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766B1 - 전자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전자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766B1
KR102546766B1 KR1020210024066A KR20210024066A KR102546766B1 KR 102546766 B1 KR102546766 B1 KR 102546766B1 KR 1020210024066 A KR1020210024066 A KR 1020210024066A KR 20210024066 A KR20210024066 A KR 20210024066A KR 102546766 B1 KR102546766 B1 KR 102546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brake
bus bar
termin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234A (ko
Inventor
장우교
김창화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마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마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마르스
Priority to KR102021002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brakes
    • H02K7/1021Magnetically influenced friction bra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Abstract

코일 조립체에 장착된 접속구와 브레이크부에 장착된 버스바(busbar)가 조립시 전원 공급라인이 손쉽게 구성되고, 가동플레이트가 이동하면서 고정플레이트 또는 요크와 발생하는 충격 소음을 방지되도록 한 전자 브레이크가 소개된다. 버스바는 브레이크 하우징과 모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면서 샤프트가 관통하는 몸통, 이 몸통의 일측부위에 돌출 성형된 커넥터부, 몸통에 단자가 꽂아지도록 성형된 접속홀과, 커넥터부에서 접속홀까지 설치되면서 모터부의 스테이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 버스바 단자을 구비한다. 접속구의 단자가 접속홀에 꽂아진 상태에서 버스바에 플러그가 꽂아지면 외부 전력이 코일권선체와 스테이터에 함께 전력이 공급된다.

Description

전자 브레이크{Electronic brake}
본 발명은 전자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적인 전원 공급과 작동 중 충격 소음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자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지원하는 경기도기술개발사업에 기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브레이크는 모터로 구동되는 기계류에서 모터 샤프트를 제동하거나 정지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전자 브레이크는 산업용 모터, 자동화기기, 인쇄기기, 자동개폐기기,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다.
전자 브레이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된 모터부(10), 브레이크부(20) 및 센서부(30)를 포함한다.
모터부(10)는 내장된 로터 및 스테이터에 의해 샤프트가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의 선단 부위에는 동일 회전 및 정지하도록 브레이크부(20)의 고정플레이트가 장착된다.
브레이크부(20)는 요크에 코일권선체가 삽입되고, 요크의 상면에 가동플레이트가 상하 이동하면서 고정플레이트와 치합하거나 요크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센서부(30)는 샤프트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정지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종래 전자 브레이크는 브레이크부(20)의 가동플레이트가 이동하면서 고정플레이트 또는 요크와의 충격 및 충격음이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들 가동 플레이트, 고정 플레이트 및 요크의 수명이 단축되고, 충격음에 의해 동작할 때마다 조작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도 2에는 종래의 전자 브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처럼 종래의 전자 브레이크는 모터부(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공급부(P1), 브레이크부(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공급부(P2)와, 센서부(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3전원공급부(P3)가 별도 구성된다.
종래의 모터는 모터부(10)의 제1전원공급부(P1), 브레이크부(20)의 제2전원공급부(P2)와, 센서부(30)의 제3전원공급부(P3)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전원 공급구조가 복잡하고, 각각에 공급하는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 장시간 경과 후 단선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권선체에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구가 장착되고, 접속구가 요크에 수용되며, 접속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버스바가 요크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코일권선체, 요크 및 버스바가 조립되면서 접속구가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나의 버스바에 모터부 및 브레이크부가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전자 브레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커버와 일체로 성형된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전원 공급을 위한 안정적인 구조가 확보되도록 한 전자 브레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요크의 상면에 댐퍼가 장착되고, 고정 플레이트의 하면에 와셔가 장착됨으로써, 가동 플레이트가 이동하면서 고정 플레이트 및 커버 간에 발생하였던 충격 및 충격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전자 브레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드시 위에 언급된 사항에 국한되지 않으며, 미처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이하 기재되는 사항에 의해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브레이크는 모터부, 브레이크부와 센서부를 구비한 전자 브레이크에서, 브레이크부는 브레이크 하우징, 이 브레이크 하우징에 수용되는 요크, 요크의 상부에 수용되면서 보빈에 코일이 감겨진 코일권선체,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를 구비한 접속구와, 브레이크 하우징과 모터부의 모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면서 요크가 위에 놓이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버스바는 브레이크 하우징과 모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면서 샤프트가 관통하는 몸통, 이 몸통의 일측부위에 돌출 성형된 커넥터부, 몸통에 단자가 꽂아지도록 성형된 접속홀과, 커넥터부에서 접속홀까지 설치되면서 모터부의 스테이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 버스바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단자가 접속홀에 꽂아진 상태에서 커넥터부에 외부 전원과 연결된 플러그가 꽂아지면 외부 전력이 코일권선체와 스테이터에 공급될 수 있다.
접속구는 코일이 감긴 보빈에 성형되고 코일에 연결된 단자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가공된 몸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단자는 보빈과 몸체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때 인서트되어 보빈 및 몸체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요크는 브레이크 하우징의 사출 성형시 인서트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요크에 코일 권선체가 수용되어 체결되면 접속구의 몸체가 요크에 끼워져 안착되면서 단자가 접속홀에 끼워지도록 요크의 아래로 노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브레이크 하우징은 금형 내에 요크를 인서트 고정하고 함께 사출 성형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브레이크 하우징은 요크에 코일권선체가 수용되어 체결되면 접속구의 몸체가 끼워져 고정되면서 단자가 접속홀에 끼워지도록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센서부는 외부 전원에 연결된 플러그가 꽂아지면 전력이 공급되도록 측부에 성형된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요크는 상면 중앙 부위에 장착되는 스프링, 상면 주변 부위에 돌출된 안내핀을 구비할 수 있다.
브레이크부는 요크 위에 놓이면서 안내핀이 관통하여 배치되는 가동 플레이트, 이 가동 플레이트 위에 놓이면서 가동 플레이트를 관통한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된 고정 플레이트와, 충격완화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충격완화수단은 가동플레이트가 코일권선체에 의해 덮개와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요크의 상면에 가공된 수용홈에 장착된 댐퍼와, 가동플레이트가 스프링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와 치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고정 플레이트의 하면에 가공된 삽입홈에 장착된 와셔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를 구비한 접속구가 코일권선체에 사출 성형되고, 단자기 꽂히는 삽입홀과 플러그가 꽂히는 커넥터부를 구비한 버스바가 코일권선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커넥터부에서 삽입홀까지 설치된 버스바 단자가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외부 전력이 커넥터부에서 삽입홀까지 버스바 단자를 통해 공급되면 스테이터와, 삽입홀에 꽂힌 단자를 통한 코일권선체에 동시에 전력이 인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센서부에 커넥터가 성형됨으로써, 전력 공급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버스바와 커넥터가 성형됨으로써, 제품 전체의 구조 및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부에 요크가 고정되도록 브레이크 하우징이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하여 인서트 사출로 성형되고, 단자가 파지되도록 보빈과 몸체가 플라수틱 수지를 이용하여 인서트 사출로 일체 성형됨으로써, 종래의 금색재질과는 달리 수지로 제작하여 각 구성 자체 무게가 가벼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자 브레이크 전체 무게 역시 경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요크에 댐퍼가 장착되고, 고정 플레이트에 와셔가 장착됨으로써, 가동 플레이트가 왕복 이동하면서 요크 및 고정 플레이트 간에 발생하였던 충격 및 충격음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브레이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2은 종래의 전자 브레이크에 전원 공급을 위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브레이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브레이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코일권선체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버스바의 내부 구조와, 코일권선체의 조립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요크와 코일권선체가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서 댐퍼 및 와셔가 장착된 요크, 가동 플레이트 및 고정 플레이트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댐퍼 및 장착홈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특징적인 측면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을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면들에서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될 수 있고, 도면들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과장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별도 한정이 없거나 본질적으로 허용될 수 없는 것이 아닌 한, 두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표현들, 예로서 '상', '연결'과 같은 표현들은 두 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는 것은 물론 제1 및 제2 요소의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되는 것을 허용한다.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등의 방향 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브레이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100), 브레이크부(200), 센서부(300)와, 충격완화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구성에 대해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고, 이외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도록 한다.
모터부(100)는 도 3, 도 4, 도 6 및 도 8에서 보듯이, 모터 하우징(110), 모터 하우징(110)의 내면에 고정된 중공 형상의 스테이터(120)와, 이 스테이터(120)의 중공 내부에 위치된 로터(130)를 관통하면서 고정된 샤프트(140)를 포함한다.
모터 하우징(110)은 내부에 스테이터(120)와 로터(130)가 수용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6에서처럼, 모터 하우징(110)의 상부에 요크(210)가 놓이고, 모터 하우징(110)의 상부에 외향 돌출된 제1플랜지(F1)와 버스바(220)의 몸통(221) 측부에 외향 돌출된 제2플랜지(F2)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모터 하우징(110)과 요크(210)가 체결된다. 브레이크 하우징(250)도 버스바(220) 위에 놓이면서 제1플랜지(F1), 제2플랜지(F2)와 체결되는 제3플랜지(F3)을 매개로 버스바(220) 및 모터 하우징(110)에 함께 체결된다.
스테이터(120)는 도 8에서처럼 외부의 전력이 인가되도록 버스바(220) 내의 버스바 단자(224)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스테이터(120)에 전력이 공급되면 로터(130)가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140)도 함께 회전한다.
브레이크부(200)는 도 3 내지 도 7에서처럼, 요크(210), 버스바(220), 코일권선체(230), 접속구(240)와 브레이크 하우징(250)을 구비한다.
요크(210)는 도 3 및 도 4에서처럼 브레이크 하우징(250) 내부에 고정되고, 하측에 버스바(220)가 위치되며, 상부에 코일권선체(23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22), 요크(210)와 코일권선체(230)의 중앙을 관통하여 샤프트(140)가 배치된다.
도 5 및 도 11에서 보듯이, 요크(210)의 상면 중앙부위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수용되는 다수의 스프링홈(212)과, 상면 주변부위에는 가동 플레이트(270)의 안내홀(273)을 관통하도록 상향 돌출된 안내핀(211)을 구비한다. 이들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버스바(220)는 도 5, 도 6 및 도 8에서처럼, 브레이크 하우징(250)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샤프트(140)가 통과하도록 성형된 몸통(221), 몸통(221)의 일측 부위에 돌출 성형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된 플러그가 꽂아지는 커넥터부(222), 접속구(240)의 단자(242)가 꽂히도록 커넥터부(222) 근처의 몸통(221)에 성형된 접속홀(223)과, 커넥터부(222)의 내부에 일단부가 마련되고 접속홀(223)에 타단부가 마련된 제1 버스바 단자(224a)를 구비한다. 접속구(240)의 단자(242)가 2개인 경우 각각의 단자(242)가 꽂히도록 접속홀(223)도 2개가 성형된다. 버스바(220)는 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사출 성형 시 버스바 단자(224)가 버스바(220) 내에 매설되도록 금형 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얻어진다.
도 8에서 보듯이 버스바 단자(224)의 일단부는 커넥터부(222)에 외부 전원과 연결된 플러그가 꽂히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설치된다. 제1 버스바 단자(224)의 타단부는 접속홀(223)에 단자(242)가 꽂히면 단자(2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마련된다. 커넥터부(222)에 플러그가 꽂히면 버스바 단자(224) 및 접속구(240)의 단자(242)를 통해 코일권선체(23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모터부(100)의 스테이터(120)는 제2 버스바 단자(224b)와 직접 또는, 도전체(미도시)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2 버스바 단자(224b)의 일단부는 커넥터부(222)에 마련되고, 타단부는 스테이터(120)에 연결된다. 제1 버스바 단자(224a))의 타단부는 접속홀(223) 아래까지 배치되고, 접속홀(223)에 꽂힌 단자(242)가 제1 버스바 단자(224a)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버스바(220)는 브레이크 하우징(250)과 모터 하우징(110) 사이에 개재되고, 이들의 체결은 모터 하우징(110)의 제1플랜지(F1), 버스바(220)의 제2플랜지(F2)와 브레이크 하우징(250)의 제3플랜지(F3)의 볼팅체결 또는 패스너를 이용한 체결 등의 통상의 체결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8에서 보듯이 버스바(220)의 하부는 모터 하우징(1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샤프트(140)가 관통하는 베어링(150)을 고정시키기 위해 감싸서 파지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코일권선체(230)는 외부 전력이 인가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코일권선체(230)는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접속구(240)가 장착된 보빈(231)과, 보빈(231)에 권선된 코일(232)을 구비할 수 있다. 코일(232)은 접속구(240)의 단자(2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구(240)는 몸체(241)와 이 몸체(241)에 장착되면서 코일(232)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단자(242)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접속구(240)는 보빈(231)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마련된다. 몸체(241)는 보빈(231) 사출시 마련된 보빈(231)의 형상부이며, 단자(242)는 보빈(231) 사출 시 금형 내 인서트되어 보빈(231)과 일체로 얻어진다.
도 5 및 도 8에서 보듯이 단자(242)는, 코일권선체(230)를 요크(210)에 장착 시, 요크(210)에 마련된 접속홀(223)에 압입된다. 하방 노출된 단자(242)가 접속홀(223)에 꽂아지고, 이에 의해 제1 버스바 단자(22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몸체(241)와 보빈(231)은 일체로 제작되고, 몸체(241)가 단자(242)의 일부위를 파지하면서 보빈(231)과 일체로 제작되는 공정의 인서트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몸체(241)과 보빈(231)은 단자(242)를 인서트하여 수지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종래의 금속재질보다 무게가 가벼워지고, 이로 인해 전자 브레이크 전체 무게가 경감될 수 있다.
브레이크 하우징(250)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내부에 요크(210)이 수용되어 견고히 고정되도록 인서트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브레이크 하우징(250)은 금형(미도시) 내에 요크(2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수지가 몰딩됨으로써, 요크(210)가 내부에 단단히 고정되는 인서트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처럼 브레이크 하우징(250)은 요크(210)의 측부를 감싸아 고정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 브레이크 하우징(250)은 요크(210)에 코일권선체(230)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동안 접속구(240)의 몸체(241)가 단단히 끼워지도록 설계되어 성형될 수 있다. 이렇게 브레이크 하우징(250)이 수지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종래의 금속 재질보다 무게가 가벼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자 브레이크 전체 무게가 경감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브레이크 하우징(250)과 요크(210)는 별도 제작된 후, 요크(210)가 브레이크 하우징(250) 내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을 보면, 코일권선체(230)가 요크(210)의 중심부위에 수용되면서 하방 돌출된 단자(242)가 버스바(220)의 접속홀(223)에 꽂아지고, 브레이크 하우징(250)과 버스바(220)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추가 설명하면, 브레이크 하우징(250), 버스바(220)와 모터 하우징(110)은 브레이크 하우징(250)의 제3플랜지(F3), 버스바(220)의 제2플랜지(F2)와 모터 하우징(110)의 제1플랜지(F1)가 중첩된 후 볼팅 체결 또는 패스너를 이용한 체결 등의 통상의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부(200)는 도 5 및 도 11에서 보듯이, 요크(210) 위에 배치되는 가동플레이트(270)와, 고정 플레이트(2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요크(210)의 상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도록 중앙 부위에 가공된 스프링홈(212)과, 주변 부위의 안내핀(211)이 설치될 수 있다.
가동플레이트(270)는 도 11에서 보듯이, 중앙에 샤프트(140)가 관통하는 제1구멍(271), 상면이면서 제1구멍(271)의 주변에 대략 평면상 원형으로 가공된 제1치(272), 상면이면서 주변에 안내핀(211)이 관통하도록 가공된 안내홀(273)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가동플레이트(270)는 요크(210) 위에 놓이면서 안내홀(273)에 안내핀(211)이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플레이트(270)는 스프링의 척력과 코일권선체(230)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교대로 제공되어 왕복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때, 가동플레이트(270)는 안내핀(211)의 안내에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되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플레이트(270)는 코일권선체(230)의 자기력에 의해 요크(210)에 밀착되어 제1치(272)와 제2치(282)의 치합이 해제되고, 자기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에 의해 제1치(272)와 제2치(282, 도 13 참조)가 치합되도록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 플레이트(280)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된 샤프트(140)가 회전하거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280)는 도 11에서 보듯이, 중앙에 샤프트(140)가 관통하면서 끼움 결합되도록 가공된 제2구멍(281), 하단에 하향 돌출되어 제1치(272)와 치합되도록 가공된 제2치(282)를 구비하며, 가동플레이트(270)보다 작게 제작될 수 있다. 이 고정 플레이트(280)는 샤프트(140)가 제2구멍(281)에 끼음 결합됨으로써, 샤프트(140)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 플레이트(280)에서 제2치(282)가 가공된 주변부는 도 13에서처럼 주위 부위보다 돌출되어 가공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도 3 및 도 4에서처럼 커버(310), 마그넷(320), 마그넷 홀더(330)와 커넥터(34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310)는 브레이크 하우징(250) 위에 고정되고, 마그넷(320)와 마그넷 홀더(330)가 수용되며, 측부위에 커넥터(340)가 성형될 수 있다.
마그넷(320)은 마그넷 홀더(330)에 수용되고, 마그넷 홀더(330)가 샤프트(140)의 상단 부위에 체결되면 샤프트(14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마그넷 홀더(330)는 샤프트(140)의 상단 부위에 체결되면서 마그넷(320)을 샤프트(140)의 상면에 놓이게 하고, 고정 플레이트(280)를 하방 가압하여 고정 플레이트(280)와 샤프트(140)의 체결이 견고히 유지되도록 샤프트(140)의 상단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
커넥터(340)는 커버(310)의 측부에 일체로 가공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커넥터(340)는 센서부(300) 내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버스바 단자들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340)에 외부 전원과 연결된 플러그가 꽂아지면 전력이 센서부(300)에 제공될 수 있다.
충격완화수단(400)은 요크(210)의 상면 주변부에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댐퍼(410)와, 고정 플레이트(280)의 하면 중앙부에 장착된 와셔(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410)는 도 12에서 보듯이,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요크(210)의 상면 주변부에 일정 깊이로 가공된 수용홈(411)에 상단 일부위가 돌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는 가동플레이트(270)가 코일권선체(230)의 자기력에 의해 요크(210) 측으로 이동할 때, 댐퍼(410)에 먼저 접촉하여 충격이 흡수된 후, 요크(21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댐퍼(410)는 충격 흡수 이외에도 가동플레이트(270)가 요크(210)에 밀착되기 위한 압출률과, 가동플레이트(270)가 요크(210)에 밀착되었을 때 가동플레이트(270)에 눌린 상태에서의 수용홈(411)에 대한 충전률 역시 고려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댐퍼(410)은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들 형상에 따라 수용홈(411)의 면적이 정해질 수 있다.
와셔(420)는 도 11, 도 13 및 도 14에서 보듯이, 고정 플레이트(280)의 하면 증앙 부위에 제2구멍(281)의 주변에 가공된 삽입홈(421)에 일부위가 돌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는 가동플레이트(270)가 스프링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280) 측으로 이동할 때, 와셔(420)에 먼저 접촉하여 충격이 흡수된 후, 고정 플레이트(28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가동플레이트(270)의 제1치(272)와 고정 플레이트(280)의 제2치가 상호 치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와셔(420) 및 삽입홈(421) 역시 상기된 댐퍼(410) 및 수용홈(411)과 같이 압축률 및 충전률을 고려하여 가공 규격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와셔(420)의 단면은 직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들 형상에 따라 삽입홈(421)의 면적이 정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었고,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과 특징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실시예들에서 소개된 특징들 또는 요소들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에 의해 본 문서에서는 미처 설명되지 못한 또 다른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다.
보호하고자 하는 발명의 범위가 청구항들에 기재된다. 청구항에 기재된 요소는, 발명의 본질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되고 등가물로 대체될 수 있다. 청구항에 기재된 도면부호들은, 만일 기재되어 있다면, 청구된 발명들이나 그 요소들에 대한 쉽고 그리고 직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청구된 발명들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100:모터부
110:모터 하우징 120:스테이터
130:로터 140:샤프트
150:베어링.
200:브레이크부
210:요크 211:안내핀
212:스프링홈 220:버스바
221:몸통 222:커넥터부
223:접속홀 224:버스바 단자
230:코일권선체 231:보빈
232:코일 240:접속구
241:몸체 242:단자
250:브레이크 하우징 260:수지
270:가동 플레이트 271:제1구멍
272:제1치 273:안내홀
280:고정 플레이트 281:제2구멍
282:제2치.
300:센서부
310:커버 320:마그넷
330:마그넷 홀더 340:커넥터.
400:충격완화수단
410:댐퍼 411:수용홈
420:와셔 421:삽입홈.
F1:제1플랜지 F2:제2플랜지.
F3:제3플랜지

Claims (4)

  1. 모터부(100), 브레이크부(200)와 센서부(300)를 구비한 전자 브레이크에서,
    상기 브레이크부(200)는 브레이크 하우징(250); 이 브레이크 하우징(250)에 수용되는 요크(210); 요크(210)의 상부에 수용되면서 보빈(231)에 코일(232)가 감겨진 코일권선체(230); 코일(232)에 연결된 단자(242)를 구비한 접속구(240); 및 브레이크 하우징(250)과 모터부(100)의 모터 하우징(110) 사이에 개재된 버스바(220)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220)는 브레이크 하우징(250)과 모터하우징(110 사이에 개재되면서 샤프트(140)가 관통하는 몸통(221); 이 몸통(221)의 일측부위에 돌출된 커넥터부(222); 몸통(221)에 단자(242)가 꽂아지도록 성형된 접속홀(2230); 및 단자(242)가 접속홀(223)에 꽂아진 상태에서 커넥터부(222)에 외부 전원과 연결된 플러그가 꽂아지면 전력이 코일권선체(230)에 공급되도록 커넥터부(222)에서 접속홀(223)까지 연장된 제1 버스바 단자(224a)를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부(200)는 요크(210) 위에 배치된 가동플레이트(270); 이 가동플레이트(270) 위에 놓이면서 가동플레이트(270)를 관통한 샤프트(140)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된 고정 플레이트(280); 및 충격완화수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충격완화수단(400)은 가동플레이트(270)가 코일권선체(230)에 의해 요크(210)의 상면과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요크(210)의 상면에 가공된 수용홈(411)에 장착된 댐퍼(410)와, 가동플레이트(270)가 스프링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280)와 치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고정 플레이트(280)의 하면에 가공된 삽입홈에 장착된 와셔(42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브레이크.
  2. 청구항 1에서, 상기 요크(210)는 브레이크 하우징(250)의 사출 성형 시 인서트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요크(210)에 코일권선체(230)가 수용되어 체결되면 접속구(240)의 몸체(241)가 요크(210)에 끼워져 안착되면서 단자(242)가 접속홀(223)에 끼워지도록 요크(210)의 아래로 노출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브레이크.
  3. 청구항 1에서, 상기 커넥터부(222)로부터 모터부(100)의 스테이터(120)로 연장된 제2 버스바 단자(224b)를 구비하며, 커넥터부(222)에 플러그가 꽂아지면 코일권선체(230)와 스테이터(120)에 전력이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브레이크.
  4. 삭제
KR1020210024066A 2021-02-23 2021-02-23 전자 브레이크 KR102546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066A KR102546766B1 (ko) 2021-02-23 2021-02-23 전자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066A KR102546766B1 (ko) 2021-02-23 2021-02-23 전자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234A KR20220120234A (ko) 2022-08-30
KR102546766B1 true KR102546766B1 (ko) 2023-06-22

Family

ID=8311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066A KR102546766B1 (ko) 2021-02-23 2021-02-23 전자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7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109A (ja) 2004-04-22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ブレーキ内蔵モータ
KR101917961B1 (ko) * 2017-09-26 2018-11-13 (주)타마스 볼 스크류 타입의 전자 브레이크 모터 구조체
KR102223223B1 (ko) 2019-12-19 2021-03-05 주식회사마르스 전자 브레이크를 갖는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9559Y2 (ja) * 1992-05-25 1999-01-27 株式会社安川電機 電磁ブレーキ内蔵形モータ
JP5392579B2 (ja) * 2011-02-02 2014-01-22 株式会社安川電機 回転電機及び回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109A (ja) 2004-04-22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ブレーキ内蔵モータ
KR101917961B1 (ko) * 2017-09-26 2018-11-13 (주)타마스 볼 스크류 타입의 전자 브레이크 모터 구조체
KR102223223B1 (ko) 2019-12-19 2021-03-05 주식회사마르스 전자 브레이크를 갖는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234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6058B1 (en) Field coil assembly of an electromagnetic clutch for a compressor
US20040183386A1 (en) Electric motor
US6949860B2 (en) Electric motor
KR102411378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EP2337194B1 (en) Stepping motor
KR20010101482A (ko) 전기식 구동 유니트
EP3358720B1 (en) Motor and brake device comprising same
US10119528B2 (en) Electric compressor with component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noise
JP2014050258A (ja) 回転電機
JPWO2015166571A1 (ja) 車両用制御装置
KR102546766B1 (ko) 전자 브레이크
JP6385037B2 (ja) ステータユニット
JP2006074858A (ja) モータ
KR102223223B1 (ko) 전자 브레이크를 갖는 모터
CN110365166B (zh) 带有极壳体和电子器件壳体的电的驱动单元
US6946770B2 (en) Electric motor
KR101952759B1 (ko) 전자클러치의 코일어셈블리
KR101271453B1 (ko) 몰딩 스테이터를 가지는 모터
CN112689943A (zh) 马达
KR101612627B1 (ko) 엑추에이터 하우징 구조체
KR20230169653A (ko)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전원공급장치
CN219181277U (zh) 一种步进电机一体机
JP2014096888A (ja) 電動モータ
EP1696212A1 (en) Structure for holding electronic component
KR100368856B1 (ko) 레진 팩 모터의 프로텍터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