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436B1 -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 - Google Patents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436B1
KR102548436B1 KR1020220111362A KR20220111362A KR102548436B1 KR 102548436 B1 KR102548436 B1 KR 102548436B1 KR 1020220111362 A KR1020220111362 A KR 1020220111362A KR 20220111362 A KR20220111362 A KR 20220111362A KR 102548436 B1 KR102548436 B1 KR 10254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rake
encoder
reduce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민규
박주역
Original Assignee
주민규
박주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규, 박주역 filed Critical 주민규
Priority to KR102022011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10Brak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기는 구동축 및 모터 사이에 브레이크를 내장시켜 설계함으로써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는 방송 스튜디오, 지자체 문화 예술관, 공연장, 홈쇼핑 스튜디오, 무대설비, 조명장칭, 음향설비, 방화벽, 현수막, 공연 커튼 등 무대 가설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REDUCER WITH BUILT-IN BRAKE}
본 발명은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기는 구동축 및 모터 사이에 브레이크를 내장시켜 설계함으로써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는 방송 스튜디오, 지자체 문화 예술관, 공연장, 홈쇼핑 스튜디오, 무대설비, 조명장칭, 음향설비, 방화벽, 현수막, 공연 커튼 등 무대 가설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방송 스튜디오 및 공연장 등과 같은 무대에 설치되는 감속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감속기 시장의 경우 약 80% 이상이 해외에서 생산된 감속기를 수입하여 무대에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해외, 특히 유럽에서 생산된 감속기의 경우 설치물(중량물)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팬이 부착되는 위치인 모터 후미에 브레이크를 이중으로 장착하고 있으며, 모터에 인접하여 엔코더(제어기)를 부착하고 있다. 또한, 국산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용접으로 구동축을 연장하여 엔코더를 장착 및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감속기의 경우 감속기 구동 중, 부하로 인한 모터의 축 전단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중량물이 추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가지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또한, 모터의 진동 및 브레이크의 강한 자력으로 인하여 엔코더의 기능이 상실될 위험 또한 존재한다.
아울러, 이중 브레이크 및 엔코더 일체형 모터의 경우 모터의 구동이 불능될 경우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 및 가동 중지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며, 대체품 제작 및 수입의 경우 많은 시간 및 추가적인 경비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설치 구조가 모터 상향 취부로 인하여 모터에 대한 점검이 어려우며, 모터 측면 취부 시 설치 면적 및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의 부족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구동축 및 모터 사이에 브레이크를 내장시킨 브레이크 일체형 감속기를 개발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감속기의 경우 모터의 이상 발생시 교체가 용이하고,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9201호는 스테인레스 파이프 조관기 라인 설비용 웜 감속기의 웜 축 구동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구동축 및 모터 사이에 브레이크를 내장시킨 브레이크 일체형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일측에 제1 기어 이음부(54)가 설치된 직선형의 제1 구동축(10); 상기 제1 구동축(10)의 타측에 설치된 모터(20);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 및 모터(20) 사이에 설치된 제1 브레이크(50); 및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된 제1 기어(90);를 포함하는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구동축(10), 모터(20) 및 제1 브레이크(50)는 커플링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브레이크(50)는 상기 제1 구동축(10)에 직접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감속기(1)는, 제1 구동축(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1 엔코더 기어(40); 상기 제1 엔코더 기어(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된 제2 엔코더 기어(56); 및 상기 제2 엔코더 기어(56)와 연결된 엔코더(7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엔코더 기어(40) 및 제2 엔코더 기어(56)는 동일한 지름을 가진 원형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엔코더 기어(56)는 상기 제1 구동축(10)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엔코더 샤프트(6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엔코더(70)는 엔코더 샤프트(6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브레이크(50)의 외주면에 브레이크 하우징(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90)는 제2 구동축(80)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제2 구동축(80)의 일단에는 제2 브레이크(8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 및 제1 기어(90)의 지름 길이 비율은 1: 1.1 내지 100인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는 종래 모터의 축을 연장하여 브레이크를 설치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감속기 본체 내에 브레이크를 내재시키기 때문에 모터의 이상 발생시 중량물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 없이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가의 보조 브레이크(제2 브레이크)를 감속기 2차 부하가 발생되는 위치에 설치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극대화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모터의 취부방식을 회전 드럼과 평행한 방향으로 취부함으로써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모터의 돌출로 인한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엔코더를 감속기 본체 내에 내재시키기 때문에 모터의 진동 및 마그네틱 자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 수입에 의존하던 감속기를 국내에서 직접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를 나타낸 우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를 나타낸 좌측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일측에 제1 기어 이음부(54)가 설치된 직선형의 제1 구동축(10);
상기 제1 구동축(10)의 타측에 설치된 모터(20);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 및 모터(20) 사이에 설치된 제1 브레이크(50); 및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된 제1 기어(90);
를 포함하는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를 제공한다.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를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우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단면도이고, 도 4는 좌측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4에 각각 나타낸 구성들은 하나의 구현예에 불과하므로, 일부 형태의 변형 또는 구성요소의 치환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는 무대 가설물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무대 가설물은 방송 스튜디오, 지자체 문화 예술관, 공연장, 홈쇼핑 스튜디오, 무대설비, 조명장칭, 음향설비, 방화벽, 현수막, 공연 커튼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는 일측에 제1 기어 이음부(54)가 설치된 직선형의 제1 구동축(1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10)은 통상의 회전운동을 위한 구동축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타측 끝단에 모터(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구동축(10)은 상기 모터(20)에서 공급된 에너지를 통해 회전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 및 모터(20) 사이에는 제1 브레이크(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크(50)는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의 주된 브레이크로서 활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모터(20)를 통해 회전하는 제1 구동축(10)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1 브레이크(50)를 통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는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50)가 제1 구동축(10)에 내재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기존 모터 후미에 이중으로 브레이크를 장착한 감속기와 차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 감속기의 경우 모터의 축 전단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중량물의 추락 및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의 경우 브레이크(50)가 감속기(1)와 일체형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방지되는 것일 수 있으며, 모터(20)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의 교체가 매우 용이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크(50)는 상기 제1 구동축(10)에 직접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동축(10), 모터(20) 및 제1 브레이크(50)는 커플링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는 커플링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20)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의 교체가 매우 수월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모터(20)의 취부방식을 회전 드럼과 평행한 방향으로 취부함으로써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모터(20)의 돌출로 인한 사용자의 상해가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크(50)의 외주면에는 브레이크 하우징(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30)을 통해 내부에 설치된 제1 브레이크(50)가 외부의 물리적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1)는, 제1 구동축(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1 엔코더 기어(40); 상기 제1 엔코더 기어(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된 제2 엔코더 기어(56); 및 상기 제2 엔코더 기어(56)와 연결된 엔코더(7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70)는 제어기로도 명명될 수 있으며, 센서의 일종으로, 상기 모터(20)의 기능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20)의 기능은 예를 들어, 회전수, 속도, 정역 회전방향, 회전 각도 및 초기 원점(home sensing)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모터(20)의 기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70)는 상기 제1 구동축(10)을 기준으로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1 엔코더 기어(40) 및 제2 엔코더 기어(56) 측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구동축(10)의 타측에 설치된 모터(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기존 감속기의 경우 모터에 인접하여 엔코더를 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의 진동 및 브레이크의 강한 자력으로 인하여 엔코더의 기능이 상실될 염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의 경우 엔코더(70)가 모터(20) 및 제1 브레이크(5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모터(20)의 진동 및 마그네틱 자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엔코더 기어(40) 및 제2 엔코더 기어(56)는 동일한 지름을 가진 원형인 것일 수 있으며, 외주면에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접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엔코더 기어(4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엔코더 기어(56)가 함께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엔코더(70)는 제1 구동축(10)에 연결된 모터(20)의 기능을 감지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제1 구동축(1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엔코더 기어(40)와 이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2 엔코더 기어(56)는 동일한 지름을 가져야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엔코더 기어(40) 및 제2 엔코더 기어(56)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엔코더 기어(40)는 제1 구동축(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기어 이음부(54)는 상기 제1 엔코더 기어(40)와 인접하되, 상대적으로 제1 구동축(10)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엔코더 기어(56)는 상기 제1 구동축(10)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엔코더 샤프트(6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엔코더 기어(56)에 연결된 엔코더(70)와 제1 구동축(10)에 설치된 모터(20) 및 제1 브레이크(50)와의 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와 같이 설계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엔코더 기어(56)는 상기 엔코더 샤프트(6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엔코더 샤프트(60)의 타측 끝단은 상기 제1 구동축(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엔코더 기어(40) 및 제2 엔코더 기어(56)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 구동축(10) 및 엔코더 샤프트(60) 또한 상하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70)는 엔코더 샤프트(6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엔코더 샤프트(60)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엔코더(70)와 모터(20) 및 제1 브레이크(50) 간의 거리가 최대한 이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코더(70)는 엔코더 샤프트(60)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종국적으로 모터(20)의 기능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는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된 제1 기어(9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 및 제1 기어(90)는 외주면에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서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가 회전함에 따라 제1 기어(9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는 상기 제1 구동축(10)의 길이 방향으로 구동축(10)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어(90)는 제1 구동축(10)에 수직한 방향, 즉 제1 기어 이음부(5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는 제1 구동축(10)에 의해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이에 맞물린 제1 기어(90) 또한 제1 구동축(10)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90)는 제2 구동축(80)을 따라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어(90)의 중심부가 제2 구동축(80)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구동축(80)은 상기 제1 구동축(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1 구동축(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축(80)의 일단에는 제2 브레이크(8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단은 제1 기어(90)가 연결된 방향과 반대방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브레이크(85)는 보조 브레이크로서 활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제2 구동축(80)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2 브레이크(85)를 통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는 제1 구동축(10)에 설치된 상기 제1 브레이크(50)와 더불어, 2차 부하가 발생되는 제2 구동축(80)에도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극대화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2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는 바람직하게 제1 구동축(10)을 중심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엔코더 샤프트(60) 및 제2 구동축(80)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엔코더 샤프트(60) 및 제2 구동축(80)은 제1 구동축(10)의 길이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극대화 되는 것일 수 있으며, 부품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넓은 공간을 통해 작업자가 보다 수월하게 부품의 교체 및 수리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 및 제1 기어(90)의 지름 길이 비율은 1: 1.1 내지 100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목적에 맞게끔 제1 기어(90)의 지름이 제1 기어 이음부(54) 보다 적절히 길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모터(20)의 출력 회전수를 감소시켜 높은 회전 출력 토크를 얻게 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는 제2 구동축(95)의 타측 끝단에 제1 기어(9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기어(90) 인접하여 일측 방향에 제2 기어 이음부(9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기어 이음부(95)는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어 이음부(95)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2 기어(100)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 이음부(95) 및 제2 기어(100)는 외주면에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서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기어 이음부(95)가 회전함에 따라 제2 기어(10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100)는 제3 구동축(97)을 따라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어(100)의 중심부가 제3 구동축(97)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구동축(97)은 상기 제2 구동축(8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2 구동축(80)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구동축(80) 및 제3 구동축(97)의 연장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채택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는 제3 구동축(97)에 제3 기어 이음부(10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기어 이음부(105)는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 및 제2 기어 이음부(95)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기어 이음부(105)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3 기어(120)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어 이음부(105) 및 제3 기어(120)는 외주면에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서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3 기어 이음부(105)가 회전함에 따라 제3 기어(12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어(120)는 제4 구동축(110)을 따라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기어(120)의 중심부가 제4 구동축(110)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구동축(110)은 상기 제3 구동축(97)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3 구동축(97)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3 구동축(97) 및 제4 구동축(110)의 연장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채택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기어(90), 제2 기어(100) 및 제3 기어(120)는 제1 기어 이음부(54)를 중심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 기어 이음부(54)를 중심으로 하부에 순차적으로 제1 기어(90), 제2 기어(100) 및 제3 기어(120)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이의 반대방향인 상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어(90) 내지 제3 기어(120)의 설치방향은 제1 기어 이음부(54)를 중심으로 엔코더 샤프트(60)와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2 내지 4를 참조하건대, 제1 기어 이음부(54)를 중심으로 엔코더 샤프트(60)는 상부에, 제1 기어(90) 내지 제3 기어(120)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2 내지 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1)는 제3 구동축(97) 또는 제4 구동축(110)에도 추가적인 브레이크가 설치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추가적인 기어의 설치 또한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감속기 10: 제1 구동축
20: 모터 30: 브레이크 하우징
40: 제1 엔코더 기어 50: 제1 브레이크
54: 제1 기어 이음부 56: 제2 엔코더 기어
60: 엔코더 샤프트 70: 엔코더
80: 제2 구동축 85: 제2 브레이크
90: 제1 기어 95: 제2 기어 이음부
97: 제3 구동축 100: 제2 기어
105: 제3 기어 이음부 110: 제4 구동축
120: 제3 기어

Claims (9)

  1. 일측에 제1 기어 이음부(54)가 설치된 직선형의 제1 구동축(10);
    상기 제1 구동축(10)의 타측에 설치된 모터(20);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 및 모터(20) 사이에 설치된 제1 브레이크(50);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된 제1 기어(90);
    제1 구동축(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제1 엔코더 기어(40);
    상기 제1 엔코더 기어(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된 제2 엔코더 기어(56); 및
    상기 제2 엔코더 기어(56)와 연결된 엔코더(7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엔코더 기어(40) 및 제2 엔코더 기어(56)는 동일한 지름을 가진 원형인 것이고,
    상기 제2 엔코더 기어(56)는 상기 제1 구동축(10)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엔코더 샤프트(6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엔코더(70)는 엔코더 샤프트(60)의 타측 끝단에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엔코더 샤프트(60)의 타측 끝단은 상기 제1 구동축(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것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10), 모터(20) 및 제1 브레이크(50)는 커플링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크(50)는 상기 제1 구동축(10)에 직접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크(50)의 외주면에 브레이크 하우징(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90)는 제2 구동축(80)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제2 구동축(80)의 일단에는 제2 브레이크(8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이음부(54) 및 제1 기어(90)의 지름 길이 비율은 1: 1.1 내지 100인 것인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1).
KR1020220111362A 2022-09-02 2022-09-02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 KR102548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62A KR102548436B1 (ko) 2022-09-02 2022-09-02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62A KR102548436B1 (ko) 2022-09-02 2022-09-02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436B1 true KR102548436B1 (ko) 2023-07-04

Family

ID=8715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362A KR102548436B1 (ko) 2022-09-02 2022-09-02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202B1 (ko) 2023-07-27 2024-01-23 김익중 측면 플랫커버를 구비한 감속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403A (ja) * 1994-06-10 1995-12-22 Hiroyuki Mori ウオーム減速機のブレーキ装置
KR20120138677A (ko) * 2011-06-14 2012-12-26 가부시끼가이샤 마끼신꼬 차동 기어형 감속기
KR101369509B1 (ko) * 2012-10-11 2014-03-05 이형열 부하감소가 가능한 무대장치용 모터장치
CN211738165U (zh) * 2019-12-19 2020-10-23 华能延安发电有限公司 双开关调节两用电动执行器
CN216200204U (zh) * 2021-10-15 2022-04-05 徐州工程学院 内置制动器的大型提升行星减速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403A (ja) * 1994-06-10 1995-12-22 Hiroyuki Mori ウオーム減速機のブレーキ装置
KR20120138677A (ko) * 2011-06-14 2012-12-26 가부시끼가이샤 마끼신꼬 차동 기어형 감속기
KR101369509B1 (ko) * 2012-10-11 2014-03-05 이형열 부하감소가 가능한 무대장치용 모터장치
CN211738165U (zh) * 2019-12-19 2020-10-23 华能延安发电有限公司 双开关调节两用电动执行器
CN216200204U (zh) * 2021-10-15 2022-04-05 徐州工程学院 内置制动器的大型提升行星减速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202B1 (ko) 2023-07-27 2024-01-23 김익중 측면 플랫커버를 구비한 감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436B1 (ko)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기
CN111776067B (zh) 扭矩传感器模块和包括该扭矩传感器模块的转向角度感测装置
KR20070005594A (ko) 작업장 내 운반 차량용 조향- 및 휠 구동부
US20130162112A1 (en) Motor-Gear Unit
CN102639727B (zh) 高效率直角齿轮箱
US20070267924A1 (en) Vibration damping rotor assembly for rotating machinery
JP5783335B2 (ja) モータ駆動ユニット
CN105281485A (zh) 电动机组合部件和电动机
US20060182595A1 (en) Robot wrist comprising a drive unit incorporated in a tilt
US20130015739A1 (en) Electrical drive comprising a worm gear
KR20110008508A (ko) 조향용 복합 센싱 장치
JP2009160721A (ja) 電動回転継手
JP6469848B2 (ja) 機械の駆動装置、回転モーメントモータ、カップリング装置、材料を加工する装置およびトルクモータの使用
EP3480924B1 (en) Speed reducing device having power source
US7812490B2 (en) Electric motor with two opposite independent shafts
JP5948540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3504024A (ja) ギアホイール
CN103791074B (zh) 电动自动换挡的三轮车或四轮车后驱换挡器
CN105793127A (zh) 雨刮装置
US6452293B1 (en) Linear drive
JP4185116B2 (ja) ギヤドモータ及びロボット用ギヤドモータ
JP4892677B2 (ja) 回転体支持機構
JP5438556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749932B2 (ja) 電動遮断機用減速機
WO2003055712A1 (en) Electric motor with the rotor connected to the member that is to be rot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