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575B1 - 낚시 용품 수납 박스 - Google Patents

낚시 용품 수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575B1
KR102548575B1 KR1020200044543A KR20200044543A KR102548575B1 KR 102548575 B1 KR102548575 B1 KR 102548575B1 KR 1020200044543 A KR1020200044543 A KR 1020200044543A KR 20200044543 A KR20200044543 A KR 20200044543A KR 102548575 B1 KR102548575 B1 KR 102548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ttom plate
case
drain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555A (ko
Inventor
이한섭
Original Assignee
(주)피기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기베이스 filed Critical (주)피기베이스
Publication of KR2020012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낚시 용품 수납 박스는 주로 에기와 같은 인공 미끼를 수직으로 직립시켜 개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판(11)과 측판(12)으로 형성된 내부 수용 공간을 구비한 본체부(10)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형성된 격벽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에는 배수 구멍(11a)이 복수 개 형성되고,상기 격벽부(2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가로벽(21)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세로벽(22)이 교차부(23)에서 서로 격자 형상으로 교차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20)의 상기 교차부(23) 저면에는 상기 바닥판(11)에 형성된 상기 배수 구멍(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 구멍(11a)과 상기 개구부(24)가 연통하여 배수부(40)를 형성하고, 상기 격벽부(20)의 이웃하는 한 쌍의 가로벽(21)과, 이웃하는 한 쌍의 세로벽(22)이 교차하여 형성된 수납부(30)에는 적어도 1개의 배수부(40)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시 용품 수납 박스{Storage box for Fishing Supplies}
본 발명은 낚시 용품을 직립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수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에깅(Eging)은 나무를 이용한 미끼인 에기(餌木, Egi)를 이용한 두족류 대상의 루어 낚시의 일종이다. 에기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도 9에서 보듯이, 새우를 닮은 모양이며,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다. 새우 형상의 꼬리 부분에는 오징어의 촉수를 걸기 위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바늘단(칸나)이 다단 형성되어 있다.
에기는 일반적으로, 뚜껑이 있는 케이스에 눕혀서 수납하고 있으며, 이때, 에기의 바늘단끼리 서로 엉켜 바늘이 훼손되거나, 에기 몸체에 상처가 나기 쉽고, 엉킨 바늘을 푸는 게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인 에기 몸체와는 달리, 바늘단은 해수 환경에서 부식되기 쉬운 강재로서 철을 포함하므로, 사용 후 세척 및 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내구성이 감소한다.
또한, 에기와 이를 수납하는 태클 박스는 일반적으로, 사용 후 별도로 세척 및 건조 시키므로, 세척과 건조가 번거롭다.
또한, 종래의 태클 박스에서는 에기를 임시로 거치하기 어렵고, 사용 시마다 태클 박스의 케이스 내에서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태글 박스에 수납되는 에기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 길이가 긴 에기의 수납을 위해 태클 박스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과제는 에기의 바늘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에기를 수납 및 임시 거치할 수 있는 수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과제는 에기와 수납 박스를 동시에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수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과제는 배수가 용이한 수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과제는 태클 박스를 여닫지 않아도 에기를 임시로 거치할 수 있는 수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과제는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수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바닥판(11)과 측판(12)으로 형성된 내부 수용 공간을 구비한 본체부(10)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형성된 격벽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에는 배수 구멍(11a)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2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가로벽(21)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세로벽(22)이 교차부(23)에서 서로 격자 형상으로 교차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20)의 이웃하는 한 쌍의 가로벽(21)과, 이웃하는 한 쌍의 세로벽(22)이 교차하여 형성된 수납부(30)는 적어도 1개의 배수 구멍(11a)에 연통되어 있는 낚시 용품 수납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바닥판(11)과 측판(12)으로 형성된 내부 수용 공간을 구비한 본체부(10)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형성된 격벽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에는 배수 구멍(11a)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2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가로벽(21)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세로벽(22)이 교차부(23)에서 서로 격자 형상으로 교차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20)의 상기 교차부(23) 저면에는 상기 바닥판(11)에 형성된 상기 배수 구멍(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 구멍(11a)과 상기 개구부(24)가 연통하여 배수부(40)를 형성하고, 상기 격벽부(20)의 이웃하는 한 쌍의 가로벽(21)과, 이웃하는 한 쌍의 세로벽(22)이 교차하여 형성된 수납부(30)에는 적어도 1개의 배수부(40)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 용품 수납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케이스에서는, 상기 개구부(24)는 상기 가로벽(21)과 세로벽(2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노치(21a, 22a)이고, 상기 노치(21a, 22a)는, 상기 교차부(23)의 저면의 상기 가로벽(21) 또는 상기 세로벽(22)이 상기 바닥판(11) 측을 향해 개구된 "┌┐"형상, "∩"형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케이스에서는, 상기 배수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의 코너부보다 중앙부에 많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케이스에서는, 상기 바닥판(11)은 코너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서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낚시 용품 수납용 케이스(1)를 개폐하는 뚜껑(2)으로서, 상기 뚜껑(2)에는, 상기 뚜껑(2)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납공(55)이 1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55)은, 적어도 상기 케이스(1)의 수납부(30)에 대응하는 1개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뚜껑에서는, 상기 수납공(55)은 상기 뚜껑(2)의 외측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뚜껑에서는, 상기 수납공(55)은 상기 뚜껑(2)의 두께 방향을 경사를 갖도록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낚시 용품 수납용 케이스(1)와, 뚜껑(2)을 포함하는 낚시 용품 수납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에기의 몸체나 바늘단이 다른 에기의 바늘단에 의해 손상되거나 서로 엉키지 않고, 안전하게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많은 수의 에기를 수용하여, 수납 박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에기가 수납된 상태로 수납 박스와 에기를 함께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수납 박스 내의 해수 또는 세척 후의 잔수 등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수납 박스를 여닫지 않고도 수납 박스에 에기를 임시로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수납 박스의 케이스와 뚜껑이 결합되는 상태는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케이스의 수납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케이스의 배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케이스의 격벽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케이스의 수납부와 배수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케이스의 배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케이스의 수납부에 에기가 수납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에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뚜껑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뚜껑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뚜껑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수납 박스(100)의 케이스(1)와 뚜껑(2)이 결합되는 상태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100)의 케이스(1)의 수납 구조, 배수 구조, 격벽부(20)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는 본체부(10)와, 격벽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는 격벽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바닥판(11)과 측판(12)을 포함하고 상단이 개구된 박스 형상이며, 뚜껑(캡, 2)에 착탈됨으로써, 내부의 수용 공간을 개폐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판(12)의 상단에 뚜껑(2)과의 결착구로서 결합 돌기(13)가 구비되어 있으나, 케이스(1)와 뚜껑(2)의 착탈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상단보다 하단이 좁거나 그 반대 형상일 수 있고, 모서리가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부(10) 상단 형상이 원형일 경우, 뚜껑(2)과 본체부(10)는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에는 복수의 배수 구멍(11a)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개구부(24)와 함께 배수부(40)를 형성하여, 본체부(10) 내부의 해수나 잔수를 배수부(40)를 통해 본체부(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 구멍(11a) 및 개구부(24)의 위치,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격벽부(20)는 상기 본체부(10) 내부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다. 상기 격벽부(20)는 상기 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에 조립, 부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격벽부(20)는 서로 나란히 이격하여 배치된 복수의 가로벽(21)과, 상기 가로벽(21)에 직교하도록 서로 나란히 이격하여 배치된 복수의 세로벽(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부(20)는 상기 가로벽(21)과 상기 세로벽(22)이 교차하는 교차부(23)를 기준으로 4개 수납부(30)가 인접하여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수납부(3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이외에, 마름모, 사다리꼴 등의 형상이 되도록 상기 가로벽(21)과 세로벽(22)의 사잇각이 직각 이외의 각도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수납되는 에기의 단면 형상, 단면 크기에 따라 적절한 형상의 수납부(3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20)의 상기 교차부(23) 저면에는, 상기 세로벽(22)과 상기 가로벽(21)의 하단 각각이 일부 절개된 형상의 노치(21a, 22a)가 형성되어 있고, 노치(21a, 22a)는 서로 연통하여 개구부(24)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24)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의 배수 구멍(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 구멍(11a)과 함께 배수부(4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개구부(24)는 가로벽(21)에 형성된 노치(21a), 세로벽에 형성된 노치(22a)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배수부(40)는 상기 케이스(1)의 저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 구멍(11a)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격벽부(20)의 하단 일부가 개구된 형상의 개구부(24)가 연통하여 형성된 배수 공간이다.
상기 배수 구멍(11a)은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이 개구된 형상으로, 바닥판(11)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수나 위치는 도 3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닥판(11)은 코너부에서 중앙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도 6 참고), 이 경우, 코너부에 비해 중앙부 쪽에 상기 배수 구멍(11a)이 더 밀집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중앙부를 통해 원활하게 배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수 구멍(11a)은 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배수 구멍(11a)의 크기, 형상 등을 서로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격벽부(20)는 복수의 가로벽(21)과 복수의 세로벽(22)이 서로 교차하여 평면상 격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격벽부(20)는 상기 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별도의 프레임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격벽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벽(21)과 상기 세로벽(22)이 교차하여 형성된 격자 공간을 수납부(30)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30)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가로벽(21)과, 이에 교차하고,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세로벽(22)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며, 상기 수납부(30)에 에기 등의 인공 미끼나 바늘을 구비한 낚시 용품 등이 개별적으로 직립하여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20)를 형성하는 가로벽(21)과 세로벽(22) 각각의 높이는 상기 본체부(10)의 높이를 넘지 않도록 하여, 뚜껑(2)과의 결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30)에 수납된 에기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수납 시 에기의 상단 일부가 수납부(3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가로벽(21)과 세로벽(22)의 높이는 상기 본체부(10)의 높이보다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벽(21)과 세로벽(22)의 높이는, 이웃하는 수납부(30)에 수납된 에기의 상단부끼리의 마찰이나 에기의 지나친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에기 높이의 2/3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벽(21)과 세로벽(22)의 높이는, 에기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수납된 에기의 상단이 격벽부(20) 위로 돌출할 수 있는 높이, 예를 들어 상기 본체부(10)의 높이의 1/2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20)의 저면은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에 접하도록 형성 또는 배치될 수 있으나,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의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 또는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격벽부(20)의 저면이 본체부(10)의 바닥판(1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 격벽부(20)에 의해 구획된 수납부(30) 사이에서의 해수 또는 잔수의 이동이 원활해지므로, 수납부(30) 내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20)의 상기 교차부(23)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면에는, 상기 가로벽(21)과 상기 세로벽(22)의 하단 각각이 절개된 형상의 노치(21a, 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21a, 22a)는 상기 본체부(10)의 배수 구멍(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2 내지 4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노치는 상기 교차부(23)의 저면에서, 상기 교차부(23)를 기준으로 교차되는 1개의 세로벽(22)과, 1개의 가로벽(21)의 하단을, 각각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가로벽(21)의 노치(21a)와 세로벽(22)의 노치(22a)는 서로 교차하며, 연통된 개구로서의 개구부(24)를 형성하고, 노치(21a, 22a)가 교차하는 중심은 상기 교차부(23)의 수직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치(21a, 22a)가 각각 "∩"형상이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단 즉, 본체부(10)의 바닥판(11) 측에 대향하는 측이 개구되는 개구부(24)를 이루어, 상기 본체부(10)의 배수 구멍(11a)과 상기 개구부(24)가 서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치(21a, 22a) 또는 이들이 연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24)는 상기 수납부(30)에 수납되는 에기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의 배출과, 에기 바늘단의 밑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약 6~10mm, 바람직하게는 8mm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납부(30)를 구성하는 가로벽(21)이나 세로벽(22)의 교차부(23) 이외의 부분에 노치(21a, 22a)를 형성하는 경우 즉, 수납부(30)를 형성하는 가로벽(21) 또는 세로벽(22)의 평면상 폭방향 중앙측에 노치(21a, 22a)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에기 바늘단의 밑걸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의 수납부(30)와 배수부(40)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1)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상의 상단을 갖는 본체부(10) 내에, 5개의 가로벽(21)과 8개의 세로벽(22)을 갖는 격벽부(20)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에 의해, 상기 본체부(10) 내에는 54개의 수납부(30)가 형성된다. 상기 가로벽(21)은 이웃하는 가로벽(21)과의 사이가 약 24mm 정도로, 에기의 최대 둘레 사이즈인 약 23mm가 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 크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체부(10)의 크기, 격벽부(20)의 크기, 수납부(30)의 개수, 에기의 최대 둘레 크기 등은 모두 가변적인 것이며, 수납부(30)의 최소 폭은 에기의 최대 둘레보다 1~5mm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교차부(23)를 중심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4개의 수납부(30)에서, 교차부(23)의 저면에, 노치(21a, 22b)와 배수 구멍(11a)으로 이루어진 배수부(40)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수납부(30) 내의 물을 1개의 배수부(40)를 통해 케이스(1)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수납 영역(31)은 에기의 최대 둘레에 따라 에기의 바늘단이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도 5와 같이, 교차부(23) 저면에 배수부(40)를 형성할 경우, 상기 바늘단이 노치(21a, 22a), 배수 구멍(11a)이 형성된 영역과 중복되지 않으므로, 개구된 부분을 통해 바늘단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치(21a, 22a), 배수 구멍(11a)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가로벽(21)을 각각 제 1 가로벽(211) 내지 제 5 가로벽(215)이라 하고, 도 5의 좌단으로부터 우단까지의 세로벽(22)을 각각 제 1 세로벽(221) 내지 제 8 세로벽(228)이라 한다. 또한, 상기 도면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의 수납부(30)를, 우측, 하측을 따라서 순서대로 제 1 수납부(301) 내지 제54 수납부(354)라 한다.
상기 개구부(24)는 예를 들어, 제 1 가로벽(211)과 제 1 세로벽(221)의 교차부(23)의 저면에 형성된 제 1 개구부(241)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241)는, 본체부(10)의 바닥판(11)에서 상기 제 1 개구부(24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배수 구멍(11a)과 연통하여 제 1 배수부(40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 1 배수부(401)는 상술한 바닥판(11)의 코너부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1 배수부(401)는 이를 기준으로 인접한 제 1 수납부(301), 제 2 수납부(302), 제 10 수납부(310), 제 11수납부(311) 각각의 저면과 연통되어 있어, 각 수납부(301, 302, 310, 311) 내의 해수나 잔수를 상기 제 1 배수부(401)를 통해 본체부(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 9 개구부(249)는 제 3 가로벽(213)과 제 4 세로벽(224)의 교차부(23)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9 개구부(249)는 본체부(10)의 바닥판(11)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9 개구부(249)는 제 22 수납부(322), 제 23 수납부(323), 제 31 수납부(331), 제 32 수납부(332)의 저면과 연통되어 있어, 각 수납부(322, 323, 331, 332) 내의 해수나 잔수가 상기 제 9 배수부(409)를 통해 본체부(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301), 제 2 수납부(302), 제 10 수납부(310), 제 11 수납부(311)는 모두 1개의 제 1 배수부(401)에만 연통되어 있으나, 1 개의 수납부(30)가 복수의 배수부(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배수부(401)와는 달리, 상기 제 9 배수부(409)는 제 3 가로벽(213)과 제 4 세로벽(224)의 교차부(23)의 저면에 형성되고, 이에 이웃하여 제 10 배수부(410)가 제 3 가로벽(213)과 제 5 세로벽(225)의 교차부(2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본체부(10)의 바닥판(11)의 중앙부에서는, 제 3 가로벽(213)과, 이웃하는 2개의 세로벽(224, 225)의 교차부(23)에 연속적으로 배수부(409, 41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배수부(40)가 본체부(10)의 바닥판(11)의 코너부에 비해 중앙부에서 더 밀집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3 수납부(323)의 경우, 제 9 배수부(409), 제 10 배수부(410)에 각각 연통되어, 2개의 배수부(409, 410) 양쪽을 통해 본체부(10) 외부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은 코너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약 2~5mm 정도의 높이차일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저면 구조 등을 고려하여, 약 3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에 의해, 본체부(10)의 바닥판(11)의 코너부의 해수나 잔수가, 중앙부의 배수부(40)가 밀집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부(20)의 저면은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수납부(30)에 수납된 에기 하단의 바늘단이, 이웃하는 수납부(30)에 수납되는 다른 에기의 바늘단과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부(10)의 바닥판(11) 중앙부가 코너부에 비해 하향 경사를 갖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수납부(30)의 저면을 개구부(24) 또는 노치(21a, 22a)가 형성된 코너를 향해서 하향 경사지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1)의 케이스(10)의 배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의 실시예의 케이스(10)는, 도 3의 실시예의 케이스(10)와 비교하여, 배수부(40)가 배구 구멍(11a) 만으로 형성된 차이가 있다. 즉, 도 7의 실시예의 케이스(10)는 격벽부(20)의 저면에 노치(21a, 22a)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다만, 상기 격벽부(20)가 상기 바닥판(11)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소정 간격은, 이웃하는 수납부(30)의 에기의 바늘단끼리가 서로 접촉하여 엉키지 않을 정도이다. 또한, 수납 박스(100)의 케이스(1)는 투명 재질로 도시되어 있으나,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의 수납부(30)에 에기가 수납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각각의 수납부(30)마다 에기를 직립형으로 수납할 수 있고, 에기 하단의 바늘단은 각각의 수납부(30) 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므로, 이웃하여 수납되는 에기의 바늘단과 서로 접촉하거나 엉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에기 바늘단끼리 엉키는 것이나, 노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에기 바늘단이 노치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많은 수의 에기를 수용하여, 케이스(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기가 각각의 수납부(30)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를 세척수 등에 담근 후 흔들어서 세척을 마치고, 이를 세척수로부터 건져내는 것만으로도 상기 본체부(10) 저면의 배수부(40)를 통해서 각각의 수납부(30)의 해수나 세척수 등의 잔수가 배출될 수 있으므로, 세척 및 배수, 건조가 용이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100)의 뚜껑(2)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수납 박스(100)의 하부 구조인 케이스(1)는 본체부(10)의 상단 가장자리에 결합 돌기(13)를 구비하여, 뚜껑(2)의 체결부(6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뚜껑(2)은 상기 케이스(1)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는 사이즈인 개략 평판 형상의 본체부(50)와, 본체부(5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체결부(6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50)는,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 대응되는 평판 형상의 상판(51)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51)이 다각형 형상인 경우, 상판(51)의 외주 가장자리 중 체결부(60)가 형성된 측의 변을 체결변(52)이라 한다. 상기 상판(51)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경우에는 체결부(60)가 형성된 영역을 체결 영역(52)이라 한다.
상기 체결부(60)는 상기 본체부(50)의 체결변(52)으로부터 절곡 가능하게 돌출 연장된 체결 손잡이(61)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손잡이(61)에는, 상기 뚜껑(2)을 상기 케이스(1)에 위치 맞춤하였을 때 상기 결합 돌기(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 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구멍(62)에 상기 케이스(1)의 결합 돌기(13)가 삽입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기 뚜껑(2)을 케이스(1)에 결착 또는 탈착할 수 있다. 상기 체결 손잡이(61)는 뚜껑(2)을 케이스(1)에 결착 또는 탈착할 때,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파지부로 기능한다.
상기 상판(51)에는 적어도 1개의 수납공(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공(55)은 상판(5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이며, 상기 뚜껑(2)과 상기 케이스(1)가 위치 맞춤했을 때, 상기 케이스(1)의 수납부(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의 높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에기를 수납하는 경우에도, 도 15와 같이, 상기 수납공(55)을 통해 에기가 뚜껑(2)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가 긴 에기를 수납하기 위해 케이스(1) 전체의 높이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상기 수납공(55)은 원형상뿐 아니라, 타원형,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55)의 최소폭을 적어도 에기의 최대 둘레보다 작게 함으로써, 케이스(1) 내부에 수납된 에기가 상기 수납공(55)을 통해 뚜껑(2)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7, 18의 사용예와 같이, 상기 수납공(55)을 통해 에기를 뚜껑(2) 외측으로부터 임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수납공(55)의 최소폭을 적어도 에기의 최대 둘레보다 작게 함으로써, 에기가 수납공(55)을 통해 케이스(1)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에기를 수납공(55) 외측에 거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수납공(55)이 케이스(1)의 수납부(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케이스(1)의 교차부(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납공(55)이 형성될 수도 있고, 뚜껑(2)의 가장자리측 뿐 아니라 중앙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51)의 중앙에는 뚜껑 손잡이(5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56)는 상기 상판(5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거나 세울 수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56)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상판(5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판(51)의 중앙부에 형성된 오목부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뚜껑 손잡이(56)를 접은 상태에서는 수납 박스(100)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특히, 수납공(55)이 뚜껑(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경우, 에기가 상기 수납공(55)을 통해 뚜껑(2) 상부로 돌출되더라도, 수납 박스(100)의 크기에 따라 다단 적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도 10의 실시예와 달리, 격벽부(20)의 높이가 낮아, 수납부(30)에 직립하여 수납된 에기의 노출 단부를 파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또한, 낮은 격벽부(20)를 구비함으로써, 에기를 수납공(55) 외측에 거치하여 상기 수납공(55)의 하부인 케이스(1) 내부 공간으로 에기의 일부가 돌출될 경우에도, 에기의 돌출 부분과 격벽부(20)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를 불투명 재질로 하여 외관의 심미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때, 뚜껑(2)은 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수납된 에기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뚜껑(2)이 케이스(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의 뚜껑(2)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케이스 일체형 뚜껑(2)은 도 10의 케이스 분리형 뚜껑(2)과, 체결부(60)의 수 및 위치에 차이가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케이스(1)와 연결되는 연결변(53)과 마주보는 측의 변이 체결변(52)이 된다. 기타 외주 가장자리에도 체결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 13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측변(54)에는 체결부(60)가 형성되지 않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뚜껑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의 뚜껑(2)에는, 연결변(53)을 제외한 외주 가장자리측 전체인 ㄷ 자형으로 복수의 수납공(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공(55)은 상기 본체부(50)의 두께 방향을 비스듬이 관통한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수납공(55)은 내주에 경사벽(55a)을 가질 수 있고, 도 14의 B-B' 단면도, C-C' 단면도를 참고하면, 수납공(55)에 수용되는 에기는 상기 경사벽(55a)에 의해 비스듬이 거치된다. 상기 수납공(55)의 경사 방향은 서로 이웃하여 거치되는 에기의 바늘단끼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수납공(55)들의 경사 방향은 모두 수납 용기(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웃하는 수납공(55)이 서로 다른 경사 방향을 갖도록 하여 거치되는 에기의 바늘단이 각각 수납 용기(100)의 외측, 내측을 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납공(55)의 크기를 달리하거나 경사 각도를 달리하여, 같은 크기의 에기라도 뚜껑(2) 외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이웃하는 에기의 바늘단끼리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의 실시예는, 도 11의 실시예와 격벽부(20)의 형상 또는 배치 위치가 다른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실시예의 수납 박스(100)의 케이스(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의 일부에만 격벽부(20)가 형성되어 있고, 격벽부(20)가 형성되지 않은 공간은 수납 공간(25)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18의 우측 수납 박스(100)의 예와 같이, 수용 공간의 중앙측에 수납 공간(25)을 형성함으로써, 에기 이외의 다른 낚시 용품을 함께 수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0 수납 박스 1 케이스 2 뚜껑
10 본체부 11 바닥판 11a 배수 구멍 12 측판 13 결합 돌기
20 격벽부 21a, 22a 노치 21 가로벽 22 세로벽
23 교차부 24 개구부 25 수납 공간
30 수납부 31 수납 영역 40 배수부
50 본체부 51 상판 52 체결변 53 연결변 54 측변
55 수납공 55a 경사벽 56 뚜껑 손잡이
60 체결부 61 체결 손잡이 62 체결 구멍

Claims (10)

  1. 삭제
  2. 바닥판(11)과 측판(12)으로 형성된 내부 수용 공간을 구비한 본체부(10)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형성된 격벽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에는 배수 구멍(11a)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2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가로벽(21)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 개의 세로벽(22)이 교차부(23)에서 서로 격자 형상으로 교차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20)의 상기 교차부(23)의 저면에는 상기 바닥판(11)에 형성된 상기 배수 구멍(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 구멍(11a)과 상기 개구부(24)가 연통하여, 상기 교차부(23)의 저면에 배수부(40)를 형성하고,
    상기 격벽부(20)의 이웃하는 한 쌍의 가로벽(21)과, 이웃하는 한 쌍의 세로벽(22)이 교차하여 형성된 수납부(30)에는 적어도 1개의 배수부(40)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 용품 수납용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4)는 상기 가로벽(21)과 세로벽(2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노치(21a, 22a)이고,
    상기 노치(21a, 22a)는, 상기 교차부(23)의 저면의 상기 가로벽(21) 또는 상기 세로벽(22)이 상기 바닥판(11) 측을 향해 개구된 "┌┐"형상, "∩"형상, "∧"형상 중 어느 하나인 낚시 용품 수납용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판(11)의 코너부보다 중앙부에 많이 배치된 낚시 용품 수납용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은 코너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서 하향 경사를 갖는 낚시 용품 수납용 케이스.
  6. 제 2 항의 낚시 용품 수납용 케이스(1)를 개폐하는 뚜껑(2)으로서,
    상기 뚜껑(2)에는, 상기 뚜껑(2)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납공(55)이 1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55)은, 적어도 상기 케이스(1)의 수납부(30)에 대응하는 1개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뚜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55)은 상기 뚜껑(2)의 외측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뚜껑.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55)은 상기 뚜껑(2)의 두께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관통하여 형성되는 뚜껑.
  9. 삭제
  10. 제 2 항의 낚시 용품 수납용 케이스(1)와,
    제 6 항의 뚜껑(2)을 포함하는 낚시 용품 수납 박스.
KR1020200044543A 2019-04-12 2020-04-13 낚시 용품 수납 박스 KR102548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923 2019-04-12
KR20190042923 2019-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555A KR20200120555A (ko) 2020-10-21
KR102548575B1 true KR102548575B1 (ko) 2023-06-29

Family

ID=7303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543A KR102548575B1 (ko) 2019-04-12 2020-04-13 낚시 용품 수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5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414A (ja) * 2000-07-21 2002-02-05 Daiwa Seiko Inc 釣具ケ−ス
JP2003070386A (ja) * 2001-09-03 2003-03-11 Tsubouchi Masako 竿内部の砂等異物を排除できる尻栓。
KR100984397B1 (ko) 2010-05-07 2010-09-29 김영훈 주방용품 수납기구
KR101439273B1 (ko) 2014-04-02 2014-11-0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배수 구조를 갖는 병 운반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9546A (en) * 1985-01-10 1986-05-20 Sunderland Francis S Fishing lure storage and transportation structure
FR2735102B1 (fr) * 1995-06-06 1997-08-08 Benarrouch Jacques Bec verseur, bras moteur d'un levier rivete de defoncement d'un opercule de couvercle de boite metallique contenant un liquide
KR100243746B1 (ko) * 1997-06-19 2000-02-01 한임연 낚시받침대겸 낚시용가방
KR100241686B1 (ko) * 1997-10-25 2000-02-01 이상수 식물재배 및 유통용 용기
WO2007083392A1 (ja) * 2006-01-20 2007-07-26 Aomori Hoei Industries, Ltd. タックル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414A (ja) * 2000-07-21 2002-02-05 Daiwa Seiko Inc 釣具ケ−ス
JP2003070386A (ja) * 2001-09-03 2003-03-11 Tsubouchi Masako 竿内部の砂等異物を排除できる尻栓。
KR100984397B1 (ko) 2010-05-07 2010-09-29 김영훈 주방용품 수납기구
KR101439273B1 (ko) 2014-04-02 2014-11-0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배수 구조를 갖는 병 운반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555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5793B1 (en) Lure organizing device
US4377987A (en) System for growing oysters
KR102548575B1 (ko) 낚시 용품 수납 박스
US5960950A (en) Fishing rod and reel assembly carrying case
KR101258800B1 (ko) 복합 패류 양식장용 가두리 케이스
KR200449587Y1 (ko) 낙지잡이용 통발
KR101930574B1 (ko) 뜰채
KR200439489Y1 (ko) 낚싯대 보관용 케이스
KR20070001093U (ko) 낙지잡이용 통발
KR200412978Y1 (ko) 낚시바늘 보관구
JP3240851U (ja) 釣用容器
JP5522483B2 (ja) エギ収納容器
KR200444120Y1 (ko) 낚싯줄 감개 및 이를 포함한 낚싯대 보관용 케이스
KR100188418B1 (ko) 낚시찌 보관 케이스
JP2003310126A (ja) 釣り用のルアーケース
KR20240033337A (ko) 낚시용 루어 보관함
KR200361579Y1 (ko) 낚시찌 통
KR0140844Y1 (ko) 게잡이용 통발
US11058101B1 (en) Fishing lure box kit
KR20040058153A (ko) 일회용 프라이팬 덮개
US20050189246A1 (en) Fishing tackle box
JPH09154464A (ja) オモリケース
KR200421518Y1 (ko) 낚시용 피싱 카고
JP3078510U (ja) 生き餌容器
JP4330817B2 (ja) 釣り針カ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