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325B1 - 치실 홀더 - Google Patents

치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325B1
KR102549325B1 KR1020200175377A KR20200175377A KR102549325B1 KR 102549325 B1 KR102549325 B1 KR 102549325B1 KR 1020200175377 A KR1020200175377 A KR 1020200175377A KR 20200175377 A KR20200175377 A KR 20200175377A KR 102549325 B1 KR102549325 B1 KR 10254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dental floss
fixing
movement path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370A (ko
Inventor
서유신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서유신
이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유신, 이준우 filed Critical 서유신
Priority to KR102020017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3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5Threading or knot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실 교체 사용에 따른 친환경적이고, 치실 장력 조절을 통해 치실 사용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치실이 고정된 헤드부를 기울게 설계하여 구강의 곡률에 효과적으로 대응될 수 있도록 한 치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테두리면을 따라 치실이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마주한 한 쌍의 호(arc)부재로 이루어진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네크부; 상기 네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몸체; 상기 네크부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를 통해 거치된 치실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네크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구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호부재는 상기 네크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기울게 형성되며, 상기 호부재의 양단부에는 각각, 치실이 걸려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텐션을 갖고 벌어지면서 고정홈을 개폐시키는 개폐편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홈은 일측을 향해 개구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편은 개구된 고정홈의 양단부에서부터 각각 고정홈의 곡률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서로 중첩되면서 고정홈의 개구된 부위를 차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실 홀더{A dental floss holder}
본 발명은 치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실 교체 사용을 통해 친환경적이면서 구강 곡률에 효과적으로 대응될 수 있도록 하고, 치실 장력 조절을 통해 치실 사용 환경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치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치실은 치아의 세정과 함께 치아 사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청결용 기구로써, 치과병원에서 환자의 치아치료시 사용되거나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식사 후에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각종 치아관련 질환을 예방하여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치질을 통해 애초 치아로부터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면 되지만 양치질만으로는 찌꺼지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치실이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실은 치실권취기(미도시)를 통해 권취되어 제공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용 치실홀더를 통해 제공된다. 치실권취기를 통해 제공된 치실은 치실을 풀어내야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이 야기될 뿐만아니라 사용자가 치실을 파지해야하는 점에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1회용 치실홀더(10)를 통해 제공된 치실(12)은 1회용 치실홀더(10)의 선단부 양측에 고정된 타입으로 제공됨으로써, 치실(12)의 장력이 팽팽하지 못하거나 치실홀더(10) 선단부 양측에 고정된 치실(12)을 한번 사용한 후 다시 사용하기엔 위생적이지 못해 전체 1회용치실홀더(10)와 고정된 치실(12)을 버리고 다시 새로운 1회용 치실홀더를 사용해야 하는 바, 종래의 1회용 치실홀더(10)는 과도한 남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의 1회용 치실홀더(10)는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남용될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1회용 치실홀더(10)는 치실(12)이 거치된 헤드부(11)가 굽힙없이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곡률진 구강구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워 치실 사용이 불편하고, 이물질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물론, 종래에도 1회용 치실홀더(10)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치실 교체가 가능한 방식의 치실홀더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치실홀더는 사용자가 치실홀더의 선단부 양측에 치실을 감은 후, 치실홀더의 중앙에 치실의 단부를 고정해야함으로써, 이러한 일련의 치실 고정 작업은 치실홀더 사용을 불편하게할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치실 고정 숙련도 및 컨디션에 따라 치실 장력이 팽팽하게 제공되기 어려우며, 치실 고정시에 사용자의 손과 치실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해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39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실 교체 사용을 통한 친환경적이면서, 치실이 거치된 헤드부를 구강 곡률에 대응되게 기울게 형성하고, 치실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치실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치실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테두리면을 따라 치실이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마주한 한 쌍의 호(arc)부재로 이루어진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네크부; 상기 네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몸체; 상기 네크부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를 통해 거치된 치실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네크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구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호부재는 상기 네크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기울게 형성되며, 상기 호부재의 양단부에는 각각, 치실이 걸려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텐션을 갖고 벌어지면서 고정홈을 개폐시키는 개폐편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홈은 일측을 향해 개구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편은 개구된 고정홈의 양단부에서부터 각각 고정홈의 곡률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서로 중첩되면서 고정홈의 개구된 부위를 차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는 제1몸체와 제2몸체로 분할 구성되며, 제1몸체에는 예비치실이 보관될 수 있는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제2몸체에는 사용중인 치실을 보관할 수 있는 사용공간이 형성되며, 제2몸체에는 사용중인 치실의 단부가 제2몸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노출공과 치실 절단을 위한 커터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경로의 양측에 형성된 치차(齒車); 및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치차에 텐션을 갖고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치실 홀더는 치실 교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치실 홀더는 치실이 거치된 헤드부가 구강 구조에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기울게 설계됨으로써, 입속으로 헤드부의 과도한 삽입이 억제되는 등 치실 사용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치실 홀더는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치실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치실 장력을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치실 홀더는 예비 치실을 따로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치실 교체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실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실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실 홀더에 치실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실 홀더의 헤드부 요부를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실 홀더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실 홀더의 몸체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실 홀더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치실 홀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와, 네크부(200)와, 몸체(300)와, 고정부재(400)와, 구속수단(500)을 포함한다.
헤드부(100)는 치실이 거치되는 구성이며, 치실 홀더의 상부를 구성한다. 헤드부(100)는 서로 마주한 한 쌍의 호(arc)부재(110)로 제공되며, 호부재(110)의 테두리면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요홈 형태의 가이드홈(111)이 형성된다. 즉, 헤드부(100)는 치실이 가이드홈(111)을 따라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된 호부재(110) 사이의 간격에서 직선 형태로 장력을 유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각 호부재(110)의 단부에는 치실이 고정되는 고정홈(112)이 형성되며, 고정홈(112)은 치실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을 향해 개구된다. 이때, 고정홈(112)은 고정홈(112)에 위치된 치실이 고정홈(11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편(113)을 형성한다. 개폐편(113)은 치실이 치아 사이를 드나드는 과정에서 고정홈(11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텐션을 갖고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개폐편(113)은 고정홈(112)의 곡률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고정홈(112)의 양측에 형성됨에 따라, 서로 중첩됨으로써 치실은 고정홈(11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고정홈(112)으로부터 치실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개폐편(113)을 벌려 고정홈(112)의 개구된 부위를 충분히 개방시킨 후 치실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헤드부(100)는 네크부(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기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헤드부(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호부재(110) 사이의 간격 중앙이 네크부(200)의 중앙과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호부재(110)가 일측으로 틀어지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헤드부(100)가 일측으로 기울게 형성됨이 따라 치실 홀더는 구강 구조의 곡률에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으며, 입속으로 헤드부의 과도한 삽입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잇몸이 상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치실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호부재(110)의 중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걸림돌기(120)는 치실이 헤드부(100)를 거쳐 후술하는 고정부재(40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걸림돌기(120)는 치실의 중간 부위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치실 이탈을 방지하고, 치실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걸림돌기(120)는 연결부(121)를 통해 호부재(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연결부(121)에는 제1커터(121a)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제1커터(121a)는 헤드부(100)에 남아 있는 사용이 완료된 치실을 커팅하여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치실은 사용되고난 후 호부재(110)의 고정홈(112)으로부터 분리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제1커터(121a)를 통해 치실을 전적으로 잘라내기 위함이다.
네크부(200)는 헤드부(10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헤드부(100)와 몸체(300) 사이에 형성된다. 헤드부(100)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400)가 설치되는 구성이며, 고정부재(400)의 이동을 위한 이동경로(210)를 형성한다. 이동경로(210)는 네크부(200)의 중앙에 네크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중공(中空)의 형태로 형성한다.
몸체(300)는 사용자의 치실 홀더 파지를 위해 제공되며, 치실 홀더의 하부를 구성한다, 몸체(300)는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몸체(3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구성되며, 상호간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몸체(300)는 예비 치실이 보관될 수 있도록 보관공간(311)을 형성하는 제1몸체(310)와, 사용중인 치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사용공간(321)이 형성된 제2몸체(320)와, 제1몸체(310) 및 제2몸체(320) 사이에서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보관공간(311) 및 사용공간(321)을 구획하는 커넥터(330)를 포함한다. 제2몸체(320)에는 사용공간(321)과 외부를 통하게 하는 치실공(322)이 형성된다. 치실공(322)은 권취된 치실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치실 교체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치실공(3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치실의 단부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거나, 맨 처음 치실의 시작점을 인지하게 할 수 있도록 경질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몸체(320)에는 치실공(322)의 상부에 제2커터(323)가 설치된다. 제2커터(323)는 사용공간(321)의 치실을 사용 길이만큼 커팅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치실은 몸체(300)에 보관되어 사용되으로써, 치실 자체만 권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통상의 치실은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물의 권취몸체를 통해 권취되어 제공되지만, 본 발명은 치실 홀더에 보관되어 사용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물의 권취몸체가 소요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특징이 있다.
고정부재(400)는 일측이 헤드부(100)에 거치된 치실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즉, 치실의 일측은 헤드부(100)의 고정홈(112) 및 가이드홈(111)을 따라 걸려 고정되고, 걸림돌기(120)를 통해 지지된 후, 고정부재(400)에서 치실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치실 홀더에 치실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정부재(400)는 외향 돌출된 고정돌기(41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400)는 네크부(200)의 이동경로(21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고정부재(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홈(420)을 형성하며, 이격홈(420)은 네크부(20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고정부재(400)는 이동경로(210)측에서 네크부(200)의 두께가 이격홈(420)에 위치되도록 하여, 네크부(20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400)가 네크부(200)에서 이동될 수 있으므로, 고정부재(400)는 고정돌기(410)에 걸린 치실을 당길 수 있으므로 치실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속수단(500)은 네크부(200)의 이동경로(210)에서 고정부재(400)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속수단(500)은 이동경로(210)를 형성하는 네크부(200)의 내측에 형성된 치차(齒車)(510)와, 고정부재(400)의 이격홈(420)에 설치된 탄성부재(5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치차(510)는 네크부(200)의 이동경로(210)를 따라 형성된다. 탄성부재(5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홈(4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치차(510)의 요(凹)부에 대응되는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520)는 판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구속수단(500)으로 인해 판스프링(520)은 치차(510)에 걸려 고정부재(400)를 이동경로(210)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임의로 고정부재(400)를 이동시킬 경우, 판스프링(520)은 치차(510)를 따라 신축되면서 고정부재(40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고정부재(400)의 이동이 정지되면 치차(510)에 걸려 고정부재(400)가 자연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구속시키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앗지만, 치차(510)가 형성된 부위의 네크부(200)는 치차(510)가 차폐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치차(510)가 형성된 네크부(2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차폐커버(미도시)를 설치하여 치차(510)가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치실 홀더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차폐커버의 설치는 고정부재(400) 이동시 간섭되지 않게 설계되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치실 홀더 사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치실공(322)을 통해 노출된 치실을 잡아 당기면, 사용공간(321)에서 권취되어 있는 치실은 풀리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제2커터(323)를 이용해 치실을 잘라낸 후, 단부를 묶어 치실을 환형으로 만든다. 이후, 사용자는 치실의 일측을 개폐편(113)을 통해 고정홈(112)에 삽입시키고, 호부재(110)의 가이드홈(111)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치실의 중간이 서로 교차되도록 하여 걸림돌기(120)를 기준으로 걸림돌기(120)의 양측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치실의 타측을 고정부재(400)의 고정돌기(410)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치실 홀더에 치실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는 치실 사용에 맞게 치실의 장력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고정부재(400)를 당기거나 밀면서 치실을 팽팽하게 하거나 느슨하게 하면서 장력을 조절한다. 이때, 고정부재(400)의 이동은 판스프링(520)의 신축 작용을 통해 이루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치실 홀더에 치실 고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입속에 치실을 넣어 치실을 사용한다. 이때, 헤드부(100)는 네크부(200)를 기준으로 일측에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구강의 곡률구조에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으며, 입안 구석까지 닿을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치실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실 홀더는 치실 교체 사용에 따른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헤드부의 기울어진 설계를 통해 효과적인 치실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치실 홀더는 고정부재에 의한 치실 장력 조절을 통해 치실 장력을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헤드부 110 : 호부재
111 : 가이드홈 112 : 고정홈
113 : 개폐편 120 : 걸림돌기
121 : 연결부 121a : 제1커터
200 : 네크부 210 : 이동경로
300 : 몸체 310 : 제1몸체
311 : 보관공간 320 : 제2몸체
321 : 사용공간 330 : 커넥터
400 : 고정부재 410 : 고정돌기
420 : 이격홈 500 : 구속수단
510 : 치차 520 : 탄성부재(판스프링)

Claims (4)

  1. 테두리면을 따라 치실이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마주한 한 쌍의 호(arc)부재로 이루어진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네크부;
    상기 네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몸체;
    상기 네크부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를 통해 거치된 치실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네크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구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호부재는 상기 네크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기울게 형성되며,
    상기 호부재의 양단부에는 각각, 치실이 걸려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은 텐션을 갖고 벌어지면서 고정홈을 개폐시키는 개폐편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홈은 일측을 향해 개구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편은 개구된 고정홈의 양단부에서부터 각각 고정홈의 곡률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서로 중첩되면서 고정홈의 개구된 부위를 차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몸체와 제2몸체로 분할 구성되며, 제1몸체에는 예비치실이 보관될 수 있는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제2몸체에는 사용중인 치실을 보관할 수 있는 사용공간이 형성되며, 제2몸체에는 사용중인 치실의 단부가 제2몸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노출공과 치실 절단을 위한 커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경로의 양측에 형성된 치차(齒車); 및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치차에 텐션을 갖고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홀더.







KR1020200175377A 2020-12-15 2020-12-15 치실 홀더 KR10254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77A KR102549325B1 (ko) 2020-12-15 2020-12-15 치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77A KR102549325B1 (ko) 2020-12-15 2020-12-15 치실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70A KR20220085370A (ko) 2022-06-22
KR102549325B1 true KR102549325B1 (ko) 2023-06-29

Family

ID=8221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377A KR102549325B1 (ko) 2020-12-15 2020-12-15 치실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3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22Y1 (ko) 2005-09-26 2005-12-14 김종대 치실 겸용 이쑤시게
KR101331147B1 (ko) * 2011-12-16 2013-11-20 주식회사 치아랑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KR101970535B1 (ko) * 2016-12-14 2019-04-22 오봉균 치실부재 및 치실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70A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172B2 (en) Toothbrush having flossing dispenser on handle
US3882879A (en) Dental flossing instruments
KR102549325B1 (ko) 치실 홀더
US11766318B2 (en) Dental flosser
JP4262204B2 (ja) デンタルフロスケース
JP6144269B2 (ja) マトリックスバンドリテーナー
US5044039A (en) Protective cap for toothbrush
CN116490148A (zh) 牙线夹取器
KR200346030Y1 (ko) 치실케이스
KR200455552Y1 (ko) 치실 홀더
KR200493005Y1 (ko) 크리너 및 치실이 포함되는 다기능 칫솔
KR102075235B1 (ko) 치실 홀더
KR20220113625A (ko) 일회용 칫솔 면도기
JP6886745B1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JP7283969B2 (ja) 歯間清掃具
KR200474006Y1 (ko) 치실 케이스
KR102555118B1 (ko) 치실 감개부와 치실 고정부를 구비한 치실기구
JP2020092644A (ja) 釣り糸保持器及び釣り竿
RU75279U1 (ru) Зубная щетка (варианты)
JP2022087657A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ー
JP7372049B2 (ja) 歯間清掃具
KR200448495Y1 (ko) 안전 면도기
KR102205601B1 (ko) 환형 치실용 홀더
KR200195216Y1 (ko) 솜털 제거용 칼
KR20000016156U (ko) 치실 공급 및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