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875B1 - 필러 정제용 장치 - Google Patents

필러 정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875B1
KR102549875B1 KR1020200121966A KR20200121966A KR102549875B1 KR 102549875 B1 KR102549875 B1 KR 102549875B1 KR 1020200121966 A KR1020200121966 A KR 1020200121966A KR 20200121966 A KR20200121966 A KR 20200121966A KR 102549875 B1 KR102549875 B1 KR 102549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reaction
purification
distilled water
purificatio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179A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2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8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6Separation of liquids from each other by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13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러 정제용 장치에 대한 것으로, 필러와 증류수로 이루어진 필러액을 수용한 반응정제용기,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상단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하단 부위에 평평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전복을 방지하며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반응정제용기에 수용된 필러액에 정제용액의 투입에 따라 이온 반응하는 방식으로 필러의 불순물을 정제하는 정제처리기, 및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상측과 하측 부위에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반응정제용기에 수용된 필러액의 왕성한 순환식 유동을 도모하여 필러액과 정제용액 간의 이온 반응을 촉진 유도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필러로부터의 불순물 제거와 함께 유해균 사멸을 통해 필러 고유 성분의 순수물을 얻고자 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필러 정제용 장치{apparatus for refining filler}
본 발명은 필러 정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러액의 강제 순환식 유동 방식에 따른 이온 반응을 통해 필러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되면서 유해균까지 사멸되어 필러 고유 성분의 순수물을 수득하고자 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러는 피부의 주름진 부위나 피부 처짐 부위를 탄력성이 있게 펼쳐주는 용도로 피부의 내부에 주입되는 방식으로 시술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필러가 피부속으로 주입되는 관계로, 필러의 안전성이 담보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하지만, 필러의 제조 과정에서 필러의 안전성이 제대로 점검되지 않고 필러 제품이 출시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렇게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필러를 이용한 피부 주입의 시술을 받은 시술대상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필러의 부작용에 따른 피부 트러블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피부 트러블 문제들 중 피부 괴사와 같은 매우 심각한 시술 후유 증세도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필러는 그 제조 과정에서부터 출시에 이르기까지 그 안전성이 철저히 검증되어야 할 과제를 해결해야 하고, 무엇보다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들이나 유해균들이 완전히 제거되어 필러 고유의 순수물을 얻고자 하는 필러에 대한 정제 기술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물론, 기존에도 정제 기술이 알려진 바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정제 기술로서 예컨대, 필러액을 정제하기 위한 정제용기 및 그 정제용기의 저부에 설치되어 필러액을 원심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의 터빈으로 구성된 정제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러한 정제 장치는 정제용기의 저부에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해 정제용기에 수용된 필러액을 원심 방향으로 유동시키며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정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원심 방향으로 유동되는 필러액의 경우 원심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필러액의 유속에 비해 원심의 중심에 위치한 필러액의 유속이 너무 늦어 유동이 고르지 못하다.
즉, 필러액 유체의 유동성에 있어서 고른 유동성이 보장될 수 없으며, 원심의 중심에 위치한 필러액은 그 유동이 너무 늦는 관계로, 마치 유체의 정체 현상까지도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러액의 유체 유동 지연과 정체는 결과적으로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의 제거율이 떨어지는 문제로 작용하고 있으며, 불순물의 고른 제거도 불가능하다.
이처럼, 기존의 정제 장치는 필러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불순물의 제거율이 낮아 필러 고유 성분의 순수물 수득이 어렵고, 필러의 질적 품질도 저하될 수밖에 없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히알루론산겔의 정제 방법에 관한 기술임을 참고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1 : 등록특허 제10-1922711호(등록일자 2018. 11. 21)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유해균마저 함께 사멸할 수 있도록 정제처리기에 수용된 필러액을 펌프의 동력을 이용해 강제 순환 유동시키며 이온 촉진 반응을 유도함에 따라,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 제거와 함께 유해균마저 사멸되도록 하여 필러 고유의 순수물을 획득하고자 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러와 증류수로 이루어진 필러액을 수용한 반응정제용기,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상단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하단 부위에 평평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전복을 방지하며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반응정제용기에 수용된 필러액에 정제용액의 투입에 따라 이온 반응하는 방식으로 필러의 불순물을 정제하는 정제처리기, 및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상측과 하측 부위에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반응정제용기에 수용된 필러액의 왕성한 순환식 유동을 도모하여 필러액과 정제용액 간의 이온 반응을 촉진 유도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반응정제용기에는 상기 증류수의 가열과 함께 상기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 제거와 유해균을 사멸시키는 멸균히터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멸균히터장치는 상기 증류수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내부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된 히터본체, 상기 필러액의 순환 과정에서 이온 반응에 따른 불순물을 필터하면서도 정액용액의 이온입자와 불순물의 입자간 이온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내부 어느 한 내주를 따라 설치된 멸균필터, 및 상기 히터본체와 연결되어 증류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멸균필터는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내부 어느 한 내주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필러액의 순환 과정에서 이온 반응에 따른 불순물은 필터링하면서도 필러는 통과시키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되어 정액용액의 이온입자와 불순물의 입자간 이온 반응을 유도하는 이온처리기를 더 포함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LCD 제어부는 상기 증류수의 상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제공된 증류수의 현재 온도수치를 통해 증류수의 온도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히터본체에 온도제어명령을 지시하는 마이컴, 및 증류수의 온도수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LCD 패널창을 더 포함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술된 바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처리부에 수용된 필러액이 순환식으로 유동되며 이온 반응을 통한 불순물의 제거와 더불어 유해균마저 사멸시킴으로써, 필러 고유 성분의 순수물 획득이 가능함에 따라, 고퀄러티의 필러 제품을 양산할 수 있으며, 필러를 주입받고자 하는 시술대사장들의 신뢰 확보와 함께 시술 이후의 부작용도 방지되어 시술 이후의 피부 트러블 문제로 인한 피부 후유증세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정제용 장치의 외관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제처리부(120)의 내부 구성을 파악하기 위한 정제처리부(12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멸균히터장치(300)의 히트본체(310), 멸균필터(320), 및 LCD 제어부(330)에 대한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을 통한 기술적 사상에 이르는 권리 범위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유첨된 도면들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첨부된 관계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첨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정제용 장치는 필러의 순수물을 얻기 위한 정제 처리 과정에 있어 필러의 순환식 유량을 통해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 입자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필러의 순수물을 얻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를 정제하기 위한 복수개 이상의 개별 정제처리기(100)들과, 상기 정제처리기들과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정제처리기(100)들의 내부에 있는 필러액을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복수개 이상의 개별 펌프(20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제처리기(100)는 필러액을 정제하기 위해 필러액을 담고 있는 통 구조의 정제처리부(120)와 상기 정제처리부(12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110) 및 상기 정제처리부(120)의 하단에서 확경된 구조로 상기 정제처리부(120)의 전복(顚覆)을 방지하며 지지하는 지지부(1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덮개부(110)는 상기 정제처리기(100)의 상단에서 탈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정제처리기(100)의 상단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30)에는 정제처리부(120)의 전복(顚覆) 방지를 위해 상기 정제처리부(120)의 하부 외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한 구조로 결합된 보강편(131)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제처리부(120)의 상측의 어느 한 외주 지점과 하측의 어느 한 외주 지점에서부터 펌프(200)에 이르기까지 제1,2호스(C1)(C2)들이 더 연결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상기의 제1호스(C1)는 상기 정제처리부(120)의 상측 부위를 통해 내부로 필러액이 유입되게 하는 호스이며, 상기의 제2호스(C2)는 상기 정제처리부(120)의 하측 부위를 통해 외부로 필러액이 배출되게 하는 호스이다.
이러한 상기 정제처리부(120)는 펌프(200)와 연결되어 필러액을 순환시키는 방식인 관계로, 필러액의 순환 과정에서 필러액이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필러 전체에 대한 불순물 정제의 효율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기존의 정제장치는 반응정제용기의 저부에 설치된 터빈을 이용해 필러액을 원심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유동성을 갖게 함에 따라, 원심의 중심에 있는 필러액의 유동성은 원심의 바깥에 있는 필러액의 유동성보다 활발하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 유동성이 약하여 정체되는 현상도 발생하는 관계로, 정제용액의 이온입자와 불술문의 입자가 서로 반응하지 않는 즉 미반응 현상이 나타남으로써, 필러에서의 불순물 제거 효과가 낮아 필러의 정제 효과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필러액은 필러와 증류수가 혼합된 것으로서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들이 이온 반응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게 필러액에 정제용액이 더 첨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제용액은 염화나트륨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염화나트륨은 전기 분해를 통한 이온화 상태의 용액으로 염소(CL-)와 나트륨(Na+)의 이온화 상태에서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의 양이온(+) 입자들은 염소(CL-)와 이온 결합되고, 불순물의 음이온(-) 입자들은 나트륨(Na+)과 이온 결합되어 필러에서부터 불순물이 제거되는 방식으로 정제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온화 반응에 있어서 증류수가 고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정제처리부(120)에 증류수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멸균히터장치(3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멸균히터장치(300)는 정제처리부(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증류수의 가열뿐만 아니라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과 필러 자체에 존재할 수 있는 유해균들을 사멸시키는 멀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멸균히터장치(300)는 도 2와 같이 히트본체(310)와 멸균필터(320) 그리고 히트본체(310)와 연결되어 증류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3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LCD 제어부(330)는 도 2를 참고로 도 3과 같이 증류수의 상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31) 및 온도센서(331)로부터 제공된 증류수의 현재 온도수치를 통해 증류수의 온도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히터본체(310)의 가열 온도 조절을 위한 명령을 지시하는 마이컴(332), 증류수의 온도수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LCD 패널창(3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멸균필터(320)는 필터(321) 및 이온처리기(322)로 구성될 수 있는데, 필터(321)는 이온처리기(322)로부터 제공되는 정제용액의 이온입자와 불순물의 입자간의 이온 결합을 통해 필러 입자보다 입자사이즈가 커진 이온결합상태의 불순물을 필터링하되, 필러는 통과시킴에 따라, 불순물로부터 필러의 순수물이 분리될 수 있다.
이온처리기(322)는 예컨대 몸체부(322a), 음이온출력부(322b), 양이온출력부(322c), 및 전원입력부(322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온처리기(322)로부터 뿜어나오는 음이온(-)과 양이온(+)을 통한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면서도, 예컨대 DBD 플라즈마 상태로 필러 자체에 있는 유해균들이나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에 있는 유해균들을 멸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필러에 함유된 각종 유해균의 제거는 DBD 플라즈마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DBD는 Dielectric Barrier Discharge의 약어 명칭으로서 유전체장벽방전(DBD)의 용어로도 불린다.
이러한 DBD 플라즈마는 플랙시블한 PCB 구조로서 전력전극(Powered electrode), 유전체(Dielectric), 및 접지전극(Ground electrode)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기존 방식의 플라즈마와의 기술적인 차이에 있어 기존 플라즈마는 필터의 주변으로 곰팡이나 오존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반면, DBD 플라즈마는 토출부에 대한 바이러스 및 세균도 제거될 수 있으며, 4kV 미만 영역으로 작동될 수 있고, 라디칼 형성과 함께 오존이 소량으로 발생되어 기존 플라즈마에서 야기되는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DBD 플라즈마는 X 전극, 그 하부에 구성되는 유전체(Dielectric), 그 하부에서 소정의 격자형으로 구성되는 Y 전극, 및 상기 격자형의 공간에서 플라즈마 상태가 되어 필러액의 통과에 따른 필러 정화를 이룰 수 있다.
이처럼, 상기의 멸균히터장치(300)는 필러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러의 정제뿐만 아니라 필러에 존재하는 유해균들을 살균하는 멸균 처리를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다.
증류수의 온도는 정제 처리에 무리없을 정도의 가열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800℃ ~ 950℃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온도 범위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특히, 필러의 입자에 포함되는 이온성 불순물 성분은 정제용액과 용이하게 이온 반응함에 따라, 짧은 시간에도 정제 효과가 향상될 수 있고, 펌프(200)의 이용을 통한 필러액의 보다 활발한 순환식 유동을 지속할 수 있는 관계로, 필러액의 정체 현상이나 국소적인 유동 활성의 차이 없이 필러액 전체의 왕성한 순환식 유동에 따른 불순물의 제거율마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정제용액은 염화나트륨을 일례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없이 예컨대 정제가스 타입으로도 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제가스는 구체적으로 염소 가스 등의 할로겐 가스, 또는 염화 수소 가스 등의 할로겐화 수소 가스 등도 이용될 수도 있다.
불순물 성분 중에서도, 알카리성 불순물 성분은 고온에서 이온성 거동을 나타내는 정도가 강하므로, 가장 정제 효과가 높고, 특히 이온성이 높은 Li 등의 제거에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정제처리기(100) 덮개부(110)
반응정제용기(120) 지지부(130)
제1호스(C1) 제2호스(C2)
멸균히터장치(300) 히트본체(310)
멸균필터(320) 필터(321)
이온처리기(322) 몸체부(322a)
음이온출력부(322b) 양이온출력부(322c)
전원입력부(322d)
LCD 제어부(330) 온도센서(331)
마이컴(332) LCD 패널창(333)
펌프(200)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필러와 증류수로 이루어진 필러액을 수용한 반응정제용기,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상단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하단 부위에 평평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전복을 방지하며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반응정제용기에 수용된 필러액에 정제용액의 투입에 따라 이온 반응하는 방식으로 필러의 불순물을 정제하는 정제처리기; 및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상측과 하측 부위에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반응정제용기에 수용된 필러액의 왕성한 순환식 유동을 도모하여 필러액과 정제용액 간의 이온 반응을 촉진 유도하는 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정제용기에는 상기 증류수의 가열과 함께 상기 필러에 함유된 불순물 제거와 유해균을 사멸시키는 멸균히터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멸균히터장치는
    상기 증류수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내부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된 히터본체;
    상기 필러액의 순환 과정에서 이온 반응에 따른 불순물을 필터하면서도 정액용액의 이온입자와 불순물의 입자간 이온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내부 어느 한 내주를 따라 설치된 멸균필터; 및
    상기 히터본체와 연결되어 증류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필터는
    상기 반응정제용기의 내부 어느 한 내주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필러액의 순환 과정에서 이온 반응에 따른 불순물은 필터링하면서도 필러는 통과시키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되어 정액용액의 이온입자와 불순물의 입자간 이온 반응을 유도하는 이온처리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CD 제어부는
    상기 증류수의 상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제공된 증류수의 현재 온도수치를 통해 증류수의 온도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히터본체에 온도제어명령을 지시하는 마이컴; 및
    증류수의 온도수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LCD 패널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정제용 장치.
KR1020200121966A 2020-09-22 2020-09-22 필러 정제용 장치 KR102549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66A KR102549875B1 (ko) 2020-09-22 2020-09-22 필러 정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66A KR102549875B1 (ko) 2020-09-22 2020-09-22 필러 정제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179A KR20220039179A (ko) 2022-03-29
KR102549875B1 true KR102549875B1 (ko) 2023-07-03

Family

ID=8099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966A KR102549875B1 (ko) 2020-09-22 2020-09-22 필러 정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8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96B1 (ko) * 2007-04-04 2007-11-05 바이오키트 주식회사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3518926A (ja) * 2010-02-09 2013-05-23 ボーシュ アンド ロ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菌ヒアルロン酸溶液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744B1 (ko) * 2016-10-20 2020-10-26 일동히알테크(주) 가교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신규한 제조 방법
KR101922711B1 (ko) 2016-12-28 2018-11-27 주식회사 유영제약 가교된 히알루론산겔의 정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96B1 (ko) * 2007-04-04 2007-11-05 바이오키트 주식회사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3518926A (ja) * 2010-02-09 2013-05-23 ボーシュ アンド ロ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菌ヒアルロン酸溶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179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2224B2 (ja) 水電解装置
RU2129097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JP5834912B2 (ja) 水中放電装置
KR102549875B1 (ko) 필러 정제용 장치
KR101507771B1 (ko) 도금액 여과용 필터 하우징
CN206219356U (zh) 一种医疗废液收集处理系统
KR100414560B1 (ko) 자외선 및 오존을 이용한 살균장치 및 살균방법
EP3181520B1 (en) Water treatment device and humidification device
US20200397940A1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method
CN211688678U (zh) 一种新型高效医疗废水处理设备
CN106565043B (zh) 一种红鼻剪刀鱼自净养殖系统
KR101701106B1 (ko) 정수기의 전해조 장치
JP2005193216A (ja) 汚染物質浄化装置
CN205820936U (zh) 一种废水用紫外线消毒装置
CN108686501B (zh) 配套实验室的废气处理装置
CN216038741U (zh) 一种紫外线杀菌装置
JP2512071B2 (ja) 風呂水浄化保温装置
CN216798285U (zh) 一种液体敷料生产用灭菌装置
CN218810907U (zh) 一种生活用水水质净化系统
CN214735139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净水器
RU22282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CN212713094U (zh) 水处理装置、用水设备及热水器
CN214112236U (zh) 车载式杀菌消毒净化器
CN212532617U (zh) 印染废水尾水处理装置
CN213803320U (zh) 一种带有消毒结构的废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