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480B1 -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480B1
KR102548480B1 KR1020220126841A KR20220126841A KR102548480B1 KR 102548480 B1 KR102548480 B1 KR 102548480B1 KR 1020220126841 A KR1020220126841 A KR 1020220126841A KR 20220126841 A KR20220126841 A KR 20220126841A KR 102548480 B1 KR102548480 B1 KR 102548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d
user
product
information
li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맞는 최적의 브랜드를 추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브랜드를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을 안내하여 브랜드가 적용된 최적의 제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이선스을 소유자인 권리자가 소지하는 권리자 단말기와, 라이선스의 대상인 브랜드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권리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권리자와 사용자를 중개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intermediation system for a lisensing}
본 발명은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맞는 최적의 브랜드를 추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브랜드를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을 안내하여 브랜드가 적용된 최적의 제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랜드 산업은 친숙하고 생명력있는 브랜드를 창작해 영화나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상품, 테마파크 등에 적용하거나 활용함으로써 고부가가치를 창조하는 산업을 말한다. 브랜드 산업은 아이디어를 원천으로, 만화와 미술을 표현수단으로 하여 고도의 창작능력과 기획력을 통하여 창출된다. 그 자체로 경제적인 효과가 막대하며 비디오게임과 테마파크, 출판, 영상산업과 결합해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는 등 산업적 연관과 파급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브랜드의 활용성이 온라인 사업으로 다각화되어 새로운 수익모델로 창출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게임, 아바타 등이 새로운 브랜드 비즈니스 사업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 모바일 브랜드 다운로드 서비스, 브랜드 모바일 게임 등이 좋은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더욱이 브랜드 산업은 전통적인 완구, 문구류, 액세서리에서 항공, 레저 산업까지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브랜드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브랜드 산업은 글로벌 메이저 업체로 인한 시장 독식 현상이 가속화가 되어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의 해외 진출과 이에 따른 라이선스 보호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를 포함하여 동남아 등의 후발국은 브랜드의 라이선스 문제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특히, 라이선스 강화에 대한 대처와 조정 등에 대한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브랜드 관련 업무, 시장동향, 업체 정보에 대한 공유가 브랜드 사업성공의 성패가 되고 있다. 따라서 브랜드 산업과 관한 사업의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고, 브랜드 제품의 홍보 및 유통을 활성화 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
그래서, 브랜드 등의 라이선스 보호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9533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클라이언트(11,12,13)와 네트워크(20)로 연결되고 데이터베이스(40)를 구비하여, 브랜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선싱 계약 상담 및 계약체결을 처리하는 브랜드 라이선싱 온라인 관리 시스템(30)에 있어서, 운영회사의 회사정보 및 브랜드 정보를 홍보할 수 있는 홈페이지 관리수단(31); 라이선싱 관리 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기본 코드 및 설정정보를 관리하는 운영관리 수단(32); 사용자들의 회사정보와 회원정보, 직원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며, 사용자들의 시스템 이용권한을 부여하고 인증하는 회원관리 수단(33); 등록된 브랜드를 검색하고, 브랜드의 상담 및 계약, 제품승인, 증지처리를 처리하는 라이선싱관리 수단(34); 체결된 라이선싱 계약을 기준으로 계약대금, 로열티 대금, 증지대금을 정산하고 청구하는 정산관리 수단(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9533호에 기재된 기술은 브랜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선싱 계약 상담 및 계약체결을 처리하고, 체결된 라이선싱 계약을 기준으로 대금을 정산하는 과정을 온라인으로 관리해주는 장점은 있지만, 브랜드에 대한 라이선싱 계약 및 비용 처리만을 도와줄 뿐, 브랜드를 어떤 제품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할 지에 대해서는 도움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당 브랜드를 특정 제품에 적용하여 새롭게 도출된 제품에 대하여 별도의 권리를 획득하려고 하더라도 이에 대한 도움을 전혀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9533호(2009.12.17.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브랜드의 권리자와 이를 사용하기 원하는 사용자를 연결해줄 뿐만 아니라, 해당 브랜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적용하는 방안까지 추천할 수 있어 최적의 적용방안을 도출할 수 있으며 브랜드가 적용된 최종 제품의 모델링을 제공하여 용이하게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하는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어떠한 브랜드를 사용할지 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할 제품이 어필되는 대상에 따라 인기 또는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 추천할 수 있고, 해당 제품의 활용 유형이 데이터 베이스에 없더라도 학습된 인공지능에 의해 인터넷의 검색 등을 통하여 해당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할 경우 활용되는 유형을 확인하여 브랜드의 적용 방안을 추천할 수 있고, 최종 도출된 제품에 대하여 별도의 권리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전문가를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이선스의 소유자인 권리자가 소지하는 권리자 단말기와, 라이선스의 대상인 브랜드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권리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권리자와 사용자를 중개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브랜드, 라이선스의 권리자, 요율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라이선스 DB와,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DB와, 상기 권리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브랜드의 사용에 대한 계약을 수행하는 계약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DB에는 사용자가 전송한 제품의 모델링 정보가 추가로 저장되며, 상기 서버에는 사용자가 전송한 제품의 모델링 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브랜드의 정보를 통하여 브랜드가 적용된 제품을 모델링하는 모델링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라이선스 DB에는 각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하는 유형의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서버에는 브랜드를 적용하는 유형의 정보에 따라 상기 모델링 모듈을 통하여 도출된 모델링 유형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천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라이선스 DB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전송한 제품에 대한 브랜드를 적용한 유형의 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추천 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한 사례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에서 브랜드를 적용하는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추천 모듈은 사물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학습된 인공지능이 적용되어 검색된 이미지에서 제품과 브랜드를 확인하여 라이선스 대상의 적용 유형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선스 DB에는 각 브랜드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추천 모듈은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적용할 브랜드의 추천을 요청한 경우, 상기 라이선스 DB에 저장된 각 브랜드의 선호도와 요율에 따라 설정된 수만큼의 상위 순위 브랜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모델링 유형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는 변리사, 변호사를 포함하는 전문가의 정보가 저장되는 전문가 DB가 더 구비되고, 상기 추천 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브랜드가 적용된 제품의 최종 모델링 정보에 대하여 권리 확보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권리 확보를 위한 전문가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브랜드의 권리자와 이를 사용하기 원하는 사용자를 연결해줄 뿐만 아니라, 해당 브랜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적용하는 방안까지 추천할 수 있어 최적의 적용방안을 도출할 수 있으며 브랜드가 적용된 최종 제품의 모델링을 제공하여 용이하게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어떠한 브랜드를 사용할지 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할 제품이 어필되는 대상에 따라 인기 또는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 추천할 수 있고, 해당 제품의 활용 유형이 데이터 베이스에 없더라도 학습된 인공지능에 의해 인터넷의 검색 등을 통하여 해당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할 경우 활용되는 유형을 확인하여 브랜드의 적용 방안을 추천할 수 있고, 최종 도출된 제품에 대하여 별도의 권리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전문가를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랜드 라이선싱 온라인 관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브랜드 라이선싱 온라인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브랜드가 제품에 적용된 유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한 제품의 예시도이고, (b)는 사용자가 선택한 브랜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브랜드가 제품에 적용된 유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한 제품의 예시도이고, (b)는 사용자가 선택한 브랜드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캐릭터, 일러스트 등을 포함하는 브랜드 라이선스를 중개하는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라이선스의 소유자인 권리자가 소지하는 권리자 단말기(200)와 라이선스의 대상인 브랜드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상기 권리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권리자와 사용자를 중개하는 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권리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는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PC 등도 사용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여 권리자가 상기 권리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등록한 다수의 브랜드 중에서 원하는 브랜드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사용할 수 있도록 권리자와 계약을 수행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 및 권리자가 라이선스에 대하여 잘 모르더라도, 사용자가 브랜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정을 상기 서버(100)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권리자 모두 브랜드의 사용 요청 및 허락을 위한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브랜드, 라이선스의 권리자, 요율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라이선스 DB(110)와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DB(120)와 상기 권리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통하여 브랜드의 사용에 대한 계약을 수행하는 계약 모듈(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라이선스 DB(110)에 저장된 다양한 브랜드 중에서 원하는 브랜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계약 모듈(150)을 통하여 사용자와 권리자 간에 브랜드 사용(라이선싱)에 관한 계약을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판매하고 있는 자신의 특정 제품에 브랜드를 접목시켜 제품이 보다 잘 팔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원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브랜드를 적용하고자 하는 특정 제품의 3D모델링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100)에 구비되는 사용자 DB(120)에는 전술한 사용자의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브랜드가 적용되기를 원하는 제품의 모델링 정보까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서버(100)에는 모델링 모듈(13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모델링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DB(120)에 저장된 특정 제품의 3D모델링 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브랜드의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브랜드가 적용된 제품을 모델링하여 브랜드가 적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직접 해당 브랜드를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서버(100)에서 즉시 이를 모델링하여 적용된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브랜드가 적용되었을 때의 제품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에 구비되는 상기 라이선스 DB(110)에는 전술한 브랜드, 라이선스의 권리자, 브랜드의 사용시 요율을 포함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추가로 각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하는 유형의 정보가 더 저장된다.
즉, 유형의 정보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브랜드 중에서 캐릭터를 일예로 설명하자면, 브랜드가 적용될 제품이 의자라고 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브랜드를 적용할 때,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전체를 브랜드의 입체 얼굴로 형성할 수도 있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를 브랜드의 입체 상반신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에 브랜드의 평면 이미지를 형성할 수도 있고,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에 브랜드의 평면 이미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유형의 정보에는 브랜드가 상품의 구성요소 일부(예: 의자의 등받이)를 치환하여 상품 구성요소 일부(예: 브랜드의 입체 상반신이 의자의 등받이가 됨)로 적용되는 입체 적용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선스 DB(110)에 저장된 브랜드를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에 따라 사용자가 전송한 제품에 적용하여 각각 모델링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100)에는 추천 모듈(14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추천 모듈(140)은 머신러닝 기법을 통하여 학습된 인공지능이 적용되어 상기 라이선스 DB(110)에 저장된 브랜드의 적용 유형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브랜드를 제품에 적용할 때, 제품의 크기에 맞게 평면 크기 및 두께 등과 같은 브랜드의 크기를 조절하여 적절한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모델링 모듈(130)을 통하여 모델링을 진행하도록 한다.
즉, 모델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잠시 살펴보면, 사용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랜드가 적용되기를 원하는 제품으로 의자를 전송하였고, 상기 라이선스 DB(110)에 저장된 브랜드 중에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랜드 이미지의 브랜드를 선택하였다.
그래서, 상기 추천 모듈(140)은 도 6의 제품 및 브랜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브랜드의 크기를 의자의 크기에 맞도록 변환한 후, 상기 모델링 모듈(130)로 전송하여 해당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유형으로 모델링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이렇게 브랜드가 유형 별로 적용되어 모델링된 정보는 통신모듈(17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되고, 사용자는 수신된 다양한 유형의 모델링 정보를 확인하고 이중에서 원하는 유형을 선택하도록 한다.
따라서, 기존에는 단순히 브랜드를 사용하기 위한 계약만을 도와줄 뿐인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브랜드 사용에 대한 계약 이전에 적용된 최적의 제품을 확인한 후, 라이선스 사용에 대한 라이선싱 계약에 이를 수 있고, 또한 별도로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브랜드가 적용된 최적의 제품 디자인과 브랜드 제품의 제작을 위해 제작품 제작자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브랜드 제품의 입체 파일(모델링 파일)을 직접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선스 DB(110)에는 해당 브랜드가 특정 제품에 적용될 때, 어떤 형태로 적용되는 지에 대한 다양한 유형이 저장되는데, 이러한 유형 정보는 서버(100)의 관리자가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하여 그 유형을 분류한 정보 일 수도 있고, 브랜드의 권리자가 이러한 제품에 브랜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브랜드를 적용하여야 한다고 가이드한 스타일 가이드에 기재된 정보일 수도 있다.
여기서, 모든 권리자가 이러한 스타일 가이드를 작업하지 않고, 스타일 가이드가 있더라도 스타일 가이드에 해당 제품에 대한 내용은 누락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서버(100)의 관리자 역시 많이 사용되는 제품이 아니고, 생소한 제품의 경우에는 해당 유형을 분류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브랜드를 적용하기를 원하는 제품에 대하여 브랜드가 적용되는 유형이 상기 라이선스 DB(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추천 모듈(140)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한 사례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에서 브랜드를 적용하는 유형을 분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추천 모듈(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머신러닝 방식의 인공지능이 적용되어 있어 웹페이지를 검색하는 기법인 크로울링(crawling) 혹은 스크레이핑(scraping)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제품에 브랜드가 적용된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렇게 확보한 제품의 이미지에서 제품과 브랜드를 확인하여 브랜드가 어떠한 유형으로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게 된다.
즉,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인공지능을 통하여 이미지상에서 물품을 특정하거나, 사람을 특정하는 등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추천 모듈(140) 역시 장시간의 학습을 통하여 이미지 상에서 제품과 브랜드를 특정할 수 있어 이미지에서 제품과 브랜드의 위치 등의 관계를 분석하여 브랜드가 적용된 유형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같이 사용자 또는 권리자가 특정 제품에 대하여 브랜드를 적용하기 위한 유형을 미처 준비하지 못하였더라도, 상기 추천 모듈(140)에서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제품에 대하여 브랜드가 적용된 유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제품이라도 브랜드를 적용할 수 있는 유형 등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브랜드가 적용될 제품의 모델링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적용할 브랜드를 정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브랜드를 적용할지 결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추천 모듈(14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용자가 전송한 제품에 맞는 브랜드를 추천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라이선스 DB(110)에는 각 브랜드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는데, 상기 추천 모듈(140)은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적용할 브랜드의 추천을 요청한 경우, 상기 라이선스 DB(110)에 저장된 각 브랜드의 선호도 등에 따라 설정된 수만큼의 상위 순위 브랜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어떠한 브랜드를 사용하여야 할지 결정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추천 모듈(140)을 통하여 해당 제품의 타겟층에서 선호도 또는 인기가 좋은 브랜드를 추천하여 줌으로써, 제품과의 시너지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때, 브랜드의 추천 순위는 브랜드의 선호도와 요율을 동시에 고려하여 정하고, 그 추천 순위를 산출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테면, 초등학생용 가방에 적용되는 브랜드의 선호도가 큰 것은 10점으로 작은 것은 1점으로 정하고, 단위 브랜드 제품당 브랜드 사용료를 큰 것은 1점으로 작은 것은 10점으로 정할 때, 제1브랜드의 선호도가 5인데 사용료가 7이고, 제2브랜드의 선호도가 8인데 사용료가 3이면, 추천 값을 선호도와 사용료의 곱으로 정하여, 제1브랜드의 추천값은 35이고 제2브랜드의 추천값은 24가 되어 선호도가 다소 낮은 제1브랜드의 추천 순위를 제2브랜드의 추천 순위보다 위로 놓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판단하는 선호도와 브랜드요율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다른 가중치(이를테면, 선호도에 2배를 곱한 값과 브랜드 사용료 지수의 곱으로 추천값을 변경)를 적용하여 그에 관한 추천 순위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브랜드가 선정되고 제품의 기본 디자인이 정하여지면 브랜드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이를테면, 기본 디자인으로 선정된 의자 등받이의 좌우 폭 및 두께와 일치하도록 브랜드 크기 조절)하여 제품의 기본 디자인에 적용된 브랜드 제품을 모델링하고 그 모델링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출력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데, 이렇게 브랜드가 적용된 제품의 정보에서 사용자가 보기에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수정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별도의 앱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수정 모듈(310)이 더 구비되어 모델링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정 모듈(310)은 통상의 3d프로그램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렇게 생성된 브랜드 적용 제품의 모델링 정보는 상기 계약 모듈(150)을 통하여 권리자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권리자는 이를 확인하여 허락할 경우, 사용자와 권리자 간의 계약을 수행하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즉, 권리자가 브랜드의 사용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계약을 체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브랜드가 적용된 제품의 모델링 정보를 권리자에게 전송하면서 컨펌을 받을 경우에는 각 건별로 권리자에게 검토에 따른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결제는 서버(100)에 구비되는 결제 모듈(160)을 통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브랜드가 적용되는 유형이 권리자가 업로드한 스타일 가이드에 포함된 유형일 경우에는 검토에 따른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컨펌을 받고 계약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인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제품의 모델링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어떠한 브랜드를 사용할지 확정한 상황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상황일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브랜드를 확정하지 못한 상황일 경우에는 추천 모듈(140)에서 상기 라이선스 DB(110)에 저장된 각 브랜드의 선호도와 브랜드 사용료(요율)에 따라 설정된 수만큼의 상위 순위 브랜드를 추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버(100)에 구비되는 라이선스 DB(110)에는 특정 브랜드를 제품에 적용할 때, 어떻게 적용하는 지에 대한 다양한 유형이 저장되는데, 새로운 제품이어서 해당 제품의 적용 유형이 상기 라이선스 DB(110)에 저장되지 않을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추천 모듈(140)이 웹사이트를 검색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제품에 브랜드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유형을 분류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브랜드가 적용된 제품을 유형 별로 모델링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유형 별로 모델링된 제품 중에서 원하는 유형을 선택할 수 있고, 수정이 필요할 경우 해당 모델링을 수정 모듈(310)을 통하여 수정하여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최종 결정된 제품의 모델링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때, 사용자가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기본 요율에 대하여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경우, 요율에 대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권리자와 조율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계약 모듈(150)은 최종 결정된 제품의 모델링 정보를 상기 권리자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브랜드의 사용 여부에 대하여 허락을 받게 되는데, 검토 요청시에는 권리자에게 검토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며, 이러한 결제는 서버(100)에 구비되는 결제 모듈(160)을 통하여 수행하게 된다.
한편, 검토 비용을 지불하면서 권리자의 검토를 받더라도 권리자는 브랜드가 사용되는 형태가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에는 브랜드 사용에 대한 허락을 하지 않을 수도 있고, 브랜드의 사용되는 형태가 마음에 들 경우에 상기 계약 모듈(150)을 통하여 계약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브랜드가 적용되는 유형이 권리자가 업로드한 스타일 가이드에 포함된 유형일 경우에는 검토에 따른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며 권리자가 의도한 유형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당연히 컨펌을 받아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브랜드가 적용되어 모델링된 제품은 그 자체로 하나의 디자인이 되는데, 사용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디자인에 대하여 별도로 권리를 확보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해당 디자인에 대하여 권리의 확보를 원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제시된 다수의 유형 중에서 특정 유형을 선택하여 서버(100)에 답변을 보낼 때, 코멘트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해당 디자인의 권리를 확보하기를 요청하게 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0)에는 변리사, 변호사를 포함하는 전문가의 정보가 저장되는 전문가 DB(17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서버(100)에 구비되는 추천 모듈(140)에서 통하여 디자인 권리 확보 요청을 확인한 경우, 상기 추천 모듈(14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권리 확보를 위한 전문가의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전문가 단말기(400)로 연락하여 해당 디자인에 대한 권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맞는 최적의 브랜드를 추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브랜드를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을 안내하여 브랜드가 적용된 최적의 제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0 : 서버 110 : 라이선스 DB
120 : 사용자 DB 130 : 모델링 모듈
140 : 추천 모듈 150 : 계약 모듈
160 : 결제 모듈 170 : 전문가 DB
180 : 통신 모듈 200 : 권리자 단말기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전문가 단말기

Claims (9)

  1. 라이선스의 소유자인 권리자가 소지하는 권리자 단말기와, 라이선스의 대상인 브랜드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권리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권리자와 사용자를 중개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는 브랜드, 스타일 가이드, 라이선스의 권리자, 요율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라이선스 DB와,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DB와, 변리사, 변호사를 포함하는 전문가의 정보가 저장되는 전문가 DB가 구비되고, 상기 권리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브랜드의 사용에 대한 계약을 수행하는 계약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 DB에는 사용자가 전송한 제품의 모델링 정보가 추가로 저장되며, 상기 서버에는 사용자가 전송한 제품의 모델링 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브랜드의 정보를 통하여 브랜드가 적용된 제품을 모델링하는 모델링 모듈이 더 구비되며,
    상기 라이선스 DB에는 각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할 때, 브랜드가 각 제품의 어느 위치에 어떠한 형태로 적용되는 지에 대한 유형의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유형의 정보에는 브랜드가 상품의 구성요소 일부를 치환하여 적용되는 입체 적용 유형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에는 브랜드를 적용하는 유형의 정보에 따라 상기 모델링 모듈을 통하여 도출된 모델링 유형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천 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라이선스 DB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전송한 제품에 대한 브랜드를 적용한 유형의 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추천 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제품에 브랜드를 적용한 사례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에서 브랜드를 적용하는 유형을 분류하며,
    상기 추천 모듈은 사물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학습된 인공지능이 적용되어 검색된 이미지에서 제품과 브랜드를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라이선스 대상의 적용 유형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추천 모듈은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적용할 브랜드의 추천을 요청한 경우, 상기 라이선스 DB에 저장된 각 브랜드에 대한 타겟층에서의 선호도와 요율에 따라 설정된 수만큼의 상위 순위 브랜드를 추천 순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추천 순위는 상기 각 브랜드에 대한 타겟층에서의 선호도와 요율의 곱으로 정하며,
    브랜드가 제품에 적용되는 유형 중 사용자가 선택한 유형이 권리자에게 전송되어 권리자의 컨펌을 위한 검토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각 건별로 권리자에게 검토에 따른 비용을 권리자에게 지불하되, 사용자가 선택한 유형이 업로드한 스타일 가이드에 포함된 유형인 경우에는 권리자의 컨펌을 위한 검토 비용을 과금하지 않고 업로드한 스타일 가이드에 포함된 유형이 아닌 경우에는 권리자의 컨펌을 위한 검토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결제 모듈이 더 포함되고,
    또한 상기 추천 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브랜드가 적용된 제품의 최종 모델링 정보에 대하여 권리 확보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권리 확보를 위한 전문가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모델링 유형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
  9. 삭제
KR1020220126841A 2022-03-17 2022-10-05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 KR102548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33287 2022-03-17
KR1020220033287 2022-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480B1 true KR102548480B1 (ko) 2023-06-28

Family

ID=8699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841A KR102548480B1 (ko) 2022-03-17 2022-10-05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4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533A (ko)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아이리버 캐릭터 라이선싱 온라인 관리 시스템
KR20200055165A (ko) * 2018-11-02 2020-05-21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전문가 긴급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20200084425A (ko) * 2018-12-24 2020-07-13 주식회사 포티스 신경망을 이용한 패션 디자인 지원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46727B1 (ko) * 2021-06-18 2022-01-04 (주)월드룩 Ip 라이센싱 플랫폼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533A (ko)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아이리버 캐릭터 라이선싱 온라인 관리 시스템
KR20200055165A (ko) * 2018-11-02 2020-05-21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전문가 긴급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20200084425A (ko) * 2018-12-24 2020-07-13 주식회사 포티스 신경망을 이용한 패션 디자인 지원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46727B1 (ko) * 2021-06-18 2022-01-04 (주)월드룩 Ip 라이센싱 플랫폼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0580B1 (en) Automated processes for seeking authorization to make printed publications searchable on a network
KR102041065B1 (ko) 3d 프린팅에서의 디지털 권리 관리
Turow The daily you: How the new advertising industry is defining your identity and your worth
US100798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n avatar
US20020026398A1 (en) Storefront for an electronic marketplace for services
US20100299603A1 (en) User-Customized Subject-Categorized Website Entertainment Database
US8589804B2 (en) Collaborative electronic books
Parthasarathy Globalization and agglomeration in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the State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in Bangalore, India
KR101929798B1 (ko) 챗봇 거래 방법 및 챗봇 거래 시스템
CN105719171A (zh) 一种用于电子商务的关联管理系统及方法
CN105190592A (zh) 具有深度因素和安全因素的电子商务网络
Steiner Formation and early growth of business webs: modular product systems in network markets
KR102548480B1 (ko) 라이선싱 중개 시스템
Fomin et al. Open standards and government policy: Results of a Delphi survey
KR102176108B1 (ko) 전문 중개인을 통한 차등 수수료 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007867A1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102086957B1 (ko) 가구 유통 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79285A1 (en) Method and System of Obtaining a Bid For Services
US202003205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branding using a platform that contains a plurality of features and functions that enable any user to have access to a complete digital presence and monetization opportunities with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both centralized and peer to peer network interfaces
WO20161913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and verifying information regarding specific items
TW201324389A (zh) 多功能雲端服務系統、方法與一記憶媒體
Emond et al. Pro web project management
KR20220074035A (ko) 등록된 프로젝트와 프로젝트를 수행할 작업자를 매칭하는 방법 및 시스템
Shkolnyk et al. Formation of the digital economy theory in the works of N. Negroponte and D. Tapskott
Harris et al. Pixologie: Your Photo Estate Expe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