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716B1 -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716B1
KR102545716B1 KR1020220137433A KR20220137433A KR102545716B1 KR 102545716 B1 KR102545716 B1 KR 102545716B1 KR 1020220137433 A KR1020220137433 A KR 1020220137433A KR 20220137433 A KR20220137433 A KR 20220137433A KR 102545716 B1 KR102545716 B1 KR 10254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pack
power
unit
rec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현
오용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링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링스
Priority to KR102022013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팩이 병렬로 연결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배터리팩 간의 케이블 분리시 정류기측 케이블이 분리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한 배터리팩은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여 정류기측 케이블이 분리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한 배터리팩간의 SOC 차이로 인한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는, 외부 전원을 정류하여 부하기기로 공급함과 더불어, 타단에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팩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팩을 충전시키거나, 외부 전원 차단시 배터리팩에 충전된 전원을 부하기기로 공급하는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의 일단에 케이블을 통해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배터리팩은 정류기측과 연결되어 충방전을 수행하는 배터리부와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시하는 단선 감시부 및, 배터리부의 충방전을 관리하되 단선 감시부로부터 단선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배터리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배터리부와 연결되어 배터리부 전원을 충방전하는 전원파워라인과, 배터리 관리부와 연결되어 배터리부의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라인 및, 단선 감시부와 연결되어 단선 감시부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단선감시 전원라인을 구비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원파워라인과 통신라인 및 단선감시 전원라인은 각 배터리팩 내에서 각각 분기되어 그 후단에 연결된 배터리팩의 배터리부와 배터리 관리부 및 단선 감시부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단선 감시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면 단선된 단선감시 전원라인의 후단에 연결된 모든 배터리팩의 단선 감시부로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후단의 모든 배터리팩의 배터리 관리부로 단선 감지신호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단선된 위치 후단에 연결된 모든 배터리팩의 각 배터리부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deactivating the battery pack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with battery pack connected in parallel}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팩이 병렬로 연결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배터리팩 간의 케이블 분리시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이 분리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한 배터리팩은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여, 정류기측 케이블이 분리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한 배터리팩간 SOC 차이로 인한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기지국 등의 장비들은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큰 용량의 배터리가 구비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비하며, 부하 즉, 통신 장비의 백업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의 배터리팩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도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을 정류하여 공급하는 정류기(10)에 다수의 배터리팩(20)들이 케이블(1)을 통해 순차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팩(20)들은 정류기(10)에 대해 병렬 연결되도록 내부 회로가 구현된다.
이때, 케이블(1)은 전원라인과 통신 라인을 포함하는데, 케이블(1) 내 통신 라인에는 정류기(10)와 배터리팩(20)간의 연결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접점 시그널이 존재한다. 즉, 개별 접점 스위치 시그널 방식으로 배터리팩(1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관리부(21)에 전원이 연결되는 구조로, 접점 스위치 시그널이 연결되면 해당 배터리팩(20)은 활성화되고, 접점 스위치 시그널이 해제되면 배터리 관리부(21)가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해당 배터리팩(20)은 비활성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배터리팩(20)은 활성화 상태에서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수행하고,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충전 동작이나 방전 동작 모두 수행하지 않는다.
그런데, 특정 배터리팩에 이상이 발생하는 등과 같이 특정 배터리팩과 연결된 케이블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안전을 위해 정류기(10)로부터 배터리팩(20)으로 인가되는 외부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예컨대, 도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터리팩이 병렬로 연결된 구조에서, 제2 배터리팩(202)과 제3 배터리팩(203) 사이의 케이블(1)이 분리되어 단선 상태로 전환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특정 배터리팩과 연결된 케이블(1)이 분리되는 등의 단선 상황이 발생하면, 기본적으로 모든 배터리팩(2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자동으로 방전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정류기(10)측과 단선 상태인 제3 배터리팩(203)은 케이블(1) 분리에 의해 접점 시그널이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방전 모드가 중지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즉, 도1 (B)의 환경에서 제3 배터리팩(203)만 비활성화 상태가 되고, 나머지 배터리팩들은 모두 정류기측 케이블(1)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활성화 상태가 유지되고, 외부 전원 공급 차단에 의해 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도1 (B)에서 케이블이 분리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한 배터리팩들은 정류기(10)측과 단절된 상태로서, 이들 중 방전모드로 활성화되어 있는 배터리팩 SOC(잔존 용량 : State of Charge)가 상대적으로 낮은 배터리팩이 연결되어 있거나 방전모드로 활성화 되어 있는 배터리팩 SOC가 상대적으로 높은 배터리팩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SOC가 높은 배터리팩에서 낮은 배터리팩으로 과전류가 흐르게 되기 때문에, 해당 배터리팩 내부의 부품과 케이블이 소손 됨은 물론, 작업자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2365552호 (명칭 : 다수의 병렬 연결된 고전압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2.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12224호 (명칭 : 전원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수의 배터리팩이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배터리팩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이 단선되면, 단선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한 모든 배터리팩은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단선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한 배터리팩들간의 SOC 차이로 인한 충방전 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외부 전원을 정류하여 부하기기로 공급함과 더불어, 타단에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팩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팩을 충전시키거나, 외부 전원 차단시 배터리팩에 충전된 전원을 부하기기로 공급하는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의 일단에 케이블을 통해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배터리팩은 정류기측과 연결되어 충방전을 수행하는 배터리부와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시하는 단선 감시부 및, 배터리부의 충방전을 관리하되 단선 감시부로부터 단선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배터리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배터리부와 연결되어 배터리부 전원을 충방전하는 전원파워라인과, 배터리 관리부와 연결되어 배터리부의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라인 및, 단선 감시부와 연결되어 단선 감시부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단선감시 전원라인을 구비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원파워라인과 통신라인 및 단선감시 전원라인은 각 배터리팩 내에서 각각 분기되어 그 후단에 연결된 배터리팩의 배터리부와 배터리 관리부 및 단선 감시부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단선 감시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면 단선된 단선감시 전원라인의 후단에 연결된 모든 배터리팩의 단선 감시부로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후단의 모든 배터리팩의 배터리 관리부로 단선 감지신호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단선된 위치 후단에 연결된 모든 배터리팩의 각 배터리부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단선 감시부는 일단이 단선감시 전원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단선감시 전원라인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턴 온(ON)되는 포토 다이오드와, 일단이 배터리 관리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면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포토 다이오드가 턴 온(ON)됨에 따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포토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정류기를 통해 외부 전원을 정류하여 부하기기로 공급함과 더불어, 타단에 병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팩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팩을 충전시키거나, 외부 전원 차단시 배터리팩에 충전된 전원을 부하기기로 공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에서 일정 주기로 정류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배터리팩에서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방전 모드로 전환하는 제2 단계, 상기 배터리팩이 방전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정류기와의 통신이 일정 시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면, 방전 동작이 중지되는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배터리팩이 병렬 연결된 구조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정류기측과 배터리팩들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 단선된 배터리팩의 타단측과 연결된 모든 배터리팩들은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비활성화됨으로써, 단선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한 배터리팩 간의 SOC 차이로 인한 충방전 동작을 방지하여 배터리팩 내부 부품 및 케이블 소손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이로 인한 작업자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을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구성과 케이블 분리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배터리팩(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단선 감시부(230)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도2에 도시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특정 케이블 분리시 배터리팩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는, 정류기(100)와 다수의 배터리팩(200), 부하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수의 배터리팩(200)은 케이블(C)을 통해 정류기(100)에 병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정류기(1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AC 전원을 정류하여 부하기기(300)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함과 더불어, 배터리팩(200)으로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팩(200)을 충전시킨다.
이때, 정전이나 관리자에 의한 전원 차단 등의 이유로 AC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정류기(100)의 전압 레벨이 낮아짐에 따라 배터리팩(200)이 자동으로 방전모드로 전환되면서 배터리팩(200)에 충전된 전원이 정류기(100)를 통해 부하기기(300)로 공급된다.
여기서, 부하기기(300)는 통신 기지국이나 중계기 등과 같이 항시 일정 전원을 공급받는 각종 장비가 될 수 있다.
배터리팩(200)은 정류기(100)의 일단에 케이블(C)을 통해 순차 연결되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적으로는 정류기(100)에 대해 병렬 연결된다.
즉, 정류기(100)에 다수의 배터리팩을 순차로 연결하는 케이블(C)은, 전원파워라인(L1)과, 통신라인(L2) 및 단선감시 전원라인(L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 배터리팩(200)은 배터리부(210)와 배터리 관리부(220) 및 단선 감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C1)의 전원파워라인(L11)은 배터리팩(200)의 배터리부(210)와 연결되고, 통신라인(L21)은 배터리 관리부(220)와 연결되며, 단선감시 전원라인(L31)은 단선 감시부(2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C1)의 전원파워라인(L11)은 분기되어 타 배터리팩측과 연결된 케이블(C2)의 전원파워라인(L12)와 연결되고,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C1)의 통신라인(L21)은 분기되어 그 후단의 타 배터리팩측과 연결된 케이블(C2)의 통신라인(L22)와 연결되며,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C1)의 단선감시 전원라인(L31)은 분기되어 타 배터리팩측과 연결된 케이블(C2)의 단선감시 전원라인(L32)와 연결된다.
여기서, 배터리부(210)는 활성화 상태에서 케이블(C)의 전원 파워라인(L1)을 통해 정류기측과 연결되어 일련의 충방전을 수행하고,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충방전 동작을 모두 중단한다.
배터리 관리부(220)는 배터리부(210)의 충방전을 관리함과 더불어, 케이블(C)의 통신라인(L2)을 통해 상기 정류기(100)와 통신하여 자신의 상태정보를 송수신하고, 단선 감시부(230)로부터 단선 신호가 감지되면 배터리부(210)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충방전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한다.
단선 감시부(230)는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C)의 단선감시 전원라인(L3)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 여부를 근거로 해당 케이블(C)의 단선 여부를 감시하고, 단선 상태정보를 배터리 관리부(220)로 전송한다.
이때, 단선 감시부(2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단선감시 전원라인(L3, Vcc)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단선감시 전원라인(L3)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턴 온(ON)되는 포토 다이오드(PD)와, 일단이 배터리 관리부(22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면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PD)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포토 다이오드(PD)가 턴 온(ON)됨에 따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트랜지스터(TR)로 이루어지는 포토 커플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관리부(220)는 상기 트랜지스터(TR)가 턴 온(ON)됨에 따른 전위 레벨이 변화를 근거로 단선 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배터리팩이 내부적으로 정류기(100)에 대해 병렬 연결된 구조에서, 예컨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터리팩(2002)과 제3 배티러팩(2003)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C)이 분리되어 단선이 감지되는 경우, 제3 배터리팩(2003) 후단에 위치한 배터리팩들은 케이블(C)의 단선감시 전원라인(L3)으로부터 단선 감시부(230)로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어 정류기측 케이블이 단선된 제3 배터리팩(2003) 후단 위치의 배터리팩들은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바, 제3 배터리팩(2003) 후단에 위치한 배터리팩들은 모두 충방전 동작이 중지된 상태가 된다.
특히, 케이블(C)이나 특정 배터리팩 점검시에는 안전을 위해 외부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팩(200)을 방전모드로 전환된 상태로 설정하게 되는 바, 이러한 경우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이 단선된 제3 배터리팩 후단에 위치한 배터리팩들은 모두 방전 동작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선 감지를 위해 배터리팩들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구조를 변경하여 자신을 포함한 이전 배터리팩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시하도록 실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 케이블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배리리팩과 정류기간의 통신 상태를 근거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시하여 단선된 케이블과 연결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한 배터리팩들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정류기(100)를 통해 외부 전원(AC)을 정류하여 부하기기(300)로 공급함과 더불어, 타단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팩(20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팩(200)을 충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각 배터리팩(200)은 일정 주기로 정류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자신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정류기측로 전송한다(ST100). 여기서, 각 배터리팩(200)은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C)의 통신 라인(L2)을 통해 통신하며, 각 배터리팩(200)들은 다른 주기로 정류기(1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관리자가 케이블을 점검하거나 또는 특정 배터리팩을 점검하고자 하는 경우, 정류기(100)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정류기(100)로 외부 전원(AC)의 공급이 차단되면(ST200), 정류기(100)의 전압 레벨이 낮아짐에 따라 배터리팩(200)이 자동으로 방전모드로 전환된다(ST300). 방전 모드에서 배터리팩(200)은 자신에게 충전된 전원을 케이블을 통해 정류기(100)측으로 공급하여 부하기기(300)의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어, 관리자가 특정 케이블을 분리하게 되면, 분리된 케이블이 정류기측과 연결된 배터리팩 이전에 위치한 배터리팩은 정류기(100)와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분리된 케이블이 정류기측과 연결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한 배터리팩들은 분리된 케이블에 의해 정류기(100)와의 통신라인이 연결되지 않아 통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팩이 방전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정류기와의 통신이 일정 시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면(ST400), 해당 배터리팩은 자신 이전의 배터리팩과 연결된 케이블에 단선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방전 동작이 중지되는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ST500).
이에 따라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이 단선된 배터리팩 이후에 위치하는 배터리팩들은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방전 동작을 중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배터리팩이 병렬 연결된 구조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정류기측과 배터리팩들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 정류기측과의 케이블이 단선된 배터리팩과 그 이후에 위치하는 모든 배터리팩들은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더라도 자동으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100 : 정류기, 200 : 배터리팩,
210 : 배터리부, 220 : 배터리 관리부,
230 : 단선 감시부, 300 : 부하기기,
C : 케이블, L1 : 전원파워라인,
L2 : 통신라인, L3 : 단선감시 전원라인,
PD : 포토 다이오드, TR : 트랜지스터.

Claims (3)

  1. 외부 전원을 정류하여 부하기기로 공급함과 더불어, 타단에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팩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팩을 충전시키거나, 외부 전원 차단시 배터리팩에 충전된 전원을 부하기기로 공급하는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의 일단에 케이블을 통해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배터리팩은 정류기측과 연결되어 충방전을 수행하는 배터리부와 정류기측과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시하는 단선 감시부 및, 배터리부의 충방전을 관리하되 단선 감시부로부터 단선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배터리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배터리부와 연결되어 배터리부 전원을 충방전하는 전원파워라인과, 배터리 관리부와 연결되어 배터리부의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라인 및, 단선 감시부와 연결되어 단선 감시부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단선감시 전원라인을 구비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원파워라인과 통신라인 및 단선감시 전원라인은 각 배터리팩 내에서 각각 분기되어 그 후단에 연결된 배터리팩의 배터리부와 배터리 관리부 및 단선 감시부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단선 감시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면 단선된 단선감시 전원라인의 후단에 연결된 모든 배터리팩의 단선 감시부로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후단의 모든 배터리팩의 배터리 관리부로 단선 감지신호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단선된 위치 후단에 연결된 모든 배터리팩의 각 배터리부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감시부는 일단이 단선감시 전원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단선감시 전원라인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턴 온(ON)되는 포토 다이오드와, 일단이 배터리 관리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면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포토 다이오드가 턴 온(ON)됨에 따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포토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3. 정류기를 통해 외부 전원을 정류하여 부하기기로 공급함과 더불어, 타단에 병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팩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팩을 충전시키거나, 외부 전원 차단시 배터리팩에 충전된 전원을 부하기기로 공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에서 일정 주기로 정류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배터리팩에서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방전 모드로 전환하는 제2 단계,
    상기 배터리팩이 방전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정류기와의 통신이 일정 시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면, 방전 동작이 중지되는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방법.
KR1020220137433A 2022-10-24 2022-10-24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및 방법 KR10254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433A KR102545716B1 (ko) 2022-10-24 2022-10-24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433A KR102545716B1 (ko) 2022-10-24 2022-10-24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716B1 true KR102545716B1 (ko) 2023-06-20

Family

ID=8699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433A KR102545716B1 (ko) 2022-10-24 2022-10-24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71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504A (ko) * 2009-02-26 2010-09-03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모듈
KR20110071343A (ko) * 2009-12-21 2011-06-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 관리 장치
JP2015033283A (ja) * 2013-08-06 2015-02-16 Fdk株式会社 バランス補正装置及び蓄電装置
KR20150095135A (ko) * 2014-02-12 2015-08-20 주식회사 혜령씨엔티 병렬형 인버터 스택을 이용한 전력변환장치
KR20210012224A (ko) 2019-07-24 2021-02-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원 시스템
KR102365552B1 (ko) 2020-04-28 2022-02-21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다수의 병렬 연결된 고전압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96202A (ko) * 2020-12-30 2022-07-0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가변형 루버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504A (ko) * 2009-02-26 2010-09-03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모듈
KR20110071343A (ko) * 2009-12-21 2011-06-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 관리 장치
JP2015033283A (ja) * 2013-08-06 2015-02-16 Fdk株式会社 バランス補正装置及び蓄電装置
KR20150095135A (ko) * 2014-02-12 2015-08-20 주식회사 혜령씨엔티 병렬형 인버터 스택을 이용한 전력변환장치
KR20210012224A (ko) 2019-07-24 2021-02-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원 시스템
KR102365552B1 (ko) 2020-04-28 2022-02-21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다수의 병렬 연결된 고전압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96202A (ko) * 2020-12-30 2022-07-0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가변형 루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251B1 (ko) 2차 전지 관리 장치
CA2952671C (en) Power over ethernet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power loss of a link segment thereof
KR101946698B1 (ko) 전기 차량용 조향 동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3081427B1 (en) Power supply device of vehicle
KR101930252B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 및 절전 장치와 그 제어 방법 및 슈퍼 커패시터 모듈
EP3767731B1 (en) Battery pack and charging bank
KR102308656B1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차량
EP2882065B1 (en) Battery charging management system of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battery charging management method
JP4416585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CN100511934C (zh) 具有多个相互隔离的电源的dc/dc转换器
EP3246215B1 (en) Vehicular starter battery management system
CN109301920B (zh) 基于菊花链总线的智能多路混用电池管理器、控制方法
KR101882835B1 (ko) 배터리 과충전 감지 장치
CN110884380A (zh) 一种交流充电桩接地检测与控制装置及交流充电桩
KR101786347B1 (ko) 점프 스타트를 위한 차량의 전력 시스템
EP0507495B1 (en) Automatic system battery reconnect circuit responsive to insertion of new battery replacement
KR102545716B1 (ko) 병렬 연결된 배터리팩 구조의 배터리 관리시스템에서 배터리팩 비활성화 장치 및 방법
US20020117899A1 (en) Telecommunications power distribution systems, telecommunications power distribution circuits and methods of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device
CN103683396B (zh) 一种具有翻转保护功能的自适应电池均衡充电装置及方法
KR101753091B1 (ko)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US20220094178A1 (en) Battery pack and electric device system
KR19990070581A (ko) 전원 제어시스템의 과방전 방지장치 및 방법
US5978237A (en) Power recovery system
KR101358765B1 (ko) 2차 전지 관리 장치
JP7313242B2 (ja) バッテリパック及び充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