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118B1 -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 Google Patents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118B1
KR102546118B1 KR1020220173994A KR20220173994A KR102546118B1 KR 102546118 B1 KR102546118 B1 KR 102546118B1 KR 1020220173994 A KR1020220173994 A KR 1020220173994A KR 20220173994 A KR20220173994 A KR 20220173994A KR 102546118 B1 KR102546118 B1 KR 102546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원
Original Assignee
김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원 filed Critical 김채원
Priority to KR102022017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6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metal,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04F15/14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을 데크의 체결이 편리하고, 특히 배수로를 형성하여 데크면에 수막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서, 미끌림 방지와 동시에 빠르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체결이 용하고 알루미늄 데크의 손상된 부분의 교환이 편리한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를 얻기 위한 것인 바,
다수의 상부면에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논슬립패드를 장착할 수 있는 데크장착부와 데크간의 체결이 되도록 좌/우측 데크체결부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데크배수부를 포함하는 데크본체부; 상기 좌/우측 데크체결부는, 체결절곡홈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좌측 데크체결부와, 측면끼움돌기와 받침지지축과 상기 측면끼움돌기와 받침지지축의 사이홈이 형성된 우측 데크체결부; 상기 데크배수부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의 양측면 상부에 형성한 보호돌기와 저수조;로 이루어져 작업이 용이하고 비오는 날의 수막발생을 최소화한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ALUMINUM DECK}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데크의 체결이 편리하고, 특히 배수로를 형성하여 데크면에 수막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서, 미끌림 방지와 동시에 빠르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체결이 용이하고 데크의 손상된 부분의 교환이 편리한 알루미늄 데크에 관한 것이다.
등산로, 산책로, 보행로 또는 단독주택의 마당 등에 보행을 위한 조경자재를 시공한다, 이러한 조경자재로는 목재, 석재, 콘크리트, 벽돌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경자재는 대량생산이 어렵고, 목재나 석재인 경우에는 다수의 하자발생으로 인한 짧은 수명, 주기적인 유지보수가 발생하는 단점과, 외관 형상이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리가 흔히 데크용재 등으로 사용하는 방부목은 소나무 수종인 햄록이나 햄퍼가 주로 원목 소재로 사용하는 것으로 미송 종류에 해당하는 목재의 소재이다.
방부목은 일반 목재가 방부액 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방부목으로 생산되는바, 크롬화 등 비산염 처리공정을 거친 방부목은 CCA(Cromated Copper Arsenate)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방부목에 사용되는 방부액은 부패하지 않도록 하는 약품으로 미생물의 서식을 방지하고, 목재를 파먹고 사는 곤충이 접촉하면 사멸되도록 하는 목적이므로 맹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외부로 물질이 스며나와 인체와 토양 및 화초 등을 오염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종래의 데크는 보행을 위한 인도 및 통행로 용으로 설치하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의 상측으로 반원형 또는 요철형태의 미끄럼방지 돌기를 형성하게 되고, 고하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경에 다수개의 중공을 형성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는 알루미늄을 데크의 상부에 논슬립과 강도를 높이는 것에 역점을 두고 형성하고 있으나 재질의 강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비가오는 날의 등산로 또는 산책로에 보행시에 비로 인한 수막이 발생하여 미끌림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로 인한 겨울철의 빙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1079306호(2011.10.27)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0917375호(2009.09.08) 3.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0439391호(2008.04.01)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원, 등산로, 산책로, 둘레길 등에 설치되는 데크를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오는 날 또는 눈의 녹은 물이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로를 형성하여 수막발생을 최소화한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데크에 있어서,
다수의 상부면에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논슬립패드를 장착할 수 있는 데크장착부와 데크간의 체결이 되도록 좌/우측 데크체결부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데크배수부를 포함하는 데크본체부; 상기 좌/우측 데크체결부는, 체결절곡홈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좌측 데크체결부와, 측면끼움돌기와 받침지지축과 상기 측면끼움돌기와 받침지지축의 사이홈이 형성된 우측 데크체결부; 상기 데크배수부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의 양측면 상부에 형성한 보호돌기와 저수조;로 이루어지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는 작업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져 수막을 최소화한 수막방지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설치 후에 일부가 파손시에 쉽게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어 수리설치가 용이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좌/우측마감데크를 도시한 장착한 사시도.
도 4,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의 체결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수형 알루미늄 데크 체결을 도시한 체결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우측마감데크에 논슬립패드를 장착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배수형 알루미늄 데크 체결을 도시한 체결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데크배수부에 배수펌핑튜브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배수로 보조튜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손상된 데크본체부의 일부를 전단하고 절단된 부분을 제거하고, 손상된 데크본체부를 제거한 후에 수리보수용 데크본체부를 삽입하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도어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알루미늄 데크에 있어서,
다수의 상부면에 돌출돌기(100)가 형성되고, 논슬립패드를 장착할 수 있는 데크장착부(500)와 데크간의 체결이 되도록 좌/우측 데크체결부(200,300)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데크배수부(400)를 포함하는 데크본체부(600);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좌/우측 데크체결부(200,300)는,
체결절곡홈(110)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좌측 데크체결부(200)와, 측면끼움돌기(120)와 받침지지축(130)과 상기 측면끼움돌기와 받침지지축의 사이홈(140)이 형성된 우측 데크체결부(300);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데크본체부(600)는 좌우측면에 연결하여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측 데크체결부(200,300)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데크배수부(400)는,
배수구(210)와 상기 배수구의 양측면 상부에 형성한 보호돌기(220)와 저수조(230);를 형성하여 데크상부에 빗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여 수막을 최소화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데크본체부(600)는 좌/우측면에 연결하여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측 데크체결부(200,300)에 좌/우측마감데크(250,350)를 형성하였다.
상기 좌측마감데크(250)는, 좌측 데크체결부(200)의 체결절곡홈(110)이 돌출된 구조에 체결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좌측마감데크(250)는 상부면의 측면이 절곡된 끼움절곡돌기(240)와 받침지지축(260)을 형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데크체결부(200)의 체결절곡홈(110)이 돌출된 구조에 체결하도록 좌측마감데크(250)를 형성하되, 상기 좌측마감데크(250)는 상부면의 측면이 절곡된 끼움절곡돌기(240)와 받침지지축(260)을 형성하여 상부로 개구된 구조(270)를 갖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우측마감데크(350)는,
내부의 양측면에 체결돌기부(310)를 형성하여, 상부돌기(280)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체결홈(320)이 형성된 데크판넬(330) 또는 하부면에 체결홈(320)과 상부에 돌기면을 형성한 논슬립쿠션패드(380)를 장착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크배수부(400)는,
저수조(230)내에 양측면에 형성한 끼움홈(410)과, 상기 끼움홈(410)에 끼울수 있도록 하되, 상부에 누름돌기바(420)와 반구형 돌출부(430)와 측면에 끼움돌기(440)를 형성하고 상기 반구형 돌출부에 관통구(450)를 다수개 형성한 배수펌핑튜브(460);를 더 형성하여 하부저수조(390)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여 본 발명의 상기 데크배수부(400)는, 상부에 누름돌기바(420)를 이동중에 발로 밟으면 상부의 누름돌기바(420)가 내려오면 펌핑하게 되어 고인물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데크배수부(400)는,
저수조(230)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어지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인 주머니부(480)를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부의중앙에는 당김바(470)를 돌출되도록 형성한 배수로보조튜브(490)를 더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고무재인 주머니부(480)를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부의 중앙에는 당김바(470)를 돌출되도록 형성한 배수로보조튜브(490)를 형성하여 이물질이 고무재인 주머니부(480)에 쌓일 경우에 당김바(470)를 당겨서 통로를 확보하도록 한 다음 교환 또는 세척후에 삽입도록 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흙, 모래 등이 쌓여서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산책로, 공연장, 전망대 등에 설치한 데크본체부는 오랜사용으로 인하여 일부가 손상되거나 파손시에 수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편리하게 교체가 용이한 수리보수용 데크본체부(600")를 더 형성하였다.
상기 데크본체부(600)와 데크본체부(600') 또는 좌/우측마감데크(250)의 사이에 수리보수용 데크본체부(600")를 더 형성하여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하였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상된 일부를 데크본체부(600)의 일부는 전단하고 절단된 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손상된 데크본체부(600)를 제거한 후에 수리보수용 데크본체부(600")를 삽입 고정하여 수리를 완료하였다.
상기 수리보수용 데크본체부(600")는,
다수의 상부면에 돌출돌기(100)가 형성되고, 논슬립패드를 장착할 수 있는 데크장착부(500)와 데크간의 체결이 되도록 좌/우측 데크체결부(200,300)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데크배수부(400)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측 데크체결부(200,300)는,
체결절곡홈(110)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좌측 데크체결부(200)와 측면끼움돌기(120)만 형성된 우측 데크체결부(300);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이 편리하도록 받침지지축(130)의 사이홈(140)이 없는 구조의 우측 데크체결부를 형성하였다.
100: 돌출돌기 110: 체결절곡홈
120: 측면끼움돌기 130: 받침지지축
140: 사이홈 200: 좌측 데크체결부
250: 좌측마감데크 300: 우측 데크체결부
400: 데크배수부 500: 데크장착부
600: 데크본체부

Claims (6)

  1. 다수의 상부면에 돌출돌기(100)가 형성되고, 논슬립패드를 장착할 수 있는 데크장착부(500)와 데크간의 체결이 되도록 좌/우측 데크체결부(200,300)와 배수가 이루어지며 데크간의 체결시 스윙방식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체결절곡홈(210)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좌측 데크체결부(200)와, 측면끼움돌기(120)와 받침지지축(130)과 상기 측면끼움돌기와 받침지지축의 사이홈(140)이 형성된 우측 데크체결부(300)로 형성된 데크배수부(400);를 포함하는 데크본체부(600)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데크에 있어서
    상기 데크배수부(400)는,
    배수구(210)와 상기 배수구의 상부에 양측면으로 돌출된 보호돌기(220)와 하부에 형성한 저수조(230);를 형성하고,
    상기 좌측 데크체결부(200)의 체결절곡홈(210)이 돌출된 구조에 체결이 되도록 좌측마감데크(250)를 형성하되, 상기 좌측마감데크(250)는 상부면의 측면이 절곡된 끼움절곡돌기(240)와 받침지지축(260)을 형성하여 상부로 개구된 구조(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데크체결부(300)의 돌출된 측면끼움돌기(120)와 받침지지축(130)에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체결절곡홈(270)과 상부에는 돌출돌기(280)가 돌출되며 내부의 양측면에 체결돌기부(310)를 형성한 우측마감데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측마감데크는 상기 체결돌기부에 상부돌기(280)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체결홈(320)이 형성된 데크판넬(330) 또는 하부면에 체결홈(320)과 상부에 돌기면을 형성한 논슬립쿠션패드(380)를 선택하여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배수부(400)는,
    저수조(230)내에 양측면에 형성한 끼움홈(410)과, 상기 끼움홈(410)에 끼울수 있도록 하되, 상부에 누름돌기바(420)와 반구형 돌출부(430)와 측면에 끼움돌기(440)를 형성하고 상기 반구형 돌출부에 관통구(450)를 다수개 형성한 배수펌핑튜브(460);를 더 형성하여 하부저수조(390)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배수부(400)는,
    저수조(230)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어지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인 주머니부(480)를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부의 중앙에는 당김바(470)를 돌출되도록 형성한 배수로보조튜브(49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본체부(600)와 데크본체부(600') 또는 좌/우측마감데크(250)의 사이에 수리보수용 데크본체부(600")를 더 형성하고,
    상기 수리보수용 데크본체부(600")는,
    다수의 상부면에 돌출돌기(100)가 형성되고, 논슬립패드를 장착할 수 있는 데크장착부(500)와 데크간의 체결이 되도록 좌/우측 데크체결부(200,300)와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데크배수부(400)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측 데크체결부(200,300)는,
    체결절곡홈(110)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좌측 데크체결부(200)와,
    측면끼움돌기(120)만 형성된 우측 데크체결부(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KR1020220173994A 2022-12-13 2022-12-13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KR102546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994A KR102546118B1 (ko) 2022-12-13 2022-12-13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994A KR102546118B1 (ko) 2022-12-13 2022-12-13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118B1 true KR102546118B1 (ko) 2023-06-21

Family

ID=8698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994A KR102546118B1 (ko) 2022-12-13 2022-12-13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1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391B1 (ko) 1996-04-26 2004-07-16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냉동기유조성물
KR100917375B1 (ko) 2009-02-17 2009-09-16 주식회사비에스아이앤디 축광표시부를 갖는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1079306B1 (ko) 2011-05-26 2011-11-04 벽진산업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용 인조 목재와 그 제조방법
KR20150064553A (ko) * 2013-12-03 2015-06-11 지산투수개발(주) 끼움결합식 알루미늄 데크 패널
KR102211949B1 (ko) * 2020-08-05 2021-02-04 (주)신화 조립식 알루미늄 바닥재
US20210324636A1 (en) * 2020-04-21 2021-10-21 Cwa Ventures Ltd Board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391B1 (ko) 1996-04-26 2004-07-16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냉동기유조성물
KR100917375B1 (ko) 2009-02-17 2009-09-16 주식회사비에스아이앤디 축광표시부를 갖는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1079306B1 (ko) 2011-05-26 2011-11-04 벽진산업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용 인조 목재와 그 제조방법
KR20150064553A (ko) * 2013-12-03 2015-06-11 지산투수개발(주) 끼움결합식 알루미늄 데크 패널
US20210324636A1 (en) * 2020-04-21 2021-10-21 Cwa Ventures Ltd Board assembly
KR102211949B1 (ko) * 2020-08-05 2021-02-04 (주)신화 조립식 알루미늄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2454B2 (en) Post sleeve assembly
KR101124407B1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KR101845525B1 (ko) 친환경 혼합자재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럭 및 이를 구비한 배수처리시스템
US910307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idewalk tiles
US6164020A (en) Roof gutter guard
US20070245479A1 (en) Spa cover
KR102546118B1 (ko)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알루미늄 데크
US20100186321A1 (en) Flooring System For Decking
KR20120130978A (ko) 미끄럼방지 데크
KR20080096317A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200358588Y1 (ko) 담수형 보도블록
KR20170041412A (ko) 투수 트랜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록포장 시공방법
JP2000104206A (ja) 舗装用平板並びにこれを用いた舗装及び歩道の構造
JP2625343B2 (ja) 耐退色性、透水性表面舗装材
CN111206470A (zh) 网连式排水铺面装置
KR101332203B1 (ko) 보도블록용 배수통
DE19543908A1 (de) Formstein
US8132274B1 (en) Adjustable pool cover support
KR100528363B1 (ko)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KR102600778B1 (ko) 미끄럼 방지형 보행매트
EP1254991A2 (en) Assembly of a gutter and a grate
KR20200000150U (ko) 탈부착 조정식 심플 그레이팅
US20060117680A1 (en) Decorative swimming pool joint and draining system
KR200396398Y1 (ko) 일체식 유자형 고무블럭
DE20010600U1 (de) Abdeck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