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231B1 -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231B1
KR102050231B1 KR1020170163504A KR20170163504A KR102050231B1 KR 102050231 B1 KR102050231 B1 KR 102050231B1 KR 1020170163504 A KR1020170163504 A KR 1020170163504A KR 20170163504 A KR20170163504 A KR 20170163504A KR 102050231 B1 KR102050231 B1 KR 102050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
disc
rotating
hot air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154A (ko
Inventor
장석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보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보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보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2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건조할 수 있는 새로운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 장치는 농산물을 투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개폐문이 형성된 망상의 관형 몸체, 상기 관형 몸체의 타단을 막는 제2 원판, 상기 관형 몸체의 중심축을 따라 제1 원판의 내측에서 제2 원판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망상의 내부관, 제1 원판의 외측에 중심축을 따라 결합된 회전축, 및 제2 원판의 외측에 중심축을 따라 결합되고, 제2 원판을 통해 내부관으로 연통되고, 열풍 및/또는 스팀이 공급되는 관형 축을 포함하는 회전 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 장치{Drying system using hot air}
본 발명은 농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건조할 수 있는 새로운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농산물 건조기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농산물 건조기는 주로 선반에 농산물을 얇게 깔고, 열풍을 불어서 건조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2019870010765호나 2019860005140호와 같이 다단의 선반을 배열하고 열풍을 불어서 건조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선반식 농산물 건조기의 경우, 타공 또는 망체로 구성된 다수단의 선반에 고추 등의 농산물을 안착시킨 뒤 열풍이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순환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이기에, 열풍이 순환이송되는 과정에서 선반에 안착된 농산물의 사이사이를 통하여 순환이송되어야 함에 따라 건조시키고자 하는 농산물이 선반 바닥에 깔릴 정도로 안착시켜야만 열풍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따라서 1회에 건조시킬 수 있는 농산물의 양이 극히 제한적이라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고, 더불어 농산물이 다수단의 선반에 의해 적층된 상태에서 열풍이 순환되도록 구성된 것이기에 건조에 따르는 시간 또한 과다 소요되는 등의 폐단이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또 다량의 폐열이 발생하여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 출원 공개 1020100083898호에서는 흡입된 공기와 열 교환하고 난 폐열을 송풍기의 구동으로 열 교환기 측으로 재유입시키는 과정에서 폐열의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건조기 내부에 원통형의 회전형 망체를 설치하고, 망체에 곡물을 넣고서,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건조하는 회전식 건조기가 개발되고 있다. 드럼식 건조기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공개 20-1987-0010767호, 20-1987-0008756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346961호 등에서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식 건조기는 선반식에 비해 농산물을 넣고 빼기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건조기들은 단순히 건조, 세척 후 건조 등이 가능할 뿐이어서, 보다 다양한 공정, 예를 들어 농산물을 쪄서 건조하는 복잡한 공정에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출원인은 특허 제1535445호를 통해서 농산물의 투입과 배출이 용이하고, 스팀을 이용해서 농산물의 건조가 가능한 새로운 농산물 건조기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방식은 농산물의 투입과 배출은 용이하나 스팀을 이용함으로써 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농산물의 투입과 배출이 용이하고 건조 효율이 높은 열풍식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 장치는
농산물을 투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개폐문이 형성된 망상의 관형 몸체,
상기 관형 몸체의 일단을 막는 제1 원판,
상기 관형 몸체의 타단을 막는 제2 원판,
상기 관형 몸체의 중심축을 따라 제1 원판의 내측에서 제2 원판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망상의 내부관,
제1 원판의 외측에 중심축을 따라 결합된 회전축, 및
제2 원판의 외측에 중심축을 따라 결합되고, 제2 원판을 통해 내부관으로 연통되고, 열풍 및/또는 스팀이 공급되는 관형 축을 포함하는 회전 몸체부;
상기 회전 몸체부의 회전축과 관형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회전 몸체부를 둘러싸는 커버,
상기 커버에 형성된 열풍 및/또는 스팀이 배출되는 배출구,
농산물 투입구와 배출구,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외장 케이스; 및
외장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결합하여 상기 외장 케이스가 시소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망상의 관형 몸체는 처리하고자 하는 농산물, 예를 들어, 나락 또는 쌀의 크기보다 작은 구멍들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망이 관 형태를 이룬것일 수 있다. 상기 관형 몸체는 중심축이 지면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건조 장치는 관형 축에 연결되어 회전 몸체부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발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부의 회전축과 관형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프레임은 회전축과 관형축이 고정되는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회전 몸체부의 외부에서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며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망상의 관형 몸체에서 배출된 농산물들이 아래로 모일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일로형 커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외장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하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소 회동부와, 상기 외장 케이스가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소정 높이로 시소 회동부를 지지하는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투입구는 커버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몸체부가 회전하여 망상의 관형 몸체에 형성된 개폐문이 농산물 투입구에 대향하여 정렬된 상태에서, 농산물 투입구와 개폐문을 열고 농산물을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배출구는 원판과 대향하는 커버의 하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몸체부가 회전하여 망상의 관형 몸체에 형성된 개폐문이 아래쪽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개폐문이 열리고, 농산물 배출구로 배출된다. 농산물의 배출시 케이스가 시송 회동하여 일측으로 기울어져 하측면에 형성된 농산물 배출구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증기를 이용해서 농산물을 증숙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열풍을 이용해서 건조할 수 있는 새로운 농산물 건조기가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는 투입과 배출이 용이하고, 농산물을 유동시키면서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어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농산물 건조기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의 내부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농산물의 건조 과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기(10)는 내부에 회전 몸체부가 수용되는 외장 케이스(200)가,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10)의 네 모퉁이에서 소정 높이로 세워지는 기둥(320)들과 기둥(320)들을 연결하면서 외장 케이스(200)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두개의 측면 지지대(330)와, 측면 지지대(330)의 중간에서 고정된 회전 베어링(340)과 회전 베이링을 관통하여 외장케이스(200)의 측면에 부착되는 시소 회동축(350)으로 이루어진 제2프레임(300)에 의해서 시소회동하게 고정된다.
외장 케이스(2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되, 지면과 대향하는 하면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일로 형상을 이루는 커버(210)을 가진다. 외장 케이스의 상면에는 농산물을 투입하기 위한 농산물 투입구(220)이 있으며, 외장 케이스(200)의 측면 하단에는 농산물을 배출하기 위한 농산물 배출구(230)를 가진다. 또한, 커버(210)의 상면에는 증기 및/또는 열풍을 배출하기 위한 열풍 배출구(240)가 있다.
외장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회전 몸체부(100)의 회전축(121)과 관형축(1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251)과, 상기 회전 몸체부의 외부에서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251)들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252)으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250)이 있다. 수직프레임(215)에는 회전축(121)과 관형축(122)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어링부(260)를 가진다.
회전 몸체부(100)는 농산물을 투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개폐문(111)이 형성된 망상의 관형 몸체(110)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관형 몸체(110)의 일단에는 일단을 막는 제1 원판(1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원판(120)의 외부에는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121)이 형성된다. 회전축(121)은 베어링부(260)와 외관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회전 모터(270)와 밸트(271)에 의해서 구동된다.
관형 몸체(110)의 타단에는 타단을 막는 제2 원판(1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원판(130)의 외부에는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형축(122)가 형성된다. 관형축(122)는 베어링부(260)과 외관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돌출된 관형축(122)은 커넥터(420)을 통해서 열풍기(400)와 주름관(410)으로 연결된다. 커넥터(420)의 일측에는 스팀호스(510)이 연결되며, 스팀 호스(510)은 스팀 발생기(500)에 연결된다. 회전하는 관형축(122)이 고정된 커넥터(420)에 연결되도록 커넥터 외면에는 베어링이 결합될 수 있다.
관형축(122)은 제2 원판(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132)를 통해서 스팀 및/또는 열풍을 회전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관형 몸체(110)의 내부에는 중심축을 따라서 제2 원판(130)의 내측에서 제1 원판(120)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망상의 내부관(140)을 가진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기(400)에서 발생된 열풍(430)은 커넥터(420)와 관형축(122)과 개구(132)를 통해서 회전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회전 몸체부(100)로 유입된 후, 망상의 내부관(140)을 통해서 흘러가면서 회전하는 망상의 내부관(140)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서 회전 몸체부(100)에 전체적으로 확산된다. 회전 몸체부(100)에 퍼진 열풍(430)은 회전 몸체부(100)의 망상형 관형 몸체(110)을 통해서 외부 케이스(200)의 내부로 확산된 후, 외부 케이스(200)에 형성된 열풍 배출구(240)을 통해서 배출된다.
스팀 발생기(500)에서 발생된 스팀(520)은 커넥터(420)와 관형축(122)과 개구(132)를 통해서 회전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회전 몸체부(100)로 유입된 후, 망상의 내부관(140)을 통해서 흘러가면서 회전하는 망상의 내부관(140)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서 회전 몸체부(100)에 전체적으로 확산된다. 회전 몸체부(100)에 퍼진 스팀(520)은 회전 몸체부(100)의 망상형 관형 몸체(110)을 통해서 외부 케이스(200)의 내부로 확산되어, 농산물 건조기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쌀이나 볍씨를 익히게 된다. 스팀(520)으로 증숙하는 과정에서 열풍 배출구(240)는 커버로 닫아놓을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농산물(600)을 증숙하고 건조하기 위해서 농산물(600)을 투입하는 경우, 회전 몸체부(100)의 개폐문(111)과 외장 케이스(200)의 농산물 투입구(220)의 하단에 정렬된 상태에서, 농산물 투입구(220)와 개폐문(111)을 차례로 열고, 농산물을 투입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농산물(600)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 몸체부(100)의 개폐문(111)이 외장 케이스(200)의 농산물 배출구(230)에 정렬된 상태에서, 농산물 배출구(230)와 개폐문(111)을 차례로 열고, 농산물을 배출한다. 건조된 농산물(610)이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외장 케이스(200)는 시소 회동하여 농산물 배출구(230)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배출된다.

Claims (5)

  1. 농산물을 투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개폐문이 형성된 망상의 관형 몸체,
    상기 관형 몸체의 일단을 막는 제1 원판,
    상기 관형 몸체의 타단을 막는 제2 원판,
    상기 관형 몸체의 중심축을 따라 제1 원판의 내측에서 제2 원판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망상의 내부관,
    제1 원판의 외측에 중심축을 따라 결합된 회전축,
    제2 원판의 외측에 중심축을 따라 결합되고, 제2 원판을 통해 내부관으로 연통되고, 열풍이 공급되는 관형 축을 포함하는 회전 몸체부;
    상기 회전 몸체부의 회전축과 관형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회전 몸체부를 둘러싸는 커버,
    상기 커버에 형성된 열풍이 배출되는 배출구,
    농산물 투입구와 배출구,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외장 케이스;
    외장 케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결합하여 상기 외장 케이스가 시소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외장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고, 관형축에 연결되어 회전 몸체부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를 포함하는 농산물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건조 장치는 관형 축에 연결되어 회전 몸체부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회전축과 관형축이 고정되는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회전 몸체부의 외부에서 대향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며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망상의 관형 몸체에서 배출된 농산물들이 아래로 모일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일로형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투입구는 커버의 상부에 형성되며, 회전 몸체부가 회전하여 망상의 관형 몸체에 형성된 개폐문이 상기 농산물 투입구에 대향하여 정렬된 상태에서, 농산물 투입구와 개폐문을 열고 농산물을 투입하며,
    상기 농산물 배출구는 원판과 대향하는 커버의 하측부에 형성되며, 회전 몸체부가 회전하여 망상의 관형 몸체에 형성된 개폐문이 아래쪽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개폐문이 열리고, 농산물 배출구로 배출되며, 농산물의 배출시 외장 케이스가 시송 회동하여 농산물 배출구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 장치.
KR1020170163504A 2017-11-30 2017-11-30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 장치 KR102050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504A KR102050231B1 (ko) 2017-11-30 2017-11-30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504A KR102050231B1 (ko) 2017-11-30 2017-11-30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54A KR20190064154A (ko) 2019-06-10
KR102050231B1 true KR102050231B1 (ko) 2019-11-29

Family

ID=6684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504A KR102050231B1 (ko) 2017-11-30 2017-11-30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2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05B1 (ko) 2014-12-30 2016-12-21 에코융합섬유연구원 닥나무 박피장치
KR101758010B1 (ko) * 2016-02-12 2017-07-14 최자영 드럼형 고추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124A (ko) * 2008-03-25 2009-09-30 (주)신영에너지 회전식 농수산물 건조기
KR20090114575A (ko) * 2008-04-30 2009-11-04 김명기 농산물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805B1 (ko) 2014-12-30 2016-12-21 에코융합섬유연구원 닥나무 박피장치
KR101758010B1 (ko) * 2016-02-12 2017-07-14 최자영 드럼형 고추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54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77650A (en) Portable and collapsible clothes drier receptacle
US20040237603A1 (en) Spray type drum washing machine
KR102011817B1 (ko) 의류처리장치
US6732553B2 (en) Equipment washer
CN111207579A (zh) 一种农产品脱水烘干处理装置
KR102050231B1 (ko) 열풍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 장치
CN104351929B (zh) 用于蔬果烘干的翻转式干燥机
KR20140100649A (ko) 농산물 건조장치
CN109631558A (zh) 一种农业实验用谷物干燥机
CN2473575Y (zh) 全自动硬盘式干燥箱
CN107363013A (zh) 一种中药材天麻自动清洗分级设备
CN207493985U (zh) 一种积木喷漆工序中用烘干装置
CN208671515U (zh) 一种烘干机
KR20090102124A (ko) 회전식 농수산물 건조기
CN206090122U (zh) 干衣机
CN208653138U (zh) 食品干燥装置
CN208139708U (zh) 一种蒸笼式烘干机
CN210718468U (zh) 一种农产品热风干燥装置
KR20080021309A (ko) 농산물 건조기
KR102657598B1 (ko) 농수산물 건조용 건조기
CN220338968U (zh) 一种再生塑料颗粒用烘干装置
CN211983707U (zh) 一种农业用的蔬菜脱水装置
US2707337A (en) Clothes dryer
CN207604462U (zh) 半自动茶叶解块机
CN107694871A (zh) 一种积木喷漆工序中用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