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387B1 - 스트랜드를 결속 및 해제하기 위한 정지적인 핑거를 가지는 헤어 컬링용 헤어 스타일링 기기 - Google Patents

스트랜드를 결속 및 해제하기 위한 정지적인 핑거를 가지는 헤어 컬링용 헤어 스타일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387B1
KR102545387B1 KR1020187006443A KR20187006443A KR102545387B1 KR 102545387 B1 KR102545387 B1 KR 102545387B1 KR 1020187006443 A KR1020187006443 A KR 1020187006443A KR 20187006443 A KR20187006443 A KR 20187006443A KR 102545387 B1 KR102545387 B1 KR 10254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winder
strand
axis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489A (ko
Inventor
바티스트 보네마리
레지스 페레이레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8003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a single heated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08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of hollow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10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in the form of spools or bobb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02Devices for winding the hair upon steep-curlers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를 컬링하기 위한 헤어 스타일링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장치는 롤링 챔버(8), 삽입 슬롯(7) 및 하우징의 측면 단부(2b) 상에 배열된 추출 개구부(9)를 포함하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장치는 하우징에 고정된 일 단부(10a) 및 추출 개구부에 근접 배열된 자유 단부(10b)를 가지고 롤링 챔버 내로 연장되는 굴대(10)를 포함한다. 롤러(11)는 롤링 챔버 내측에 배열되고, 그 회전 중에, 헤어 스트랜드를 굴대 주위로 롤링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추출 개구부의 윤곽부(9a)에 배열된 정지적인 핑거(27)를 포함하고, 그 형상은, 롤러의 회전 중에 핑거를 지날 위험이 없이, 헤어 스트랜드가 굴대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굴대를 따른 컬링된 헤어 스트랜드의 해제를 촉진하기 위해서, 굴대의 자유 단부와 관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트랜드를 결속 및 해제하기 위한 정지적인 핑거를 가지는 헤어 컬링용 헤어 스타일링 기기
본 발명은 헤어의 스트랜드를 컬링하기 위한 헤어 스타일링 기기, 특히 스트랜드를 컬링하기 위해서 자동화된 스트랜드 와인딩 장치를 구비한 기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스트랜드를 컬링하기 위한 자동화된 스트랜드 와인딩 장치를 가지는, 헤어의 스트랜드를 컬링하기 위한 그러한 헤어 스타일링 기기는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번호 FR2373986A1, DE2816289A1, WO2009077747A2, WO2012080751A2, WO2013186547A1로 공개된 특허출원은 그러한 헤어 스타일링 기기를 설명한다. 이러한 유형의 설계에 따라서, 헤어 스타일링 기기는 헤어 스트랜드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와인딩 챔버를 가지는 하우징, 이러한 와인딩 챔버 내에 배열된 굴대, 및 헤어 스트랜드를 굴대 주위로 와인딩하도록 구성된 와인더를 포함한다.
특허출원 FR2373986A1에서, 와인더는 치형부를 가지는 나선과 같이 성형되고, 그에 따라 기기가 턴 온될 때, 헤어의 스트랜드가 파지될 수 있고 가열 굴대 주위로 와인딩될 수 있다.
특허출원 DE2816289A1에서, 와인더는 하우징의 와인딩 챔버 내의 굴대의 일부 주위에 동축적으로 배열된 원통체 형태이다. 굴대는, 와인더 및 하우징의 와인딩 챔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뿔형 헤드를 갖는다. 와인더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를 두피에 대해서 이동시키면서, 와인더 주위로 그리고 굴대의 원뿔형 헤드 주위로 스트랜드를 와인딩하는 것을 허용하는 후크를 가지는 노치(notch)를 구비한다.
FR2373986A1 및 DE2816289A에서 설명된 전술한 헤어 컬링 기기는 사용이 복잡하고 인체공학적이지 않다. 또한, 그러한 기기는 효과적인 헤어 컬링을 제공하지 못하는데, 이는 와인딩된 헤어가 적절한 컬 형성을 위해서 굴대에 근접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특허출원 WO2009077747A2에서,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하우징은 와인딩 챔버의 길이를 따라서 배열된 슬롯을 가지며, 그러한 슬롯을 통해서 헤어 스트랜드는 굴대 주위로 와인딩되도록 침투된다. 스트랜드를 수용하기 위해서, 측방향 안내 블레이드가 V 형상으로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슬롯의 외측에 배열된다. 와인더는 굴대 주위로 배열된 디스크의 형태이다. 디스크는 하우징보다 크고, 그에 따라 디스크는 슬롯 및 안내 블레이드를 통과한다. 디스크는, 디스크의 주변 윤곽까지 이어지고 후크를 형성하는 반경방향 노치를 가지며, 그에 따라 노치는 슬롯을 통해서 그리고 안내 블레이드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헤어 스트랜드를 파지하기 위해서 헤어 스트랜드를 노치 내에 배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스트랜드가 노치 내의 제 위치에 일단 위치되면, 스트랜드는, 두피로부터 스트랜드의 단부까지, 와인딩 챔버 내에서 굴대 주위로 와인딩된다. 이러한 와인더의 설계는 파지된 스트랜드가 디스크의 양 측면 주위로 와인딩될 것을 요구하고, 이는 와인딩 전체를 통해서 헤어에 장력을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헤어 손상의 위험이 있다. 또한, 디스크의 양 측면 상에서의 이러한 와인딩으로 인해서, 스트랜드가 하우징의 와인딩 챔버 내에 쉽게 걸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설계는 매우 부피가 크다.
특허출원 WO2012080751A2에서, 헤어 컬링 기기는 2개의 아암(arm)으로 형성된 클램프(clamp)의 형태이다. 하우징은 2개의 아암 중 하나의 단부에 배열되고 삽입 슬롯을 가지며, 그러한 삽입 슬롯은, 삽입 슬롯과 연통되는 와인딩 챔버의 방향으로 하우징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우징은, 와인딩 챔버 내에서, V 형상의 슬롯 외측에 배열되고 슬롯을 통해 헤어 스트랜드를 삽입하기 위해서 헤어의 스트랜드를 안내할 수 있게 하는 외부 안내 요소를 갖는다. 문헌 WO2009077747A2에서 전술한 헤어 스타일링 기기에 비해서, 와인더는, 안내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게 하기 위해서 슬롯을 통과하는 후크와 같이 성형된 디스크 형태이다. 제2 아암은, 그 극단부에서, 안내 요소를 위한 수용 지역 및 베어링 표면을 가지는 제2 하우징을 가지며, 그에 따라 베어링 표면이 헤어 스트랜드를, 안내 요소에 의해서 안내하면서, 슬롯을 향해서 밀수 있게 하는 한편, 그에 따라 와인더는 굴대 주위로 와인딩시키기 위해서 스트랜드를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설계 또한 매우 부피가 크다. 또한, 그 설계는 복잡하고, 이는 그 생산을 복잡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설계에 따라, 하우징은 그 단부 중 하나에서 추출 개구부를 가지며, 그러한 추출 개구부까지 와인딩 챔버가 이어지고, 굴대의 자유 단부는 이러한 추출 개구부에 근접 배열된다. 후퇴 가능 핑거는 추출 개구부의 윤곽부에 배열된다. 연장 위치에서, 이러한 후퇴 가능 핑거는 스트랜드가 굴대 주위로 와인딩되는 동안 스트랜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후퇴 위치에서, 굴대는 결합 해제되고, 이는 컬링된 스트랜드가 풀리거나 느슨해질 위험이 없이 해제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후퇴 가능 핑거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메커니즘의 구현을 필요로 한다.
특허출원 WO2012080751A2에서와 같이, 특허출원 WO2013186547A1에서, 하우징은 와인딩 챔버를 형성하고, 하우징에 고정된 일 단부 및 와인딩 챔버가 이어지는 추출 개구부에 인접한 자유 단부를 가지는 굴대가 그러한 와인딩 챔버 내에서 연장된다. 와인더는 또한, 스트랜드를 굴대 주위로 와인딩하기 위해서 스트랜드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후크를 형성하는 노치를 가지는 디스크의 형태이다. 제1 구현예에서, 하우징은 와인딩 챔버 내에 스트랜드를 배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큰 삽입 개구부를 갖는다. 제2 변형예에서, 하우징은, 굴대 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와인딩 챔버와 연통되는 삽입 슬롯을 가지며, V-형상의 안내 요소는, 슬롯과 대면되는 스트랜드의 배치를 돕기 위해서, 슬롯의 외측에 배열된다. 이러한 상이한 변형예들에 따라서, 헤어 컬링 기기는 삽입 개구부 또는 삽입 슬롯 내측으로 스트랜드를 밀도록 그리고 스트랜드를 디스크 상의 노치 내에 배치하도록 구성된 삽입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설계는 복잡하고 많은 수의 부품을 구현하여, 그 생산을 어렵게 만들고 그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러한 설계 역시 기기의 부피를 크게 만든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특히 문헌 WO2012080751A2에서 설명된 헤어 스타일링 기기에서 이용되는 후퇴 가능 핑거에 비해서, 용이하게 그리고 저렴하게 구현되는, 스트랜드를 굴대 주위로 와인딩하는 동안 스트랜드를 결속할 수 있게 하고 컬링된 스트랜드의 해제를 촉진하여, 단순한 설계를 제공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스트랜드가 와인딩 하우징 내측에서 걸리거나 얽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 그리고 헤어의 손상이 없이 규칙적인 컬을 만드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종래의 헤어 컬링 기기의 전술한 단점을 피하면서, 스트랜드를 와인딩하기 위해서 스트랜드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사용이 용이하고 실용적이면서, 헤어의 효과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헤어 컬링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효율성 감소 없이 그리고 두피의 화상 위험이 없이, 실질적으로 헤어 스트랜드의 전체 길이에서 헤어의 스트랜드를 컬링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은, 제2 축(X2)을 따라 회전체의 형상(shape of revolution)을 가지는 와인딩 챔버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헤어 스트랜드를 컬링하기 위한 헤어 스타일링 기기에 관심을 둔다. 하우징은 또한, 제2 축(X2)의 방향으로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와인딩 챔버까지 이어지는 삽입 슬롯을 갖는다. 하우징은 또한, 하우징의 측방향 단부에 배열된, 추출 개구부를 가지며, 와인딩 챔버는 추출 개구부까지 이어진다.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더 큰 치수 및 슬롯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삽입 개구부로 삽입 슬롯을 대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삽입 슬롯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헤어 스타일링 기기는 또한, 하우징에 고정된 일 단부 및 추출 개구부에 근접 배열된 자유 단부를 가지는 굴대를 포함하고, 그러한 굴대는 슬롯을 통해서 그리고 제2 축(X2)을 통과하는 평면(P) 내에 형성된 제3 축(X3)을 따라서 와인딩 챔버 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라, 헤어 스타일링 기기는 또한 와인딩 챔버 내에 배열되고 제3 축(X3)을 따라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와인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와인더는, 컬을 만들기 위해서, 그 회전 중에 굴대 주위로 스트랜드를 와인딩하도록 구성된다.
명확하게, 본 발명에 따라, 헤어 스타일링 기기는, 굴대의 자유 단부의 전방에서, 추출 개구부의 윤곽부에 배열된, 또는 이러한 윤곽부에 직접 근접하는, 정지적인 핑거를 포함한다. 정지적인 핑거의 형상은, 와인더의 회전 중에 핑거를 우회할 위험이 없이, 스트랜드가 굴대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컬링 동작의 종료 시에 굴대를 따른 컬링된 스트랜드의 해제를 돕기 위해서, 굴대의 자유 단부와 관련하여 구성된다. 그러한 정지적인 핑거의 존재는 유리하게, 예를 들어 특허출원 WO2012080751A2에서 설명된 기기와 같이 훨씬 더 복잡한 종래 기술의 기존 시스템과 달리,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지적인 핑거는 제3 축(X3)에 수직이고 그리고 평면(P)에 평행하다. 또한 정지적인 핑거는, 측방향 결속 면의 기부를 통과하고 제3 축(X3)을 수직으로 절단하는 직선(d1)이 측방향 결속 면과 0 내지 35도, 바람직하게 25도의 각도(β)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결속 면을 갖는다. 이는, 유리하게, 헤어 스트랜드가 정지적인 핑거의 단부를 향하지 않고 정지적인 핑거의 기부를 향해서 활주될 수 있게 하며, 이는 스트랜드의 와인딩 중에 핑거를 우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와인더는 굴대를 중심으로 양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정지적인 핑거는 평면(P)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열된 2개의 측방향 결속 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지적인 핑거는 제3 축(X3)에 수직이고 평면(P)에 평행하다. 또한, 그러한 핑거는 6 mm 내지 18 mm, 바람직하게 12 mm의 높이(h1)로 제3 축(X3)의 방향으로 굴대의 자유 단부의 주변 윤곽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또한, 컬링된 스트랜드의 해제를 방해하지 않고, 스트랜드의 와인딩 중에 스트랜드가 정지적인 핑거를 우회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지적인 핑거는 제3 축(X3)에 수직이고 평면(P)에 평행하다. 또한, 그러한 핑거는 1 mm 내지 5 mm, 바람직하게 3 mm의 거리(e1)만큼 굴대의 자유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이는 또한 스트랜드를 굴대 주위로 와인딩하는 동안, 정지적인 핑거의 우회 위험이 없이, 스트랜드를 결속하는 것, 그리고 스트랜드의 느슨해짐의 위험이 없이, 컬링된 스트랜드를 적절히 해제하는 것 사이의 양호한 절충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특성을 나타내는 정지적인 핑거의 경우에, 굴대는 20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 22 mm의 직경(D)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정지적인 핑거는 굴대의 자유 단부에 대면되어 배열된 내부 면을 갖는다. 이러한 내부 면은 추출 개구부를 통한 컬링된 헤어의 스트랜드의 해제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곡선형 형상을 갖는다. 내부 면은, 해제 중에 그리고 결속 유지 중에 컬링된 스트랜드가 정지적인 핑거의 아래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소 돌출된 노즐 형태로 연장되는, 추출 개구부의 윤곽부에 인접한 단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제거 가능한 고정 수단이 정지적인 핑거와 추출 개구부의 윤곽부 사이에 배열된다. 이는, 유리하게, 예를 들어, 헤어 스타일링 기기를 컬링하고자 하는 헤어의 유형에 보다 잘 적응시키기 위해서, 핑거를 약간의 형상 수정을 나타내는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시예에서, 와인더는 중공형이고 제3 축(X3)을 따른 회전체의 표면을 갖는다. 와인더는, 제3 축(X3)을 따른 굴대와 동축적으로, 와인딩 챔버 내에서 굴대 주위에 제1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다. 와인더는 제3 축(X3)을 따라 적어도 일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양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와인더는, 와인더의 초기 위치에서 스트랜드를 잡도록, 그리고 이어서 와인더의 회전 중에 스트랜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잡기 수단(catching means)을 그 회전체의 표면 상에서 갖는다. 또한, 와인더는, 굴대의 회전 중에, 스트랜드의 근위 단부를 성공적으로 파지 또는 잡도록, 동시적으로 스트랜드를 굴대 주위 및 와인더 주위로 와인딩하도록, 그리고 이어서 굴대 주위로 스트랜드를 완전히 와인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이러한 설계는, 유리하게, 와인딩 챔버를 2개의 동심적인 챔버: 굴대와 와인더 사이의 제1 간격에 의해서 형성된 하나의 내부 챔버 및 와인딩 챔버 내측에서, 와인더 외측의 간격에 의해서 형성된 하나의 외부 챔버로 분할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굴대 및 와인더 주위로 헤어 스트랜드를 동시에 와인딩할 수 있게 한다. 길이를 따라 굴대를 둘러싸는 와인더는 굴대보다 큰 와인딩 직경을 가지며, 그에 따라 적은 장력으로 헤어가 와인더 주위로 와인딩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헤어 손상 위험이 적다. 또한, 굴대의 그리고 와인더의 길이방향 형상은 비교적 큰 표면적 상에서의 헤어 스트랜드의 권선을 허용하여, 헤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시예에서, 컬링 기기는, 제1 축(X1)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우징에 부착되는 파지 핸들을 포함한다. 파지 핸들은 다양한 미적 형태 및 적절한 파지를 허용하기 위한 인체공학적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슬롯은 파지 핸들의 위치에 대향되는 측면 상에서 하우징 상에 배치된다. 평면(P)은 제1 축(X1) 및 제2 축(X2)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제3 축(X3)은 각도(α)를 따라 제1 축(X1)에 대해서 경사지고, 그에 따라 굴대의 자유 단부는 굴대의 고정 단부보다 파지 핸들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이러한 설계는, 유리하게, 스트랜드를 굴대 및 와인더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어 배치하면서, 스트랜드를 삽입 슬롯 내에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어서, 스트랜드를 슬롯에 대해서 경사지게 할 필요가 없이, 회전체의 와인더의 표면 상에서 잡기 수단 내로 스트랜드를 삽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기기의 조작을 상당히 돕고, 사용자는, 스트랜드의 배치와 관련된 어떠한 복잡함도 없이, 파지 핸들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면서, 스트랜드를 슬롯 내로 삽입하고, 이어서, 모근에 근접하여 위치된 헤어 스트랜드의 단부가 잡기 수단 내에 배치되도록, 추출 개구부를 두피에 대해서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시예에서, 각도(α)는 50 내지 80도, 바람직하게 70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시예에서, 제2 축(X2)은 제1 축(X1)에 수직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우징은 파지 핸들에 수직이고, 굴대 및 와인더는 와인딩 챔버 내에서 경사진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변형 실시예에서, 제2 축(X2) 및 제3 축(X3)은 서로 평행하고, 바람직하게 일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하우징의 와인딩 챔버의 축 내에서 굴대 및 와인더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하우징을 핸들에 대해서 경사지게 할 수 있는 한편, 슬롯 내에 그리고 와인더의 잡기 수단 내에 헤어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것을 돕는 장점을 보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수 많은 변형예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변형 실시예에서, 제2 축(X2)은, 제3 축(X3)과 동일한 측면 상에서, 제3 축(X3)의 경사 각도(α)와 90도 사이의 각도(φ)(α<φ<90°)만큼, 제1 축(X1)에 대해서 경사진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시예에서, 와인더는 굴대의 자유 단부 측면 상에 배열된 자유 연부를 갖는다. 또한, 와인더는, 회전체의 표면 상에서 연장되고 자유 연부까지 이어지는, 잡기 수단을 구성하는, 노치를 가지고, 그러한 노치는, 와인더의 초기 위치에서, 스트랜드가 굴대와 와인더 사이의 제1 간격 내에 침투할 수 있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파지 수단은, 자유 연부에 교차되는(secant), 노치의 2개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바람직하게 양 단부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 수단은 바람직하게 후크의 형태이다. 와인더가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될 때, 단일 후크가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와인더는 제3 축(X3)을 따라서 양 방향으로 회전되고, 2개의 후크는 노치의 전술한 2개의 단부에서 서로 대면되어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노치는, 작은 밑변이 자유 연부에 인접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의 노치 형상의 변형예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시예에서, 와인더는 제3 축(X3)을 따라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서, 와인더는 제3 축(X3)을 따라 원뿔형 형상을 가지며, 원뿔형 형상은 굴대의 자유 단부의 방향을 따른 확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시예에서, 삽입 슬롯은, 제2 축(X2)의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트랜드가 와인딩 챔버에 침투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V를 사이에 형성하는, 2개의 벽을 갖는다. 따라서, 슬롯의 외측에 배열된 V를 형성하는 부가적인 요소를 제공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하우징의 두께 내에 V 형상을 직접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제공하고, 이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전체 치수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슬롯은, 추출 개구부의 위치에 대향되는, 길이방향 단부 부분을 가지고, 슬롯 내에서 2개의 벽이 서로 연결되어 단일 단편으로 전체 V를 형성하며, V의 하단부는, 스트랜드의 굴대 및 와인더 주위의 와인딩 중에 스트랜드가 안내되도록 그리고 스트랜드가 미끄러지도록, 둥글게 처리되고 구성된다. 이러한 길이방향 부분은, 하우징 상에서, 굴대 및 와인더의 상류에 배열된다. 이러한 설계는 또한, 스트랜드를 굴대 및 와인더 주위로 와인딩하는 동안, 스트랜드 상의 임의의 장력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변형예에 따라, 슬롯은, 추출 개구부의 위치에 대향되는, 길이방향 단부 부분을 가지고, 슬롯 내에서 2개의 벽이 서로 연결되고, 스트랜드의 굴대 및 와인더 주위의 와인딩 중에 스트랜드가 안내되도록 그리고 스트랜드가 미끄러지도록 구성된, 다소 숟가락 형상의, 곡선형 하단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길이방향 부분은, 하우징 상에서, 굴대 및 와인더의 상류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시예에서, 삽입 슬롯은, 제2 축(X2)의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제2 축(X2)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리브(rib)를 가지는, 2개의 벽을 갖는다. 이러한 리브는 각각의 벽을 따라서 분포되고 스트랜드가 와인딩 챔버에 침투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브는 헤어 스트랜드의 삽입 중에 슬롯과 헤어 스트랜드 사이의 선형 접촉을 구현하는 장점을 가지며, 그에 따라 마찰을 감소시키고 스트랜드가 슬롯 내에 걸릴 수 있는 위험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리브는 각각 디스크의 일부의 형태이고, 이는, 2개의 벽 사이에 배열된 V와 같이, 슬롯의 통로 횡단면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스트랜드의 슬롯 내의 삽입 중에 스트랜드를 안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삼각형 형상과 같이, 슬롯의 통로 횡단면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우면서, 이러한 리브의 형상 변경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벽 상의 리브는, 각각의 벽 상에서 가변적인 분포를 가지는, 가변적인 치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시예에서, 삽입 슬롯은, 제2 축(X2)의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벽을 따라 전개된 파형부를 나타내는, 2개의 벽을 갖는다. 이러한 파형부는 스트랜드가 와인딩 챔버에 침투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파형부는 헤어 스트랜드의 삽입 중에 슬롯과 헤어 스트랜드 사이의 접촉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지며, 이는 마찰을 감소시키고 스트랜드가 슬롯 내에 걸릴 수 있는 위험을 제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롯은 3개의 전술한 실시예, 즉 특히 V를 형성하는 2개의 벽의 존재 및/또는 2개의 벽 상의 파형부의 존재 및/또는 이러한 2개의 벽 상의 리브의 존재, 중 적어도 2개의 실시예의 특성을 조합한다. 이러한 다양한 특성 각각은, 슬롯 내에 배열되고 스트랜드가 와인딩 챔버에 침투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안내 수단을 구성한다. 물론,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안내 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에 따라, 헤어 스타일링 기기는 와인딩 챔버 내측의 헤어의 스트랜드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가열 수단은 굴대 내에 배열된다. 그러나, 동시적인 굴대 및 와인더 주위의 스트랜드의 와인딩 중에 스트랜드를 가열하기 위해서 와인딩 챔버 내에 배열되는 가열 수단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와인더에 대해서 제2 간격을 가지고, 와인더 주위에서 와인딩 챔버 내에 배열된 내부 케이지를 부가적으로 갖는다. 내부 케이지는, 헤어 스트랜드가 슬롯을 통과한 후에, 헤어 스트랜드를 와인더의 방향으로 와인딩 챔버 내측에서 안내하는 것을 연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또한, 와인딩 챔버 내에서의 분산 위험이 없이, 스트랜드를 와인더 주위에서 하우징 내측에 구속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에 따라, 헤어 스타일링 기기는, 슬롯의 위치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평면(P) 내에서 연장되는 핸들로 구성된, 하우징을 파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헤어 스트랜드를 슬롯 내에 삽입하는 동안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는, 더 인체공학적인 헤어 스타일링 기기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파지 수단의 다른 구성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도면의 지원과 함께 본 발명의 목적을 나타낸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컬링 기기의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상응하는 헤어 컬링 기기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컬링 기기의 하우징의 정면도 및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와인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헤어 컬링 기기의 하우징 내측의 조립된 위치에서, 굴대, 와인더, 내부 케이지 및 정지적인 핑거의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헤어 컬링 기기의 하우징 내측의 조립된 위치에서의 굴대 및 정지적인 핑거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정지적인 핑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타일링 기기의 제2 실시예의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슬롯의 설계를 보여주는,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상응하는 헤어 컬링 기기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기기 상의 슬롯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사한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이용하였다.
설명의 나머지에서, "기기"라는 용어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컬링 기기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도 1에서, 기기(1)는 하우징(2) 및 파지 핸들(3)을 포함한다. 기기(1)는 전기 케이블(4)에 의해서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가열 수단 및 와인더 회전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제어 버튼(5, 6)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핸들(3)은 제1 축(X1)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헤어 스트랜드(미도시)가 하우징(2) 내측에 형성된 와인딩 챔버(8)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슬롯(7)을 가지며, 그러한 와인딩 챔버(8) 내에서 스트랜드의 컬링이 발생된다. 하우징(2)은 또한 그 전방 측방향 면(2b) 상에서 추출 개구부(9)를 가지며, 그러한 추출 개구부(9)를 통해서 스트랜드가 컬링된 후에 해제 또는 제거된다. 와인딩 챔버(8)는 하우징(2)의 길이방향에 상응하는 제2 축(X2)을 따라 형성되는 다소 원통형인 형상의 회전체를 갖는다. 제1 축(X1) 및 제2 축(X2)은 서로 수직이고, 하우징(2)의 그리고 파지 핸들(3)의 대칭 평면을 형성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평면(P)을 형성한다. 슬롯(7)은, 파지 핸들(3)의 위치에 대향되는 측면 상에서, 하우징(2)상에서 이러한 평면(P) 내에 배열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1)는 하우징(2)에 조립된 고정 단부(10a)를 가지는 굴대(10)를 포함한다. 굴대(10)는 또한, 와인딩 챔버(8) 내에서 추출 개구부(9)에 근접 배치되는 자유 단부(10b)를 갖는다. 굴대(10)는, 제1 축(X1)과 50°내지 80°도의 경사 각도(α)를 형성하는 제3 축(X3)을 따라서 와인딩 챔버(8)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경사 각도(α)는 70°이다. 이러한 굴대(10)의 경사는, 유리하게, 그 자유 단부(10b)를 그 고정 단부(10a)보다 파지 핸들(3)의 단부(3a)로부터 더 멀리 배치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트랜드를 와인딩하기 위해서 스트랜드를 배치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제3 축(X3)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평면(P) 내에 형성된다. 슬롯(7)은, 특히 도 3 및 도 4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평면(P)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1)는, 중공형이고 제3 축(X3)을 따라 회전체의 형상을 가지는 와인더(11)를 포함한다. 와인더(11)는, 이러한 제3 축(X3)을 따라, 굴대(1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굴대와 함께 특히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제1 간격(12)을 형성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더(11)는, 그 제1 길이방향 단부(11a)에서,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되는 웜 나사(worm screw)(미도시)와 맞물리는 기어휠(gearwheel)(미도시)에 와인더(1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배열된 스플라인(spline)(13)을 가지며, 이는 와인더(11)가 제3 축(X3)을 따라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모터의 회전 방향은 가역적이고, 이는 와인더(11)의 회전 방향의 반전을 허용한다. 도면의 보다 용이한 판독을 위해서, 모터, 기어휠 및 웜 나사를 도시하지 않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모터와 와인더(11) 사이의 다른 기어 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도 2,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더(11)는, 굴대(10)의 자유 단부(10b)의 방향으로 제3 축(X3)을 따라 확장되면서 연장되는 원뿔 형상을 갖는다. 와인더(11)는, 와인더의 회전체의 표면 상에서 연장되고 와인더(11)의 제2 길이방향 단부(11b) 상의 자유 연부(15)까지 이어지는, 노치(14) 또는 절개부를 갖는다. 이러한 노치(14)는 바람직하게, 작은 변(14a)이 자유 연부(15)에 배열된, 도 5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노치(14)를 위한 다른 형상, 예를 들어 다소 원통형 또는 타원형인 형상이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와인더(11)는 회전체의 원통형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와인더(11)를 따른 스트랜드의 보다 양호한 와인딩에 유리한, 회전체의 원뿔형 표면 및 사다리꼴 노치(14)가 바람직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연부(15)와 교차되는, 노치(14)의 2개의 단부(14b, 14c)에서, 2개의 후크(16a 및 16b)는 자유 연부(15)와 정렬되어, 바람직하게 자유 연부에 대해서 외측으로 약간 오프셋되어 정렬되어, 서로 대면 배열된다. 이러한 2개의 후크(16a 및 16b)는 슬롯(7)의 폭에 다소 상응하는 폭만큼 이격된다. 와인더(11)의 초기 위치에서, 컬링 동작의 시작 시에, 노치(14) 및 2개의 후크(16a 및 16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7)과 정렬되어, 평면(P)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열되고, 이는 두피에 근접하여 위치된 헤어 스트랜드의 일부를 이러한 슬롯(14) 내에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와인더(11)를 회전시키는 것은,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2개의 후크(16a 및 16b) 중 하나가 회전되게 하여, 스트랜드 와인딩을 시작하기 위해서 스트랜드를 파지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3 축(X3)을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와인더(11)를 회전시키는 것은 양 방향으로 컬을 만들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단일 후크로 충분할 수 있고 노치(14)의 구성이 적응될 수 있는 경우에, 컬의 단일 방향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초기 위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2개의 축(X1)과 축(X3) 사이의 경사 각도(α)는, 유리하게, 파지 핸들(3)에 대해서 경사져서, 굴대(10)의 자유 연부(10b)에 가까이 그리고 슬롯(7)에 근접하여 위치된, 노치(14) 및 2개의 후크(16a 및 16b)의 배치를 허용한다. 이는, 파지 핸들(3)을 일반적으로 조작하는 동안, 스트랜드를 노치(14)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 스트랜드를 와인더(11)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어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슬롯(7) 내에 스트랜드를 삽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1)는 와인딩 챔버(12) 내에 배열된 내부 케이지(17)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내부 케이지(17)는, 와인더(11)에 대해서 제2 간격(19)을 가지고, 제3 축(X3)을 따라서 와인더(11) 주위에 동축적으로 배열된, 제3 축(X3)을 따른 회전체의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부분(18)을 갖는다. 따라서, 굴대(10)와 와인더(11) 사이의 제1 간격(12)은 내부 챔버를 형성하고, 와인더(11)와 내부 케이지(17)의 부분(18) 사이의 제2 간격(19)은 외부 챔버를 형성한다. 내부 케이지(17)는 와인딩 챔버(8) 내에서 평면(P)에 평행하게 그리고 이러한 평면(P)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플랜지(20a, 20b)를 더 가지며, 이러한 플랜지(20a, 20b)의 각각의 상부 연부(21a, 21b)는 슬롯(7)에 인접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이는, 내부 케이지(17)의 제2 간격(19) 내측에서 와인딩 챔버(12) 내에서 스트랜드를 구속하는 것에 의해서, 스트랜드를 와인더(11)까지 더 양호하게 안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내부 케이지(17)는 또한, 스트랜드를 와인딩 챔버(8) 내에 배치하는 동안 스트랜드와 기기(1)의 구성요소 사이의 어떠한 접촉 위험도 피하면서, 하우징(2) 내에서 기기(1)의 구성요소를 배열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7)은, 하우징(2)의 두께 내에서, 평면(P)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서로 대면 배열되는, 2개의 벽(22a, 22b)을 갖는다. 이러한 벽(22a, 22b)은 하우징(2)의 전체 길이 상에서 연장되고, 평면(P)에 수직인 단면 평면(P1) 내에서, 스트랜드를 슬롯(7) 내에 삽입하는 것을 돕는 V를 형성한다. 추출 개구부(9)를 가지고 컬링 중에 두피와 접촉되는 하우징(2)의 측방향 면(2b)에 대향되는 하우징(2)의 측방향 면(2a)의 측면 상에 위치되는 그 부분(23a, 23b)에서, 벽(22a, 22b)들이 연결되고, 그러한 벽들은, 둥글게 처리되고 헤어 스트랜드가 하우징(2)의 길이를 따라서, 즉 제2 축(X2)의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헤어 스트랜드를 안내할 수 있게 하는 하단부(24)와 함께 단일 단편으로 전체 V를 함께 형성한다. 이러한 부분(23a, 23b)은, 스트랜드가 와인딩되는 동안 스트랜드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굴대(10) 및 와인더(11)의 상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2개의 벽(22a, 22b)은 하우징(2)과 독립적인 단일 단편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하우징(2)의 색채와 상이한 색채로 슬롯(7)을 만들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헤어 스트랜드의 삽입 중에 슬롯이 보다 용이하게 보여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예를 들어 고정 수단을 상이한 V 각도 또는 슬롯(7) 내에서 스트랜드를 안내하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 다른 고정 수단과 교체하기 위해서, 제거 가능한 고정 수단이 하우징(2)과 벽(22a, 22b) 사이에 배열되어 고정 수단이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거 가능한 고정 수단(미도시)은, 예를 들어, 하우징(2)의 벽(22a, 22b)을 나사체결 또는 스냅-피팅(snap-fitting)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리브(25, 26)가 2개의 벽(22a, 22b) 상에 각각 구현되며, 이러한 교차 리브(25, 26)는 각각 디스크의 일부의 형태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벽(22b)이, 상이한 치수를 가지고 상이하게 이격된, 디스크의 일부의 형태인, 8개의 교차 리브(26)를 가지는 것이 관찰된다. 다른 벽(22a) 상의 교차 리브(25)에서도 마찬가지 이다. 이러한 교차 리브(25, 26)는 헤어 스트랜드와의 선형 접촉을 가질 수 있게 하며, 이는 스트랜드의 삽입 중에 슬롯(7) 내에서의 스트랜드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교차 리브(25, 26)가 디스크의 일부 형태를 갖는다는 사실은 또한 슬롯(7)의 2개의 벽(22a, 22b) 상에서 서로 대면 배열된 교차 리브들(25, 26) 사이에 V를 다소 형성하는 펼쳐진 형상을 가질 수 있게 하고, 이는 또한 슬롯(7) 내의 스트랜드의 배치를 돕는다. 교차 리브(25, 26)의 이러한 디스크 형상은 삼각형 형상으로 교체될 수 있고, 이는 또한 벽(22a, 22b) 상에 서로 대면 배열된 교차 리브들(25, 26) 사이에 V를 형성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1)는, 추출 개구부(9)의 윤곽부(9a)에 부착되는 강성 부분으로 이루어진, 정지적인 핑거(27), 또는 고정 핑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지적인 핑거(27)는 몇 가지 기능을 갖는다. 첫 번째로, 정지적인 핑거(27)는, 스트랜드가 굴대(10)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트랜드의 와인딩 중에 스트랜드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정지적인 핑거(27)는, 스트랜드의 손상이 없는, 컬링된 스트랜드의 해제를 보장하여야 한다. 정지적인 핑거(27)는, 특히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대(10)에 수직이고, 다시 말해서 제3 축(X3)에 수직이다. 그에 따라, 정지적인 핑거(27)의 경사는 경사 각도(α)에 따라 달라진다. 굴대(10) 주위로 스트랜드를 와인딩하는 동안, 스트랜드는, 와인더(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지적인 핑거(27)의 2개의 측방향 결속 면(28a, 28b) 중 하나에 의해서 결속된다. 이러한 2개의 측방향 결속 면(28a, 28b)은 평면(P)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헤어가 와인딩 중에 정지적인 핑거(27)를 우회할 수 없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결속 면(28a)과 굴대(10)의 중심(29)으로부터 측방향 결속 면(28a)의 기부(30)까지 진행되는 직선(d1) 사이에 형성된 각도(β)는 이상적으로 0°내지 35°의 각도를 형성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각도(β)는 25°이다. 평면(P)에 따라 제1 측방향 결속 면(28a)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제2 측방향 결속 면(28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어 스트랜드는, 정지적인 핑거의 단부(27a)보다는, 정지적인 핑거(27)의 기부(30)를 향해서 활주되려는 더 큰 경향을 갖는다.
또한, 헤어 스트랜드가 와인딩 중에 정지적인 핑거를 우회하고 굴대(10) 주위로 회전되는 경향을 가지지 않도록 보다 양호하게 보장하기 위해서, 정지적인 핑거(27)는 굴대(10)의 자유 단부(10b)를 충분히 덮어야 하고, 정지적인 핑거의 굴대(10)로부터의 거리는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 이러한 충분한 피복(coverage)을 허용하기 위해서, 정지적인 핑거(27)는 6 mm 내지 18 mm의 높이(h1), 바람직하게 12 mm의 높이(h1)로 굴대(10)의 원통형 윤곽부로부터 연장된다. 더 높은 높이(h1)는 해제를 불리하게 할 위험이 있고, 더 낮은 높이(h1)는 헤어를 충분히 결속하지 못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굴대(10)까지의 거리와 관련하여, 정지적인 핑거(27)는 1 mm 내지 5 mm의 거리(e1)만큼 굴대(10)의 자유 단부(10b)로부터 이격되고, 이러한 거리(e1)는 바람직하게 3 mm이다. 이러한 거리(e1)는 정지적인 핑거(27)를 위해서 이용되는 높이(h1)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하게, 높이(h1)와 거리(e1) 사이의 4개의 비율(r)이 (r= h1/e1 = 4)를 위해서 제공되고, 이러한 비율(r)은 2 내지 5이다(2 < r < 5).
굴대(10)에 대한 정지적인 핑거(27)의 이러한 전술한 구성의 경우에, 굴대(10)는 20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 22 mm의 직경(D)을 갖는다.
정지적인 핑거(27)는 굴대(10)의 자유 단부(10b)에 대면 배열된 내부 면(31)을 갖는다. 내부 면(31)은, 특히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또는 오목형이고, 이는, 배출 중에, 컬링된 헤어의 스트랜드의 추방을 지원할 수 있게 한다. 해제 중에, 헤어가 이러한 정지적인 핑거(27) 아래를 통과하여 그에 결속되지 않도록, 이러한 내부 면(31)의 하부 단부(31a)는 굴대(10) 아래로 가능한 한 멀리 위치되어야 한다. 컬링된 스트랜드를 내부 면(31) 상으로 적절히 지향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정지적인 핑거(27) 아래로 지향시키지 않기 위해서, 이러한 하부 단부(31a)는 너무 두드러지게 형성되지 않아야 하고, 둥근 형태를 가져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서, 정지적인 핑거(27)는, 내부 면(31)과 정렬 배열된 곡선형 노즐(32) 형태로 연장되는 그 하부 단부(31a)를 가지는 곡선형 내부 면(31)을 가지며, 이는,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단부(31a)를 와인더(11c)의 내부 면(11c)을 향해서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정지적인 핑거(27)는 추출 개구부(9)의 윤곽부(9a)에 대해서 또는 그 근위부에서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정지적인 핑거(27)는,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전방 측방향 면(2b)에 대한 나사 체결(35)을 허용하는 오리피스(34)를 구비하는 하부 부분(33)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제거 가능한 고정 수단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거 가능한 고정은, 유리하게, 컬링하고자 하는 헤어의 유형에 보다 양호하게 적응시키기 위해서, 또는 핑거가 마모되었을 때, 컬링된 스트랜드의 해제 중에 그 마찰을 가능한 한 제한하기 위해서, 정지적인 핑거(27)를 교체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1)는, 굴대를 가열하기 위해서 그리고 헤어 스트랜드를 가열하기 위해서, 굴대(10) 내측에 배열된 가열 요소(36)를 포함한다. 그러한 가열 요소(36)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그에 따라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내부 케이지(17)와 와인더(11) 사이의 제2 간격(19) 내에서 스트랜드를 가열하기 위해서 내부 케이지(17) 상에서, 와인딩 챔버(8) 내에 배열되는 다른 가열 수단을 고려할 수 있다.
기기(1)의 하우징(2)은 파지 핸들(3)에 의해서 조작되고, 추출 개구부(9)를 가지는 그 측방향 면(2a)은 다양한 컬링 동작 중에 두피에 대항하여 배치된다. 슬롯(7)과 정렬되게 파지 핸들(3)을 배열하는 것은 기기(1)의 조작을 돕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하우징(2)에 대한 파지 핸들의 배열에서의 변형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컬링 동작의 시작에서, 사용자가 가열 요소(36) 설정점 온도로 설정한 후에, 스트랜드가 슬롯(7) 내측에 배치되고 이어서 플랜지(20a, 20b)에 의해서 제2 간격(19)으로 안내된다. 와인더(11) 및 굴대(10)가 파지 핸들(3)에 대해서 경사지기 때문에, 노치(14) 내의 스트랜드의 삽입은, 스트랜드를 노치(14) 내로 적절히 삽입하기 위해서 스트랜드를 하우징(2) 및 슬롯(7)에 대해서 경사지게 할 필요가 없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어서, 와인더(11)의 회전은 제어 버튼(5 또는 6) 중 하나에 의해서 격발되고, 이는 후크(16a 및 16b) 중 하나가 - 회전 방향에 따라 - 두피에 근접한 스트랜드를 파지하거나 잡을 수 있게 한다. 회전체의 표면이 굴대 및 그 노치(14) 주위에 배열된 와인더(11)의 구성은, 유리하게, 제1 간격(12)에 의해서 형성된 내부 챔버 내에서 굴대(10) 주위로, 그리고 제2 간격(19)에 의해서 형성된 외부 챔버 내에서 와인더(11)의 회전체의 표면 주위로 헤어 스트랜드를 와인딩하는 것을 동시적으로 허용한다. 와인더(11) 및 굴대(10) 상에서의 이러한 동시적인 와인딩 중에, 스트랜드는 슬롯(7)의 벽(22a, 22b)의 하단부(24)로 미끄러진다. 스트랜드의 단부가 하단부(24) 내로 미끄러지고 와인더(11) 주위로 와인딩되면, 와인더가 계속 회전되고, 이는, 전체 스트랜드가 굴대(10) 주위로 와인딩될 때까지, 스트랜드를 굴대(10) 주위로 계속 와인딩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와인더(11)는 회전 중단되고, 이어서, 몇 초 동안 굴대(10) 주위로 와인딩된 스트랜드를 유지하면서 가열 요소(36)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한다. 이어서, 기기(1)가 두피로부터 멀리 이동되고, 이어서, 컬링된 스트랜드는 정지적인 핑거(27)를 향해서 굴대(10)를 따라 변위되고, 이는, 기기가 머리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컬링된 스트랜드를 적절히 해제하기 위해서 추출 개구부(9)를 향한 컬을 수반할 것이다. 안내 수단의 변형 실시예가 본 발명의 내용에서 예상될 수 있다. 특히, 어떠한 교차 리브(25, 26)도 없는 V 형상의 벽(22a, 22b) 만을 가지는 슬롯(7)의 변형 실시예를 예상할 수 있거나, 역으로, 서로 평행한 벽 상의 교차 리브(25, 26)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며, 디스크의 일부 또는 삼각형 형상의, 교차 리브의 형상이 자체적으로 펼쳐진 형상 또는 V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리브들(25, 26) 사이에서 2개의 벽(22a, 22b)의 길이 상에 배열된 파형부(37, 38)를 예상할 수 있고, 이는 또한 2개의 벽(22a, 22b) 상의 헤어 스트랜드의 마찰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교차 리브(25, 26)가 없는, V를 형성하는 2개의 벽(22a, 22b) 상의 이러한 파형부(37, 38)를 예상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기기(1)의 변형 실시예에서, 슬롯(7)은, V 형상으로 함께 경사지고 도 1 내지 도 9의 변형 실시예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파형부(37, 38)를 가지는, 2개의 벽(22a, 22b)을 갖는다. 유사하게, 도 11에서, 하단부(24)가 도 11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둥글지 않고 편평하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를 가지는, 선행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공통 하단부(24)를 가지는 단일 단편으로 이루어진 2개의 벽(22a, 22b)의 부분(23a, 23b)이 확인된다.
도 12에 도시된 기기(1)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슬롯(7)은, V 형상으로 함께 경사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파형부(37, 38)를 가지는, 2개의 벽(22a, 22b)을 갖는다. 또한, 2개의 벽(22a, 22b)의 부분(23a, 23b)은, 도 1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곡선형인 또는 숟가락 형상인 공통 하단부(24)를 가지는 단일 단편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형태는 또한, 스트랜드를 와인더(11) 및 굴대(10) 주위로 와인딩하는 동안 슬롯(7) 내에서 헤어 스트랜드를 안내할 수 있게 한다.
기기(1)의 2개의 전술한 변형 실시예에 따라, 와인더(11)의 그리고 정지적인 핑거(27)의 변형 설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또한 적용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정지적인 핑거(27)의 변형예를 또한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기기(1)의 다른 변형 실시예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모드에서, 하우징(2)의 원형 형태가 따라서 형성되는 제2 축(X2)은 제1 축(X1)에 수직이고, 다시 말해서 제2 축(X2)에 대해서 90°인 각도(φ)만큼 경사진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서, 제2 축(X2)은 굴대(10)의 그리고 와인더(11)의 제3 축(X3)과 일치되고, 다시 말해서 제2 축(X2)은, 제2 축(X2)에 대한 제3 축(X3)의 경사 각도(α)에 상응하는 제1 축(X1)에 대한 각도(φ)만큼 경사진다. 또한, 제2 축(X2)이 제3 축(X3)에 평행하지만, 제2 축(X2)이 제3 축(X3)과 일치되지 않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3 축(X3)의 경사 각도(α)와 90°사이인 제1 축(X1)에 대한 제2 축(X2)의 경사 각도(φ), 즉 α<φ<90°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50°내지 80°의 각도(α) 값의 범위에서: 각도(α)가 50°일 때, 각도(φ)는 50°내지 90°일 수 있고; 각도(α)가 80°일 때, 각도(φ)는 80°내지 90°일 수 있고; 그리고 70°와 같은 각도(α)의 바람직한 값에 대해서, 각도(φ)는 70°내지 90°일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변형예에서, 본 발명의 주요 내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90°와 동일한 제1 축(X1)과 제3 축(X3) 사이의 경사 각도(α)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고, 다시 말해서 2개의 축(X1 및 X3)이 서로 수직인 것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며, 와인더(11)는 회전체의 원통형 또는 원뿔형 표면을 갖는다.

Claims (31)

  1. 헤어 스트랜드를 컬링하기 위한 헤어 스타일링 기기(1)이며:
    - 하우징(2)으로서, 제2 축(X2)을 따라 회전체의 형상을 가지는 와인딩 챔버(8), 제2 축의 방향으로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와인딩 챔버까지 이어지는 삽입 슬롯(7), 및 와인딩 챔버가 도달되는 하우징의 측방향 단부(2b) 내에 배열된 추출 개구부(9)를 포함하는, 하우징(2),
    - 하우징에 고정된 일 단부(10a) 및 추출 개구부에 근접 배열된 자유 단부(10b)를 가지며, 제2 축 및 슬롯을 통과하는 평면(P) 내에 형성된 제3 축(X3)을 따라서 와인딩 챔버 내에서 연장되는 굴대(10),
    - 와인딩 챔버 내에 배열되고 제3 축을 따라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와인더(11)로서, 굴대의 회전 중에, 굴대 주위로 스트랜드를 와인딩하도록 구성된, 와인더(11)를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에 있어서,
    추출 개구부의 윤곽부(9a)에 배열된 정지적인 핑거(27)를 포함하고, 정지적인 핑거의 형상은, 와인더의 회전 중에 상기 핑거를 우회할 위험이 없이, 스트랜드가 굴대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굴대를 따라 컬링된 스트랜드를 해제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굴대의 자유 단부와 관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2. 제1항에 있어서,
    정지적인 핑거(27)는 제3 축(X3)에 수직이고 그리고 평면(P)에 평행하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결속 면(28a, 28b)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결속 면은 측방향 결속 면의 기부(30)를 통과하고 제3 축을 수직으로 절단하는 직선(d1)이 측방향 결속 면과 0 내지 35도, 또는 25도의 각도(13)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3. 제2항에 있어서,
    와인더(11)가 굴대(10)를 중심으로 양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정지적인 핑거(27)는 평면(P)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열된 2개의 측방향 결속 면(28a, 28b)을 가지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적인 핑거(27)는 제3 축(X3)에 수직이고 평면(P)에 평행하며, 상기 핑거는 6 mm 내지 18 mm, 또는 12 mm의 높이(h1)에서 제3 축의 방향으로 굴대(10)의 주변 윤곽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적인 핑거(27)는 제3 축(X3)에 수직이고 평면(P)에 평행하며, 핑거는 1 mm 내지 5 mm, 또는 3 mm의 거리(e1)만큼 굴대(10)의 자유 단부(10b)로부터 이격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적인 핑거(27)는 굴대(10)의 자유 단부(10b)에 대면 배열된 내부 면(31)을 가지고, 내부 면은 추출 개구부(9)를 통한 컬링된 헤어의 스트랜드의 해제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곡선형 형상을 가지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7. 제6항에 있어서,
    내부 면(31)은, 노즐(32) 형태로 연장되는 단부(31a)를 가지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거 가능한 고정 수단(34, 35)이 정지적인 핑거(27)와 추출 개구부(9)의 윤곽부(9a) 사이에 배열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인더(11)는 중공형이고 제3 축(X3)을 따른 회전체의 표면을 가지며, 제3 축을 따라 굴대와 동축적으로, 와인딩 챔버(8) 내에서 굴대(10) 주위에 제1 간격(12)을 가지고 배열되며, 와인더는 그 회전체의 표면 상에서 와인더의 초기 위치에서 스트랜드를 잡도록, 그리고 이어서 와인더의 회전 중에 스트랜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잡기 수단(14)을 가지며, 와인더는, 제3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적어도 일 방향을 따른 그 회전 중에, 스트랜드의 근위 단부를 연속적으로 파지하도록, 동시에 스트랜드를 굴대 및 와인더 주위로 와인딩하도록, 그리고 이어서 스트랜드를 굴대 주위로 완전히 와인딩하도록 구성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10. 제9항에 있어서,
    와인더(11)는 굴대(10)의 자유 단부(10b)의 측면 상에 배열된 자유 연부(15), 및 와인더의 회전체의 표면 상에서 연장되고 상기 자유 연부까지 이어지는 노치(14)를 가지며, 노치는, 와인더의 초기 위치에서, 스트랜드가 굴대와 와인더 사이의 제1 간격(12)을 침투할 수 있게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11. 제10항에 있어서,
    파지 수단(16a, 16b)은, 자유 연부(15)에 교차되는, 노치(14)의 2개의 단부(14b, 14c)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또는 양 단부 상에 형성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12. 제9항에 있어서,
    와인더(11)는 제3 축(X3)을 따라 원뿔형 형상을 가지며, 원뿔형 형상은 굴대(10)의 자유 단부(10b)의 방향을 따라 확장을 나타내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슬롯(7)은, 제2 축(X2)의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트랜드가 와인딩 챔버(8)에 침투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V를 사이에 형성하는, 2개의 벽(22a, 22b)을 가지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인딩 챔버(8) 내측의 헤어 스트랜드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수단(36)을 포함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15. 제14항에 있어서,
    가열 수단(36)이 굴대(10) 내에 배열되는, 헤어 스타일링 기기(1).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87006443A 2015-08-07 2016-07-12 스트랜드를 결속 및 해제하기 위한 정지적인 핑거를 가지는 헤어 컬링용 헤어 스타일링 기기 KR102545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7632A FR3039755B1 (fr) 2015-08-07 2015-08-07 Appareil de coiffure pour le bouclage des cheveux avec un doigt immobile de blocage et de demoulage de la meche
FR1557632 2015-08-07
PCT/FR2016/051798 WO2017025669A1 (fr) 2015-08-07 2016-07-12 Appareil de coiffure pour le bouclage des cheveux avec un doigt immobile de blocage et de démoulage de la mè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489A KR20180038489A (ko) 2018-04-16
KR102545387B1 true KR102545387B1 (ko) 2023-06-21

Family

ID=5420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443A KR102545387B1 (ko) 2015-08-07 2016-07-12 스트랜드를 결속 및 해제하기 위한 정지적인 핑거를 가지는 헤어 컬링용 헤어 스타일링 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631610B2 (ko)
EP (1) EP3331399B1 (ko)
JP (1) JP2018521811A (ko)
KR (1) KR102545387B1 (ko)
CN (1) CN108366658B (ko)
BR (1) BR112018002534A2 (ko)
ES (1) ES2730525T3 (ko)
FR (1) FR3039755B1 (ko)
RU (1) RU2718346C2 (ko)
WO (1) WO2017025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9753B1 (fr) * 2015-08-07 2017-09-01 Seb Sa Appareil de coiffure pour le bouclage des cheveux avec un mandrin et un enrouleur inclines
USD897598S1 (en) * 2018-01-12 2020-09-29 Shenzhen Yangwo Electronic Co., Ltd Hair curler
USD919886S1 (en) * 2019-05-09 2021-05-18 Shenzhen Wedo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Automatic hair curler
USD905333S1 (en) * 2019-11-07 2020-12-15 A&S Distribution Sdn. Bhd. Cordless hair curler
USD892405S1 (en) * 2019-12-31 2020-08-04 Guangdong Huanengda Electrical Appliances Co., Ltd. Hair cur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0453A (ja) 2007-12-17 2014-01-09 Tf3 Ltd ヘアスタイリング補助具
US20140366909A1 (en) 2013-06-14 2014-12-18 Trade Box, Llc Automatic hair styling device
US20150114425A1 (en) 2013-10-28 2015-04-30 Chang Su Park Rotational hair styling device for easily making spiral curl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67953B (it) * 1976-12-20 1985-03-21 Gnaga Vittorio Apparecchio per arricciare automaticamente i capelli
DE2816289C3 (de) 1978-04-14 1981-08-13 Wehner, Erwin, 8000 Mün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llautomatischen und kontinuielichen Herstellung von Locken in Haaren
FR2435925A1 (fr) * 1978-09-14 1980-04-11 Droin Michel Appareil de sechage et de mise en forme de cheveux
JPS6110102U (ja) * 1984-06-25 1986-01-21 晃一 星野 自動毛髪カ−ラ
US5588449A (en) * 1994-03-15 1996-12-31 Falcon; William C. Hair ro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lighting hair
ES2270388T3 (es) * 2004-04-10 2007-04-01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Bigudi.
JP2006015121A (ja) * 2004-06-03 2006-01-19 Toshihiro Kimata カール器具、及びカール付与方法
GB201021458D0 (en) * 2010-12-17 2011-02-02 Tf3 Ltd Hair styling device
GB2490484A (en) * 2011-04-21 2012-11-07 Palock Ltd Dreadlocking apparatus
GB201210274D0 (en) * 2012-06-11 2012-07-25 Tf3 Ltd Hair styling device
CN103549750B (zh) * 2013-11-05 2016-03-02 浙江美森电器有限公司 毛发自动成型器
CN203505855U (zh) * 2013-10-16 2014-04-02 宁波希佳电器有限公司 带自动恒温控制的卷发器
DE202014102652U1 (de) * 2014-06-06 2015-09-11 Wik Far East Ltd. Haarformgerät
CN206603399U (zh) * 2014-07-07 2017-11-03 建福实业有限公司 具有卷绕器的卷发烫发器
CN203986591U (zh) * 2014-07-16 2014-12-10 深圳市奋达电器有限公司 一种卷发器
CN104643507B (zh) * 2015-03-04 2017-12-05 浙江月立电器有限公司 一种卷发锤及其工作原理
USD783897S1 (en) * 2015-07-29 2017-04-11 Kenford Industrial Company Limited Rotating styler
US10058158B2 (en) * 2015-11-06 2018-08-28 Conair Corporation Hair wav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0453A (ja) 2007-12-17 2014-01-09 Tf3 Ltd ヘアスタイリング補助具
US20140366909A1 (en) 2013-06-14 2014-12-18 Trade Box, Llc Automatic hair styling device
US20150114425A1 (en) 2013-10-28 2015-04-30 Chang Su Park Rotational hair styling device for easily making spiral cur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66658B (zh) 2021-09-17
FR3039755A1 (fr) 2017-02-10
US10631610B2 (en) 2020-04-28
KR20180038489A (ko) 2018-04-16
BR112018002534A2 (pt) 2018-09-18
JP2018521811A (ja) 2018-08-09
CN108366658A (zh) 2018-08-03
WO2017025669A1 (fr) 2017-02-16
ES2730525T3 (es) 2019-11-11
EP3331399A1 (fr) 2018-06-13
US20180255898A1 (en) 2018-09-13
RU2018107261A (ru) 2019-09-09
FR3039755B1 (fr) 2017-09-01
EP3331399B1 (fr) 2019-05-15
RU2718346C2 (ru) 2020-04-02
RU2018107261A3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387B1 (ko) 스트랜드를 결속 및 해제하기 위한 정지적인 핑거를 가지는 헤어 컬링용 헤어 스타일링 기기
KR102545388B1 (ko) 안내 수단을 구비한 삽입 슬롯을 가지는 헤어 컬링용 헤어 스타일링 기기
US20160081449A1 (en) Hair styling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US10117488B2 (en) Hair styling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ES2664941T5 (es) Aparato de peluquería eléctrico
KR102547525B1 (ko) 경사형 굴대 및 와인더를 가지는 헤어 컬링용 헤어 스타일링 기기
KR102631041B1 (ko) 헤어 고정장치를 갖는 헤어 컬링용 자동 헤어스타일링 기기
KR100499806B1 (ko) 머리카락 모근부 파마기
JP2012519020A (ja) パーマ用具
JP2942651B2 (ja) ヘアカー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