게 회전축(51)이 결합된 커버(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3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되는 핀 홀(36)이 형성되며, 상기 핀 홀(36)에 결합된 가이드 핀(35-1)의 위치에 따라서 구동체(30)의 전후진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KR1020210148547A 2021-11-02 2021-11-02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KR10252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547A KR102521314B1 (ko) 2021-11-02 2021-11-02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547A KR102521314B1 (ko) 2021-11-02 2021-11-02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314B1 true KR102521314B1 (ko) 2023-04-12

Family

ID=8598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547A KR102521314B1 (ko) 2021-11-02 2021-11-02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3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974A (ko) * 1998-05-29 1999-12-15 채승병 렌치
KR200236337Y1 (ko) 2001-04-06 2001-10-11 박영진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KR200422409Y1 (ko) * 2006-03-27 2006-07-26 전명구 비닐하우스용 클립 착탈용 집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974A (ko) * 1998-05-29 1999-12-15 채승병 렌치
KR200236337Y1 (ko) 2001-04-06 2001-10-11 박영진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KR200422409Y1 (ko) * 2006-03-27 2006-07-26 전명구 비닐하우스용 클립 착탈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543B2 (en) Multiple connector compression tool
CN101500723B (zh) 手持的、便携式、电池供电的液压工具
US20070293884A9 (en) Follicular dissection device and method
KR102521314B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용 압착기
CN104184075A (zh) 电缆剥皮装置
CN203339579U (zh) 电缆剥皮装置
CN110074845B (zh) 超声刀刀头的压力均衡结构
US20060277969A1 (en) Handheld crimping tool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09227992A1 (en) Sheet metal cutting device
CN210651055U (zh) 打孔装置
CN103894977B (zh) 多功能订书机
CN112928704B (zh) 电缆连接用接头切断装置
KR101330426B1 (ko) 다용도 집게
KR10255002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압착기
CN111194613A (zh) 一种便携式辅助采摘工具
CN212947529U (zh) 一种便于使用的扎带钳
CN210877348U (zh) 一种法兰生产用高效型夹板锤模具
CN215745685U (zh) 一种刨削刀头折弯工装
CN212824969U (zh) 适用于小型零件的杠杆式夹紧装置
CN218083093U (zh) 切管装置及使用该装置的装订机
CN210790768U (zh) 耐张线夹的加工装置
CN218693440U (zh) 一种具有压紧功能的剪线器
CN217451926U (zh) 一种元器件引脚整形修剪一体装置
CN216943929U (zh) 一种菌棒开袋器
CN210491775U (zh) 可转换剪刀口方向的高枝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