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827B1 -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 - Google Patents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827B1
KR102545827B1 KR1020220108428A KR20220108428A KR102545827B1 KR 102545827 B1 KR102545827 B1 KR 102545827B1 KR 1020220108428 A KR1020220108428 A KR 1020220108428A KR 20220108428 A KR20220108428 A KR 20220108428A KR 102545827 B1 KR102545827 B1 KR 10254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landing
opening
landing pad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001A (ko
Inventor
김동근
강성주
Original Assignee
세화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화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화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8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8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by vehicles
    • B64U80/86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해치가 형성되며, 상기 해치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에 연결되어 승강 작동되며, 상승시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와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착륙장; 상기 착륙장에 하부에 설치되며 드론과 전원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을 상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케이블이 권취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되거나 감겨지도록 하여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드론을 이륙시켜 정해진 높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권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차량에 격납고를 구비하여 이·착륙이 용이하고 이동이 신속해질 수 있으며, 차량의 엔진 동력을 이용하여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일정한 고도에서 장시간 비행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임무 수행이 실시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차량과 분리시켜 고도를 상승시켜 고고도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등 다양한 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Drone landing site based vehicle with drone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동성을 갖는 차량에 충전과 격납이 가능하도록 하여 드론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국내 항공법상 무게 150Kg이하의 무인비행장치이다. 드론의 용도는 군사용, 산업용, 학술용, 레져용드론으로 구분하지만 감시용, 촬영용, 범죄수사용, 물류용, 통신용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드론의 종류는 프로펠러 숫자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바이콥터, 트라이콥터, 쿼드콥터 등이 있다. 드론은 갈 수 없는 곳에 쉽게 갈수 있고 접근할 수 없는 곳에 대신 갈수 있으며 산업의 혁신을 가질 수 있다.
근래에는 드론에 미사일 및 각종 무기체계뿐만 아니라 인간이 접근하기 힘든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산불감시, 택배, 물자이동 등 다양한 활동범위를 높이고 있다. 그에 따라 드론은 초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드론이 개발이 되었고 다양한 목적에 맞게 현장에 드론을 투입하는 일들이 많아졌다.
다만 현재 대형 드론의 운송관련 하여 드론 자체를 트럭 및 차량 내부에 적재하고 운송하고 있는데, 차량에 적재하고 가서 충전과 모니터링, 착륙장 및 조종을 하기에는 다양한 제약조건들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차량 자체에서 드론을 적재하여 운송뿐만 아니라 드론 착륙장과 충전시스템을 모두 차량에 포함하여 드론 수송과 운용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각종 드론의 역할을 다할 수 있다.
종래 드론은 운반 수단을 주로 차량에 적재하여 이동시킨 후 현장에서 운용한 다음 다시 차에 싣고 이동하여야 하므로 운반이 불편하였고, 배터리 사용 시간이 한정되어 있어 장시간 비행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드론이 착륙장에 하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착륙위치를 드론이 감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착륙위치를 감지하더라도 착륙과정에서 통신오류로 인해 착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81105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에 격납고를 구비하여 이·착륙이 용이하고 이동이 신속해질 수 있으며, 차량의 엔진 동력을 이용하여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이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여 착륙할 수 있도록 하고, 착륙과정에서 통신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함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해치가 형성되며, 상기 해치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에 연결되어 승강 작동되며, 상승시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와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착륙장; 상기 착륙장에 하부에 설치되며 드론과 전원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을 상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동부는 해치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링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로드가 인출 또는 인입작동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해치는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개폐되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개폐되고, 상기 착륙장이 개구부의 위치에 상승 작동하면 상기 해치는 착륙장과 수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은 전원케이블이 권취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되거나 감겨지도록 하여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드론을 이륙시켜 정해진 높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는 적재함의 내측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결합되도록 착륙장의 측면에 장착된 레일가이드와, 상기 레일가이드를 구동시켜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착륙장의 하부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메인충전부와, 상기 메인충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케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충전부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케이블의 단부에는 드론의 배터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부는 전원케이블이 감겨 보관되는 드럼과,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며, 전원케이블의 인출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측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측정부는 전원케이블의 길이를 5~10m로 한정되도록 측정하고, 최대 인출길이를 초과할 경우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륙장에는 드론의 다리가 착륙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착륙장의 상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클램프와, 착륙장의 타측에 구비되어 클램프가 결합되는 체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격납고를 구비하여 이·착륙이 용이하고 이동이 신속해질 수 있으며, 차량의 엔진 동력을 이용하여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일정한 고도에서 장시간 비행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임무 수행이 실시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차량과 분리시켜 고도를 상승시켜 고고도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등 다양한 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구부의 해치는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개폐되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개폐되어 드론의 착륙장과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드론의 착륙장 면적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으며, 드론이 착륙을 위한 정확한 위치에 도달한 후 위치 확인된 다음 수직하강하여 착륙할 수 있고, 착륙과정에서 통신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여 정확한 착륙위치에 착륙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의 '적재함'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적재함'이 개방되고 드론 착륙장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드론이 비행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의 일부 확대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의 '적재함'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적재함'이 개방되고 드론 착륙장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드론이 비행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은,
적재함(100)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0)의 상부에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해치(220)가 형성되며, 상기 해치(220)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강구동부(300); 상기 승강구동부(300)에 연결되어 승강 작동되며, 상승시 상기 적재함(100)의 개구부(120)와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드론(2)이 이·착륙할 수 있는 착륙장(400); 상기 착륙장(400)에 하부에 설치되며 드론(2)과 전원케이블(560)로 연결되어 전원을 상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0); 상기 전원케이블(560)이 권취되며, 상기 전원케이블(560)이 인출되거나 감겨지도록 하여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드론(2)을 이륙시켜 정해진 높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권취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구동부(200)는 해치(220)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링크(240)와, 상기 힌지링크(240)의 타단에 결합되는 실린더로드(262) 및 실린더로드(262)가 인출 또는 인입작동되는 유압실린더(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해치(220)는 적재함(100)의 개구부를 개폐하고, 양방향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단방향으로 개폐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압실린더(260)에 유압이 공급되어 실린더로드(262)가 인출되고 이에 연결된 힌지링크(240)가 회전됨에 의해 해치(220)가 개방된다.
해치(220)의 폐쇄는 역순으로 진행된다.
상기 해치(220)는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개폐되되 도 3에서와 같이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개폐되고, 착륙장(400)이 개구부의 위치에 상승 작동하면 상기 해치(220)는 착륙장(400)과 수평하게 위치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이를 통해 상기 개방된 해치(220)는 드론의 착륙장(400)과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드론의 착륙을 위한 장소의 면적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적재함(100)의 개구부(120)는 착륙장(400)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착륙장(400)이 적재함(100)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까지 상승하거나 또는 적재함(100)의 상부로 더 돌출되도록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착륙장(400)이 적재함(100)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 또는 더 돌출되도록 상승하는 경우에도 상기 개방된 해치(220)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개방되어 상기 드론의 착륙장(400)과 수평하게 되어 해치(220)와 착륙장(400)은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승강구동부(300)는 적재함(100)의 내측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320)과, 레일(320)에 결합되며 착륙장(400)의 측면에 장착된 레일가이드(340)와, 레일가이드(340)를 구동시켜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원을 포함한다.
동력원은 레일가이드(340)에 장착되며 레일(320)을 주행하는 주동바퀴(344)와, 주동바퀴(344)에 연결되는 모터(346)로 구성될 수 있다.
레일(320)에는 랙기어(323)가 형성되고, 주동바퀴(344)의 외주면에는 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기어가 형성됨으로 모터의 동력에 의해 주동바퀴(344)가 레일(320)의 랙기어를 타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레일(320)은 적재함(100)의 내측 모서리에 장착되며, 레일가이드(340)는 레일(320)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면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레일가이드(340)의 양측에 브라켓이 형성되고, 브라켓에 롤러(342)가 장착되고, 롤러(342)가 레일(320)에 접촉되어 롤러(342)의 주행에 의해 부드럽게 승강될 수 있다.
모터가 온(on) 작동되면 주동바퀴(344)를 구동시켜 레일가이드(340)가 레일(320)을 따라 이동하여 상승하게 됨으로써 착륙장(400)이 상승하게 된다. 하강은 역순으로 진행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원은 착륙장(4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종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한 승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실린더에 동력이 전달되어 실린더로드가 인출되고 레일가이드(340)를 레일(320)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착륙장(400)이 상승하게 된다. 하강은 역순으로 진행된다.
상기 전원공급부(500)는 착륙장(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케이스(520)와, 상기 케이스(520) 내에 장착되는 메인충전부(540)와, 메인충전부(540)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케이블(5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충전부(540)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게이지(5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케이블(560)의 단부에는 드론(2)의 배터리(21)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케이블(560)을 드론(2)의 배터리(2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드론(2)의 자유비행이 가능하고, 필요할때는 드론(2)의 배터리(21)에 전원케이블(560)을 연결시킨 상태로 전원케이블(560)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드론(2)을 상승시켜 지속적으로 비행시킬 수 있다.
상기 권취부(600)는 전원케이블(560)이 감겨 보관되는 드럼(620)과, 드럼(6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640)로 구성되며, 전원케이블(560)의 인출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측정부(580)가 포함될 수 있다.
길이측정부(580)는 전원케이블(560)의 최대 인출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센서를 감지하여 전원케이블(560)의 제한점을 인지하고, 드럼(620)을 정지시키도록 제동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일 예에 따르면, 길이측정부(580)는 전원케이블(560)의 길이를 5~10m로 한정되도록 측정하고, 최대 인출길이를 초과할 경우 드럼(6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부(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동부(590)는 드럼(620)의 회전축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브레이크패드와, 브레이크패드가 부착된 작동레버 및 작동레버를 온-오프 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2)이 비행하는 동안 전원이 지속 공급될 수 있어 비행 시간이 월등히 연장될 수 있고, 적정한 높이에서 드론(2)이 머물면서 촬영할 수 있어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착륙장(400)에는 드론(2)의 다리(25)가 착륙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4)는 착륙장(400)의 상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클램프(42)와, 착륙장(400)의 타측에 구비되어 클램프(42)가 결합되는 체결구(44)로 구성된다. 따라서 적재함(100)에 격납시킨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4)를 드론(2)의 다리(25)에 결합시켜 흔들림을 방지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륙장(400)에는 드론(2)의 착륙을 감지하고, 착륙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한 착륙감지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착륙감지수단은 착륙장의 하부 또는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된 유도센서(S1)와, 드론(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도센서(S1)와 신호 전달이 수행되는 감지센서(S2)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도센서(S1)에서 발생되는 전파신호를 감지센서(S2)가 탐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도달한 후 위치 확인된 다음 수직하강하여 착륙할 수 있도록 자동 안내된다.
한편 유도센서(S1)와 감지센서(S2) 간의 충돌로 인해 수직하강되는 과정에서, 만약 통신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착륙장(400)에는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절연수단(420)이 구비된다.
절연수단(420)은 착륙장(400)의 표면에 형성되어 전류 또는 전파가 투과되지 않도록 절연성 바닥재이다.
상기 절연성 바닥재는 G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Glass-Fiber Reinforced Plastic)판넬, 목재, 플라스틱 중 택일된다.
또는 절연수단(420)은 착륙장(400)의 표면에 도료를 코팅하여 형성되는 절연층일 수 있다.
상기 도료를 스프레이 또는 도장으로 코팅시켜 형성된다. 도료는 프로필렌글리콜과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절연수단(420)은 유도센서(S1)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도록 하여 유도센서(S1)과 감지센서(S2) 간 전파 통신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적재함 120 : 개구부
200 : 개폐구동부 220 : 해치
240 : 힌지링크 260 : 유압실린더
262 : 실린더로드 300 : 승강구동부
320 : 레일 340 : 레일가이드
400 : 착륙장 500 : 전원공급부
520 : 케이스 540 : 메인충전부
600 : 권취부

Claims (10)

  1. 적재함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해치가 형성되며, 상기 해치를 개폐시키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에 연결되어 승강 작동되며, 상승시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와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착륙장;
    상기 착륙장에 하부에 설치되며 드론과 전원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을 상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동부는
    해치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링크와, 상기 힌지링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로드가 인출 또는 인입작동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해치는
    유압실린더에 유압이 공급되어 실린더로드가 인출되고 이에 연결된 힌지링크가 회전됨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개폐되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개방되고, 개구부의 위치로 상승 작동한 착륙장과 수평하게 위치하여 드론의 착륙 면적을 연장시키는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이 권취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되거나 감겨지도록 하여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드론을 이륙시켜 정해진 높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적재함의 내측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결합되도록 착륙장의 측면에 장착된 레일가이드와,
    상기 레일가이드를 구동시켜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원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착륙장의 하부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메인충전부와, 상기 메인충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케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충전부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는
    전원케이블이 감겨 보관되는 드럼과,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며,
    케이블의 인출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케이블의 최대 인출길이를 초과할 경우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륙장은
    드론의 다리가 착륙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착륙장의 상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클램프와, 착륙장의 타측에 구비되어 클램프가 결합되는 체결구로 구성되며,
    상기 착륙장은
    드론의 착륙을 감지하는 착륙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착륙감지수단은
    착륙장에 형성된 유도센서와, 드론의 하부에 형성되어 유도센서와 신호 전달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원은
    레일가이드에 장착되며 레일을 주행하는 주동바퀴와, 주동바퀴에 연결되는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주동바퀴의 외주면에는 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가이드의 양측에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롤러가 레일에 접촉되어 주행되도록 한 것이고,
    상기 제동부는,
    드럼의 회전축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브레이크패드와, 브레이크패드가 부착된 작동레버 및 작동레버를 온-오프 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착륙장의 표면에는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는 절연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절연수단은 착륙장의 표면에 형성되어 전류 또는 전파가 투과되지 않도록 절연성 바닥재이며,
    상기 절연성 바닥재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판넬, 목재, 플라스틱 중 택일되는 것 또는
    상기 절연수단은 착륙장의 표면에 도료를 코팅하여 형성되는 절연층이며,
    상기 도료는 프로필렌글리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08428A 2021-06-24 2022-08-29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 KR10254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428A KR102545827B1 (ko) 2021-06-24 2022-08-29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233 2021-06-24
KR1020220108428A KR102545827B1 (ko) 2021-06-24 2022-08-29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233 Division 2021-06-24 2021-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01A KR20230001001A (ko) 2023-01-03
KR102545827B1 true KR102545827B1 (ko) 2023-06-22

Family

ID=8492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428A KR102545827B1 (ko) 2021-06-24 2022-08-29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74752B (zh) * 2023-08-03 2023-11-28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撒料无人机及其水上加料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668B1 (ko) * 2017-11-06 2019-03-26 대한민국 드론 보관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189039B1 (ko) * 2020-01-28 2020-12-10 주식회사 숨비 개폐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33144B1 (pl) * 2015-12-14 2019-09-30 Alumast Spolka Akcyjna Pojazd serwisowy
KR101981105B1 (ko) 2017-12-26 2019-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을 이용한 자율 택배 시스템
KR102139300B1 (ko) * 2018-11-02 2020-07-29 주식회사 이스온 드론 격납이 가능한 승강 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668B1 (ko) * 2017-11-06 2019-03-26 대한민국 드론 보관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189039B1 (ko) * 2020-01-28 2020-12-10 주식회사 숨비 개폐기능이 구비된 픽업트럭용 드론격납고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01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2036B2 (en) Aerial launch and/or recovery for unmanned aircraft,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9421939B (zh) 用于飞行器的轨道回收系统
US20180086454A1 (en) Aerial Delivery Assembly
CN112638769B (zh) 无人飞行器的外部容纳装置
CN110770130A (zh) 便携式无人机吊舱
KR102545827B1 (ko) 드론 충전 시스템이 포함된 드론 착륙장 기반 차량
KR20150023397A (ko) 무인 비행 오브젝트들의 포인트 이륙 및 착륙
JP3522279B2 (ja) 軽航空機用のドッキング装置
US20070065258A1 (en)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load transfer vehicles
CN111840857B (zh) 一种集装箱式系留消防灭火救援装备及方法
CN111137454B (zh) 一种无人运输机自动空投系统
US20230202692A1 (en) Storage case, with platform, for an aerial vehicle
US10479502B2 (en) Aircraft provided with a winch device
RU2678381C1 (ru) Стартовый контейнер
CN113968350B (zh) 一种无人机智能远程停靠平台
KR102015758B1 (ko) 부양중량 겸용 착륙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CN113335545A (zh) 停机坪、停机系统及无人机停机方法
CN110884677A (zh) 用于系留无人机的收放装置
RU2819338C1 (ru) Швартовочно-такел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ертолёта
RU2166459C2 (ru) Бортовое по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номной загрузки контейнеров и других грузов через боковой грузовой люк
CN216186130U (zh) 停机坪和停机系统
KR102628610B1 (ko) 개량형 이동식 드론 스테이션 및 이를 이용한 드론 스테이션 운영방법
US20230294849A1 (en) Drone loading system
US20240017858A1 (en) Automatic drone positioning system
GB2537622A (en) An aerial delivery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