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835B1 -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 Google Patents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835B1
KR102543835B1 KR1020200151678A KR20200151678A KR102543835B1 KR 102543835 B1 KR102543835 B1 KR 102543835B1 KR 1020200151678 A KR1020200151678 A KR 1020200151678A KR 20200151678 A KR20200151678 A KR 20200151678A KR 102543835 B1 KR102543835 B1 KR 10254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subject
electrode
electrical stimulation
yoga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5309A (ko
Inventor
홍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15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8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7Exercise mats for personal use, with or without hand-grips or foot-grips, e.g. for Yoga or supine floor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4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상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된 다량의 마찰전기를 접촉된 대상의 신체에 전달시킬 수 있는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여 대상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요가매트는 매트형의 기재부; 지면과 접촉되는 상기 기재부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부; 및 상기 기재부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도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 Yoga-mat and set of articles for electric stimulation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상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된 다량의 마찰전기를 접촉된 대상의 신체에 전달시킬 수 있는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여 대상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로 근육을 직접 자극해 뇌의 명령 없이 근육을 수축시키는 전기근육자극(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을 이용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자극은 주름 개선, 상처 및 골절 치유 촉진, 근육 피로 개선, 염증 개선, 혈액 순환 개선, 복부 지방 감소, 항균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근육자극을 이용한 장치들은 인체에 전기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 등의 에너지 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에너지원이 저장된 배터리 또는 에너지원을 생산할 수 있는 하베스팅 유닛을 필요로 하였기 때문에, 장치의 무게 및 크기를 일정 이하로 줄일 수 없어,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 시 착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 또한 어려웠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전기자극 장치의 경우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는 인체의 다양한 부위(목, 몸통, 팔, 손, 다리, 발)중 어느 한 부위에 장착되기 위한 제한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그 활용이 설계가 반영된 특정 부위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9426호 “운동효과 증대 의복”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에너지가 저장되는 배터리 또는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하베스팅 유닛이 필요 없이 접촉하는 인체 전반에 일정한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의복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가 지면과 달리 종래 요가매트 위에서 운동을 할 시에는 피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이 매우 미미하여, 전기자극에 의한 운동효과 증대 또는 근육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이에,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가 요가매트 위에서 활동할 시에도 지면에서 활동할 시와 유사한 전기자극을 가할 수 있는 요가매트가 필요하다.
(특허 문헌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94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된 다량의 마찰전기를 접촉된 대상자의 신체에 전달시킬 수 있는 요가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외부전력원 없이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접촉된 피부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에게 다량의 마찰전기를 전달시켜 강한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요가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가매트는 매트형의 기재부; 지면과 접촉되는 상기 기재부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부; 및 상기 기재부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도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가매트에 있어서, 상기 제1,2전도성부는 상기 기재부의 일면에 상호 이격 또는 교차되어 배열되는 다수개의 제1,2전도체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가매트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부는 상기 기재부의 상부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열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2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와 인접하게 배열되며 대전물질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대전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는 요가매트; 및 의복을 이루는 섬유부, 및 상기 섬유부에 위치하며 대상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가매트는 대상자와 접촉되는 상부면과, 지면과 접촉되는 하부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면에서 대상자가 움직일 시와 유사하게 다량의 마찰전기를 접촉된 대상자의 신체에 전달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요가매트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은 다량의 마찰전기를 요가매트와 접촉된 대상자의 신체에 전달시켜 대상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강화시킬 수 있음에 따라 운동효과 및 근육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요가매트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4 실시예에 따른 요가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 물품세트의 의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의복의 단면을 모식화한 모식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의복의 제1전극 및 제2전극 크기에 따른 전기자극 세기 시물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개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치 범위는 하한치와 상한치와 그 범위 내에서의 모든 값, 정의되는 범위의 형태와 폭에서 논리적으로 유도되는 증분, 이중 한정된 모든 값 및 서로 다른 형태로 한정된 수치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실험 오차 또는 값의 반올림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치범위 외의 값 역시 정의된 수치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용어, '포함한다'는 '구비한다', '함유한다', '가진다' 또는 '특징으로 한다' 등의 표현과 등가의 의미를 가지는 개방형 기재이며, 추가로 열거되어 있지 않은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용어, '실질적으로'는 특정된 요소, 재료 또는 공정과 함께 열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이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기술적 사상에 허용할 수 없을 만큼의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양 또는 정도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요가매트는 매트형의 기재부; 지면과 접촉되는 기재부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1전도성부 및 상기 기재부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도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부를 포함한다.
종래, 요가 매트는 요가 뿐만 아니라 필라테스 등 바닥에서 행할 수 있는 각종 운동 또는 스트레칭을 할 때 쿠션감을 위해 바닥 위에 깔아놓는 운동 보조기구로, 보통 열가소성 올레핀 엘라스토머(TPO) 또는 열가소성 우레탄 엘라스토머(TPU)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니트릴 고무(NBR)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요가매트 위에서 별도의 외부전력 없이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을 에너지원으로 접촉하는 인체 전반에 일정한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가 운동 또는 스트레칭을 한 경우, 지면에서 운동을 했을 때와 달리 피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이 매우 미미하여, 전기자극에 의한 운동효과 증대 또는 근육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제1,2전도성부에 의해 대상자와 접촉되는 상부면과, 지면과 접촉되는 하부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면에서 대상자가 움직일 시와 유사하게 다량의 마찰전기를 접촉된 대상자의 신체에 전달시킬 수 있다. 즉, 전도성물질이 상부면 및 하부면에 위치하며, 상, 하부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요가매트의 상부면에 위치한 대상자는 접지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가매트는 별도의 외부전력 없이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을 에너지원으로 접촉하는 인체 전반에 일정한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가 운동 또는 스트레칭을 한 경우, 지면에서 운동했을 때와 비교해 다량의 마찰전기를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전기자극에 의한 운동효과 및 근육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가매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가매트(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요가매트(1)는 매트형의 기재부(10); 지면과 접촉되는 기재부(10)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부(50); 및 상기 기재부(10)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제1 전도성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부(30);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재부(10)는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형으로 형성된 열가소성 올레핀엘레스토머(TPO) 또는 열가소성 우레탄엘레스토머(TPU)와 같은 열가소성 엘레스토머(TPE),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니트릴 고무(NBR) 소재일 수 있으나, 당업계에 공지된 절연성 요가매트 소재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기재부(10)는 두께가 2㎜ 내지 30㎜, 구체적으로 4㎜ 내지 20㎜일 수 있으며, 너비가 20㎝ 내지 100㎝, 구체적으로 40㎝ 내지 80㎝일 수 있고, 길이가 50㎝ 내지 250㎝, 구체적으로 100㎝ 내지 200㎝ 일 수 있으나, 당업계에 공지된 요가매트 사이즈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부(10)는 하부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영역이며, 상부면이 대상자가 운동 및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영역이다.
제1 전도성부(50)는 기재부(10)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것이고, 제2 전도성부(30)는 기재부(1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1,2전도성부(50)(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2전도성부(50)(30)는 기재부(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접촉되는 지면과 대상자의 신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인체가 접지된 상태일 수 있도록 한다.
제1,2전도성부(50)(30)는 서로 독립적으로 전도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2전도성부(50)(30)는 동일한 전도성 물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부(10) 전체 표면에 전도성물질이 코팅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도성물질이 기재부(10) 표면에 코팅됨에 따라, 기재부(10)의 표면에서 제1,2전도성부(50)(3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2전도성부(50)(30)는 측면들 중 어느 하나, 둘 또는 세개의 측면에 전도성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또는 측면의 전체 면적이 아닌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라인형으로 측면의 일부면적만 코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전도성물질이 기재부(10)의 측면이 아닌 기재부(10)를 관통하도록 위치하여 제1,2전도성부(50)(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2전도성부(50)(30)는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1,2전도체(51)(3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도성부(50)는 기재부(10)의 하부면에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개의 제1전도체(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전도성부(30)는 기재부(10)의 상부면에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개의 제2전도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전도체(51)(31)는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전도체(51)와 제2전도체(31)는 기재부(10)를 중심으로 제1,2전도체(51)(31) 배열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때, 기재부(10)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하는 각 제1,2전도체(51)(31)는 기재부(10)를 관통하여 연결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전도체(51)(31)는 원판형으로, 기재부(10)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각각 함입되되 일표면만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2전도체(51)(31)는 다각판, 구형, 막대형, 섬유형 등 형상이 한정되진 않지만, 대상자가 요가매트의 상부면에서 운동할 시 신체에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표면이 평면인 형상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2전도체(51)(31)는 동일하지 않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일 구체예로 제2전도체(3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배열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제1전도체(51)는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전도체(51)는 제2전도체(31) 모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도체(33)는 로드형으로, 제1전도체(51)는 원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로드형의 제2전도체(33)는 상호 교차되어 격자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2전도체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제2전도체는 대상자의 다양한 움직임에도 대상자의 신체와 접촉될 수 있도록 비교적 기재의 상부면 표면 전면에 균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전도체는 제2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면 단일개로만 구비되어도 무관한다.
이와 같은 제1,2전도성부(50)(30)에 포함되는 전도성 물질은 금속, 전도성 폴리머, 전도성 탄소재, 전도성 유기물, 전도성 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합은 금속과 전도성 탄소재, 전도성 유기물과 전도성 탄소재, 금속과 전도성 유기물등의 복합소재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탄소재의 일 예로, 탄소섬유, 활성탄소, 탄소나노튜브, 흑연, 카본블랙, 그래핀,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도성 유기물의 일 예로, 전도성 고분자등을 들 수 있으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hylene)계, 폴리아닐린(Polyaniline)계, 폴리피롤(Polypyrrole)계 및 폴리티오펜(Polythiophene)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질적인 일 예로,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polyacetylene, PA),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 폴리피롤(polypyrrolek PPy), 폴리티오펜 (polythiophen, PT),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폴리이소티아나프텐(polyisothianaphthene, PITN), 폴리페닐렌 비닐렌(polyphenylene vinylene, PPV),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PP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및 폴리설퍼니트리드(polysulfur nitride, PSN)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금속은 그 자체로 매우 좋은 도체임에 따라,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전이금속 및 전이후금속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이면 족하다. 다만, 제2 전도성부(30)가 위치하는 기재의 상부면은 대상자가 활동하는 영역으로 대상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함에 따라, 보다 확고한 사용 안정성을 위해, 금속은 구리, 금, 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과 같이 피부 접촉시 생체 안정성이 확인된 금속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성 산화물은 투명 전극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을 들 수 있으며, 투명 전도성 산화물로 FTO(Fouorine doped Tin Oxide), ITO(Indium doped Tin Oxide), GZO(Ga doped ZnO), AZO(Al doped ZnO), ZnO, SnO2, TiO2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가매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도성부는 기재부(10)의 상부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열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2전도체(31)와, 제2전도체(31)와 인접하게 배열되며 대전물질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대전체(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전도체(31)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전체(70)는 대상자의 움직임에 따라 대전되어 마찰전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마찰전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대상자의 신체에 더욱 더 다량의 마찰전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체(70)는 기재부(10)의 상면에 제2전도체(31)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대전체(7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물질이 코팅되어 직사각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전도체(31)가 차지하는 기재부(10)의 상부면 이외의 영역에 대전물질이 코팅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전도체(31)가 기재부(10)의 상부면에 차지하는 면적 : 대전체(70)가 기재부(10)의 상부면에 차지하는 면적은 1:0.1 내지 10, 구체적으로 1 : 1 내지 5, 더욱 구체적으로 1: 1.5 내지 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상기 대전체(70)에 포함되는 대전물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물질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양으로 대전되는 특성을 가지는 물질 및 음으로 대전되는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양으로 대전되는 물질로는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틸셀룰로스, 폴리아미드, 실크 및 목화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음으로 대전되는 물질로는 테플론,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염화비닐,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는 구체적인 일 예일 뿐 이에 제한받지 않는다. 구체예로 PVC으로 제조된 기재부(10)의 경우, 대전물질은 테프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요가매트는 상, 하부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요가매트의 상부면에 위치한 대상자는 접지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요가매트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으로, 상기와 같은 요가매트 및 외부전력 없이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을 에너지원으로 접촉하는 인체 전반에 일정한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있는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가 운동 또는 스트레칭을 한 경우, 지면에서 운동했을 때와 비교해 다량의 마찰전기를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전기자극에 의한 운동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요가매트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로, 상기한 요가매트; 및 의복을 이루는 섬유부, 및 상기 섬유부에 위치하며 대상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을 포함한다.
기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9426호에 기재된 “운동효과 증대 의복”과 같이, 의복만을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은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인체에서 발생되는 전기장만을 에너지원으로 피부에 전기 자극을 줄 수 있었으나, 지면이 아닌 종래 요가매트에서 대상자가 운동할 경우, 가해지는 전기자극이 약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가능성을 넓히기 위해선 다양한 환경에서도 마찰전기를 다량으로 전달하여 피부에 가해지는 전기 자극의 세기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요가매트를 제공함에 따라, 지면에서 운동하는 것과 유사하게 다량의 마찰전기를 요가매트와 접촉된 대상자의 신체에 전달시킬 수 있다. 이에, 대상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강화시킬 수 있음에 따라 운동효과 및 근육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의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의복의 단면을 모식화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복(100)은 의복(100)을 이루는 섬유부(110), 및 섬유부(110)에 위치하며 대상자의 신체(A)와 접촉되는 제1전극(130)과, 제1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섬유부(110)에 배치되는 제2전극(150)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한다.
대상자의 신체(A) 즉, 인체는 70~80퍼센트가 극성 분자인 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E)가 흐르며 제1 전기장(F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전극(130)과 제2전극(150)이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으로 인하여 전위차이를 가지게 되고, 두 전극이 전위차이를 가지게 되면 두 전극간 교류형태의 전류가 발생하게 되어 제2 전기장(F1)을 형성하게 되므로, 제2 전기장(F1)에 의해 인체가 자극되는 것이다. 이에, 제1전극과 접촉된 인체 국소 부위에 일정한 전기자극을 인가 가능하므로, 보다 많은 세포를 활성화 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섬유부(110)는 대상자가 인체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유지하는 부위로, 상체와 하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일정 이상의 저항을 가지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상의와 하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일정 이상의 저항을 가지되 제1전극(130)과 제2전극(15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하가 이동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전기장이 인가될 시 제1전극(130)과 제2전극(150)이 전위차를 가지게 하여 전기장을 형성 가능한 다양한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전기자극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부(110)를 사이에 두고 제1,2 전극(130)(150)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전극(130)을 대상자의 신체와 접하는 섬유부(110)의 내면에 위치시키고, 제2전극(150)을 일정 이상의 저항을 가지는 섬유부(110)로 대상자의 신체와 격리하여, 대상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에 의해 제1전극(130)과 제2전극(150)이 서로 다른 전위를 가지게 되고, 전위 차에 의해 제1전극(130)과 제2전극(150)간에 전하가 이동하며 교류 형태의 전류가 발생하게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세트에 포함되는 의복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전극(130)의 크기보다 상기 제2전극(150)의 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30)의 크기보다 상기 제2전극(150)의 크기가 더 클수록 상기 제1전극(130)에 의해 신체에 가해지는 전기장의 더 커지게 되며, 제1전극(130)과 제2전극(150)의 크기에 따른 전기장의 세기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Symmetric FCS은 섬유부(11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전극(130)과 제2전극(150)이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고, 제1전극이 신체(S)와 접촉하여 위치한 경우의 전기장 세기를 시뮬레이션하여 도시한 것이고, Asymmetric FCS는 섬유부(11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되, 피부와 인접한 제1전극(130) 보다 제2전극(150)의 크기가 큰 경우의 전기장 세기를 시뮬레이션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전극(130)의 크기보다 제2전극(150)의 크기가 클수록 제1전극(130)이 신체(S)에 가하는 전기 자극 효과는 더 커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의복은 본 발명자가 기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9426호에 기재된 의복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 물품세트는 요가매트를 통해 대상자의 마찰전기를 증대시켜 제1전극으로 가해지는 미세전기에너지를 증가시킴에 따라 대상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강화시킬 수 있어 운동효과 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요가매트
10 : 기재부
30 : 제2전도성부
50 : 제1전도성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매트형의 기재부;
    지면과 접촉되는 상기 기재부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도성부; 및
    상기 기재부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도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부는 상기 기재부의 상부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열되며 전도성물질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2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와 인접하게 배열되며 대전물질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대전체를 구비하는 전기자극용 요가매트; 및
    의복을 이루는 섬유부, 및 상기 섬유부에 위치하며 대상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
    을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1020200151678A 2020-11-13 2020-11-13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10254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678A KR102543835B1 (ko) 2020-11-13 2020-11-13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678A KR102543835B1 (ko) 2020-11-13 2020-11-13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309A KR20220065309A (ko) 2022-05-20
KR102543835B1 true KR102543835B1 (ko) 2023-06-20

Family

ID=8180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678A KR102543835B1 (ko) 2020-11-13 2020-11-13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8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9398A1 (en) * 2013-03-15 2014-09-18 Christopher Reid Kendall Conductive Exercise or Sleep Mat for Grounding a Us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784B1 (ko) * 2009-06-01 2013-02-21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매트
KR20180020184A (ko) * 2018-02-01 2018-02-27 이광우 전도성고무 및 가죽을 이용한 인체접지(어싱)용 패드/매트 및 복합기능성 매트커버 제작
KR102367898B1 (ko) 2018-12-13 2022-03-02 주식회사 바른공학 드레싱 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9398A1 (en) * 2013-03-15 2014-09-18 Christopher Reid Kendall Conductive Exercise or Sleep Mat for Grounding a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309A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896B1 (ko) 운동효과 증대 의복
US10143835B2 (en) Biological electrode and biological electrode-equipped wearing tool
CN101687096A (zh) 用于肌肉电刺激的穿着用具
Sheng et al. Self-powered smart arm training band sensor based on extremely stretchable hydrogel conductors
US20130019383A1 (en) Exercise Apparel
US20100114238A1 (en) Integration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prosthetic sockets, liners, and garments for improved amputee care and performance
KR102543835B1 (ko)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102398636B1 (ko) 전기 자극 패드
KR102521384B1 (ko) 대전부가 형성된 폼롤러 및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102518122B1 (ko) 전기자극용 신발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EP4129101A1 (en) Clothing for electrical stimulation
KR102519163B1 (ko) 전기자극용 양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20230126332A (ko) 전기자극용 양말
KR102461519B1 (ko)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
KR102631265B1 (ko) 미세-전기자극 의류
KR102481760B1 (ko) 전기자극 운동 세트
KR102555842B1 (ko) 전기자극 의류
KR102013900B1 (ko) 전원 연결의 끊어짐을 최소화한 점착패턴을 구비한 기능성 의복
KR102543837B1 (ko) 전기자극용 줄넘기 및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WO2021137298A1 (ja) 電気刺激衣類、電気刺激衣類用生地、電気刺激システム
CN216319497U (zh) 可穿戴式电刺激治疗装置
KR102613432B1 (ko) 레일형 재활 시스템 및 전기자극용 재활 세트
KR102498705B1 (ko) Ems 장치
KR102051137B1 (ko) 기능성 실리콘고무 코팅 원단
CN204671735U (zh) 一种按摩腰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