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368B1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368B1
KR102549368B1 KR1020210050698A KR20210050698A KR102549368B1 KR 102549368 B1 KR102549368 B1 KR 102549368B1 KR 1020210050698 A KR1020210050698 A KR 1020210050698A KR 20210050698 A KR20210050698 A KR 20210050698A KR 102549368 B1 KR102549368 B1 KR 10254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e
drying
bars
drying apparatus
horizont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250A (ko
Inventor
김태욱
Original Assignee
(주)무궁무진
김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궁무진, 김태욱 filed Critical (주)무궁무진
Priority to KR102021005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368B1/ko
Priority to PCT/KR2022/005428 priority patent/WO2022225260A1/ko
Priority to US18/287,625 priority patent/US20240183611A1/en
Publication of KR2022014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3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partly outside the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건조물을 적재하여 바람과 램프 열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특징은 상하면이 닫힌 원통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는 격판에 의하여 상부의 기계실과 하부의 건조실로 분리되고, 상기 건조실 내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가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공간에는 램프의 열에 의하여 건조되는 건조물이 적재되는 건조물 적재장치가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형타잎으로 이루어지며 건조물을 내부에 존치하고, 광선과 통풍으로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원형 타입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조물을 내부에 존치시키고, 근적외선과 통풍으로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인 특허등록 10-2123389(발명의 명칭: 건조물 건조기)(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a은 종래기술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의 기류 유입부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의 건조물 건조기(1)는 상측에 형성된 환기구(11)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건조물이 고정되는 건조대(20); 상기 본체(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내부 열기를 유지하는 단열재(30); 상기 단열재(30)의 일측 내면에 겹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환기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건조대 방향으로 흐르는 기류 유입부(40); 상기 기류 유입부(30)와 대향하도록 상기 단열재(30)의 타측 내면에 겹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건조대(20)를 거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환기구(11) 방향으로 흐르는 기류 배기부(50); 상기 환기구(11) 및 상기 기류 유입부(3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환기구(1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기류 유입부로 흐르게 하는 순환팬(60); 및 상기 기류 유입부(40) 및 기류 배기부(50)의 일면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대에 고정된 건조물을 향해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램프(70)를 포함하며, 상기 기류 유입부(40)는, 상기 단열재(30)의 일측 내면에 접하는 제1 면(41);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향하고, 상기 제1 면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복수의 함몰 공간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제2 면(42); 상기 제1 면(41)과 상기 제2 면(42)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환기구(11)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이격 공간(43); 및 상기 제2 면(42)의 복수의 함몰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흐르게 하며, 상기 복수의 함몰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의 유입공(44)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입공은, 상기 복수의 함몰 공간 각각의 폭방향 중심부에 위치한 제1 유입공(44a); 및 상기 제1 유입공(44a)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유입공(44b)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의 종래기술에서 본체(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의 단열재(30)로 이루어진 벽면을 갖추고 있는 다각형상, 구체적으로는 본체의 단면 형상은 4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대(20)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조물써 원형상의 상, 하부 프레임을 갖으며 회전하게 됨으로써 본체의 내부와 건조대(20)가 회전되는 공간 사이에는 넓은 이격부분과 좁은 이격부분이 존재하게 되어 건조대(20)에서 건조되는 건조물에 균일한 바람이 조사되지 못함으로써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이격 공간이 다른 문제로 인하여 소음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제2 면(42)의 중앙의 함몰부와, 함몰부의 양쪽으로 전개되는 경사부는 정확한 대칭각도로 경사지게 만들고, 함몰부에 형성되는 제1 유입공(44a)과 경사부에 형성되는 제2 유입공(44b)은 발사되는 바람에 의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에 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2 면(42)의 제작과 유입공들의 천공에서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이 과정에서 불량품이 양산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기류 배기부(50)로 흐르는 바람과 환기구(11)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이 순환팬(60)에 의존하여 기류 유입부(30)에 흐르기 때문에 기류 유입부(30)에 흐르는 바람의 세기를 일정 크기 이상으로 높힐 수 없으며, 바람의 세기를 과도하게 높이게 되면 순환팬에 의하여 큰 소음을 발생하게되고, 순환팬에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해결과제는 본체 단면을 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8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본체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과 본체의 내부 케이스와의 사이의 공간을 균일하도록 함으로써 건조효율을 높히도록 하면서 소음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내부 케이스를 원형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내부 케이스에 함몰부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발산공 및 흡입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정밀가공을 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와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본체 내부의 건조물 적재장치는 건조물을 적재하는 데에 편리성을 갖추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추도록 하여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상하면이 닫힌 원통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는 격판에 의하여 상부의 기계실과 하부의 건조실로 분리되고, 상기 건조실 내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가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공간에는 램프의 열에 의하여 건조되는 건조물이 적재되는 건조물 적재장치가 회전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바람과 램프 열에 의하여 적재된 건조물이 건조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 적재장치는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판(220); 상기 회전판(220)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3개의 수평바들(231), (232), (233); 상기 수평바들(231), (232), (233)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들(251), (252), (253); 상기 수직바들(251), (252), (253)의 하단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원판 형상의 하부 회전판(220')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바들(231), (232), (233)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3개의 수평바(241), (242), (243)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241)와 수평바(242) 사이의 사잇각을 Θ1, 상기 수평바(242)와 상기 수평바(243) 사이의 사잇각을 Θ2라 하고, 상기 수평바(243)와 수평바(241) 사이의 사잇각을 Θ3라 할 때, Θ3>Θ1 이며, Θ3>Θ2를 만족하며, 상기 수직바들(251), (252), (253)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개방된 절개부(2511)와 상기 절개부(2511)의 내측에서 하향되게 연속 형성된 홈(2512)으로 이루어진 삽입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이 설치되고, 팬에 의하여 유출되는 공기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들을 통하여 상기 건조물 적재장치에 분사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들에 흡입된 후, 상기 내부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들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격판 상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판 상부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들에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들에 흡입된 공기는 상기 팬에 재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들(251), (252), (253)의 삽입부에는 걸림대(270)를 형성하는 바(bar)들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걸림대(270)의 상부에는 건조망(280)이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해결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가 원통형상이나 원통형상에 가까운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건조물 적재장치가 회전될 때 4각 관체로 이루어진 구조에 비하여 월등하게 소음이나 진동이 감소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건조물 적재장치의 구조가 조립이 용이하고, 적재된 건조물을 용이하게 빼거나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건조물을 통과한 공기를 다시 흡입한 후 팬으로 다시 배출시키는 순환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대 및 건조망의 기울기를 여러 단으로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물의 상태에 따라서 기울기를 변화시켜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a은 종래기술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의 기류 유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설명을 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회전판과 수평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격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모터, 펌프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콘트롤러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내부 케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열용 램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걸림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설명을 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회전판과 수평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격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모터 , 펌프의 배치도이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100)는 전체적인 외형이 단면이 원형이거나, 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볼 때 원통형상으로 보인다.
건조장치(100)의 상면(150), 하면(160)으로 닫힌 원통형상의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면에 가깝게 격판(120)이 설치되고, 격판(120)의 상부면과 케이스(110)의 상부단면 사이의 공간은 기계실로서 후술되는 흡입펌프(P1), (P2), 배출팬(F1), (F2), 모터(M) 등이 설치되고, 격판(120)의 하부면과 케이스(110)의 하부단면 사이의 공간은 건조실(200)을 형성하게 된다.
기계실을 형성하는 공간의 전면에는 기계실 개폐문(130)이 설치되며, 기계실 개폐문(130)의 전면에는 미도시된 스위치, 표시패널, 램프 등이 설치되어 외부에서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기계의 작동상태를 관찰할 수 있으며, 후면에는 이러한 소자들이 연결되는 회로기판부(140)가 설치되며, 회로기판부(140)는 미도시된 전선에 의하여 콘트롤러(C)와 연결된다.
또한 건조실(200)을 형성하는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개폐문(130)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케이스(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내부 케이스(210)가 설치되고, 내부 케이스(210)와 케이스(110)가 형성하는 공간의 일측에는 팬(F1), (F2)의 발산부(213)가 설치되어 토출되는 바람이 유입되고, 타측에는 펌프(P1), (P2)의 흡입구(215)가 설치되어 공기가 펌프(P1), (P2)에 의하여 흡입되게 된다.
이때, 내부 케이스(210)에는 상하 좌우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팬(F1), (F2)의 발산부(213)와 인접한 부분에는 발산공(214)은 발산부(213)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건조실(200) 내부로 유입시는 공기 발산공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흡입구(215)에 인접되는 흡입공(216)은 건조실(2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펌프(P1), (P2)로 이송한다.
또한 기계실에는 모터(M)가 설치되고, 모터(M)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221)이 건조실(200)의 중앙에 설치된다. 이때 회전축(221)은 모터(M)의 회전축에 직결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회전축(221)은 모터(M)의 회전축과 벨트로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기어박스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전속도를 변환시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건조실(200)의 내부에는 건조물 적재장치가 설치된다. 건조물 적재장치는 회전축(22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회전판(220)과, 회전판(220)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바(231), (232), (233)와 수평바(231), (232), (233)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251), (252), (253)와, 수직바들의 하단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하부 회전판(220')에 결합되는 수평바(241), (242), (243)들과, 수직바들(251), (252), (253)에 걸리게 되는 걸림대(270)와, 걸림대(270) 상부에 걸쳐지게 되는 건조망(28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평바(231), (232), (233) 및 수평바(241), (242), (243)의 단부에는 수직바(251), (252), (253)가 삽입되어 리벳등의 결합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홈(2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 하의 수평바들은 수직바들에 의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서로 상하 대향하게 설치된다.
이때, 수평바(241)과 수평바(242) 사이의 사잇각(Θ1), 수평바(242)과 수평바(243) 사이의 사잇각(Θ2)는 동일하며, 수평바(243)과 수평바(241) 사이의 사잇각(Θ3)는 거치대(270)에 건조물을 넣거나, 빼기 편리하도록 Θ1보다 크게, 바람직하게는 180°로 하는 것이 유리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계실의 상부면에는 배출공(291)이 형성되어 있어 기계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며, 건조실(200)의 하부면에도 배출공(201)이 형성되어 있어 건조물 건조시에 하부면에 떨어지는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고, 건조실 청소시에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 내에는 콘트롤러(C)가 설치되어 입력되는 스위치 신호 및 온도계, 습도계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펌프(P1), (P2), 팬(F1), (F2), 밸브(V1), (V2), (V3), (V4), (V5), (V6)를 구동시킨다.
펌프(P1)과 펌프(P2)는 콘트롤러(C)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밸브(V5)가 설치된 연결관(301)에 의하여 연결되고, 펌프(P2)에는 밸브(V3)를 통과하여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302)이 설치되고, 펌프(P1)와 팬(F1) 사이에는 밸브(V1)가 설치된 연결관(303)이 설치되고, 펌프(P2)와 팬(F2) 사이에는 밸브(V2)가 설치된 연결관(304)이 설치되고, 팬(F1)과 팬(F2) 사이에는 밸브(V6)가 설치된 연결관(305)가 설치되고, 팬(F2)에는 밸브(V4)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306)이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콘트롤러의 구성도이다.
콘트롤러(C)는 마이컴(MCU: Microcontroller Unit)(500)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마이컴(500)은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연결된 제어대상이나 내부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연산처리하고, 산출된 데이터를 외부 제어대상이나 내부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모듈(501)과, 저장모듈(509)에 저장된 모터 구동패턴을 독출하여 모터구동드라이브(515)에 모터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모터구동모듈(503), 온도센서(511) 및 습도센서(513)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저장모듈(509)에 저장된 설정 온도 데이터, 습도 온도데이터를 비교하여 히터의 온오프신호를 생성하는 히터구동모듈(509), 온도센서(511) 및 습도센서(513)에서 검출된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특정의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밸브구동드라이브(517)에 공급하는 밸브구동모듈(507), 입력부(521)를 통하여 입력된 기준값을 비롯한 특정값들을 저장하는 저장모듈(509)과, 제어모듈(501)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23)로 이루어진다.
이때 모터구동모듈(503)은 입력부(521)에 의하여 입력되어 저장모듈(509)에 저장된 회전축(220)의 회전속도, 정회전시간, 역회전시간에 따라서 다양하게 결정되는 동패턴에 따라서 모터(M)를 구동시킨다.
또한 히터구동모듈(505)은 건조실(200)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511), 습도센서(513)에 의하여 검지된 온도 및 습도가 저장모듈(509)에 기저장된 기준 온도보다 낮고, 기 저장된 기준 습도보다 높을 때는 후술되는 히터를 가열시킨다.
또한 밸브구동모듈(507)은 건조실(200)의 내부의 온도가 기저장된 기준 온도보다 낮을 때는 밸브 V3, V4, V5, V6를 닫고, V1, V2를 열어 펌프(P1), (P2)로 흡입된 공기를 팬(F1), (F2)으로 토출시켜 발산시키도록 하는 것이 건조실(200)의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켜 건조속도를 높이고, 전기효율을 높힐 수 있다.
그러나, 입력부(521)의 입력에 따라서 기설정된 온도의 이상의 온도일 때는 일정한 주기별로 정해진 시간 동안 밸브 V3, V4, V5, V6를 열고, V1, V2를 닫아 건조실(200)의 내부의 공기를 청정하게 새로운 공기를 외부로부터 흡입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내부 케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210)의 원주방향의 중앙부와 케이스(110) 사이에는 공기흡입 및 공기배출 공간을 격리하기 위한 공기 격리판(283)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격리판(28)에 의하여 분할되는 공간 중 발산부(213) 쪽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발산공(214)가 형성되고, 흡입구(215)가 설치되는 영역에는 흡입공(216)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공기 격리판(28)에 의하여 발산부(213)에서 발산된 공기는 전부 발산공(214)을 통과하여 발산되어 건조실(200)에 유입되게 됨으로써 공기 흐름을 세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발산공(214)에서 발산되는 공기는 내부 케이스(210)의 원의 중심을 향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서로 교차하게 됨으로써 특별히 내부 케이스(210)에 경사부를 형성하거나 주름을 가공하지 않고도 왕성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케이스(210)는 상하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홈에 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램프, 바람직하게는 근적외선 램프를 상하방향으로 설치하여 건조물에 열을 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열용 램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내부 케이스(213)에는 복수개의 건조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용 램프(a), (b), (c), (d), (e)가 설치되고, 내부 케이스(213)가 스테인레스밀러로 제작되거나 내측면이 높은 반사율을 갖는 금속으로 도금되기 때문에 입사된 빛은 전체가 반사되게 된다. 내부 케스에 설치된 가열용 램프들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다양한 방향으로 발산되게 되고 내부 케이스(213)의 내측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되기 때문에 내부 케이스가 형성하는 원의 중심점(O)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건조물은 골고루 건조되어 건조 균일도가 높게 된다.
또한 내부 케이스(213)의 중심점(O)을 중심으로 램프(a), (d) 및 램프(b), (e)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칭된 램프들에서 발산된 빛은 진행방향이 상호 일치되게 되어 중첩되고, 중첩된 빛은 보강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빛의 증폭현상이 발생됨으로써 건조물을 보다 높은 열로 가열시키게 되어 가열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램프(280)에 의하여 건조물의 온도는 30°~ 160°에서 살균되면서 가열되게 되고, 건조가 된 건조물을 건조기 내부에서 별도로 살균할 수 있다. 가열온도는 개폐문(130)에 설치된 입력도구에 의하여 조절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걸림대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바의 사시도이다.
수직바들에는 걸림대가 삽입될 수 있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부가 형성된다. 삽입부는 일측이 개방되는 절개부(2511)와 절개부(2511)의 내측에서 하향되게 연속형성된 홈(2512)가 형성되어 있어 걸림대(270)가 삽입되어 빠지지 않게 이루어져 있다.
걸림대(270)는 외주변을 형성하는 4개의 바들과, 바들이 만나는 변(b)과 접점(d)를 연결하는 바로 이루어지며, 걸림대(270) 위에는 건조물을 적치할 수 있는 건조망(280)이 거치되게 된다. 또한 걸림대(270)의 마주보는 변(a), (c)는 다른 바들에 비하여 길이가 작으며, 수직바(251), (252), (253)의 절개부(2511)에 각각 밀어넣어진 후 홈(2512)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변(b)는 수직바(252)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걸림대(270)이 수직바들에 장착되게 된다. 만일 건조물이 수분이 작은 경우에는 걸림대(270)는 수직바(251), (252), (253)의 수평인 위치의 홈(2512)들에 끼워지지만, 수분이 많은 경우에는 걸림대(270)는 높이가 다른 위치의 홈(2512)들에 끼워지게 되어 경사지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 3, 4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간소화된 실시예로서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스, 내부 케이스 등 동일한 부분에 대한 것은 생략하여 도시한 것이고, 적재물 적재장치의 구성도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서 팬(F1), (F2)에서 발산되는 공기는 발산부(213‘)를 통하여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210)의 사이의 공간을 유입되고, 내부 케이스(210)의 발산공(214)을 통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킨 후 반대편의 흡입공(216)을 통하여 내부 케이스(210)와 케이스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에 흡입부(215’)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에도 본원 발명의 효력이 미치게 됨은 당연하므로 본원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건조장치
110: 케이스
120: 격판
130: 개폐문
210: 내부 케이스
213: 발산부
214: 발산공
215: 흡입부
216: 흡입공
220: 회전판
221: 회전축
231, 232, 233, 241, 242, 243: 수평바
251, 252, 253: 수직바
270: 건조대
280: 건조망
500: 마이컴
P1, P2: 펌프
F1, F2: 팬
C: 콘트롤러
M: 모터

Claims (11)

  1. 상하면이 닫힌 원통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는 격판에 의하여 상부의 기계실과 하부의 건조실로 분리되고,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가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공간에는 램프의 열에 의하여 건조되는 건조물이 적재되는 건조물 적재장치가 회전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바람과 램프 열에 의하여 적재된 건조물이 건조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 적재장치는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판(220);
    상기 회전판(220)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3개의 수평바들(231), (232), (233);
    상기 수평바들(231), (232), (233)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들(251), (252), (253);
    상기 수직바들(251), (252), (253)의 하단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원판 형상의 하부 회전판(220')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바들(231), (232), (233)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3개의 수평바(241), (242), (243)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241)와 상기 수평바(242) 사이의 사잇각을 Θ1, 상기 수평바(242)와 상기 수평바(243) 사이의 사잇각을 Θ2라 하고, 상기 수평바(243)와 상기 수평바(241) 사이의 사잇각을 Θ3라 할 때, Θ3>Θ1 이며, Θ3>Θ2를 만족하며,
    상기 수직바들(251), (252), (253)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개방된 절개부(2511)와 상기 절개부(2511)의 내측에서 하향되게 연속 형성된 홈(2512)으로 이루어진 삽입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이 설치되고, 상기 팬에 의하여 유출되는 공기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들을 통하여 상기 건조물 적재장치에 분사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들에 흡입된 후, 상기 내부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들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격판 상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판 상부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들에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들에 흡입된 공기는 상기 팬에 재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가열용 램프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들(251), (252), (253)의 삽입부에는 걸림대(270)를 형성하는 바(bar)들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걸림대(270)의 상부에는 건조망(280)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10050698A 2021-04-19 2021-04-19 건조장치 KR102549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698A KR102549368B1 (ko) 2021-04-19 2021-04-19 건조장치
PCT/KR2022/005428 WO2022225260A1 (ko) 2021-04-19 2022-04-14 건조장치
US18/287,625 US20240183611A1 (en) 2021-04-19 2022-04-14 Dr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698A KR102549368B1 (ko) 2021-04-19 2021-04-19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250A KR20220144250A (ko) 2022-10-26
KR102549368B1 true KR102549368B1 (ko) 2023-06-29

Family

ID=8372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698A KR102549368B1 (ko) 2021-04-19 2021-04-19 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83611A1 (ko)
KR (1) KR102549368B1 (ko)
WO (1) WO202222526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60B1 (ko) * 2013-03-26 2014-07-1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 폐열 재활용 기능을 가진 회전형 농수산물 건조기
KR102015870B1 (ko) * 2018-01-11 2019-08-29 신한담 근적외선을 이용한 회전식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4848A (ja) * 1992-04-15 1993-11-02 Kubota Corp 空調式処理設備
KR100426242B1 (ko) * 2001-02-23 2004-04-08 남궁민 자외선 살균기
KR101373702B1 (ko) * 2012-07-10 2014-03-13 전해선 살균기능과 폐열을 이용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CN109028791A (zh) * 2018-06-15 2018-12-18 郑州莉迪亚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制药用药品快速风干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260B1 (ko) * 2013-03-26 2014-07-1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 폐열 재활용 기능을 가진 회전형 농수산물 건조기
KR102015870B1 (ko) * 2018-01-11 2019-08-29 신한담 근적외선을 이용한 회전식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83611A1 (en) 2024-06-06
KR20220144250A (ko) 2022-10-26
WO2022225260A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936B1 (ko) 건조기의 캐비닛 구조
AU2004273859A1 (en) Conveyor oven with improved air return and method
KR101446071B1 (ko) 식품건조기
US7069669B2 (en) Clothes dryer
KR102549368B1 (ko) 건조장치
KR101738070B1 (ko) 결로현상을 이용한 초절전 건조기
US9080280B2 (en) Tumble dryer
KR100578030B1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KR101953519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488048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JP4284530B2 (ja) 除湿乾燥機
KR102445397B1 (ko) 습기제거 및 공기순환을 갖는 건조기
KR101772383B1 (ko) 4면 열풍 전기건조기
KR102123389B1 (ko) 건조물 건조기
KR100669182B1 (ko) 건조기의 흡배기 순환장치
KR200405974Y1 (ko) 송풍팬이 측면에 설치된 소형 건조기
KR100997221B1 (ko) 농수산물 건조기용 댐퍼
KR200431801Y1 (ko) 식기 건조기의 송풍장치
KR20230102983A (ko) 건조기
KR102050231B1 (ko)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 장치
KR20090005706U (ko) 농수산물 건조기
US3239949A (en) Drying cabinet
JP2021126458A (ja) 食器乾燥機
JPH10235089A (ja) 浴室又は類似の室の乾燥換気装置
KR20230044754A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