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714B1 -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Google Patents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7714B1 KR102547714B1 KR1020220066972A KR20220066972A KR102547714B1 KR 102547714 B1 KR102547714 B1 KR 102547714B1 KR 1020220066972 A KR1020220066972 A KR 1020220066972A KR 20220066972 A KR20220066972 A KR 20220066972A KR 102547714 B1 KR102547714 B1 KR 102547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water flow
- discharge
- flow guid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6 p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링관(10);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좌측 후단부위가 제1고정단(12)의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고, 외면부위가 커플링관(10)의 하측 내면부위에 밀착되는 제1가이드몸체(21);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우측 후단부위가 제2고정단(12)의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고, 외면부위가 커플링관(10)의 상측 내면부위에 밀착되며, 양측단 부위 각각이 제1가이드몸체(21)의 양측단 부위 각각과 밀착되는 제2가이드몸체(26);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외면부위가 제1가이드몸체(21)의 내면부위에 밀착 결합되고,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제1유수가이드(31);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외면부위가 제2가이드몸체(26)의 내면부위에 밀착 결합되고, 우측 단부에서 좌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양측단 부위 각각이 제1유수가이드(31)의 양측단 부위 각각과 밀착되는 제2유수가이드(36); 환형 구조로 이루어져 전면부위가 제1, 2고정단(12, 13) 각각의 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는 결합링(41), 전방부위가 개구된 반구 구조로 이루어져 밀착단(41) 후방부위에 마련되는 배출유도구(42), 일정길이로 절개되는 배출홈(43)이 구비되는 탄성재질의 배출가이드(40);를 포함하는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역지변 구조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시에 많은 양의 하수가 유입되는 경우는 물론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하수가 유입되더라도 배출배관 방향으로 신속하게 배출시켜, 배관 내부에 하수가 정체되거나 고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의 역류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바닥면 아래에 설치되는 하수배관이나 상수배관을 따라 유도되는 하수나 상수는 시간대에 따라 그 유량이 변화하게 되는데,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배관의 특성상 물 사용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면 그 유속이 감소함에 따라, 배관의 후방부위에 하수 등이 정체되거나 고이게 되어 악취가 배관을 통해 생활공간 방향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악취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관련 업계에서는 배관 시공시 배관의 말단부위에 역지변을 설치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역지변은 도 8에 개시된 것과 같이, 힌지(14)를 기점으로 개폐구(13)가 일방향 유수(좌측에서 우측으로 유동)에 대해서만 작동하면서 역지변(10)의 내부유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련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러한 구조의 역지변은 대개의 경우, 역지변에 형성되는 내부유로의 단부와 개폐구 전면부위 사이의 기밀성을 담보하면서도, 힌지를 기점으로 개폐구가 반복하며 작동할 수 있도록 개폐구 자체를 고무와 같은 연질의 탄성판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개폐구의 모서리부위를 따라 연지의 탄성링을 매개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역지변은, 개폐구의 전면부위에 유수가 일정압력 이상으로 작용하여야 개폐구가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개폐구를 개방시킬 수 없는 정도로 소량의 하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하수는 역지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관 내부에 그대로 고이게 된다. 이럴 경우, 역지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관 내부에 고여 있던 하수 등으로 인해 악취 등이 생활공간 방향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배관을 따라 유입되는 하수 등의 흐름을 제어하여 유량에 관계없이 하수 등을 보다 신속하게 배출배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역지변 구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면 중앙부위에서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단(11), 중앙부위 내면의 좌측부위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단(12), 제1고정단(12)과 대향하며 중앙부위 내면의 우측부위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단(13)이 구비되는 커플링관(10);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좌측 후단부위가 제1고정단(12)의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고, 외면부위가 커플링관(10)의 하측 내면부위에 밀착되는 제1가이드몸체(21);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제1가이드몸체(21)와 대향하되, 우측 후단부위가 제2고정단(12)의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고, 외면부위가 커플링관(10)의 상측 내면부위에 밀착되며, 양측단 부위 각각이 제1가이드몸체(21)의 양측단 부위 각각과 밀착되는 제2가이드몸체(26);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외면부위가 제1가이드몸체(21)의 내면부위에 밀착 결합되고,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제1유수가이드(31);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외면부위가 제2가이드몸체(26)의 내면부위에 밀착 결합되고, 우측 단부에서 좌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양측단 부위 각각이 제1유수가이드(31)의 양측단 부위 각각과 밀착되는 제2유수가이드(36); 환형 구조로 이루어져 전면부위가 제1, 2고정단(12, 13) 각각의 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는 결합링(41), 전방부위가 개구된 반구 구조로 이루어져 밀착단(41) 후방부위에 마련되는 배출유도구(42), 일정길이로 절개되어 배출유도구(42)의 후방부위에 형성되는 배출홈(43)이 구비되는 탄성재질의 배출가이드(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이드몸체(21)의 좌측 후단부위에는 커플링관(10)의 제1고정단(12)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는 제1결합편(22)이 마련되고, 상기 제2가이드몸체(26)의 우측 후단부위에는 커플링관(10)의 제2고정단(13)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는 제2결합편(27)이 마련되며;상기 제1결합편(22) 후방부위에는 제1가이드면(23)이 제1고정단(12) 후면부위까지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편(27) 후방부위에는 제2고정단(13) 후면부위까지 제2가이드면(28)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내면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의 폭은 좌, 우측 각각에서 우, 좌측 각각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거나, 또는 중앙부위에서 좌측 및 우측 각각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수가이드(31)의 후방부위에는 외면부위가 제1가이드몸체(21)의 제1가이드면(23) 내면부위와 밀착되는 제1유수가이드면(33)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유수가이드(36)의 후방부위에는 외면부위가 제2가이드몸체(26)의 제1가이드면(28) 내면부위와 밀착되는 제2유수가이드면(38)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수가이드(31)의 전방부위에는 후면부위가 제1유수가이드(31)의 전면부위에 밀착 결합되는 제1보조유수가이드(61)가 마련되되, 상기 제1보조유수가이드(61)는 후단 부위에서 전단 부위 및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 각각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상기 제2유수가이드(36)의 전방부위에는 후면부위가 제2유수가이드(36)의 전면부위에 밀착 결합되는 제2보조유수가이드(66)가 마련되되, 상기 제2보조유수가이드(66)는 후단 부위에서 전단 부위 및 우측 단부에서 좌측 단부 각각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40)의 배출유도구(42) 상측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단(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단(44)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지지단(44)은 배출구(42)의 상측 중앙부위에 좌, 우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40)의 후방에는 지지가이드(50)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가이드(50)는 환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가이드(40)의 밀착단(41) 후면부위에 밀착되어 제1, 2고정단(12, 13) 각각의 후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가압링(51) 및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결합링(51) 후방부위에 형성되는 안치가이드(5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치가이드(52)의 내면부위는 하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되고, 전단 부위에서 후단 부위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입배관과 배출배관 사이에 역지변을 매개하여 하수 등을 배출배관으로 전달함에 있어, 단면 형상이 일정각도 편향된 타원을 이루며 대칭 구조를 가지는 유수가이드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하수가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시에 많은 양의 하수가 유입되는 경우는 물론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하수가 유입되더라도 배출배관 방향으로 신속하게 배출시켜, 배관 내부에 하수가 정체되거나 고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의 역류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횡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있어 A-A′라인의 개략적인 종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에 있어 제1, 2가이드몸체의 개략적인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에 있어 제1, 2유수가이드 개략적인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에 있어 제1, 2유수가이드의 개략적인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 구성도.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도 5에 있어 B-B′라인 및 C-C′라인 각각의 개략적인 종단면 확대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에 있어 배출가이드 및 지지가이드에 대한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측면 구성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에 있어 배출가이드 및 지지가이드에 대한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도 8은 종래 역지변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횡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있어 A-A′라인의 개략적인 종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에 있어 제1, 2가이드몸체의 개략적인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에 있어 제1, 2유수가이드 개략적인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에 있어 제1, 2유수가이드의 개략적인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 구성도.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도 5에 있어 B-B′라인 및 C-C′라인 각각의 개략적인 종단면 확대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에 있어 배출가이드 및 지지가이드에 대한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일측면 구성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역지변에 있어 배출가이드 및 지지가이드에 대한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도 8은 종래 역지변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횡단면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유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역지변의 구조로서, 커플링관(10), 제1, 2가이드몸체(21, 26), 제1, 2유수가이드(31, 36), 배출가이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커플링관(10)은 본 발명에 있어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 일정직경을 가지는 관 구조를 가지며, 밀착단(11) 및 제1, 2고정단(12, 13) 각각이 마련된다. 밀착단(11)은 외면 중앙부위에서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1과 같이, 밀착단(11)의 좌측부위에는 유입배관(1)의 타단부위가 밀착 결합되고, 밀착단(11)의 우측부위에는 배출배관(1)의 일단부위가 밀착 결합된다.
도 2와 같이, 제1고정단(12)은 커플링관(10)의 중앙부위 내면 좌측부위에서 일정폭 및 일정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제2고정단(13)은 제1고정단(12)과 대향하며 커플링관(10)의 중앙부위 내면 우측부위에서 일정폭 및 일정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된다.
도면에는 제1, 2고정단(12, 13) 각각이 커플링관(10)의 중심축부위를 기점으로, 제1고정단(12)은 그 하방에 위치하고, 제2고정단(13)은 그 상방에 위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후술할 제1, 2유수가이드(31, 36)에 의한 유수 흐름 제어에 대응되어 그 위치를 달리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커플링관(10)은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같이, 제1가이드몸체(21)는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좌측 후단부위가 제1고정단(12)의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고, 그 외면부위는 커플링관(10)의 하측 내면부위에 밀착된다. 제2가이드몸체(26)는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제1가이드몸체(21)와 대향하며, 그 우측 후단부위가 제2고정단(12)의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고, 그 외면부위는 커플링관(10)의 상측 내면부위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몸체(21)의 양측단 부위 각각은 제1가이드몸체(21)의 양측단 부위 각각과 밀착된다. 즉, 제1, 2가이드몸체(21, 26)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방향을 달리하며 커프링관(10)의 내면 하, 상부 각각에 밀착된다. 이때, 제1, 2가이드몸체(21, 26) 각각에는 제1, 2결합편(22, 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편(22)은 제1가이드몸체(21)의 좌측 후단부위에 형성되어 커플링관(10)의 제1고정단(12)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고, 제2결합편(27)은 제2가이드몸체(26)의 우측 후단부위에 형성되어 커플링관(10)의 제2고정단(13)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21, 131 각각은 제1, 2결합편(22, 27) 각각의 제1, 2결합편관통공(221, 271) 각각과의 결합을 위한 제1, 2체결공이다.
또한, 도 3에 있어 도면부호 214, 264 각각은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과의 결합을 위한 제1, 2가이드몸체결합홈부이며, 도면부호 215, 265 각각은 도 2에 개시된 커플링관(10)의 하, 상부 내면 각각에 형성되는 제1, 2커플링관결합홈부(15, 16) 각각과의 결합을 위한 형성되는 제1, 2가이드몸체돌출단부이다.
이때,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제1, 2결합편(22, 27) 각각의 후방부위에는 제1, 2가이드면(23) 각각이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2가이드면(23)은 후술할 제1, 2유수가이드면(33, 38) 각각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제1, 2가이드면(23) 각각은 제1, 2고정단(12, 13) 각각의 후면부위까지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가이드몸체(21, 26)은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은 유입배관(1)을 통해 이동하는 유수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수단이다.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유수가이드(31)는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외면부위가 제1가이드몸체(21)의 내면부위에 밀착 결합되고,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a1 및 △a2 각 참조).
제2유수가이드(36)는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외면부위가 제2가이드몸체(26)의 내면부위에 밀착 결합되고, 우측 단부에서 좌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제2유수가이드(36)의 양측단 부위 각각은 제1유수가이드(31)의 양측단 부위 각각과 밀착된다. 도면부호 314, 364 각각은 전술한 제1, 2가이드몸체결합홈부(214, 264) 각각과의 결합을 위한 제1, 2유수가이드돌출단부이다.
전술한 제1, 2가이드몸체(21, 26) 각각과 유사하게, 제1, 2유수가이드(31, 36) 역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방향을 달리하며 제1, 2가이드몸체(21, 26) 각각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럴 경우, 제1, 2유수가이드(31, 36)에 형성되는 내면부위는 타원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타원은 그 중심축 부위가 커플링관(10) 내면부위에 대하여 좌측 및 우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며 편향된다.
제1, 2유수가이드(31, 36)의 내면부위가 이처럼 중심축 부위가 일정각도 편향된 타원을 형성하게 되면, 도 4에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유입배관(1)을 통해 유입되어 제1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내면부위를 따라 흐르는 하수 등은 반시계방향으로 그 흐름이 자연스럽게 회전하며 지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유수가이드(31, 36)를 따라 흐르는 유수 전체는 반시계방향으로 뒤틀리며 회전하면서 커플링관(10) 후방부위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경우, 유입배관(1)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작더라도, 이들 하수는 제1유수가이드(31)의 내면부위가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반시계방향으로 뒤틀리며 그 흐름이 유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역지변과 같이 유입되는 하수의 양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그 흐름이 정체되거나 또는 고이지 않아 이로 인한 악취의 역류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1, 2유수가이드(31, 36)는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내면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이 형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도 4와 같이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이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달리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의 내면부위에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이 형성되면, 하수를 더욱 용이하게 회전시키며 이동을 유도할 수 있고, 하수의 유량이 작더라도 그 흐름을 더욱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내면부위에는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이 형성되는 경우, 도면과 같이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은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있어 B-B′라인 및 C-C′라인 각각의 종단면 확대도를 보여주는 도 6a 및 도 6b 각각과 같이,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을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θ1만큼 편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을 통한 하수의 흐름은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유입배관(10)을 통해 매우 작은 양의 오수가 유입되더라도 매우 신속하게 그 흐름을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의 형성위치 및 편향각도 θ1은 임의 사항으로 설치되는 지점의 하수 유량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할 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의 폭이 좌, 우측 각각에서 우, 좌측 각각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거나, 또는 중앙부위에서 좌측 및 우측 각각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b1 내지 △b3 각 참조).
이럴 경우, 유수의 주된 흐름 제어는 가장 큰 폭을 가지는 유수가이드홈에 의해 주도된다. 즉, 유입배관(1)을 통해 유입되는 일상적인 하수량이 작은 경우에는 하수의 대부분이 제1유수가이드(31)의 중앙부위를 통해 수위가 낮은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후자의 경우가 바람직하며, 유입배관(1)을 통해 유입되는 일상적인 하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그 수위가 높기 때문에 전자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6b 각각에는 이러한 구성 중에서, 제1유수가이드홈(34)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제2유수가이드홈(39)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후자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제1, 2유수가이드홈의 폭이 달리 형성되는 경우, 도면과 같이 각각의 깊이는 △c1 내지 △c3처럼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후방부위에 제1, 2유수가이드면(33, 38) 각각이 일정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때, 제1, 2유수가이드면(33, 38) 각각의 내면은 도면과 같이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내면과 동일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2유수가이드면(33, 38) 각각의 외면부위는 전술한 제1, 2가이드몸체(21, 26)의 제1, 2가이드면(23, 28) 각각의 내면부위에 밀착된다. 이처럼,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후방부위에 제1, 2유수가이드면(33, 38) 각각이 형성되면, 오수는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뒤틀린 다음 후술할 배출가이드(40)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도면부호 23, 27 각각은 제1, 2가이드몸체(21, 26)의 제1, 2결합편(22, 27) 전면부위에 밀착되는 제1, 2단차부이다.
한편,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커플링관(10)의 전방 내면부위에 제1, 2가이드몸체(21, 26) 및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이 마련되는 경우, 제1, 2가이드몸체(21, 26) 및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이 가지는 두께로 인해 유입배관(1)의 내면부위와 이들 상호 간에는 일정수직 높이의 단차가 형성되며, 이러한 단차는 하수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전방부위에 제1, 2보조유수가이드(61, 66)가 매개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때, 도면과 같이 제1보조유수가이드(61)는 후단 부위에서 전단 부위 및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 각각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보조유수가이드(66)는 후단 부위에서 전단 부위 및 우측 단부에서 좌측 단부 각각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2보조유수가이드(61, 66) 각각의 내면부위는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내면부위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하고, 유입배관(1)을 통해 유도되는 하수가 제1, 2보조유수가이드(61, 66) 각각을 통해 자연스럽게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내면부위로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유입배관(1)의 타단부위를 통해 이동하는 하수는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전방부위에서 정체되지 않고, 제1, 2보조유수가이드(61, 66) 각각을 거쳐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내면부위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2보조유수가이드(61, 66)는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313, 363 각각은 제1, 2유수가이드삽입홈부이며, 도면부호 611, 661 각각은 제1, 2유수가이드삽입홈부(313, 363) 각각에 삽입되는 제1, 2보조유수가이드삽입단부이다.
배출가이드(40)는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에 의해 흐름이 제어되어 유도된 하수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실리콘이나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배출가이드(40)에는, 도 7a 및 도 7b 각각과 같이, 결합링(41), 배출유도구(42), 배출홈(43)이 구비된다.
결합링(41)은 환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제1, 2고정단(12, 13) 각각의 후면부위에 밀착 고정된다. 배출유도구(42)는 전방부위가 개구된 반구 구조로 이루어지며, 결합링(41) 후방부위에서 결합링(41)과 일체형 구조를 이룬다. 배출홈(43)은 배출유도구(42)의 후방부위에 일정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배출홈(43)은 상호 직교하며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유수가이드(31, 36)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흐름이 제어된 하수가 배출가이드(40)의 배출유도구(42)의 전방부위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진입한 다음, 배출유도구(42)의 후방부위를 가압하게 되면, 도면과 같이 배출홈(43)을 기점으로 배출유도구(42)의 후방부위가 개방되면서 하수가 배출되고, 배출된 하수는 배출배관(2)을 따라 외부로 이동한다. 도면부호 421, 422 각각은 커플링관(10)의 제1, 2고정단(12, 13) 각각에 형성되는 제3, 4체결공(122, 132) 각각과의 결합을 위한 제1, 2배출가이드관통공이다.
이때, 본 발명은 배출유도구(42)의 상측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단(44)이 형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지지단(44)은 배출유도구(42)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질 수 있으며,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배출유도구(42)의 상측에서 일정두께를 가지며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단(44)은 배출유도구(42)의 특정부위의 경도를 증가시키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지지단(44)이 배출유도구(42)의 상측부위에 형성되면, 배출유도구(42) 내부공간으로 유도된 하수가 배출유도구(42)의 후방부위를 가압하는 경우, 배출유도구(42)에 있어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하측부위가 우선 개방되면서 하수는 신속하게 배출배관(2)쪽으로 유도될 수 있다.
배출유도구(42)에 지지단(44)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은 배출구(42)의 상측 중앙부위에 좌, 우측으로 갈수록 지지단(44) 각각의 폭이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d1 및△d2 각 참조). 이럴 경우, 배출유도구(42)의 상측 중앙부위의 경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유입배관(1)을 통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하수가 유입된 다음 제1, 2유수가이드(31, 36)에 의해 흐름이 제어된 상태로 배출유도구(42)로 유도되더라도, 하수의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가지는 배출유도구(42)의 하측부위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배출가이드(40)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이 완료된 이후 장시간이 경과하면 커플링관(10)과 배출가이드(40) 상호 간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가이드(40)를 긴밀하게 구속하면서 커플링관(10)에 결합시킬 수 있는 매개체로서의 가압수단이 더 개재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있어 개재되는 가압수단은 배출가이드(40)의 결합링(41) 부위를 긴밀하게 구속하며 커플링관(10)에 결합시키는 링 구조의 가압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더 나아가 도 7a 및 도 7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가압링(51) 및 안치가이드(52)가 마련되는 지지가이드(50)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가압링(51)은 환형 구조로 이루어져, 배출가이드(40)의 밀착단(41) 후면부위에 밀착되어 제1, 2고정단(12, 13) 각각의 후면부위에 고정 결합된다. 안치가이드(52)는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를 가지며 가압링(51)과 일체 구조를 이루며, 가압링(51)의 후방부위에 형성된다. 가압수단으로서의 지지가이드(50)는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경질의 지지가이드(50)가 개재되어 연질의 배출가이드(40)를 커플링관(10)에 결합하게 되면, 배출가이드(40)는 장시간 동안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하수를 배출배관(2)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제1, 2고정단(12, 13) 외에, 커플링관(10)의 내면 상측부위 및 하측부위 각각에 별도의 고정단을 더 마련하여 지지가이드(50)를 커플링관(10)에 결합하게 되면 그 결합력은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안치가이드(52)는 도면과 같이, 그 내면부위는 하방으로 일정각도 θ2로 경사져 형성되고, 전단 부위에서 후단 부위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배출가이드(40)를 통해 하수가 배출될 때, 개방되는 배출유도구(42)의 후방 하측부위는 안치가이드(5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배출유도구(42)에 있어 개방부위가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경사각도 θ2는 배출가이드(40)의 배출유도구(42) 하측부위 외면과의 간격 및 밀착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할 일이다. 미설명 도면부호 511, 512 각각은 배출가이드(40)에 형성되는 제1, 2배출가이드관통공(421, 422) 및 커플링관(1)의 제1, 2고정단(12, 13)에 형성되는 제3, 4체결공(122, 132) 각각과의 결합을 위한 제1, 2지지가이드관통공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유입배관 2 : 배출배관
10 : 커플링관 11 : 밀착단
12, 13 : 제1, 2고정단
21, 26 : 제1, 2가이드몸체 22, 27 : 제1, 2결합편
23, 28 : 제1, 2가이드면
31, 36 : 제1, 2유수가이드 32, 37 : 제1, 2밀착단
33, 38 : 제1, 2유수가이드면 34, 39 : 제1, 2유수가이드홈
40 : 배출가이드 41 : 결합링
42 : 배출유도구 43 : 배출홈
44 : 지지단
50 : 지지가이드 51 : 가압링
52 : 안치가이드
61, 66 : 제1, 2보조유수가이드
10 : 커플링관 11 : 밀착단
12, 13 : 제1, 2고정단
21, 26 : 제1, 2가이드몸체 22, 27 : 제1, 2결합편
23, 28 : 제1, 2가이드면
31, 36 : 제1, 2유수가이드 32, 37 : 제1, 2밀착단
33, 38 : 제1, 2유수가이드면 34, 39 : 제1, 2유수가이드홈
40 : 배출가이드 41 : 결합링
42 : 배출유도구 43 : 배출홈
44 : 지지단
50 : 지지가이드 51 : 가압링
52 : 안치가이드
61, 66 : 제1, 2보조유수가이드
Claims (12)
- 외면 중앙부위에서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단(11), 중앙부위 내면의 좌측부위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단(12), 제1고정단(12)과 대향하며 중앙부위 내면의 우측부위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단(13)이 구비되는 커플링관(10);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좌측 후단부위가 제1고정단(12)의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고, 외면부위가 커플링관(10)의 하측 내면부위에 밀착되는 제1가이드몸체(21);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제1가이드몸체(21)와 대향하되, 우측 후단부위가 제2고정단(12)의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고, 외면부위가 커플링관(10)의 상측 내면부위에 밀착되며, 양측단 부위 각각이 제1가이드몸체(21)의 양측단 부위 각각과 밀착되는 제2가이드몸체(26);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외면부위가 제1가이드몸체(21)의 내면부위에 밀착 결합되고,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제1유수가이드(31);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되, 외면부위가 제2가이드몸체(26)의 내면부위에 밀착 결합되고, 우측 단부에서 좌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양측단 부위 각각이 제1유수가이드(31)의 양측단 부위 각각과 밀착되는 제2유수가이드(36);
환형 구조로 이루어져 전면부위가 제1, 2고정단(12, 13) 각각의 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는 결합링(41), 전방부위가 개구된 반구 구조로 이루어져 밀착단(41) 후방부위에 마련되는 배출유도구(42), 일정길이로 절개되어 배출유도구(42)의 후방부위에 형성되는 배출홈(43)이 구비되는 탄성재질의 배출가이드(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이드몸체(21)의 좌측 후단부위에는 커플링관(10)의 제1고정단(12)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는 제1결합편(22)이 마련되고, 상기 제2가이드몸체(26)의 우측 후단부위에는 커플링관(10)의 제2고정단(13) 전면부위에 밀착 고정되는 제2결합편(27)이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편(22) 후방부위에는 제1가이드면(23)이 제1고정단(12) 후면부위까지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편(27) 후방부위에는 제2고정단(13) 후면부위까지 제2가이드면(28)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유수가이드(31, 36) 각각의 내면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제1, 2유수가이드홈(34, 39) 각각의 폭은 좌, 우측 각각에서 우, 좌측 각각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거나, 또는 중앙부위에서 좌측 및 우측 각각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수가이드(31)의 후방부위에는 외면부위가 제1가이드몸체(21)의 제1가이드면(23) 내면부위와 밀착되는 제1유수가이드면(33)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유수가이드(36)의 후방부위에는 외면부위가 제2가이드몸체(26)의 제1가이드면(28) 내면부위와 밀착되는 제2유수가이드면(38)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수가이드(31)의 전방부위에는 후면부위가 제1유수가이드(31)의 전면부위에 밀착 결합되는 제1보조유수가이드(61)가 마련되되, 상기 제1보조유수가이드(61)는 후단 부위에서 전단 부위 및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 각각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상기 제2유수가이드(36)의 전방부위에는 후면부위가 제2유수가이드(36)의 전면부위에 밀착 결합되는 제2보조유수가이드(66)가 마련되되, 상기 제2보조유수가이드(66)는 후단 부위에서 전단 부위 및 우측 단부에서 좌측 단부 각각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40)의 배출유도구(42) 상측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단(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44)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지지단(44)은 배출구(42)의 상측 중앙부위에 좌, 우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40)의 후방에는 지지가이드(50)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가이드(50)는 환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가이드(40)의 밀착단(41) 후면부위에 밀착되어 제1, 2고정단(12, 13) 각각의 후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가압링(51) 및 상부가 개구된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결합링(51) 후방부위에 형성되는 안치가이드(5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가이드(52)의 내면부위는 하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되고, 전단 부위에서 후단 부위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6972A KR102547714B1 (ko) | 2022-05-31 | 2022-05-31 |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6972A KR102547714B1 (ko) | 2022-05-31 | 2022-05-31 |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7714B1 true KR102547714B1 (ko) | 2023-06-23 |
Family
ID=8699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6972A KR102547714B1 (ko) | 2022-05-31 | 2022-05-31 |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771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3752B1 (ko) * | 2023-12-11 | 2024-08-08 | 전상현 | 2점 지지 방식의 입상관 고정기구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8323B1 (ko) | 1994-10-04 | 1999-07-15 | 가나이 쓰도무 | 영상정보 과금시스템과 과금방법 |
KR200431516Y1 (ko) * | 2006-08-21 | 2006-11-23 | 홍태문 | 하수관 커플링 |
KR101031707B1 (ko) * | 2010-03-29 | 2011-04-29 | 최문환 |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
KR20120126503A (ko) * | 2011-05-12 | 2012-11-21 |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 상하수용 배관 부재 |
KR101289778B1 (ko) * | 2013-01-14 | 2013-07-26 | 주식회사 앨토퍼스 |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
-
2022
- 2022-05-31 KR KR1020220066972A patent/KR1025477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8323B1 (ko) | 1994-10-04 | 1999-07-15 | 가나이 쓰도무 | 영상정보 과금시스템과 과금방법 |
KR200431516Y1 (ko) * | 2006-08-21 | 2006-11-23 | 홍태문 | 하수관 커플링 |
KR101031707B1 (ko) * | 2010-03-29 | 2011-04-29 | 최문환 |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
KR20120126503A (ko) * | 2011-05-12 | 2012-11-21 |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 상하수용 배관 부재 |
KR101289778B1 (ko) * | 2013-01-14 | 2013-07-26 | 주식회사 앨토퍼스 |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3752B1 (ko) * | 2023-12-11 | 2024-08-08 | 전상현 | 2점 지지 방식의 입상관 고정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7714B1 (ko) | 유수 흐름을 제어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는 역지변 구조 | |
US7886765B2 (en) | Living-hinge air vent valve | |
WO2006047050A8 (en) | Flow-control valve assembly | |
JP2008540974A (ja) | ボール逆止め弁 | |
US7543599B2 (en) | Siphon and backflow resistant valve | |
KR100954013B1 (ko) | 배수트랩 | |
US6299128B1 (en) | Diaphragm orifice for flushometer | |
KR102252502B1 (ko) | 악취 역류 차단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역류 차단 장치 | |
JP7167401B2 (ja) | 排水トラップ | |
US11920332B2 (en) | Malodor reflux blocking unit using cardiac valve principle and malodor reflux block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EP0369404B1 (en) | Valve for filling a water cistern of a flushing toilet | |
JP2014163159A (ja) | 排水装置 | |
TWI842967B (zh) | 壓力調整裝置及排水管構造 | |
KR102077282B1 (ko) |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 |
CN112982581A (zh) | 弯管和排水管构造 | |
JP7458178B2 (ja) | 排水管構造 | |
JP7398260B2 (ja) | 排水管構造 | |
JP7398261B2 (ja) | 開閉弁、及び排水管構造 | |
TWI732478B (zh) | 匯流排水裝置 | |
CN111295487B (zh) | 带有通风口的虹吸管 | |
KR20230133044A (ko) |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 |
KR200451193Y1 (ko) | 배수트랩 | |
JP2506351Y2 (ja) | 調圧弁を備えたボ―ルタツプ | |
JPH0142708Y2 (ko) | ||
US175035A (en) | Improvement in water-closet valv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