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939B1 -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939B1
KR102547939B1 KR1020210044480A KR20210044480A KR102547939B1 KR 102547939 B1 KR102547939 B1 KR 102547939B1 KR 1020210044480 A KR1020210044480 A KR 1020210044480A KR 20210044480 A KR20210044480 A KR 20210044480A KR 102547939 B1 KR102547939 B1 KR 10254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fuel
injection hole
fuel injec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612A (ko
Inventor
진상욱
최호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44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9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02C7/222Fuel flow conduits, e.g.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8Cooling; Heating; Heat-insulation
    • F01D25/1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4Cooling of plants of fluids in the plant, e.g. lubricant or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는, 챔버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스트럿;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스트럿의 내부에서 연료가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연료 공급로; 및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통하고, 상기 스트럿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 분사공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럿의 주변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류 부분을 상기 스트럿의 전방부, 하류 부분을 상기 스트럿의 후방부라고 할 때, 상기 스트럿은, 상기 전방부에서 상기 후방부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다가 좁아지고, 상기 연료 분사공은, 스트럿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 분사공; 및 스트럿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분사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APPARATUS INJECTING FUEL AND ENGINE MODULE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설명은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에 관한 것이다.
공기흡입 엔진은 외부의 공기에서 받아들인 공기를 압축하여 연료와 혼합한 후 연소를 시켜 필요한 추력을 얻는 장치이다. 가스 터빈 엔진은 회전형 블레이드를 갖는 압축기에서 압축을 하여 유입 공기의 압력을 높이지만, 고속 엔진의 경우 램효과에 의한 감속 만으로 필요한 수준으로 압력을 높일 수 있다. 램제트 엔진의 경우 감속을 아음속까지 시키지만, 듀얼모드 램제트 엔진, 듀얼모드 스크램제트 엔진, 스크램 제트 엔진의 경우, 엔진 내부의 유동을 초음속으로 유지하여 감속에 따른 정온도 회복 및 압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이와 같이 내부 유동의 유속이 초음속인 경우 벽면에서 연료를 분사하면 연료의 침투거리가 짧아 연소 효율이 낮아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중에 하나가 하이퍼믹서(Hypermixer)이다. 하이퍼믹서는 스트럿 형 또는 벽면 형이 있는데, 스트럿 타입은 주 유동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연료의 분사 위치가 연료의 침투거리가 된다. 후방에는 엇갈린 형태의 깃이 있어 공기와 연료의 혼합이 증진된다. 스트럿의 구조물 전방부에는 감속에 따른 정온도 회복으로 높은 온도가 걸리며 고속 비행의 경우 구조물의 내열 한계를 넘어가는 온도가 형성되므로 파손이 일어난다. 전방부에 대한 냉각 개념이 없는 경우 장시간 사용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09-0055412호(공개일 2009년 06월02일)에는 램제트 엔진 내부에서 연료 및 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구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연료의 침투 거리를 늘리고, 연료 및 공기의 혼합을 증가시킴으로써,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는, 챔버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스트럿;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스트럿의 내부에서 연료가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연료 공급로; 및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통하고, 상기 스트럿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 분사공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럿의 주변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류 부분을 상기 스트럿의 전방부, 하류 부분을 상기 스트럿의 후방부라고 할 때, 상기 스트럿은, 상기 전방부에서 상기 후방부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다가 좁아지고, 상기 연료 분사공은, 스트럿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 분사공; 및 스트럿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분사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공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럿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분사공의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공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전방부에서 상기 후방부로 갈수록 상기 제2 분사공의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공은, 상기 전방부에서 상기 후방부를 향하여 복수 개가 복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로는, 상기 후방부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주입공; 주입된 연료를 상기 스트럿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안내하는 냉각로; 상기 냉각로의 상단에 연통하고 상기 스트럿의 윗면의 내벽을 따라서 상기 전방부로 연장하는 연결로; 및 상기 연결로의 전단에 연통하고 상기 스트럿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료 분사공에 연통하는 분사로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가 상기 주입공, 상기 냉각로, 상기 연결로 및 상기 분사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스트럿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럿은, 모서리를 형성하는 두 개의 하단 측면과, 상기 두 개의 하단 측면을 연결하는 하단 절곡면을 구비하는 하단부; 및 상기 두 개의 하단 측면과 각각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두 개의 상단 측면과, 상기 두 개의 상단 측면을 연결하는 상단 절곡면을 구비하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하단 측면 중 긴 하단 측면과 상기 하단 절곡면이 만나서 이루는 부분을 하단 깃이라 하고, 상기 두 개의 상단 측면 중 긴 상단 측면과 상기 상단 절곡이 만나서 이루는 부분을 상단 깃이라 할 때, 상기 냉각로는, 상기 하단 깃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상단 깃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연료가 상기 하단 깃의 내부 공간을 거쳐서 상기 상단 깃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엔진 모듈은, 연료가 연소하는 공간을 구비한 챔버; 및 연료가 분사되기 전에 연료 공급로를 통하여 유동함으로써 냉각되는 연료 분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챔버의 내벽에 복수 개의 상기 연료 분사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 분사 장치는, 챔버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스트럿;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스트럿의 내부에서 연료가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연료 공급로; 및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통하고, 상기 스트럿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 분사공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 분사공은, 스트럿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 분사공; 및 스트럿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분사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공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럿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분사공의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스트럿의 주변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류 부분을 상기 스트럿의 전방부, 하류 부분을 상기 스트럿의 후방부라고 할 때, 상기 제2 분사공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전방부에서 상기 후방부로 갈수록 상기 제2 분사공의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연료 분사 장치는, 상기 챔버의 상기 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챔버의 직경은, 상기 연료 분사 장치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길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은, 연료의 침투 거리를 늘리고, 연료 및 공기의 혼합을 증가시킴으로써,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엔진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엔진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엔진 모듈(1)은, 내부에서 연료가 분사되는 침투거리가 길고, 연료과 공기의 혼합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모듈(1)은, 챔버(11) 및 연료 분사 장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1)는, 연료가 연소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11) 내부에서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가 발생할 수 있다. 챔버(11)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연료 분사 장치(12)의 설치 또는 구조상의 이유로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료 분사 장치(12)는, 챔버(11)의 내벽에 설치되고, 챔버(11)의 내부 공간으로 연료를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분사 장치는, 내벽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고, 챔버(11)의 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 대칭(또는 엇갈려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료 분사 장치(12)는 두 개의 측면과 상면을 통하여 연료를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료 분사 장치(12)의 배열 및 분사 방식에 따르면, 챔버(11) 내에서 연료 분사 장치(12)를 통해 분사되는 연료의 밀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연료 분사 장치(12)는, 베이스(121), 스트럿(122), 연료 공급로(123) 및 연료 분사공(12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1)는, 챔버(1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21)는 챔버(11)의 내벽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21)는, 챔버(11)의 내벽의 일부인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스트럿(122)은, 베이스(121) 위에 배치되고, 유체가 흐르는 방향(예: 도 3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단면이 넓어지다가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럿(122)은, 베이스(121) 위에 배치되고, 높이에 따라서 단면의 형상이 다른 2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럿(122)은 하단부(1222) 및 상단부(12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류 부분을 스트럿(122)의 "전방부", 하류 부분을 스트럿(122)의 "후방부"라고 할 수 있다.
하단부(1222)는, (i) 엔진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마주하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두 개의 측면과, (ii) 두 개의 측면을 연결하는 하단 절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단부(1221)는, (i) 하단부의 두 개의 측면과 각각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두 개의 측면과, (ii) 두 개의 측면을 연결하는 상단 절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절곡면은, 하단 절곡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하단 절곡면과, 양 측면 중 더 긴 측면이 만나서 이루는 부분을 "하단 깃"이라 하고, 상단 절곡면과, 양 측면 중 더 긴 측면이 만나서 이루는 부분을 "상단 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공급로(123)의 일부는 상단 깃 및 하단 깃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단 절곡면 및 하단 절곡면이 만나는 지점과, 연료 분사 장치(12)의 전방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도 3의 좌우 방향의 a-a)을 기준으로 상단부(1221) 및 하단부(1222)의 형상이 대칭일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단 깃과 하단 깃은, 위 언급된 가상의 선(a-a)(이하, 대칭축이라함)을 기준으로 선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료 공급로(123)는, 베이스(121) 및 스트럿(122)의 내부에서 연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공급로(123)는 스트럿(122)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연료 분사공(124)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공급로(123)는, 베이스(121) 상에 형성된 구멍에서 연료 분사공(124)까지 스트럿(122)의 내부를 우회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공급로(123)는, 주입공(1231), 냉각로(1232), 연결로(1233) 및 분사로(1234)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공(1231)은, 베이스(1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공(1231)은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주입공(1231)을 통하여 유입된 연료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유동되면서, 연료 분사 장치(12)에 대한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료의 이동 경로에 의해 연료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주유동 침투 거리가 증가되며, 연료 및 공기의 혼합 효율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공(1231)은, 도 3과 같이, 상하 방향(연료 분사 장치(12)의 높이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단부(1221) 및 하단부(1222)가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공(1231)은 도 3의 가상의 선(a-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연료 분사 장치(12)에 대한 냉각 효과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공(1231)은, 상단부(1221) 및 하단부(1222)가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냉각로(1232)는, 스트럿(122)의 높이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로(1232)는, 상단 깃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및 하단 깃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연결로(1233)는, 냉각로(1232)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으로써, 스트럿(12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로(1233)는, 스트럿(122)의 윗면의 내벽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로(1234)는, 연결로(1233)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으로써, 스트럿(122)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연료 분사공(124)에 연통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냉각로(1232), 연결로(1233) 및 분사로(1234)는,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면서, 연료 분사 장치(12)의 내부 흐르는 연료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안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연료 분사공(124)을 통해 연료가 연료 분사 장치(12)의 외부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즉, 연료는 주입공(1231), 냉각로(1232), 연결로(1233) 및 분사로(123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스트럿(122)을 냉각시킬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연료 자체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연소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연료가 하단 깃의 내부 공간을 거쳐서 상단 깃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함으로써, 특히 냉각로(1232)에 체류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스트럿(122)의 후방부을 집중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연료 분사공(124)은 스트럿(122)을 관통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료 분사공(124)은, 스트럿(122)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연료 분사공(124)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분사공(124)은 제1 분사공(1241) 및 제2 분사공(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공(1241)은, 스트럿(12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공(1241)은, 스트럿(122)의 두 개의 측면에 모서리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일 측면에 배치된 제1 분사공(1241)과 타 측면에 배치된 제1 분사공(1241)이 가상의 연장선에서 만나지 않도록 교번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분사공(1241)을 통하여 분사된 연료는, 스트럿(122)의 측면을 따라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이동하여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제2 분사공(1242)은, 스트럿(12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분사공(1241)은, 스트럿(122)의 전방부에 위치한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분사공(1242)을 통하여 분사된 연료는 챔버(11)의 단면 중심을 항햐여 분사될 수 있고, 연료의 침투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분사공 및 제2 분사공에 관한 내용은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료 분사공(224)은, 제1 분사공(1241) 및 제2 분사공(2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사공(2242)은,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방부에서 후방부를 향하여 복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제2 분사공(2242)은, 스트럿(122)의 대칭축을 기준으로 스트럿(122)의 각 측면이 이루는 각도와 각각 평행하도록 전방부에서 후방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료 분사공(324)은, 제1 분사공(1241) 및 제2 분사공(3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사공(3242)은,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스트럿(122)의 대칭축을 기준으로 스트럿(122)의 각 측면이 이루는 각도와 각각 평행하도록 전방부에서 후방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분사공(3242)은,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스트럿(122)의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하여 공기 저항을 크게 받으므로, 스트럿(122)의 전방부에 위치한 구멍에서 분사되는 연료는, 후방부에서의 공기 저항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외부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부에 위치한 구멍에서는, 구멍의 단면적의 크기뿐 만 아니라, 공기 저항을 덜 받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연료가 분사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연료 분사공(424)은, 제1 분사공(1241) 및 제2 분사공(4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사공(4242)은, 스트럿(122)의 대칭축 상에 하나씩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분사공(4242)은,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제2 분사공(4242)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일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연료 분사공(524)은, 제1 분사공(2241) 및 제2 분사공(1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공(2241)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스트럿(122)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스트럿(122)의 상단은 하단에 비하여 공기 저항을 크게 받으므로, 스트럿(122)의 상단에 위치한 구멍에서 분사되는 연료는, 하단에서의 공기 저항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외부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단부에 위치한 구멍에서는, 구멍의 단면적의 크기 뿐만 아니라, 공기 저항을 덜 받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연료가 분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1)

  1. 챔버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스트럿;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스트럿의 내부에서 연료가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연료 공급로; 및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통하고, 상기 스트럿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 분사공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럿의 주변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류 부분을 상기 스트럿의 전방부, 하류 부분을 상기 스트럿의 후방부라고 할 때,
    상기 스트럿은,
    상기 전방부에서 상기 후방부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다가 좁아지고,
    상기 연료 분사공은,
    상기 스트럿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통하는 제1 분사공; 및
    상기 스트럿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통하는 제2 분사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된 연료는, 상기 스트럿의 측면을 따라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이동하여 공기와 혼합되고,
    상기 제2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된 연료는, 상기 스트럿의 상면을 따라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이동하여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공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럿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분사공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사공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전방부에서 상기 후방부로 갈수록 상기 제2 분사공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사공은,
    상기 전방부에서 상기 후방부를 향하여 복수 개가 복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로는,
    상기 후방부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주입공;
    주입된 연료를 상기 스트럿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안내하는 냉각로;
    상기 냉각로의 상단에 연통하고 상기 스트럿의 윗면의 내벽을 따라서 상기 전방부로 연장하는 연결로; 및
    상기 연결로의 전단에 연통하고 상기 스트럿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료 분사공에 연통하는 분사로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가 상기 주입공, 상기 냉각로, 상기 연결로 및 상기 분사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스트럿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은,
    모서리를 형성하는 두 개의 하단 측면과, 상기 두 개의 하단 측면을 연결하는 하단 절곡면을 구비하는 하단부; 및
    상기 두 개의 하단 측면과 각각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두 개의 상단 측면과, 상기 두 개의 상단 측면을 연결하는 상단 절곡면을 구비하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하단 측면 중 긴 하단 측면과 상기 하단 절곡면이 만나서 이루는 부분을 하단 깃이라 하고,
    상기 두 개의 상단 측면 중 긴 상단 측면과 상기 상단 절곡이 만나서 이루는 부분을 상단 깃이라 할 때,
    상기 냉각로는,
    상기 하단 깃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상단 깃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연료가 상기 하단 깃의 내부 공간을 거쳐서 상기 상단 깃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
  7. 연료가 연소하는 공간을 구비한 챔버; 및
    연료가 분사되기 전에 연료 공급로를 통하여 유동함으로써 냉각되는 연료 분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챔버의 내벽에 복수 개의 상기 연료 분사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 분사 장치는,
    챔버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스트럿;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스트럿의 내부에서 연료가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연료 공급로; 및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통하고, 상기 스트럿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료 분사공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 분사공은,
    스트럿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통하는 제1 분사공; 및
    스트럿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통하는 제2 분사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된 연료는, 상기 스트럿의 측면을 따라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이동하여 공기와 혼합되고,
    상기 제2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된 연료는, 상기 스트럿의 상면을 따라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이동하여 공기와 혼합되고, 상기 챔버의 단면 중심을 항하여 분사되므로, 연료의 침투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공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럿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분사공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듈.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의 주변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류 부분을 상기 스트럿의 전방부, 하류 부분을 상기 스트럿의 후방부라고 할 때,
    상기 제2 분사공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전방부에서 상기 후방부로 갈수록 상기 제2 분사공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듈.
  10. 제7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연료 분사 장치는,
    상기 챔버의 상기 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 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듈.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직경은,
    상기 연료 분사 장치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듈.
KR1020210044480A 2021-04-06 2021-04-06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 KR10254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80A KR102547939B1 (ko) 2021-04-06 2021-04-06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80A KR102547939B1 (ko) 2021-04-06 2021-04-06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12A KR20220138612A (ko) 2022-10-13
KR102547939B1 true KR102547939B1 (ko) 2023-06-27

Family

ID=8359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480A KR102547939B1 (ko) 2021-04-06 2021-04-06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342B1 (ko) * 2023-01-26 2023-11-29 국방과학연구소 T형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4914A (en) 1990-04-30 1993-06-0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ranslating cowl inlet with retractable propellant injection struts
US5865025A (en) 1996-06-24 1999-02-02 Aerospatiale Societe Nationale Industrielle Fuel injection stub for a ramjet operating at a high Mach numb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0074A (en) * 1975-01-08 1976-07-13 Hitachi Ltd Gasuenshinbunrikino keigasunukidashihoho oyobi sonosochi
JPS5272411A (en) * 1975-12-15 1977-06-16 Shinko Electric Co Ltd Method of operating induction synchronous mo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4914A (en) 1990-04-30 1993-06-0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ranslating cowl inlet with retractable propellant injection struts
US5865025A (en) 1996-06-24 1999-02-02 Aerospatiale Societe Nationale Industrielle Fuel injection stub for a ramjet operating at a high Mach nu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12A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3538B2 (en) Ducted combustion systems utilizing duct structures
US9599411B2 (en) Double-jet type film cooling structure
CN105180212B (zh) 超燃冲压发动机燃烧室
US20200191045A1 (en) Engine mixing structures
US11008932B2 (en) Engine mixing structures
JP3977454B2 (ja) 燃焼室
US9915190B2 (en) Ducted combustion systems utilizing Venturi ducts
US20180195430A1 (en) Ducted combustion systems utilizing flow field preparation
JPH04219452A (ja) 入口と一体の燃焼器を有するスクラムジェット
US20150040576A1 (en) Counter swirl doublet combustor
KR102547939B1 (ko)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
JP6258101B2 (ja) ジェットエンジン、飛しょう体及びジェットエンジンの動作方法
KR20060029203A (ko) 고리형 터빈 엔진 연소 챔버
US20170089584A1 (en) Vortex generator, and fuel injection system of a gas turbine with such vortex generator
KR102499813B1 (ko) 연료 분사 장치
KR101046759B1 (ko) 스크램제트엔진 연소기용 연소증진보염기
JP3899383B2 (ja) 燃料噴射装置
CN111566331B (zh) 燃气发动机及具备该燃气发动机的船舶
KR100399109B1 (ko) 내연기관의흡기장치
JP2998405B2 (ja) スクラムジェットエンジン
KR102607342B1 (ko) T형 연료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모듈
US7762071B2 (en) Injection device for combustion chambers of liquid-fueled rocket engines
JP2017089574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弁及び内燃機関
JP2687803B2 (ja) スクラムジェットエンジン
CN111023150A (zh) 一种燃烧室展向支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