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138B1 - 농작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138B1
KR102548138B1 KR1020220150778A KR20220150778A KR102548138B1 KR 102548138 B1 KR102548138 B1 KR 102548138B1 KR 1020220150778 A KR1020220150778 A KR 1020220150778A KR 20220150778 A KR20220150778 A KR 20220150778A KR 102548138 B1 KR102548138 B1 KR 10254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binding
main body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138B9 (ko
Inventor
여상혁
Original Assignee
여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혁 filed Critical 여상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138B1/ko
Publication of KR10254813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13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 오이, 토마토 등과 같은 모든 농작물 및 과수나무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타이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가지를 고정시킬 수 있어서 별도로 타이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며 설치 및 분리 과정에서 타이가 지면에 버려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농지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지지대의 제조, 설치 및 분리가 쉽고 비용이 절감되게 한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 지지대{Support of the crops}
본 발명은 고추, 오이, 토마토 등과 같은 모든 농작물 및 과수나무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타이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가지를 고정시킬 수 있어서 별도로 타이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며 설치 및 분리 과정에서 타이가 지면에 버려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농지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지지대의 제조, 설치 및 분리가 쉽고 비용이 절감되게 한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오이, 토마토 등과 같은 모든 농작물 및 과수나무들은 식물 자체의 성장과 더불어 성장 과정에서 각 농작물의 열매들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열매들이 형성됨으로 인해, 농작물들의 성장에 따라 그 전체적인 무게 역시 증대되는데, 이에 따라 외풍에 의한 작물 유실 또는 손상의 위험이 커진다.
이러한 작물 손상과 수확량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농작물들의 재배 과정에서 그 줄기를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이용되는 실정이다.
상기 지지대는 재배되는 농작물의 주된 줄기 부근에 일정 깊이 매립되고, 끈을 이용하여 지지대에 줄기를 결속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농작물을 지지대에 결속하기 위해 별도로 준비된 끈으로 묶어서 고정하였다. 이는 지지대 외에 별도로 끈을 준비하여야 하고 필요한 길이만큼 재단해야 하며 재단한 끈을 농작물에 묶어준 후 일일이 매듭을 지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묶어준 끈도 시간이 지나면 헤어져서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과정에서 끈을 재단할 때 발생하는 자투리 끈과 해체과정에서 버려지는 끈으로 인해 농지 또는 밭이 지저분해지고 환경오염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1986-0002780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타이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가지를 고정시킬 수 있어서 별도로 타이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며 설치 및 분리 과정에서 타이가 지면에 버려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농지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지지대의 제조, 설치 및 분리가 쉽고 비용이 절감되는 농작물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거치대를 돌출형성하여 거치대 단부의 오목홈에 농작물의 가지를 거치하므로 더욱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농작물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본체(100);
본체(100)의 상단부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헤드부(200);
본체(100)의 하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첨예부(300);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농작물의 가지(T)를 결속시켜주는 결속부(400); 로 구성하되.
상기 결속부(400)는,
본체(100)의 일측 길이단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결속돌기(412)를 가지는 타이(410)와,
상기 타이(410)와 동일선상으로 본체(100)의 타측 길이단부에 형성하는 결속수단(420)으로 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는 지지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타이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가지를 고정시킬 수 있어서 별도로 타이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며 설치 및 분리 과정에서 타이가 지면에 버려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농지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지지대의 제조, 설치 및 분리가 쉽고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거치대를 돌출형성하여 거치대 단부의 오목홈에 농작물의 가지를 거치하므로 더욱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로서 결속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본체의 횡단면이 '
Figure 112022120374005-pat00001
'형태로 되는 평면 단면도로서, 결속부를 체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 A' 부분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체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의 횡단면이 각각 '
Figure 112022120374005-pat00002
'형태와 '
Figure 112022120374005-pat00003
'형태로 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체에 거치대를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결속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로서, 결속부를 체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결속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로서, 결속부를 체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는 결속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로서, 도 14는 결속타이에 수직 장공이 형성되고 도 15는 결속타이에 수평 장공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16와 도 17은 결속부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로서, 도 16은 결속타이에 수직 장공이 형성되고 도 17은 결속타이에 수평 장공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 13은 농작물 지지대 상호간을 끈이나 줄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는 본체(100), 헤드부(200), 첨예부(300), 결속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체(100), 헤드부(200), 첨예부(300), 결속부(4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고 특히, 복합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첨부도면 도 4,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는 횡단면이 '
Figure 112022120374005-pat00004
'형태 또는 '
Figure 112022120374005-pat00005
'형태 또는 '
Figure 112022120374005-pat00006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즉, 본체(100)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여 견고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오목한 전면에는 힘살(120)을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0)의 볼록한 후면에는 미끄럼방지 돌부(130)를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 돌부(130)는 농작물의 가지(T)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추가로 끈이나 줄을 이용하여 묶어야 할 경우에 끈이나 줄이 미끄럼방지 돌부(130) 사이에서 묶여지므로 끈이나 줄이 묶여진 자리를 이탈하지 않게 되어 농작물의 가지(T)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첨부도면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거치대(140)를 돌출형성할 수도 있으며 거치대(140) 단부의 오목홈(141)에 과수, 나무 및 농작물의 가지(T)를 거치하므로 더욱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과수, 나무 및 농작물의 가지(T)가 곧게 자라며 흔들림이 없게 된다.
그리고, 헤드부(200)는 본체(100)의 상단부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망치로 내려치는 충격을 견디도록 본체(10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200)에는 끈이나 줄을 연결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첨예부(300)는 본체(100)의 하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박힌다.
결속부(40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농작물의 가지(T)를 결속시켜 주게된다. 즉, 결속부(400)는 본체(100)에 농작물의 가지(T)를 묶어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결속부(400)는 타이(410), 결속수단(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이(410)는 본체(100)의 일측 길이단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결속돌기(412)를 가진다. 즉, 타이(410)는 본체(100)의 일측 길이단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형성되는 연결대(411)와 연결대(411)의 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형성되는 결속돌기(412)로 구성된다. 타이(410)는 본체(100)를 합성수지재로 성형할 때 일체로 함께 성형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에는 본체(100)의 길이선상으로 하나 이상의 타이홈(110)을 일정깊이 형성하고, 타이홈(110) 내에 타이(410)를 본체(100)와 일체로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즉, 보관 및 포장을 쉽게 하기 위해 본체(100)의 일측에는 타이홈(110)을 형성하여 타이(410)가 타이홈(110)에 수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타이(410)는 연결대(411)와 결속돌기(412)로 구성되고, 연결대(411)는 타이홈(110)의 상단면에서 돌출형성하고, 결속돌기(412)는 연결대(411)의 단부에서 돌출형성한다. 이때, 보관 및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는 본체(100)의 성형시 타이홈(110)의 하단에 연결되도록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타이(100)의 결속돌기(412)는 본체(100)의 타이홈(110)의 하단에 연결되게 형성하거나 연결되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타이(100)의 결속돌기(142)의 단부(142b)를 강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결속수단(420)은 타이(410)와 동일선상으로 본체(100)의 타측 길이단부에 형성한다.
그리하여, 결속부(400)는, 타이(410)의 결속돌기(412)의 단부를 본체(100)로부터 떼어내고 휘어서 농작물의 가지(T)를 감싼 후 결속수단(420)에 결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결속부(4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부(400)의 타이(410)는 타이홈(110)의 상단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연결대(411)와, 연결대(411)의 단부에 연속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결속돌기(412)로 구성된다. 아울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는 타이홈(110)의 하단면에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즉, 타이(100)의 결속돌기(412)는 본체(100)의 타이홈(110)의 하단에 연결되게 형성하거나 연결되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결속부(400)의 결속수단(420)은 결속돌기(412)에 대응되고 결속돌기(412)의 동일선상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하나 이상 본체(100)에 형성되는 결속공(421)으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의 단부를 본체로부터 떼어내고 휘어서 농작물의 가지(T)를 감싼 후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를 결속공(421)에 끼우면 결속돌기(412)의 걸림턱(412a)이 결속공(421)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때, 농작물의 가지(T)의 굵기에 따라 타이(410)의 결속돌기(412)와 결속공(421)의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를 다수개의 결속공(421) 중 택일하여 끼움으로써 타이(410)가 농작물의 가지(T)를 타이트하게 견고히 묶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첨부도면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410a)는 본체(100)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연결대(413)와, 연결대(413)의 단부에 연속된 사격형 형태로 형성하여 끼움홈(414a)이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는 결속돌기(414)로 구성된다. 여기서, 타이(410a)의 결속돌기(414)에는 길이선상으로 끼움홈(414a)이 일정간격 형성된다. 즉, 결속돌기(414)는 상대적으로 넓은 폭의 사각형과 좁은 폭의 사각형이 반복 및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좁은 폭의 사각형의 양측으로 끼움홈(414a)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타이(410a)의 결속돌기(414)는 타이홈(110)의 하단면에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즉, 타이(410a)의 결속돌기(414)는 본체(100)의 타이홈(110)의 하단에 연결되게 형성하거나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결속부(400)의 결속수단(420)은 결속돌기(414)에 대응되고 결속돌기(414)의 동일선상 일정거리를 두고 하나 이상 본체(100)에 형성되는 요홈(422)으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타이(410a)의 결속돌기(414)의 단부를 본체로부터 떼어내고 휘어서 농작물의 가지(T)를 감싼 후 결속돌기(414)의 끼움홈(414a)을 요홈(422)에 끼워서 결합한다. 이때, 농작물의 가지(T)의 굵기에 따라 타이(410a)의 결속돌기(414)와 요홈(422)의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타이(410a)의 결속돌기(414)를 다수개의 요홈(422) 중 택일하여 끼움으로써 타이(410a)가 농작물의 가지(T)를 타이트하게 견고히 묶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요홈(422)의 선단부의 양측면에는 단속돌기(422a)를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형성할 수 있는데, 타이(410a)의 결속돌기(414)를 요홈(422)에 끼우면 타이(410a)의 결속돌기(414)가 단속돌기(422a)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된다.
(실시예 3)
첨부도면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부(400)의 타이(410b)는 본체(100)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연결대(415)와, 연결대(415)의 단부에 연속된 원형 형태로 형성하여 끼움공(416a)이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는 결속돌기(416)로 구성된다. 여기서, 타이(410b)의 결속돌기(416)에는 길이선상으로 끼움공(416a)이 일정간격 형성된다. 이때, 결속돌기(416)는 가운데에 끼움공(416a)이 형성되는 원형 띠가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타이(410a)의 결속돌기(416)는 타이홈(110)의 하단면에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즉, 타이(410b)의 결속돌기(416)는 본체(100)의 타이홈(110)의 하단에 연결되게 형성하거나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결속부(400)의 결속수단(420b)은 결속돌기(416)에 대응되고 결속돌기(416)의 동일선상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하나 이상 본체(100)에 형성되는 끼움돌기(423)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타이(410b)의 결속돌기(416)의 단부를 본체로부터 떼어내고 휘어서 농작물의 가지(T)를 감싼 후 결속돌기(416)의 끼움공(416a)을 끼움돌기(423)에 끼워서 결합한다. 이때, 농작물의 가지(T)의 굵기에 따라 타이(410b)의 결속돌기(416)와 끼움돌기(423)의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타이(410b)의 결속돌기(416)를 다수개의 끼움돌기(423) 중 택일하여 끼움으로써 타이(410b)가 농작물의 가지(T)를 타이트하게 견고히 묶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끼움돌기(423)의 선단부의 양측면에는 단속돌기(423a)를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형성할 수 있는데, 타이(410b)의 결속돌기(416)를 끼움돌기(423)에 끼우면 타이(410b)의 결속돌기(416)가 단속돌기(423a)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된다.
(실시예 4)
첨부도면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부(400)에 해당하는 본체의 일측 길이단부에는 타이홈(110)을 형성하고 타측 길이단부에는 홈부(150)를 형성한다.
타이홈(110)에는 타이(410)를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한다. 결속부(400)의 타이(410)는 타이홈(110)의 상단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연결대(411)와, 연결대(411)의 단부에 연속된 삼각형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결속돌기(412)로 구성된다. 아울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는 타이홈(110)의 하단면에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즉, 타이(100)의 결속돌기(412)는 본체(100)의 타이홈(110)의 하단에 연결되게 형성하거나 연결되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홈부(150)에는 결속수단(430)을 본체와 일체로 형성하되, 결속수단(430)은 연결대(431)와 결속타이(4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대(431)는 홈부(150)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결속타이(432)는 연결대(43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결속타이(432)에는 수직 장공(432a) 또는 수평 장공(432b)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타이(410)의 결속돌기(412)가 끼워져 체결된다.
그리하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의 단부(412b)를 본체로부터 떼어내고 휘어서 농작물의 가지(T)를 감싼 후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를 결속타이(432)의 수직 장공(432a) 또는 수평 장공(432b)에 끼우면 결속돌기(412)의 걸림턱(412a)이 수직 장공(432a) 또는 수평 장공(432b)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때, 농작물의 가지(T)의 굵기에 따라 타이(410)의 결속돌기(412)와 결속타이(432)의 수직 장공(432a) 또는 수평 장공(432b)의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를 결속타이의 다수개의 수직 장공(432a) 또는 수평 장공(432b) 중 택일하여 끼움으로써 타이(410)가 농작물의 가지(T)를 타이트하게 견고히 묶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5)
첨부도면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부(400)에 해당하는 본체(100)의 일측 길이단부에는 타이홈(110)을 형성하고 타측 길이단부에는 홈부(150)를 형성한다.
타이홈(110)에는 타이(410)를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한다. 결속부(400)의 타이(410)는 타이홈(110)의 상단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연결대(411)와, 연결대(411)의 단부에 연속된 삼각형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결속돌기(412)로 구성된다. 아울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는 타이홈(110)의 하단면에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즉,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는 본체(100)의 타이홈(110)의 하단에 연결되게 형성하거나 연결되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홈부(150)에는 결속수단(430a)을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하되, 결속수단(430a)은 연결대(433)와 결속타이(4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대(433)는 홈부(150)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다.
결속타이(434)는 연결대(433)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된다. 결속타이(434)에는 수직 장공(434a) 또는 수평 장공(434b)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타이(410)의 결속돌기(412)가 끼워져 체결된다.
그리하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의 단부(412b)를 본체로부터 떼어내고 휘어서 농작물의 가지(T)를 감싼 후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를 결속타이(434)의 수직 장공(434a) 또는 수평 장공(434b)에 끼우면 결속돌기(412)의 걸림턱(412a)이 수직 장공(434a) 또는 수평 장공(434b)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때, 농작물의 가지(T)의 굵기에 따라 타이(410)의 결속돌기(412)와 결속타이(434)의 수직 장공(434a) 또는 수평 장공(434b)의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를 결속타이(434)의 다수개의 수직 장공(434a) 또는 수평 장공(434b) 중 택일하여 끼움으로써 타이(410)가 농작물의 가지(T)를 타이트하게 견고히 묶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6)
첨부도면 도 18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부(400)에 해당하는 본체(100)의 일측 길이단부에는 타이홈(110)을 형성하고 타측 길이단부에는 홈부(150)를 형성한다.
타이홈(110)에는 타이(410)를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한다. 결속부(400)의 타이(410)는 타이홈(110)의 상단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연결대(411)와, 연결대(411)의 단부에 연속된 삼각형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결속돌기(412)로 구성된다. 아울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는 타이홈(110)의 하단면에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즉, 타이(100)의 결속돌기(412)는 본체(100)의 타이홈(110)의 하단에 연결되게 형성하거나 연결되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홈부(150)에는 결속수단(430b)을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하되, 결속수단(430b)은 연결대(435)와 결속타이(4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대(435)는 홈부(150)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다.
결속타이(436)는 수직으로 세워져서 가운데의 측면이 연결대(435)의 단부에 연결된다. 결속타이(436)에는 수직 장공(436a) 또는 수평 장공(436b)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타이(410)의 결속돌기(412)가 끼워져 체결된다.
그리하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의 단부(412b)를 본체로부터 떼어내고 휘어서 농작물의 가지(T)를 감싼 후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를 결속타이(436)의 수직 장공(436a) 또는 수평 장공(436b)에 끼우면 결속돌기(412)의 걸림턱(412a)이 수직 장공(436a) 또는 수평 장공(436b)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때, 농작물의 가지(T)의 굵기에 따라 타이(410)의 결속돌기(412)와 결속타이(436)의 수직 장공(436a) 또는 수평 장공(436b)의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를 결속타이(436)의 다수개의 수직 장공(436a) 또는 수평 장공(436b) 중 택일하여 끼움으로써 타이(410)가 농작물의 가지(T)를 타이트하게 견고히 묶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 1~6 외에도 결속부의 타이를 결속수단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과정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지지대 본체(100)에 농작물의 가지(T)를 거치시킨다.
그 다음, 본체(100) 하단부의 첨예부(300)를 지면에 박아 고정시킨다.
타이(410)의 결속돌기(412)의 단부를 본체로부터 떼어내어 휘어지게 하여 농작물의 가지(T)를 감싼 후 본체(100)의 결속수단(420)에 결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농작물의 가지(T)를 지지대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결속수단(420)은 최소 하나 이상 형성되므로 농작물의 가지(T)의 굵기에 따라 사용자가 택일하여 타이(410)를 결합함으로써 농작물의 가지(T)를 지지대에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100)에 거치대(140)를 형성하면 거치대(140)의 오목홈(141)에 농작물의 가지(T)를 거치한 후 결속부(400)에 의해 결속시킴으로써 농작물의 가지(T)를 지지대에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작물 지지대를 다수개를 배치한 후 지지대 상호간을 끈이나 줄로 연결하여 다수의 농작물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농작물 지지대 결속부(400)의 결속수단(420)에 끈이나 줄을 연결할 수 있고, 결속부(400)에 결속공(42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속공(421)을 관통하도록 끈이나 줄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는 지지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타이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가지를 고정시킬 수 있어서 별도로 타이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며 설치 및 분리 과정에서 타이가 지면에 버려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농지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지지대의 제조, 설치 및 분리가 쉽고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본체 110 : 타이홈
120 : 힘살 130 : 미끄럼방지 돌부
140 : 거치대 141 : 오목홈
150 : 홈부 200 : 헤드부
210 : 구멍 300 : 첨예부
400 : 결속부 410, 410a, 410b : 타이
411, 413, 415, 431, 433, 435 : 연결대
412, 414, 416 : 결속돌기 412a : 걸림턱
414a : 끼움홈 416a : 끼움공
420, 430, 430a, 430b : 결속수단 421 : 결속공
422 : 요홈 422a : 단속돌기
423 : 끼움돌기 423a : 단속돌기
432, 434, 436 : 결속타이 432a, 434a, 436a : 수직 장공
432b, 434b, 436b : 수평 장공 T : 가지

Claims (14)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본체(100);
    본체(100)의 상단부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헤드부(200);
    본체(100)의 하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첨예부(300);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농작물의 가지(T)를 결속시켜주는 결속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400)는, 본체(100)의 일측 길이단부에는 타이홈(110)을 형성하고 타측 길이단부에는 홈부(150)를 형성하며,
    상기 타이홈(110)에는 타이(410)를 본체(100)와 일체로 돌출형성하고,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는 연속된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홈부(150)에는 결속수단(430)을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결속수단(430)을 상기 홈부(150)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대(431) 및 상기 연결대(43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수직 장공(432a) 또는 수평 장공(432b)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타이(410)의 결속돌기(412)가 끼워져 체결되는 결속타이(432)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0)는 횡단면이 '
    Figure 112023045964894-pat00007
    '형태 또는 '
    Figure 112023045964894-pat00008
    '형태 또는 '
    Figure 112023045964894-pat00009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0)의 볼록한 후면에는 미끄럼방지 돌부(130)를 다수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거치대(140)를 돌출형성하여 거치대(140) 단부의 오목홈(141)에 가지를 거치하므로 더욱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0)에는 본체(100)의 길이선상으로 하나 이상의 결속부(400)를 형성하며 결속부(400)에 타이홈(110)을 일정깊이 형성하고, 타이홈(110) 내에 타이(410)를 본체(100)와 일체로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6. 제5항에 있어서,
    타이홈(110)의 상/하단에 타이(410)의 상/하단이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하고, 사용시에 타이(410)의 일단을 강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7. 제1항에 있어서,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는 연속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결속수단(430)은 상기 결속돌기(412)에 대응하여 결속돌기(412)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결속공(421)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8. 제1항에 있어서,
    타이(410a)의 결속돌기(414)는 양측 길이선상으로 끼움홈(414a)이 일정간격 형성되고,
    결속수단(420a)은 상기 결속돌기(414)에 대응하여 결속돌기(414)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요홈(422)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9. 제7항에 있어서,
    요홈(422)의 선단부의 양측면에는 단속돌기(422a)를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10. 제1항에 있어서,
    타이(410b)의 결속돌기(416)는 길이선상으로 끼움공(416a)이 일정간격 형성되고,
    결속수단(420b)은 상기 결속돌기(416)에 대응하여 결속돌기(416)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끼움돌기(423)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11. 제10항에 있어서,
    끼움돌기(423)의 선단부의 양측면에는 단속돌기(423a)를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결속부(400)는, 본체(100)의 일측 길이단부에는 타이홈(110)을 형성하고 타측 길이단부에는 홈부(150)를 형성하며,
    타이홈(110)에는 타이(410)를 본체(100)와 일체로 돌출형성하고,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는 연속된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며,
    홈부(150)에는 결속수단(430a)을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결속수단(430a)은,
    홈부(150)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연결대(433)와,
    연결대(433)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며 수직 장공(434a) 또는 수평 장공(434b)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타이(410)의 결속돌기(412)가 끼워져 체결되는 결속타이(4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400)는, 본체(100)의 일측 길이단부에는 타이홈(110)을 형성하고 타측 길이단부에는 홈부(150)를 형성하며,
    타이홈(110)에는 타이(410)를 본체(100)와 일체로 돌출형성하고, 타이(410)의 결속돌기(412)는 연속된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며,
    홈부(150)에는 결속수단(430b)을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결속수단(430b)은,
    홈부(150)의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연결대(435)와,
    수직으로 세워져서 가운데의 측면이 연결대(435)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직 장공(436a) 또는 수평 장공(436b)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타이(410)의 결속돌기(412)가 끼워져 체결되는 결속타이(4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KR1020220150778A 2022-08-30 2022-11-11 농작물 지지대 KR102548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09278 2022-08-30
KR1020220109278 2022-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138B1 true KR102548138B1 (ko) 2023-06-28
KR102548138B9 KR102548138B9 (ko) 2023-09-19

Family

ID=8699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778A KR102548138B1 (ko) 2022-08-30 2022-11-11 농작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1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780Y1 (ko) 1984-08-20 1986-10-18 황보종대 농작물 육성용 합성수지제 지지대
KR980000035U (ko) * 1996-06-22 1998-03-30 노용환 농작물 지지대
KR19990004709U (ko) * 1997-07-08 1999-02-05 조성근 재배식물 지지대
KR200377740Y1 (ko) * 2004-12-15 2005-03-11 이흥목 농작물 모 지지대
KR20080054948A (ko) * 2006-12-14 2008-06-19 권수영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KR20120005161A (ko) * 2010-07-08 2012-01-16 김기교 작물 지지 타이
KR20170016250A (ko) * 2015-08-03 2017-02-13 이규배 케이블 정리용 결속장치
KR20170038560A (ko) * 2015-09-30 2017-04-07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케이블 타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780Y1 (ko) 1984-08-20 1986-10-18 황보종대 농작물 육성용 합성수지제 지지대
KR980000035U (ko) * 1996-06-22 1998-03-30 노용환 농작물 지지대
KR19990004709U (ko) * 1997-07-08 1999-02-05 조성근 재배식물 지지대
KR200377740Y1 (ko) * 2004-12-15 2005-03-11 이흥목 농작물 모 지지대
KR20080054948A (ko) * 2006-12-14 2008-06-19 권수영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KR20120005161A (ko) * 2010-07-08 2012-01-16 김기교 작물 지지 타이
KR20170016250A (ko) * 2015-08-03 2017-02-13 이규배 케이블 정리용 결속장치
KR20170038560A (ko) * 2015-09-30 2017-04-07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케이블 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138B9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81825U (zh) 树木支撑台用连接部件
KR101789433B1 (ko) 농작물 지지대 및 이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의 제조방법
KR200466349Y1 (ko) 농작물 지지끈 연결용 클립
KR102548138B1 (ko) 농작물 지지대
US9723795B2 (en) Device for guiding growth of scaffold branches
KR20140091792A (ko) 농작물용 집게
KR200422095Y1 (ko) 농작물 고정용 유인고리
KR200466260Y1 (ko) 다용도 농작물 지주대
KR200469137Y1 (ko)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KR20160000335U (ko) 농작물 지지장치
KR200480484Y1 (ko) 농작물용 가지 유인구
JP5182795B2 (ja) 幼苗の接ぎ木具
KR20170130048A (ko)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KR200477174Y1 (ko) 농작물 지지대
KR200395966Y1 (ko) 수목가지 유인구
JP3187316U (ja) 農園芸用支柱のテープ係止具
JP2011223880A (ja) 農園芸用シート止着具
KR101451364B1 (ko) 농작물 지지대
KR20160026037A (ko) 묘목의 성장에 따라 넓어지는 묘목지지대
CN216087994U (zh) 一种树木支护结构
US20170071138A1 (en) Garden stake for securing plants
KR20150069456A (ko) 농작물 지지대의 양측에 고정하는 고정끈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띠
KR102611180B1 (ko)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
KR200488853Y1 (ko) 농작물 가지 유인구
JP3036759U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