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961B1 - 개폐형 지붕 구조물 - Google Patents

개폐형 지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961B1
KR102547961B1 KR1020210102797A KR20210102797A KR102547961B1 KR 102547961 B1 KR102547961 B1 KR 102547961B1 KR 1020210102797 A KR1020210102797 A KR 1020210102797A KR 20210102797 A KR20210102797 A KR 20210102797A KR 102547961 B1 KR102547961 B1 KR 10254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air
base frame
roofs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865A (ko
Inventor
오원대
오태오
오남경
Original Assignee
오원대
오태오
오남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대, 오태오, 오남경 filed Critical 오원대
Priority to KR102021010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96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3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pivoting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형 지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지붕을 구비하는 개폐형 지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양단부가 서로 다른 베이스 프레임에 접촉되어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내측 지붕과, 양단부가 서로 다른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어 내측 지붕의 수용이 가능하며,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지붕과,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한 쌍의 외측 지붕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이동 수단과,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한 쌍의 외측 지붕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한 쌍의 외측 지붕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제2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형 지붕 구조물{OPEN AND CLOSE TYPE ROOF STRUCTURE}
본 발명은 개폐형 지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지붕을 구비하는 개폐형 지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붕 구조물은 이동 통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비, 눈과 같은 악천후를 차단하는 것으로, 이동통로를 따라 양측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들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초기에 설치된 지붕 구조물은 지주에 지붕이 고정되는 구조를 가졌으나, 근래에는 환기의 용이성과, 화재 시 유독 가스의 배출을 위해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이 도입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6767호는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지붕, 고정 지붕 사이에 이동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지붕 및 이동 지붕을 이동시키는 개폐 수단으로 이루어진 개폐형 지붕 구조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개폐형 지붕 구조물은 이동 지붕 마다 개폐 수단이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제조 단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개폐수단을 각각 동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악천후 또는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가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지붕이 동시에 이동되도록 마련된 개폐형 지붕 구조물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676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지붕이 동시에 이동되도록 마련된 개폐형 지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양단부가 서로 다른 베이스 프레임에 접촉되어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내측 지붕과, 양단부가 서로 다른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어 내측 지붕이 수용 가능하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지붕과,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한 쌍의 외측 지붕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이동 수단과,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한 쌍의 외측 지붕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외측 지붕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제2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개폐형 지붕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이동 수단은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지지대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1나사산과 반대방향의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샤프트와, 어느 하나의 외측 지붕과 결합되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이동 블록과, 다른 하나의 외측 지붕과 결합되며, 제2나사산과 치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이동 블록을 포함하고,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외측 지붕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은 상면에 일정한 단면을 갖는 결합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측 지붕은 양단부의 하면에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되,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볼 캐스터가 함입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형 지붕 구조물은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내측 지붕과 타측에 위치한 외측 지붕을 상호 연결하여, 외측 지붕의 이동 시 내측 지붕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내측 지붕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권출될 수 있도록 회전체에 권취되며, 회전체로부터 권출된 부분은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와, 외측 지붕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와이어의 끝단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체와,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일단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체에 고정되며, 회전체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 쌍의 외측 지붕이 이동 수단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빠른 지붕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을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지붕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을 도시하는 우측면도로서, 지붕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의 베이스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의 제2이동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외측 지붕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의 이동 수단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개폐형 지붕 구조물(1)은 베이스 프레임(10), 내측 지붕(20), 외측 지붕(30), 제1이동 수단(40) 및 제2이동 수단(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은 내측 지붕(20)과 외측 지붕(3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주 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내측 지붕(20)은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는 구성요소로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을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다. 내측 지붕(2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측 지붕(20)은 원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중심부(21) 및 중심부(2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22)를 포함하여, 좌우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내측 지붕의 양단부(22)는 서로 다른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면과 접촉되어, 베이스 프레임(10)에 의해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외측 지붕(30)은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는 구성요소로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을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지붕(3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내측 지붕(20)의 수용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측 지붕(30)은 원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중심부(31) 및 중심부(31)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32)를 포함하여, 좌우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외측 지붕(30)의 양단부(32)는 서로 다른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에 이격되어 위치하여, 제1이동 수단(40) 및 제2이동 수단(50)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1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이동 수단(40)은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0a)에서 한 쌍의 외측 지붕(3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베이스 프레임(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외측 지붕(30)의 일측 단부(32)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이동 수단(40)은 한 쌍의 외측 지붕(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샤프트(41), 샤프트(4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42), 샤프트(4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제1이동 블록(43) 및 제2이동 블록(44)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41)는 일정한 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0a)의 상측에 베이스 프레임(10a)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41)는 그 길이가 한 쌍의 외측 지붕(30)의 폭을 합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42)는 베이스 프레임(10a)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입설되어 샤프트(41)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42)는 중심부에 샤프트(41)가 관통되는 중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 블록(43)은 샤프트(41)가 관통되는 관통공(4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외측 지붕(30a)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이동 블록(43)의 내주연에는 원활한 이동을 위해 하나 이상의 베어링(45)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이동 블록(44)은 샤프트(41)가 관통되는 관통공(4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외측 지붕(30b)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이동 블록(44)의 내주연에는 원활한 이동을 위해 하나 이상의 베어링(46)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외측 지붕(3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독립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2이동 수단(50)은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0b)에서 한 쌍의 외측 지붕(3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베이스 프레임(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외측 지붕(30)의 타측 단부(32)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이동 수단(50)은 한 쌍의 외측 지붕(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샤프트(51), 샤프트(5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52), 샤프트(5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제1이동 블록(53) 및 제2이동 블록(54)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51)는 일정한 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0b)의 상측에 베이스 프레임(10b)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51)는 그 길이가 한 쌍의 외측 지붕(30)의 폭을 합한 것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51)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제1나사산(5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1나사산(511)과 반대 방향의 제2나사산(512)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52)는 베이스 프레임(10b)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입설되어 샤프트(51)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42)는 중심부에 샤프트(51)가 관통되는 중공(5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5222)에는 샤프트(51)의 회전을 도모하는 베어링(526)이 결합될 수 있다.
제1이동 블록(53)은 어느 하나의 외측 지붕(30a)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샤프트(51)가 관통되는 관통공(5321)의 내주연을 따라 제1나사산(511)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 블록(54)은 다른 하나의 외측 지붕(30b)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샤프트(51)가 관통되는 관통공(5421)의 내주연을 따라 제2나사산(512)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샤프트(51)의 회전에 따라 제1이동 블록(53)과 제2이동 블록(54)은 샤프트(51)를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샤프트(51)의 회전에 따라 따라 제1이동 블록(53) 및 제2이동 블록(54)과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외측 지붕(3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개폐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측 지붕(30)이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샤프트(51)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한 쌍의 외측 지붕(3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양단부를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붕(20)에 포개지며 개방을 이룰 수 있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측 지붕(30)이 내측 지붕(20)에 포개지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샤프트(51)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한 쌍의 외측 지붕(3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심부를 향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를 이룰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한 쌍의 외측 지붕(30)이 제2이동 수단(50)에 의해 동시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어, 빠른 지붕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이동 수단(40)은 제2이동 수단(5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두 이동 수단의 샤프트는 타이밍 벨트(미도시)에 의해 동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이동 수단(40)은 제2이동 수단(50)과 함께 외측 지붕(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1)의 베이스 프레임(10)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내측 지붕(20)은 베이스 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0)은 상면에 일정한 단면을 갖는 결합돌기(1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내측 지붕(20)은 베이스 프레임(10)과 접촉하는 양단부(22)의 하면에 결합돌기(11)가 삽입되는 결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1) 및 결합홈(221)은 내측 지붕(20)이 상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단면이 뒤집힌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결합홈(221)의 내주면에는 원활한 이동을 위해 하나 이상의 볼캐스터(222)가 함입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대(52)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측으로 돌출부(5211)가 형성되는 제1몸체(521), 돌출부(5211)가 삽입되는 내부공간(5221)을 갖는 제2몸체(522), 제1몸체(521)에 결합되는 제1너트(523), 제2몸체(522)에 결합되는 제2너트(524) 및 회전에 따라 제1너트(523) 및 제2너트(524)의 이격거리를 조정하는 회전봉(5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52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10)에 수직 결합되고 상단의 중심부에 제1몸체(521)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사각 기둥 형태의 돌출부(5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522)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 개방된 내부공간(52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 샤프트(51)가 삽입되는 중공(52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너트(523) 및 제2너트(524)는 회전봉(525)이 관통되는 삽입홀(5231, 52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1몸체(521) 및 제2몸체(522)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봉(525)은 제1너트의 삽입홀(5231) 및 제2너트의 삽입홀(524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외주연을 따라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너트(523)는 회전봉(525)에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한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너트(524)는 회전봉(525)에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봉(525)의 회전에 따라 제1너트(523)와 제2너트(524)가 회전봉(525)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지지대(52)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제1이동 수단(40)의 지지대(42)도 상술한 제2이동 수단(50)의 지지대(52)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1)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지붕 구조물(1)은 연결 수단(60)을 추가로 구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주로 언급하기로 한다.
개폐형 지붕 구조물(1)은 외측 지붕(30)의 이동에 따라 내측 지붕(20)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연결 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수단(6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연결 수단(60a)은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내측 지붕(20a)과 타측에 위치한 외측 지붕(30b)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연결 수단(60b)은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한 내측 지붕(20b)과 일측에 위치한 외측 지붕(30a)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내측 지붕(20)과 외측 지붕(30)은 연결 수단(60)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내측 지붕(20)은 외측 지붕(30)의 이동에 따라 연결 수단(60)에 의해 당겨져 이동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 수단(60)은 내측 지붕(2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61), 하우징(6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62), 회전체에 권취되는 와이어(63) 및 와이어(63)의 끝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체(6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은 하우징(61)은 내부에 수용공간(6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 권출된 와이어(63)의 인출을 위한 인출공(61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61)은 두개의 분체(611, 61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공간(6111) 및 인출공(6112)도 절반으로 분할될 수 있다.
회전체(62)는 수용공간(6111)에 위치하며, 중심부에 하우징(61)에 형성된 고정돌기(6113)가 삽입 가능한 고정홀(621)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63)는 일단이 회전체(62)에 고정되되 회전체(62)의 회전에 따라 풀어질 수 있도록 회전체(62)에 권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끝단에 카라비너(63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카라비너(631)는 고정체(64)에 걸림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고정체(64)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63)는 한 쌍의 외측 지붕(30)이 상호 맞닿게 위치한 상태에서 하우징(61)으로부터 고정체(64)까지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64)는 하우징(6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외측 지붕(3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걸림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카라비너(631)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회전체(62)에 감긴 와이어(63)를 권출하여 카라비너(631)를 고정체(64)에 결합 또는 해제함으로써, 외측 지붕(30)의 이동에 따라 내측 지붕(20)이 함께 이동되도록 하거나, 외측 지붕(30)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수단(60)은 하우징(61)의 내부에 마련되며 변형에 따라 탄성 복원력을 갖는 나선형 스프링(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65)은 일정한 폭을 갖는 강선이 나선형으로 감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체(62)의 안착홈(622)에 배치되어 일단이 하우징(61)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이 회전체(6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6113) 및 회전체(62)는 나선형 스프링(65)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6114, 623)이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65)은 와이어(63)의 권출에 의한 회전체(62)의 회전에 따라 탄성 복원력을 축적할 수 있으며, 와이어(63)에 대한 외력이 해제될 때 회전체(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연결 수단(60)의 미사용시 와이어(63)가 자동으로 감겨 정리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외측 지붕(30)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측 지붕(30)이 베이스 프레임(1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측 지붕(30)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양단부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외측 지붕(30)과 연결 수단(60)에 의해 연결된 내측 지붕(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지붕(30)에 의해 이끌려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심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외측 지붕(30)의 이동에 따라, 내측 지붕(20)과 외측 지붕(30)의 위치가 상호 반전될 수 있다.
한편, 내측 지붕(20)과 외측 지붕(30)은 투명도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지붕(20)과 외측 지붕(30)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도가 10% 이하로 형성되어 그늘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는 햇빛의 진행 방향에 따라 연결 수단(60)을 통해 내측 지붕(20)과 외측 지붕(30)을 연결하고 외측 지붕(30)을 이동시킴으로써, 내측 지붕(20)과 외측 지붕(30)의 위치를 상호 반전시켜 지붕의 개방 없이도 그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개폐형 지붕 구조물
10 : 베이스 프레임
20 : 내측 지붕
30 : 외측 지붕
40 : 제1이동 수단
50 : 제2이동 수단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양단부가 서로 다른 베이스 프레임에 접촉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내측 지붕과,
    양단부가 서로 다른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내측 지붕이 수용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지붕과,
    상기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외측 지붕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이동 수단과,
    상기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외측 지붕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외측 지붕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제2이동 수단과,
    상기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내측 지붕과 타측에 위치한 외측 지붕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외측 지붕의 이동 시 상기 내측 지붕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내측 지붕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권출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에 권취되며, 상기 회전체로부터 권출된 부분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와,
    상기 외측 지붕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끝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체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지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지지대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나사산과 반대방향의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샤프트와,
    어느 하나의 외측 지붕과 결합되며, 상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이동 블록과,
    다른 하나의 외측 지붕과 결합되며, 상기 제2나사산과 치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이동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외측 지붕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지붕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면에 일정한 단면을 갖는 결합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내측 지붕은, 양단부의 하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볼 캐스터가 함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지붕 구조물.
  4. 삭제
  5. 삭제
KR1020210102797A 2021-08-04 2021-08-04 개폐형 지붕 구조물 KR10254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97A KR102547961B1 (ko) 2021-08-04 2021-08-04 개폐형 지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97A KR102547961B1 (ko) 2021-08-04 2021-08-04 개폐형 지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865A KR20230020865A (ko) 2023-02-13
KR102547961B1 true KR102547961B1 (ko) 2023-06-29

Family

ID=8520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797A KR102547961B1 (ko) 2021-08-04 2021-08-04 개폐형 지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9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250Y1 (ko) * 2004-09-22 2004-12-04 신수학 개방형 지붕
KR101188735B1 (ko) * 2012-05-03 2012-10-10 박준 상?하부지붕이 동시에 구동되는 아케이드 및 상?하부지붕의 구동방법
KR101303089B1 (ko) * 2012-08-28 2013-09-06 (주)동신캐노피 다기능 전동개폐장치를 가지는 아케이드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90A (ja) * 1997-06-12 1999-01-06 Matsushita Seiko Eng Kk 開閉式建物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部
KR100786767B1 (ko) 2006-10-16 2007-12-21 주식회사 장학산업 슬라이드식 개방형 지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250Y1 (ko) * 2004-09-22 2004-12-04 신수학 개방형 지붕
KR101188735B1 (ko) * 2012-05-03 2012-10-10 박준 상?하부지붕이 동시에 구동되는 아케이드 및 상?하부지붕의 구동방법
KR101303089B1 (ko) * 2012-08-28 2013-09-06 (주)동신캐노피 다기능 전동개폐장치를 가지는 아케이드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865A (ko)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304B1 (en) Tiltable sunshade
US10954689B2 (en) Awning apparatus
CN107599953B (zh) 遮蔽篷装置
US8627738B2 (en) Linear-curvilinear actuating apparatus with rotating joints
US8522804B1 (en) Tiltable sunshade
US11375788B2 (en) Luggage with support
US8899250B1 (en) Tiltable sunshade
KR102547961B1 (ko) 개폐형 지붕 구조물
JP2015213974A (ja) 直動伸縮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直動伸縮式ゲート装置
US20170260787A1 (en) Slide door apparatus for vehicle
KR101282083B1 (ko) 출렁거림 없이 안정적으로 제동되는 포켓문용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JP4277932B2 (ja) ドア構造
US20120031005A1 (en) Suspended pulley structure for movable and folding doors
JP6496465B2 (ja) 3面構造を持つフォールディングドアの折り畳み装置
US20100269292A1 (en) Block and tackle window balance device
JP6389369B2 (ja) 引き折戸装置
JP5916090B2 (ja) 伸縮門扉
JP4476600B2 (ja) 伸縮式開閉案内装置と該装置を備えた建具
JP2008223259A (ja) スクリーン装置
JP2008038391A (ja) 引き戸装置
KR200239297Y1 (ko) 슬라이딩 게이트
KR102602330B1 (ko) 접이식 도어
JP2019183552A (ja) 連動開閉引戸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10252301A (ja) 伸縮式車庫
EP2668866B1 (en) Tiltable sunsh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