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912B1 - 마우스 피스 - Google Patents

마우스 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912B1
KR102549912B1 KR1020210073832A KR20210073832A KR102549912B1 KR 102549912 B1 KR102549912 B1 KR 102549912B1 KR 1020210073832 A KR1020210073832 A KR 1020210073832A KR 20210073832 A KR20210073832 A KR 20210073832A KR 102549912 B1 KR102549912 B1 KR 102549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portion
shape memory
mouthpiece
teet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332A (ko
Inventor
장규연
Original Assignee
장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규연 filed Critical 장규연
Priority to KR102021007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9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마우스 피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상부 치열이 삽입되는 상부삽입부와, 하부 치열이 삽입되고 상부삽입부와 결합하는 하부삽입부와, 상부삽입부는 상부외면과 상부내면을 구비하고, 상부외면 및 내면에 의해서 상부치열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삽입부는 하부외면과 하부내면을 구비하고, 하부외면 및 하부내면에 의해서 하부치열삽입홈이 형성되며, 최전방에서 하부치열삽입홈은 상부치열삽입홈에 비해서 전방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마우스 피스{MOUTH PIECE}
본 발명은 수면 중 코골이, 무호흡증, 구강호흡 및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snoring)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좁아진 기도를 통과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의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유발해서 발생되는 호흡 잡음에 해당한다. 코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이 수면 중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수면시 혀의 이완과 중력에 의해서 기도가 막히거나 가까이 늘어지는 현상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기도가 축소되고, 이 축소된 기도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 주변의 부드러운 부분들을 진동시켜 코고는 소리를 내게 된다.
수면 무호흡(sleep apena)은 수면 중 혀의 처짐으로 인해 기도가 폐쇄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상기도의 반복적인 폐쇄로 인해 호흡이 멈추거나 감소하여 자주 깨는 증상이 발생하게 되는 수면 장애에 해당한다.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지속되면, 지나친 주간 졸음이나 인지 장애, 작업 수행 능력 저하 및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고, 나아가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및 당 대사 이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구강호흡은 수면 중 코로 호흡하지 않고 구강을 통해서 호흡하는 것으로, 구강 내부를 건조하게 하고 심한 경우 수면 무호흡으로 이어진다.
이갈이(bruxism)은 수면 중이나 또는 낮 동안 깨어 있을 때 반복적으로 치아를 꽉 물거나(clenching) 또는 옆으로 가는(grinding) 행위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는 수면 중 발생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코골이, 수면 무호흡, 구강호흡 및 이갈이 등과 같은 수면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 중 하나가 사용자의 입에 장착하는 마우스피스이다. 마우스피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치아에 끼워 고정하고 수면 중 혀가 근육 이완에 의해서 처져서 기도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등을 방지한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US8127769
본 발명은 수면 장애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마우스 피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상부 치열이 삽입되는 상부삽입부와, 하부 치열이 삽입되고 상부삽입부와 결합하는 하부삽입부와, 상부삽입부는 상부외면과 상부내면을 구비하고, 상부외면 및 내면에 의해서 상부치열삽입홈이 형성되며, 하부삽입부는 하부외면과 하부내면을 구비하고, 하부외면 및 하부내면에 의해서 하부치열삽입홈이 형성되며, 최전방에서 하부치열삽입홈은 상부치열삽입홈에 비해서 전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상부 치열이 삽입되는 상부삽입부와, 하부 치열이 삽입되고 상부삽입부와 결합하는 하부삽입부와, 상부삽입부에 결합하는 상부형상기억부와, 하부삽입부에 결합하는 하부형상기억부를 포함하고, 하부형상기억부는 상부형상기억부에 비해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외면은 최전방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외면은 최전방에서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형상기억부는 최전방 상면에 형성된 전방치열보호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에는 각각 상부관통홀 및 하부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형상기억부 및 하부형상기억부는 각각 상부관통홀 및 하부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의 최전방에는 절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상부손잡이 및 하부손잡이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하부삽입부의 양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홀에는 U 형상의 걸림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걸림부는 하부삽입부에서 하향 돌출 및 후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착용이 편리하면서도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을 예방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에서 형상기억부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상부삽입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하부삽입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부형상기억부 및 하부형상기억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100)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100)에서 형상기억부(180, 190)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4에 예시된 마우스 피스(10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의 상부삽입부(110) 및 하부삽입부(14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 및 도 5는 마우스피스(100)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서 상부 치열(도시하지 않음) 및 하부 치열(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수면 중 혀가 처져서 기도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및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는 상부삽입부(110), 하부삽입부(140), 걸림부(170), 상부형상기억부(180), 하부형상기억부(1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는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갖고 걸림부(170)가 하향 돌출 및 후방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걸림부(170)도 U 형상을 갖는다.
상부삽입부(110) 및 하부삽입부(140)는 마우스 피스(100)의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상부 치열 및 하부 치열이 각각 삽입되는 공간에 해당한다. 상부삽입부(110) 및 하부삽입부(140)는 모두 U 형상을 갖고 그 상부에는 각각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가 위치한다.
상부삽입부(110)는 사용자의 상부 치열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부 치열의 형상에 대응하는 U 형상을 갖는다. 상부 치열은 상부치열삽입홈(120)에 삽입되고, 상부치열삽입홈(120)은 상부외면(112) 및 상부내면(116)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외면(112)은 마우스 피스(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면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특히, 상부외면(112)은 마우스 피스(110)의 최전방(즉, 상부손잡이(124)가 형성된 부분)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최전방의 상부외면(112)은 하부외면(142)에 비해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착용시 하부 치열은 상부 치열에 비해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치열 배치 기도를 확보할 수 있어서 코골이 등과 같은 수면 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
상부외면(112)의 전방에는 상부손잡이(124)가 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부손잡이(124)는 하부손잡이(154)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손잡이(124) 및 하부손잡이(154)를 잡고 마우스 피스(1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부외면(112)의 최전방에는 절개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114)는 가장 두꺼운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외면(112)의 최전방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하는데(도 6 참조), 이로 인해서 상부삽입부(110)가 절개부(114)를 기준으로 수축 및 팽창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치열 구조에 대응해서 변형이 가능하다. 상부삽입부(110)에 형성된 절개부(114)는 하부삽입부(140)에 형성된 절개부(144)와 동일한 크기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부삽입부(110)는 절개부(114)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삽입부(110)는 하부삽입부(140)와 동일한 재질(예를 들면,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삽입부(110)에서 절개부(114)의 하부에는 결합돌기(126)가 하향 돌출될 수 있다(도 8 참조). 결합돌기(126)는 하부삽입부(140)에 형성된 결합홈(도 9 도면부호 158 참조)에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에 의해서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상부삽입부(110)와 하부삽입부(140)가 상호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부삽입부(110)는 상부치열삽입홈(120)을 형성하는 상부내면(116)을 구비한다. 상부내면(116)은 상부외면(112)에 비해서 후방에 위치하는 U 형상의 면으로서 상부외면(112)에 비해서 약간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내면(116)은 상부외면(112)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내면(116)은 후방으로 약간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내면(116)의 중앙은 절개부(118)에 의해서 단절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부삽입부(110)는 상부외면(112)의 최전방만 부분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최전방을 기준으로 용이하게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게 된다.
상부치열삽입홈(120)은 상부외면(112)과 상부내면(116)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는 상부형상기억부(18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부치열삽입홈(120)은 U 형상을 갖고 두 개의 개방된 단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부치열삽입홈(120)의 바닥면에는 상부관통홀(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관통홀(122)에는 상부형상기억부(180) 또는 하부형상기억부(19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결합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관통홀(122)은 하부삽입부(140)에 형성된 하부관통홀(152)과 동일한 크기 및 배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삽입부(140)는 상부삽입부(110)에 대응하는 U 형상을 갖는다. 하부삽입부(140)는 상부삽입부(110)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부외면(142), 하부내면(146), 하부치열삽입홈(150) 및 하부손잡이(154)를 포함한다.
하부치열삽입홈(150)은 U 형상의 홈으로서 사용자의 하부 치열이 삽입되는 공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하부치열삽입홈(150)에는 하부형상기억부(190)가 위치한다. 하부치열삽입홈(150)에도 하부관통홀(15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부삽입부(110)의 상부관통홀(122)과 동일한 크기 및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치열삽입홈(150)의 양단부도 상부치열삽입홈(120)과 동일하게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외면(142)은 하부치열삽입홈(150)의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면으로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외면(142)도 상부외면(112)과 동일하게 최전방에서 가장 높게 형성되고 양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하부외면(142)의 최전방에는 절개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144)는 하부외면(142)의 두께를 축소시켜서 하부삽입부(140)가 절개부(144)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수축 및 팽창할 수 있게 한다.
하부내면(146)은 하부외면(142)에 대해서 일정 간격을 갖고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부외면(142)에 비해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외면(142)의 최전방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내면(146)의 최전방에도 절개부(148)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48)는 하부외면(142)의 절개부(144)와 동일한 위치를 갖는데, 이로 인해 하부삽입부(140)가 두 개의 절개부(144, 148)를 기준으로 그 폭이 용이하게 확대 및 축소될 수 있다.
하부외면(142)의 최전방에는 하부손잡이(154)가 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돌출될 수 있다.
하부삽입부(140)의 양단부에는 연결홀(156)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156)에는 나사(도면부호 없음) 등이 삽입되어 걸림부(170)를 하부삽입부(140)의 단부에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걸림부(170)를 제거한 상태로 마우스 피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하부삽입부(140)의 하면에는 결합홀(158)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58)에는 상부삽입부(110)에 형성된 결합돌기(126)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상부삽입부(110)와 하부삽입부(140)가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걸림부(170) 및 연결홀(156)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는 연결홀(156)이 상부삽입부(110)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삽입부(110) 및 하부삽입부(14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70)는 U 형상을 갖고 하부삽입부(140)에 연결되어 하향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걸림부(170)는 연결홀(156)에 연결되어 수직 및 경사 방향으로 하향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부(172)와, 한 쌍의 연장부(172)의 양 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수평으로 위치하는 연결부(17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걸림부(170)는 사용자의 혀가 걸리는 부분에 해당하는데, 이로 인해 혀가 쳐져서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100)는 다양한 길이 및 형상을 갖는 걸림부(170)를 선택적으로 연결홀(156)에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걸림부(170)의 구비 여부, 그 형상 및 길이 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형상기억부(180)는 상부치열삽입홈(120)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사용자의 상부 치열 형상에 맞게 음각으로 변형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부형상기억부(180)는 상부삽입부(110)와 유사하게 U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형상기억부(180)의 상면 중에서 최전방에는 전방치열보호돌기(18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치열보호돌기(182)는 상부외면(112)에 비해 상향 돌출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전방치열보호돌기(182)는 상부 치열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부 치열의 전방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형상기억부(180)의 높이는 상부외면(112)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부내면(116)에 비해서 약간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형상기억부(190)는 하부치열삽입홈(150)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사용자의 하부 치열 형상에 맞게 음각으로 변형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하부형상기억부(190)는 하부삽입부(110)와 유사하게 U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도 10을 참고하면, 두 개의 형상기억부(180, 190)가 각각 도 1과 같이 결합된 경우, 하부형상기억부(190)가 상부형상기억부(180)에 비해서 더욱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는 모두 형상기억소재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는 형상 기억 폴리머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형상 기억 폴리머는 온도, 광유도 또는 전기 자극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어 변형된 상태(임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는 열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는 상태로 된 후 사용자의 상부 치열 및 하부 치열 형상에 맞게 변형될 수 있다.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가 열에 의해서 형상 변형이 가능한 경우, 우선 마우스 피스(100)를 뜨거운 물에 넣어서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의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마우스 피스(100)를 물어서 상부 치열 및 하부 치열을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에 각각 삽입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가 상부 치열 및 하부 치열의 형상(음각 형상)을 기억하게 된다. 그리고 마우스 피스를 빼내어서 찬물에 투입하면,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가 경화되면서 열이 가해지지 않는 한 변형된 형상(즉, 상부 치열 및 하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의 형상이 치열에 맞게 변형된 후 다시 열을 가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
상부형상기억부(180) 및 하부형상기억부(190)는 상부삽입부(110) 및 하부삽입부(140)와 이중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마우스 피스
110: 상부삽입부
140: 하부삽입부
170: 걸림부
180: 상부형상기억부
190: 하부형상기억부

Claims (9)

  1. 상부 치열이 삽입되는 상부삽입부; 및
    하부 치열이 삽입되고 상기 상부삽입부와 결합하는 하부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삽입부는 상부외면과 상부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외면 및 상기 상부내면에 의해서 상부치열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삽입부는 하부외면과 하부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외면 및 하부내면에 의해서 하부치열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치열삽입홈에 삽입되고 U자 형상을 갖는 상부형상기억부와, 상기 하부치열삽입홈에 삽입되고 U자 형상을 갖는 하부형상기억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형상기억부는, 최전방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외면에 비해서 상향 돌출되는 높이를 갖는 전방치열보호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치열삽입홈 및 하부치열삽입홈에는 각각 상부관통홀 및 하부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형상기억부 및 하부형상기억부는 각각 상기 상부관통홀 및 하부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삽입부의 양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홀에는 U 형상의 걸림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부삽입부에서 하향 돌출 및 후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외면은 최전방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외면은 최전방에서 가장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의 최전방에는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삽입부 및 하부삽입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상부손잡이 및 하부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73832A 2021-06-08 2021-06-08 마우스 피스 KR102549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832A KR102549912B1 (ko) 2021-06-08 2021-06-08 마우스 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832A KR102549912B1 (ko) 2021-06-08 2021-06-08 마우스 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332A KR20220165332A (ko) 2022-12-15
KR102549912B1 true KR102549912B1 (ko) 2023-07-03

Family

ID=8443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832A KR102549912B1 (ko) 2021-06-08 2021-06-08 마우스 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9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6699B2 (ja) * 2006-05-09 2012-07-25 俊治 油田 マウスピース
KR101235888B1 (ko) * 2012-07-24 2013-02-21 김희윤 코골이 방지부재
KR101958241B1 (ko) * 2018-11-29 2019-03-14 장규연 마우스피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7769B2 (en) 2007-11-18 2012-03-06 Dreamscape Medical Llc Integrated oral appliance for sleep-disordered breathing
KR200486167Y1 (ko) * 2016-03-02 2018-04-11 김대구 수면용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6699B2 (ja) * 2006-05-09 2012-07-25 俊治 油田 マウスピース
KR101235888B1 (ko) * 2012-07-24 2013-02-21 김희윤 코골이 방지부재
KR101958241B1 (ko) * 2018-11-29 2019-03-14 장규연 마우스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332A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6808B2 (en) Apparatus and kit for an oral applian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545331B2 (en) Incremental and/or successive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8640705B2 (en) Anti-snoring device
JP6218857B2 (ja) 口腔装置
US20190183670A1 (en) Mouthpiece
US20090165805A1 (en) Mouth Guard
CN107249506B (zh) 下颌牙齿固定式口腔矫治器
US8439044B2 (en) Dental appliance for minimizing effects of bruxism
JP2017505179A (ja) 下顎前方固定デバイス、並びに、該デバイスを作るための方法及びキット
JP2020062503A (ja) マウスピース
US9433850B2 (en) Mouthguard
JP2012504474A (ja) 確実な位置決めヒンジを備えた下顎前進装置
KR101218036B1 (ko) 환자의 코골이 경중에 따른 맞춤 코골이 방지장치
KR10205398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기구
JP7401310B2 (ja) 固定バンドを有する咬合スプリント構成
WO2007119041A1 (en) Apparatus for assisting breathing through a person's nose
CN106456354B (zh) 用于治疗睡眠呼吸暂停症的口腔矫治器
US20100326451A1 (en) Mouth guard
KR101958241B1 (ko) 마우스피스
US20170014262A1 (en) Intraoral Orthosis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2549912B1 (ko) 마우스 피스
KR20060012065A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JP2010264090A (ja) いびき又は無呼吸症候群改善用マウスピース
CA2954040C (en) A dental appliance and method of protecting dentition during a transoral procedure with the appliance
US11039951B2 (en) Assistance implement for ameliorating sleep apnea syndr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