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942B1 -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 Google Patents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942B1
KR102543942B1 KR1020210086028A KR20210086028A KR102543942B1 KR 102543942 B1 KR102543942 B1 KR 102543942B1 KR 1020210086028 A KR1020210086028 A KR 1020210086028A KR 20210086028 A KR20210086028 A KR 20210086028A KR 102543942 B1 KR102543942 B1 KR 102543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ap
inlet
ring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4143A (ko
Inventor
임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크
Priority to KR102021008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942B1/ko
Priority to KR1020220062015A priority patent/KR20230004245A/ko
Publication of KR2023000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12Chai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로서, 막대형상을 구부려서 양쪽 끝단을 가까이 마주보게 하는 본체(11)와 본체(11)의 양쪽 끝단에는 입구부(12)가 형성되며 마주보는 입구부(12) 사이에는 작은 틈(15)이 형성되어 두개의 고리를 끼울 때 틈(15) 사이로 밀어 넣어 서로 끼워지도록 한다.

Description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STRUCTURE OF CHAIN}
본 발명은 땜이나 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형태의 변형 없이도 안전하게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땜이나 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형태의 변형 없이도 안전하게 결속되는 고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리 구조는 체인이라고도 하며 체인을 이루는 부속하나하나는 고리라고도 부를 수 있는데 국어사전에서 체인은 쇠로만든 고리를 여러개 이어서 만든 줄을 말한다고 하고 있으며 이러한 체인구조는 작게 만드는 경우 목걸이와 같은 구조에 사용이 될 수 있으며 굵고 크게 만드는 경우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킷에 쓰이거나 굵고 단단한 고리로 쇠사슬을 만들어 매우 강한 힘으로 결속되어야 하는 곳에 사용한다. 단단한 구조의 체인은 금속으로 만들되 닫힌 구조를 가지도록 만드는데 폐곡선을 이루는 고리에 다른 고리를 끼운뒤 끼워진 고리가 닫힌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이러한 고리를 여러개 연결함으로써 형성이 된다.
도1과 같은 체인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리는 동그란 형태로 한쪽부분이 개방되는데 결속을 위해서는 고리끼리 결합시킨 후 용접하여 고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목걸이와 같은 장식품에 사용하는 고리는 닫힌 형태로 만들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산업용으로 쓰이는 경우에는 땜을 하거나 별도의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고리구조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체인 구조를 만들 때 다른 고리가 들어갈 정도로 고리를 벌렸다가 다시 다물게 하여야 하고 다물어진 부분은 따로 용접을 하여 닫힌 구조로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사용을 함에 따라 용접한 부분이 벌어지고 한번 벌렸던 부분은 다시 벌려질 가능성이 있어 고리가 이탈할 가능성이 컸다. 용접을 하면 이탈되는 가능성이 줄어들지만 완전히 닫힌 구조를 만들지 않는 경우에는 열려있는 부분이 벌어져 체인구조가 해제될 가능성이 컸다.
또한, 닫힌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 용접을 하게 되면 제작비가 상승할 뿐 아니라 종래의 체인구조는 적어도 사슬을 이루는 고리가 통과할 정도로는 고리를 폈다가 다시 다물게 해야 되기 때문에 작업의 난이도가 높았으며 한번 폈다가 닫은 것이기 때문에 다시 변형될 가능성 또한 높았다.
도1의 하단의 사슬은 사슬이 움직이지 않도록 중간에 벽을 형성하였는데 이 경우 고리의 양쪽을 벌려야 양쪽으로 각각 다른 고리가 연결이 되기 때문에 고인이 마음대로 돌아다니지는 않지만 내구성이 더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리간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고리의결합이 쉽게 해제 되지 않으며 땜이나 잠금장치 같은 별도의 결합을 위한 수단이 필요하지 않은 체인을 만들 수 있는 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상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를 제공하는데 막대형상을 구부려서 양쪽 끝단을 가까이 마주보게 하는 본체(11)와 본체(11)의 양쪽 끝단에는 입구부(12)가 형성되며 마주보는 입구부(12) 사이에는 작은 틈(15)이 형성되어 두개의 고리를 끼울 때 틈(15) 사이로 밀어 넣어 서로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입구부(12)는 고리의 내부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가 형성되어 결합이후에 스스로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입구부(12)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은 점, 선, 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마주보는 입구부(12)를 향해서 수렴하여 단면이 점점작아지는 형태의 수렴부(14)가 형성이 되도록 한다.
두개의 고리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두개의 고리를 각각의 틈(15)이 같은 선상에 있도록 배열할 때 틈(15)의 주위에 배치되는 수렴부(14)의 단면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여 틈(15)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보강부(16)가 형성되는, 손상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상기한 바와 같은 고리에 의하여 결합이 쉬우면서도 단단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인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체인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2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는 고리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막대형상을 구부러 둥그런 형태로 만든 본체(11)와 본체(11)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입구부(12)를 포함한다. 본체(11)는 길다란 막대의 양쪽 끝을 구부려 'O'와 비슷한 형태로 만들어 고리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입구부(12)는 서로 마주보고 있으나 맞닿지는 않고 틈(15)을 형성하도록 한다. 입구부(12)에서 고리의 바깥쪽을 형성하는 부분은 본체(11)로부터 연장되어 본체(11)와 일직선을 형성하고 있어 본체(11)와 일체인것처럼 형성되어 있으나 고리의 안쪽부분에서는 고리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가 형성된다. 돌출부(13)는 고리를 이루기 위하여 서로 다른 고리끼리 연결이 되었을 때 다른 고리가 돌출부(13)에 걸려 입구부(12)를 통해 빠져나가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입구부(12)는 서로 맞닿지 않고 약간의 틈(15)을 두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데 도시된 도면과 같이 수렴부(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수렴부(14)는 마주보고 있는 입구부(12)의 끝단의 평면이 점, 선 혹은 작은 면으로 수렴하도록 하여 가장 수렴되는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이룬다. 가장 끝단은 점 혹은 선 형태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2에서는 입구부(12)의 끝단이 한개의 선으로 수렴하도록 하여 입구부(12)의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 수렴부(14)는 마주보고는 있지만 서로 닿지는 않은 상태로서 고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고리를 90도 각도로 마주보게 한뒤 각각의 입구부(12)에 형성된 틈(15)을 서로 통과시켜 결합하도록 한다.
입구부(12)는 처음부터 서로 마주보기만 하고 닿지는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결합을 위하여 힘을 주어 본체(11)를 구부리거나 펴는 동작을 할 필요가 없으며 각각의 고리에 형성된 틈(15)을 통하여 다른 고리의 틈(15)이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렴부(14)의 단면이 각각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는 본체(11)가 서로 90도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의 틈(15)을 통하여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틈(15)을 통하여 통과할 때 수렴부(14)의 단면이 삼각형인 경우 단면의 모양은 틈(15)을 중심으로 4개의 삼각형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틈(15)을 이용하여 두개의 고리가 통과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고리를 통과시킬때 두개의 고리의 수렴부(14)의 단면이 서로 겹치지 않는 상태가 되면 통과가 가능하다. 도4에 이러한 형태를 도시하였는데 같은 색깔의 단면은 같은 고리를 가리키는데 가장 가운데에 있는 틈(15)으로 서로 통과시키기 위해서 정렬시킨상태에서 수렴부(14)의 단면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없으면 서로 틈(15)을 이용하여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4에서 보이는 것처럼 단면의 모양은 서로 틈(15)쪽을 향하여 수렴하고 있는데 점, 혹은 선의 형태로 수렴을 하고 있다. 오른쪽의 것은 반구형을 이루며 하나의 점으로 수렴하는 형태일 수 도 있으며 원기둥의 한쪽면과 같이 선의 형태로 수렴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수렴부(14)의 끝단이 점으로 수렴하는 경우도 비슷할 수 있지만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 혹시 모르게 결합이 해제 되는 경우 끝단이 면인 경우는 점인 경우보다 자동으로 해제될 확률이 줄어들게 된다.수렴부 끝단이 선으로수렴하는 경우에는 틈을 이용해 고리를 수렴부(14)의 끝단의 선의 길이만큼을 이동시켜야 하는데 일부러 하는 것이 아니고서는 이렇게 이동시켜서 결합을 해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끝단이 면인 경우는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대개는 힘들지만 아주 작은 점이나 선에 가까운 경우에는 면으로 수렴하는 모양이 되며 고리끼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끝단이 점과 같은 경우에는 결합이 해제될 확률이 선인 경우보다는 높지만 디자인의 측면에서 불가피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그렇다고 하더라도 돌출부(13)가 형성된 경우 결합이 해제될 가능성은 매우 적다. 틈(15)이 가능한한 작아지기 위해서는 도시된것과 같이 틈(15)을 향해서 점이나 선으로 수렴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수렴부(14)사이에 있는 틈(15)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본체(11)를 폈다 접었다 할 필요가 없이 현재의 본체(11)의 모양 그대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체(11)를 폈다 접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폈다 접는 것이 쉽게 하기 위해서는 도1과 같이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만드는 것이 가장 좋으며 종래의 고리는 폈다 접었다 하는 것이 어려우면 결합도 어렵기 때문에 내구성을 위하여 보강하는 부분을 넣기가 쉽지 않지만 본 발명과 같은 고리의 경우에는 아예 펴지거나 접혀지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보강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3에서도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보강부(16)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보강부(16)는 어느 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단면적이 늘어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본체의 두께를 늘리는 효과를 가져온다. 디자인적인 요소 때문에 본체(11)가 일정이상의 두께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에 보강부(16)를 형성함으로써 본체(11)가 쉽게 펴지거나 졉혀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11: 본체 12: 입구부
13: 돌출부 14: 수렴부
15: 틈 16: 보강부

Claims (5)

  1.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로서,
    막대형상을 구부려서 양쪽 끝단을 가까이 마주보게 하는 본체(11)와
    본체(11)의 양쪽 끝단에는 입구부(12)가 형성되며 마주보는 입구부(12) 사이에는 틈(15)이 형성되어 두개의 고리를 끼울 때 틈(15) 사이로 밀어 넣어 서로 끼워지도록 하며
    입구부(12)는 고리의 내부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가 형성되어 다른 고리와의 결합이후에 다른 고리가 돌출부(13)에 걸려 입구부(12)를 통해 빠져나가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며
    입구부(12)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은 점, 선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마주보는 입구부(12)를 향해서 수렴하여 단면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의 수렴부(14)가 형성이 되며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보강부(16)가 형성되는,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고리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두개의 고리를 각각의 틈(15)이 같은 선상에 있도록 배열할 때 틈(15)의 주위에 배치되는 수렴부(14)의 단면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여 틈(15)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5. 삭제
KR1020210086028A 2021-06-30 2021-06-30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KR10254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028A KR102543942B1 (ko) 2021-06-30 2021-06-30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KR1020220062015A KR20230004245A (ko) 2021-06-30 2022-05-20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028A KR102543942B1 (ko) 2021-06-30 2021-06-30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015A Division KR20230004245A (ko) 2021-06-30 2022-05-20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143A KR20230004143A (ko) 2023-01-06
KR102543942B1 true KR102543942B1 (ko) 2023-06-20

Family

ID=849242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028A KR102543942B1 (ko) 2021-06-30 2021-06-30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KR1020220062015A KR20230004245A (ko) 2021-06-30 2022-05-20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015A KR20230004245A (ko) 2021-06-30 2022-05-20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39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7927A1 (en) * 2011-08-30 2013-09-05 Esco Corporation Chain and Coupling Link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3203A (en) * 1981-02-20 1982-10-12 Sea Trec Enterprises, Ltd. Quick-coupling link
JPH08270737A (ja) * 1995-03-29 1996-10-15 Nuclear Fuel Ind Ltd 連結構造を有する環状体
US7032372B1 (en) * 2004-07-09 2006-04-25 Genlyte Thomas Group, Llc Chain link
US9003612B2 (en) * 2012-04-09 2015-04-14 Fairfield Industries Incorporated Coupler, methods, and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7927A1 (en) * 2011-08-30 2013-09-05 Esco Corporation Chain and Coupling L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143A (ko) 2023-01-06
KR20230004245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39160B (zh) 一种钢筋套筒
KR102543942B1 (ko)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KR101846820B1 (ko) 파일조인트 유니트
CN1984828B (zh) 铰接地连接传送带部件的组件
KR20240014079A (ko) 형태의 변형없이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JP2021508360A (ja) 縦方向に可変板金厚さ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ポンプ用ブームアームセグメント、および、そのようなコンクリートポンプ用ブームアームセグメントを製作する為の方法
US20030057337A1 (en) Camming devices
US7032372B1 (en) Chain link
US3533139A (en) Connector for glass crystals and like members
KR102474154B1 (ko) 철근 커플러
CN219443332U (zh) 无形态变形且可实现扣合的环
US7377714B2 (en) Mechanical joint for collapsible structures
KR102258801B1 (ko) 철근 유동방지형 유니버셜 커플러
US6709028B2 (en) Quick coupling ball-and-socket joint for pipes
KR102211521B1 (ko) 철근 커플링
WO2014156413A1 (ja) チェーン
JP6238071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US854947A (en) Metallic beam or girder.
US998904A (en) Means for forming joints.
KR102158627B1 (ko) 초기슬립을 최소화한 초고장력 철근커플러
WO2019159329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スライダー
KR200478704Y1 (ko) 파이프 결속장치
KR200389188Y1 (ko) 배관파이프 연결구용 그랩링
JPH11287378A (ja) 分岐管
ITUB20153854A1 (it) Giunto per mobili e mobile realizzato con es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