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185B1 - 레이더 흡수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이더 흡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185B1
KR102549185B1 KR1020220117212A KR20220117212A KR102549185B1 KR 102549185 B1 KR102549185 B1 KR 102549185B1 KR 1020220117212 A KR1020220117212 A KR 1020220117212A KR 20220117212 A KR20220117212 A KR 20220117212A KR 102549185 B1 KR102549185 B1 KR 102549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ar
absorbing composition
sample
radar absorbing
reflec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희
Original Assignee
임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윤희 filed Critical 임윤희
Priority to KR102022011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5/00Adhesives based on polysaccharides or on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01/00 or C09J10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레이더를 흡수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탄산염 광물; 탄산칼슘; 스트론튬; 황; 브롬; 구리; 철; 및 친환경성 접착제;로 구성되는 전자기파를 흡수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동 조성물을 알루미늄 판 위에 코팅하여 레이더를 조사할 경우 그 반사율이 거의 0에 수렴하는 바, 반대로 레이더 흡수율이 거의 100%에 가까워져 레이더 탐지가 불가능한 스텔스 전투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 흡수 조성물{Radar-absorbent materials}
본 개시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더를 흡수하는 물질(Radar-absorbent materials, RAM)에 전자기파가 닿을 경우 물질 안으로 투과하여 그 안에서만 계속 반사될 뿐,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즉, 전자기파는 이 물질에 붙잡혀 물질 내부에서 계속 반사되다가 결국 열 에너지 형태로 변환되어 버리게 된다.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군사용으로 적 레이더 전파가 되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널리 쓰이며, 민간용으로도 전파가 난반사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쓰인다.
다만, 이러한 목적 때문에 구체적인 성분이 무엇인 지, 그 제법은 무엇인 지, 각 조성물의 성분 및 그 함량 등을 쉽사리 찾을 수 없는 바, 본 개시에 따라 이와 같은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6397호(2014. 10. 02. 공개)
국제공개번호 WO/2009/065031(2009. 05. 22. 공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524840호(2007. 8. 30. 공개)
본 개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더를 흡수하여 반사되지 않도록 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탄산염 광물; 탄산칼슘; 스트론튬; 황; 브롬; 구리; 철로 구성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을 일 예로 한다.
레이더 흡수 조성물의 원소비는 칼슘(Ca)이 99% 이상으로 구성되며, 칼슘을 제외한 나머지 원소들의 원소비는 1% 미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칼슘(Ca) 99.313%, 스트론튬(Sr) 0.419%, 황(S) 0.111%, 브롬(Br) 0.064%, 구리(Cu) 0.061%, 철(Fe) 0.0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더 흡수 조성물은 친환경성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친환경성 접착제는, 해양 수서식물의 뿌리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을 일 예로 한다.
이러한 레이더 흡수 조성물은, 익형아강(Pteriomorphia)의 미알리나목(Myalinida), 콜로미아목(Colpomyida), 키르토돈타목(Cyrtodontida), 가리비목(Pectinida), 굴목(Ostreida), 돌조개목(Arcida), 외투조개목(Limida) 및 홍합목(Mytilida) 중 하나의 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개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을 일 예로 한다.
레이더 흡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조개의 껍데기를 건조한 뒤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양 수서식물은 다시마, 미역 또는 톳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을 일 예로 한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레이더를 흡수하여 반사되지 않도록 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익형아강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개는 태어나면서부터 성체가 될 때까지 물속에서 성장하여 물과 친화적인 성질이 있어서, 물과 접촉하여 녹거나 약해지지 않기 때문에 스텔스 잠수함, 스텔스 전함 등 다방면에서 레이더 피탐 방지능력의 향상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흡수 조성물이 알루미늄판에 도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본 개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개시의 내용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즉,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면 부호는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또는" 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본 개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혹은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개념들 중 하나 이상의 개념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특정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다른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에 대한 조합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 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 N(N은 자연수)" 이라는 용어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을 기능적 관점, 구조적 관점, 혹은 설명의 편의 등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호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서로 다른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은 제 1 구성요소 혹은 제 2 구성요소로 구별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들도 제 1 구성요소 혹은 제 2 구성요소로 구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듈(module)", 또는 "부(unit)" 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software) 혹은 그 일부, 하드웨어(hardware) 혹은 그 일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 등과 같은 자원을 처리하는 독립적인 기능 단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모듈" 또는 "부"는 단일 요소로 구성된 단위일 수도 있고, 복수의 요소들의 조합 혹은 집합으로 표현되는 단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의의 개념으로서 "모듈" 또는 "부"는 장치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그 집합, 소프트웨어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실행을 통해 구현되는 처리 과정(procedure), 또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명령어 집합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광의의 개념으로서 "모듈" 또는 "부"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그 자체, 또는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그 자체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개념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모듈" 또는 "부"의 개념은 본 개시의 내용을 기초로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연결" 이라는 용어는,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와,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용어의 설명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용어를 본 개시의 내용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 본 개시의 내용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개시에 따르면, 탄산염 광물; 탄산칼슘; 스트론튬; 황; 브롬; 구리; 철로 구성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을 일 예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산염 광물은 염산 등의 무기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면 녹는 광물을 말한다. 탄산 이온(CO3 2-)을 화학조성식의 기본단위로 가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방해석과 백운석, 아라고나이트 등이 있다. 이 중 방해석은 석회암과 대리암을 이루는 주요 구성광물로, 각종 열수광맥광상의 맥석으로 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탄산염 광물은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방해석(calcite)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후술할 익형아강의 적어도 하나의 조개의 껍데기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익형아강의 적어도 하나의 조개는 먹이 활동과 광합성에 의하고 배설물을 이용하여 생존에 필요한 집(즉, 껍데기)을 생성하는데, 익형아강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개의 껍데기로부터 추출된 방해석에 기반하여,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은 후술할 실험결과와 같이 레이더 흡수에 현저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탄산염 광물은 비교적 성질이 무르고 지각에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고, 탄산염 광물의 결정은 물리적 특성이 측정방향에 따라 다른 복굴절을 보이며, 비교적 선명한 색을 갖고 있으며 거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다. 능철석의 철, 능망가니즈석의 망가니즈, 스트론티아나이트의 스트론튬, 능아연석의 아연처럼 금속원소와 결합해 있는 경우 금속광물에 포함되기도 한다.
상기 탄산칼슘은, 칼슘 이온(Ca2+)과 탄산 이온(CO3 2-)으로 이루어진 이온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암석을 이루는 주성분으로 결정형으로 존재하게 되는데, 칼사이트(calcite)와 아라고나이트(aragonite)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진주와 조개껍질을 이루는 주성분이며, 달걀 껍데기 역시 대부분 탄산 칼슘으로 이루어져 있다. 탄산 칼슘은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고 산업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는데, 식물 생장을 위한 미네랄 공급 원료로 사용하며, 위산과다를 억제하는 제산제로도 이용된다.
본 개시에 따른 레이더 흡수 조성물은 칼슘(Ca) 원소가 주된 원소로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레이더 흡수 조성물의 원소비는 칼슘(Ca)이 99% 이상으로 구성되며 칼슘을 제외한 나머지 원소들의 원소비는 1% 미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론튬은, 알칼리 토금속에 속하는 무른 재질의 금속으로 옅은 노란색이 섞인 은백색을 띠며 반응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공기 중에 노출되면 검은색 산화물층을 쉽게 형성한다. 각 원소의 구체적인 비(ratio)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주기율표에서 같은 족에 속하는 칼슘이나 바륨과 물리적, 화학적으로 특성이 비슷한데, 물과 반응하여 스트론튬 수산화물과 수소 기체를 발생시킨다. 또한 스트론튬 금속은 공기 중에서 연소하여 스트론튬 산화물과 스트론튬 질화물을 만들기도 하지만, 섭씨 380도 이하에서는 질소와 반응하지 않고 오직 산화물만을 생성한다. 스트론튬 금속을 높은 산소 압력 아래에서 반응시키면 일산화 스트론튬(SrO)과 함께 이산화 스트론튬(SrO2)을 얻을 수 있다. 수산화물인 수산화 스트론튬(Sr(OH)2)은 강염기에 속하기는 하나, 수산화 바륨이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에 비해서는 다소 약한 염기이다. 또한 네 종류의 할로젠족 원소들과 쉽게 반응하여 다이할로젠화물을 만드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상기 황은, 주기율표 16족에 3주기에 속하는 칼코겐(chalcogen) 원소로 원소기호는 S, 원자량은 32, 녹는점은 섭씨 115.21도, 끓는점 섭씨444.6도이다. 상온에서 주로 노란색의 고체이며 연소할 때 푸른색 불꽃을 내면서 매우 강하고 지독한 냄새가 나는 이산화황(SO2)을 생성하며 많은 동소체와 동위원소가 존재한다.
상기 브롬은, 적살색 원소로 상온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한다. 밀도가 커벗 브롬 1리터의 무게는 물 3리터의 무게와 같은데, 원소 상태에서는 이원자분자(Br2)의 형태로 존재한다. 모든 할로겐(17족) 원소와 마찬가지로 브롬도 비금속이나, 높은 압력에서 반금속이 되어 전기와 열 전도도가 좋은 편이고 금속 광택을 갖게 된다.
상기 구리는, 주기율표 11족 4주기의 구리족 원소에 속하는 전이금속으로 원소기호는 Cu, 원자량 63.546g/mol, 녹는점 섭씨 1,084.62도, 끓는점 섭씨 2,562도, 밀도 8.94 g/cm3 이다. 붉은 색의 광택이 나는 금속으로 비교적 무르고 전성과 연성이 풍부해 가공하기 쉬우며, 은(銀) 다음으로 열과 전기의 전도율이 높아 실생활에 널리 쓰인다.
상기 철은 은회색 광택을 내는 전이 금속인 철은 지구의 핵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며 지각에서 산소, 규소, 알루미늄 다음으로 많이 존재한다. 핵융합의 최종 원소로서 철은 지각에 풍부하여, 인류 문명 역사에서 녹는점이 낮은 청동이 먼저 사용되었지만, 철 역시 고대 시대부터 쓰였다. 자연 상태에서 철은 주로 산화물 형태로 철광석에 존재하며, 원소 상태에서는 대기 중의 산소나 물과 반응하여 일반적으로 '녹(rust)'으로 알려진 적갈색의 수화된 산화물로 바뀐다. 철은 화합물에서 주로 +2와 +3의 산화 상태를 갖지만, 같은 8족의 루테늄과 오스뮴 원소처럼 -2부터 +6까지 다양한 상태로도 존재한다. 순수한 철은 알루미늄보다도 무르나, 제련 과정에서 탄소를 첨가하면 매우 단단하고 강한 강철이 된다. 철은 선박, 철도, 자동차를 비롯하여 건물, 도로, 다리와 같은 건축물과 대부분의 기계류나 도구를 만드는데 필요한 인류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금속이다. 또한, 철은 거의 모든 생명체에 필수적인 원소이며 호흡과 산화-환원 반응에 관여한다.
본 개시에 따른 레이더 흡수 조성물은, 익형아강(Pteriomorphia)의 미알리나목(Myalinida), 콜로미아목(Colpomyida), 키르토돈타목(Cyrtodontida), 가리비목(Pectinida), 굴목(Ostreida), 돌조개목(Arcida), 외투조개목(Limida) 및 홍합목(Mytilida) 중 하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개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고, 해당 조개는 바위에 붙어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조개의 껍데기를 건조한 뒤, 인력 또는 기계적인 힘에 의하여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본 개시에 따른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따른 레이더 흡수 조성물은 채 눈의 넓이가 0.2mm2 와 같거나 작은 채에 의해 걸러진 곱기 정도의 분말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채 눈은 가로 길이가 0.44mm 이하, 세로 길이가 0.44mm이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소한의 레이더 반사도 정반사가 아닌 난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끔 분말 형태에 기반하여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고운 입자를 가진 분말을 후술할 친환경성 접착제와 혼합하는 경우, 넓은 혼합 면적을 갖기 때문에 조성물의 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이 갖는 각 원소의 비(ratio)는 칼슘(Ca)의 경우 99.300 내지 99.400%, 스트론튬(Sr) 0.400 내지 0.500%, 황(S) 0.100 내지 0.200%, 브롬(Br) 0.060 내지 0.070%, 구리(Cu) 0.060 내지 0.070%, 철(Fe) 0.030 내지 0.040%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예로, 상기 조성물 중 각 물질들의 혼합물에 대하여 FT-IR 및 XRF 분석 결과, 각 원소의 비(ratio)는 칼슘(Ca) 99.313%, 스트론튬(Sr) 0.419%, 황(S) 0.111%, 브롬(Br) 0.064%, 구리(Cu) 0.061%, 철(Fe) 0.0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레이더 흡수 조성물은 친환경성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친환경성 접착제는, 특히 해양의 수서 식물의 뿌리 성분에서 추출된 것을 말하는데, 대체로 다시마, 미역, 톳 등의 뿌리 성분을 배양하여 접착제 성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흡수 조성물은 미알리나목, 콜로미아목, 키르토돈타목, 키르토돈타목, 가리비목, 굴목, 돌조개목, 외투조개목 및 홍합목 중 적어도 하나의 조개의 껍데기를 건조 및 분쇄한 것을 기반으로 한 분말과 수서 식물의 뿌리 성분에서 추출한 친환경성 접착제를 혼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레이더 흡수 조성물은 KF-21 보라매 전투기 기준으로 10개 이상 12개 이하의 길이 5cm 이상 8cm 이하를 갖는 성체의 상기 조개와 30리터 이상 55리터 이하의 상기 친환경성 접착제를 혼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소 비(ratio) 실험 내용을 설명한다.
[시료의 준비]
Figure 112022097524487-pat00001
[FT-IR 분석]
FT-IR 분광기(Thermo, Niclet5700)을 사용하여 분말 형태의 시료를 분석하였다. 라이브러리(Library) 매칭 결과 상기 시료는 탄산칼슘(CaCO3)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시료는 1400cm-1 이상 1500cm-1 이하의 파수(wavenumbers)에서 0.13 이상 0.14 이하의 값을 갖는 피크치의 흡수율(absorbance)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22097524487-pat00002
Figure 112022097524487-pat00003
[XRF 분석]
XRF(EDX-720) 제품으로 상기 분말 제형의 시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6가지 원소가 발견되었으며, 정량적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표]
Figure 112022097524487-pat00004
[레이더 투과율 및 반사율, 흡수율 실험]
상기 6개의 원소로 구성된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친환경 접착제와 혼합하여 알루미늄 판에 코팅처리한 뒤, 코팅처리된 알루미늄 판에 레이더로부터 전자파를 조사하여 반사율 및 투과율, 흡수율 등을 실험한다.
이 때, 반사율(A) + 투과율(B) + 흡수율(C) =1 로 할 수 있으며, 이 때 시료의 반사율(A)이 거의 0에 가깝게 수렴하고, 투과율(B)은 0으로 수렴하며, 흡수율(C)이 1에 근사한 것(즉, 흡수율 100%)을 확인하였다. 이는 입사하는 에너지(X1)=반사 에너지(A1) + 투과 에너지(B1) + 흡수 에너지(C1)으로 다시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흡수 조성물이 알루미늄판에 도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흡수 조성물이 전투기 표면과 같은 알루미늄판에 미세한 입자들이 불규칙적으로 도포되어 입사파 에너지의 최소 92% 이상이 흡수되며 나머지 상당수의 에너지(예컨대, 입사파 에너지의 최대 8% 이하)는 난반사파로 소비되며, 투과파와 정반사파는 0에 가까운 에너지 분포를 보였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익형아강 (Pteriomorphia)의 미알리나목 (Myalinada) 콜로미아목 (Colpomyida) 키르토돈타목 (Cyrtodontida) 가리비목 (Pectinida) 굴목 (Ostreida) 돌조개목 (Arcida) 외투조개목 (Limida) 및 홍합목 (Mytilida) 중 하나의 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조개를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된 시료를 만들고 이 시료를 무기물 원소분석기 XRF 장비를 사용하여 시료의 분석을 통해 6개의 원소와 그 구성비율은
    Ca 99.313%, Sr 0.419%, S 0.111%
    Br 0.064%, Cu 0.061%, Fe 0.032%
    로 결합되어 있고 친환경성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친환경성 접착제는 해양 수서식물의 뿌리 성분을 추출하여 배양한 것을 접착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해양 수서식물은 다시마 미역 톳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
  4. 제1항에 의하여
    레이더 흡수 조성물은 비행체를 기준으로 하는 성체 조개껍데기 10개 이상 12개 이하 길이 5cm 이상 8cm 이하로 만들어진 시료와 30리터 이상 55리터 이하의 친환경성 접착제를 혼합하여 획득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원소로 구성된 분말 형태의 시료와 친환경성 접착제를 혼합하여 알미늄판에 코팅처리하여 레이더로부터 전자파를 조사하면
    반사율(A) + 투과율(B) + 흡수욜(C) = 1 ····· [1식]
    이 되며
    i) 반사율 (A)는 알미늄판과 접착제(시료포함)가 도전성의 자성체이기 때문에 레이더파가 이면에 도달하면 전기에너지로 변환되고 이 전기에너지는 다시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소멸되어 버리고 만다.
    따라서
    반사율(A)는 0이 되고
    ii) 투과율(B)도
    알미늄판과 접착제(시료포함)가 자성체이므로
    i) 반사율(A)에서와 같이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소멸되므로
    투과율(B) 또한 0이 된다.
    따라서 제 5항의 [1식]은
    반사율(A) = 0
    투과율(B) = 0 이므로
    흡수율(C) = 1
    이 된다.
    즉 흡수율이 100%이기 때문에
    레이더파를 100% 흡수하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Ca, Sr, S, Br, Cu, Fe의 6개 원소와 친환경성 접착제로 구성되는 레이더파를 100% 흡수하는 레이더 탐지가 불가능한 비행체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
  7. 제1항에서 시료를 구성하는 익형아강의 하나의 목에 포함되는 조개는 바닷물 속에서 태어나서 성체가 될 때까지 바닷물 속에서 성장하여 바닷물과 친화적 성질이 있으므로 바닷물과 접촉하여 녹거나 약해지지 않기 때문에 스텔스 잠수함 등 다방면의 레이더 피탐 능력의 향상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레이더 흡수 조성물
KR1020220117212A 2022-09-16 2022-09-16 레이더 흡수 조성물 KR102549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212A KR102549185B1 (ko) 2022-09-16 2022-09-16 레이더 흡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212A KR102549185B1 (ko) 2022-09-16 2022-09-16 레이더 흡수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185B1 true KR102549185B1 (ko) 2023-06-28

Family

ID=8699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212A KR102549185B1 (ko) 2022-09-16 2022-09-16 레이더 흡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18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064A (ko) * 2005-07-29 2008-04-03 가부시키가이샤 붓산 나노테크 겐큐쇼 전자파 흡수체
KR20090038996A (ko) * 2007-10-17 2009-04-2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오징어 뼈와 굴 패각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제 제조 및 그용도
KR20100048440A (ko) * 2008-10-31 2010-05-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파 차단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3531A (ko) * 2008-10-22 2011-06-29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금속막 제조용 조성물, 금속막의 제조 방법 및 금속 분말의 제조 방법
KR20120013345A (ko) * 2009-03-27 2012-02-14 키네티큐 리미티드 전자기장 흡수 조성물
KR20210149802A (ko) * 2019-05-14 2021-12-0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전파 흡수체
KR20220019022A (ko) * 2019-06-05 2022-02-15 바스프 에스이 전자기파 흡수 재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064A (ko) * 2005-07-29 2008-04-03 가부시키가이샤 붓산 나노테크 겐큐쇼 전자파 흡수체
KR20090038996A (ko) * 2007-10-17 2009-04-2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오징어 뼈와 굴 패각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제 제조 및 그용도
KR20110073531A (ko) * 2008-10-22 2011-06-29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금속막 제조용 조성물, 금속막의 제조 방법 및 금속 분말의 제조 방법
KR20100048440A (ko) * 2008-10-31 2010-05-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파 차단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3345A (ko) * 2009-03-27 2012-02-14 키네티큐 리미티드 전자기장 흡수 조성물
KR20210149802A (ko) * 2019-05-14 2021-12-0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전파 흡수체
KR20220019022A (ko) * 2019-06-05 2022-02-15 바스프 에스이 전자기파 흡수 재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71405B (zh) 一种基于碳酸氧铋或氧化铋纳米管的材料及其制备方法
da Costa Cunha et al. Recycling of chromium wastes from the tanning industry to produce ceramic nanopigments
CN104893248B (zh) 一种无机杂化消烟阻燃剂的制备方法及应用
CN102181206A (zh) 一种含有纳米氧化物的防污涂料
Mikkelsen et al. Calcium carbonate crystallization in the α-chitin matrix of the shell of pink shrimp, Pandalus borealis, during frozen storage
KR102549185B1 (ko) 레이더 흡수 조성물
CN102391690A (zh) 高白度电气石负离子粉及包覆工艺
Huh et al. Use of calcined oyster shell powders as CO 2 adsorbents in algae-containing water
CN114715906B (zh) 类过氧化物酶活性高的蒙脱石纳米酶及其制备方法
CN107446158B (zh) 基于方解石和霰石的增强型复相晶体制备方法
Novikov et al. Nature of co-bearing ferromanganese crusts of the Magellan Seamounts (Pacific Ocean): Communication 1. Geology, mineralogy, and geochemistry
Ramakrishna et al. Oyster Shell waste is alternative sources for Calcium carbonate (CaCO₃) instead of Natural limestone
KR20240020048A (ko) 레이더 파장 광선을 흡수하는 물질 및 물질의 제조 방법
KR100218989B1 (ko) 고애스펙트비를 갖는 금속수산화물 또는 금속산화물 고용체 및 그것들의 제조방법
Yao et al. Luminescent properties of Bi3+-activated Ca2Sb2O7 nano-phosphor prepared by co-precipitation method
Photos-Jones et al. Kean Miltos: The Well-Known Iron Oxides of Antiquity1
CN110776266A (zh) 一种具有电磁波吸收功能的建筑材料制备方法
CN110104666B (zh) 基于水热碳化反应制备无水碳酸镁的方法
Palomar Characterization of the alteration processes of historical glasses on the seabed
CA1088040A (en) Alumina
CN110156129A (zh) 一种快速改变水pH的方法
CN103819936B (zh) 双重核壳结构复合型无机阻燃粉体材料的制备方法
CN107163625B (zh) 一种铁氧化物包覆的彩色水性铝粉颜料的制备方法
Novikov et al. Transformations of ore minerals in genetically different oceanic ferromanganese rocks
Atay Multi-functional materials for military aircrafts; radar absorbing and flame retardant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