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519B1 -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 - Google Patents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519B1
KR102461519B1 KR1020200177107A KR20200177107A KR102461519B1 KR 102461519 B1 KR102461519 B1 KR 102461519B1 KR 1020200177107 A KR1020200177107 A KR 1020200177107A KR 20200177107 A KR20200177107 A KR 20200177107A KR 102461519 B1 KR102461519 B1 KR 10246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ectrode
conductor
elastic body
electrical st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895A (ko
Inventor
홍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17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5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4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electrically conductive, e.g. for automatic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125Large inflatable balls primarily used as body supports for exercising, e.g. balanc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4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한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과 접촉되어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변화시켜 전기자극 효과를 증가시키며, 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에 추가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외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탄성 운동 세트는 탄성 운동 기구 및 의복을 이루는 섬유부, 및 상기 섬유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Elastic exercise equipment and elastic exercise set}
본 발명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한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 표면과 접촉하여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의 전기자극 효과를 증대시키는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로 근육을 직접 자극해 뇌의 명령 없이 근육을 수축시키는 전기근육자극(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을 이용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자극은 주름 개선, 상처 및 골절 치유 촉진, 근육 피로 개선, 염증 개선, 혈액 순환 개선, 복부 지방 감소, 항균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 최근,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이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짐볼 운동기구(1)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탄력과 쿠션을 가진 큰 공 형상의 짐볼(10)과 짐볼(10)이 정지된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짐볼이 구르지 않으면서 이동은 가능하도록 짐볼(10) 하단에 형성되는 짐볼 받침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짐볼 운동기구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과 접촉하여 전기자극부에 형성되어 신체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장을 변화시켜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의 효과를 높일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5307호 (등록일자 2018.12.2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한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과 접촉되어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변화시켜 전기자극 효과를 증가시키며, 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에 추가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외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도부;를 포함한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는, 상기 탄성체의 외면을 감싸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전도라인;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점에서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대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는, 상기 탄성체의 구형면에 형성되는 제1전도체; 상기 탄성체의 평면 또는 평면 방향에 형성되는 제2전도체; 및 상기 제1전도체 및 상기 제2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도체는, 내측에 상기 탄성체의 평면 방향 일부가 삽입되는 받침부;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체는, 상기 탄성체의 외면을 감싸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전도라인;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점에서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세트는 탄성 운동 기구; 및 의복을 이루는 섬유부, 및 상기 섬유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에 형성된 제2전극이 탄성 운동 기구에 형성되는 전도부와 접촉되어 제2전극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제2전극이 제1전극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게 되어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의 전기자극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의복을 착용한 사용자가 탄성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지면에서 운동시, 탄성 운동 기구의 전도부가 지면과 접촉됨에 따라 접지가 되며, 상기 의복의 전기자극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짐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세트의 제1 실시예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의 단면을 모식화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크기에 따른 전기자극 세기 시뮬레이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 제1 실시예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세트의 사용 실시예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 사용 실시예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의 제2 실시예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세트의 제3 실시예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의 제4 실시예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기재된 사용자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을 착용한 사용자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의 대전 물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물질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양으로 대전되는 특성을 가지는 양극 대전 물질 및 음으로 대전되는 특성을 가지는 음극 대전 물질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양으로 대전되는 물질로는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틸셀룰로스, 폴리아미드, 실크 및 목화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음으로 대전되는 물질로는 테플론,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염화비닐,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는 구체적인 일 예일 뿐 이에 제한받지 않는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세트는 탄성 운동 기구(100) 및 의복(200)을 이루는 섬유부(201), 및 상기 섬유부(201)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S)와 접촉되는 제1전극(202)와 상기 제1전극(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S)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201)에 배치되는 제2전극(203)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에 포함되는 의복(20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전극(202)의 크기보다 상기 제2전극(203)의 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전극(202)의 크기보다 상기 제2전극(203)의 크기가 더 클수록 상기 제1전극(202)에 의해 신체(S)에 가해지는 전기장의 더 커지게 되며, 제1전극(202)와 제2전극(203)의 크기에 따른 전기장의 세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Symmetric FCS은 신체와 인접한 제1전극의 크기와 제2전극의 크기가 같은 경우의 전기장 세기를 시뮬레이션하여 도시한 것이고, Asymmetric FCS는 피부와 인접한 제1전극 보다 제2전극의 크기가 큰 경우의 전기장 세기를 시뮬레이션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전극의 크기보다 제2전극의 크기가 클수록 제1전극이 신체에 가하는 전기자극 효과는 더 커지게 된다.
신체(S)는 70~80퍼센트가 극성 분자인 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체 일부에서 제1전기장이 형성되면 신체를 통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인체가 움직일 때마다 발생하는 전기장으로 인하여 전위 차이를 가지게 되고, 두 전극이 전위차이를 가지게 되면 두 전극간 교류형태의 전류가 발생하게 되어 제2 전기장을 형성하게 되므로, 제2 전기장에 의해 인체가 자극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섬유부는 운동효과 증대 의복을 사용자가 인체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유지하는 부위로, 상체와 하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는 일정 이상의 저항을 가지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상의와 하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일정 이상의 저항을 가지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전기장이 인가될 시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전위차를 가지게 하여 전기장을 형성 가능한 다양한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전극을 신체(S)와 접하는 상기 섬유부의 내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전극을 일정 이상의 저항을 가지는 섬유부로 인체와 격리하여,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에 의해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서로 다른 전위을 가지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전위차에 의해 제1전극과 제2전극 간에 전하가 이동하며 교류 형태의 전류가 발생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서로 다른 소재일 수 있으나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도 상기 섬유부에 의해 전위차를 가지게 되므로, 제1전극과 제2전극을 동일 소재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은 상기 섬유부(201), 상기 섬유부(201)에서 신체(S)와 접촉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상기 제1전극(202), 상기 섬유부(201)에서 신체(S)와 접촉되지 않는 방향에 형성되는 상기 제2전극(20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전극(202)와 상기 제2전극(203)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에 의해 상기 제1전극(202)가 신체(S)에 전기자극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 운동 기구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을 착용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구성으로서, 근육 강화 운동 또는 스트레칭과 동시에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의 전기자극 효과를 증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운동 기구(100)는 탄성체(110) 및 상기 탄성체(110)의 외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도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10)는 상기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을 착용한 사용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도록 일정 내구성을 갖고, 사용자의 체중이 제거되면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탄력성을 갖는다.
상기 전도부(120)는 상기 탄성체(110)의 외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의 제2전극과 접촉되어 제2전극의 크기를 확장시킴으로써, 제1전극이 신체(S)에 가하는 전기자극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110)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체(110)가 구형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탄성체(110)의 일측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과 접촉하고, 타측은 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부(120)는 상기 탄성체(110)의 외면을 감싸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전도라인(1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도부(12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탄성체(110)를 감싸는 띄 형상의 복수개의 전도라인(1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라인(121)의 일측은 상기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의 제2전극과 접하게 되고, 타측은 지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2전극이 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접지된다. 즉, 상기 제2전극은 접지됨으로써 그 크기가 더 커지게 되어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의 제1전극의 전기자극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121)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점에서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121)은 두 점에서 서로 교차하며 상기 탄성체(110)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탄성체(110)가 상기 전도라인(121)의 형성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전극이 어떠한 상기 전도라인(121)에 접촉하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121)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121) 중 어떠한 전도라인(121)이 지면에 접촉하더라도,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121) 모두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의 전기자극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빈도 및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110)는 대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체(110)가 상기 전도라인(121)의 형성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도부(120)와 상기 탄성체(110)가 번갈아가며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의 제2전극 또는 신체 일부에 접촉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110)는 대전 물질로 이루어져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되기 때문에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의 제2전극 또는 신체 일부를 통해서 대전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1전극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체(110)가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200)의 제2전극에 닿지 않더라도, 상기 탄성체(110)와 전도부(120)가 번갈아가며 닿기 때문에 상기 탄성체(110)에 대전된 전기 에너지가 인체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체(110)가 상기 전도라인(121)의 형성 방향과 수평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전극의 크기를 더 크게하여 전기자극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탄성체(110)가 상기 전도라인(121)의 형성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추가 에너지원으로 작용되어 전기자극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110)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체(110)는 구형면과 평면을 이루며, 평면은 바닥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10)가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탄성체(110)를 회전시키는 운동이 아닌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탄성체(110)를 지지하며 할 수 있는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부는 상기 탄성체(110)의 구형면에 형성되는 제1전도체(122), 상기 탄성체(110)의 평면 또는 평면 방향에 형성되는 제2전도체(123) 및 상기 제1전도체(122) 및 상기 제2전도체(1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형면은 전기자극부를 포함한 의복을 착용한 사용자가 운동을 하며 전기자극부를 포함한 의복 또는 신체와 반복적인 접촉이 일어나는 면으로, 상기 전기자극부를 포함한 의복의 제2전극(2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전도체(122)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은 바닥에 접촉되는 면으로, 바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전도체(12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체(124)는 상기 탄성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도체(122)와 상기 제2전도체(1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연결체(124)를 통해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의 제2전극(203), 상기 제1전도체(122), 상기 제2전도체(123) 및 지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전도체(122)가 지면과 같은 전기적 특성(접지)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전도체(123)는 내측에 상기 탄성체(110)의 평면 방향 일부가 삽입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탄성체(1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제1전도체(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110)의 평면 방향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체(110)와 결합된다. 상기 제2전도체(123)로 이루어지는 상기 받침부는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전도체(123)가 받침부로 이루어져도, 상기 연결체(124)는 상기 제1전도체(122)와 상기 받침부를 상기 탄성체(110)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전도체는 상기 탄성체(110)의 외면을 감싸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전도라인(1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체(110)가 구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전도부가 형성되는 것과 유사하게, 상기 제1전도체는 상기 탄성체(110)의 구형면 외면을 감싸는 띄 형상의 복수개의 전도라인(1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121)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점에서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121)은 교차되는 지점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의 제2전극과 어떤 전도라인(121)이 접촉되어도,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121) 모두가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124)는 복수개의 전도라인(121) 모두를 상기 제2전극체(123)와 연결하지 않고도 단일개의 상기 전도라인(121)과 상기 제2전극체(123)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121) 전체를 상기 제2전극체(123)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체(110)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두발 또는 한발이 상기 구형면에 닿았다 떨어졌다 하는 방식의 운동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제1전극체(122)는 상기 연결체(124)와 상기 제2전극체(123)에 의해 지면에 접지되어, 사용자가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지면에서 운동할 때 발생하는 것과 유사한 전기자극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용한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의 제2전극이 상기 제1전극체(122)와 접촉하면, 상기 제1전극체(122)는 접지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제2전극의 크기가 증가하게되고, 발 등의 신체 일부가 바닥과 접촉 및 분리를 할 때마다 해당하는 신체 부위에서의 전기에너지가 인체를 통해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의 제1전극에 전달되어 전기자극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S : 신체
100 : 탄성 운동 기구 110 : 탄성체
120 : 전도부 121 : 전도라인
122 : 제1전도체 123 : 제2전도체, 받침부
124 : 연결체
200 :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 201 : 섬유부
202 : 제1전극 203 : 제2전극

Claims (11)

  1.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외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부는,
    상기 탄성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전도체;
    제1전도체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탄성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2전도체; 및
    상기 제1전도체 및 상기 제2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구형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운동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는,
    상기 탄성체의 외면을 감싸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전도라인;
    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운동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점에서 서로 교차되는 탄성 운동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대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탄성 운동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운동 기구.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도체는,
    내측에 상기 탄성체의 평면 방향 일부가 삽입되는 받침부;
    로 이루어지는 탄성 운동 기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체는,
    상기 탄성체의 외면을 감싸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전도라인;
    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운동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전도라인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점에서 서로 교차되는 탄성 운동 기구.
  11.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외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전도체, 제1전도체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탄성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2전도체, 및 상기 제1전도체 및 상기 제2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탄성 운동 기구; 및
    의복을 이루는 섬유부, 및 상기 섬유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자극부를 포함하는 의복;
    을 포함하는 탄성 운동 세트.
KR1020200177107A 2020-12-17 2020-12-17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 KR102461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07A KR102461519B1 (ko) 2020-12-17 2020-12-17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07A KR102461519B1 (ko) 2020-12-17 2020-12-17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895A KR20220086895A (ko) 2022-06-24
KR102461519B1 true KR102461519B1 (ko) 2022-11-02

Family

ID=8221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107A KR102461519B1 (ko) 2020-12-17 2020-12-17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5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6612A (ja) * 2007-10-31 2009-05-21 Tokyo Denki Univ 遊戯用ボール
JP2013042831A (ja) * 2011-08-23 2013-03-04 Nihon Sofuken:Kk 運動補助具
JP2015530891A (ja) * 2012-07-26 2015-10-29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ール フエルデルング デア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ルシュング エー.ファオ. 変形可能な電磁コイル構造体を有する、スポーツ用品の、弾性変形可能なアイ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307B1 (ko) 2017-11-14 2019-01-04 (주)멘퍼스 짐볼 운동기구
KR102380200B1 (ko) * 2018-12-13 2022-03-30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미세전류 자극 속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6612A (ja) * 2007-10-31 2009-05-21 Tokyo Denki Univ 遊戯用ボール
JP2013042831A (ja) * 2011-08-23 2013-03-04 Nihon Sofuken:Kk 運動補助具
JP2015530891A (ja) * 2012-07-26 2015-10-29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ール フエルデルング デア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ルシュング エー.ファオ. 変形可能な電磁コイル構造体を有する、スポーツ用品の、弾性変形可能なアイ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895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9426A (ko) 운동효과 증대 의복
US10335587B2 (en) Wearable band for low-frequency therapy
JP2018023568A (ja) 生体用電極及び生体用電極付き着用具
KR20110020925A (ko) 부정 조작이 없이 신체의 전기 자극을 위한 착용가능한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461519B1 (ko)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
RU194843U1 (ru) Аппликатор для рефлексотерапии
KR102521384B1 (ko) 대전부가 형성된 폼롤러 및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102613432B1 (ko) 레일형 재활 시스템 및 전기자극용 재활 세트
TWM564459U (zh) 震動彈力繩
KR102481760B1 (ko) 전기자극 운동 세트
KR102519163B1 (ko) 전기자극용 양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102536342B1 (ko) 기립 운동 장치 및 전기자극용 기립 운동 세트
KR20220056949A (ko) 이중 실린더형 줄넘기 및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20220056951A (ko) 전기자극용 줄넘기 및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20220065309A (ko)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102013900B1 (ko) 전원 연결의 끊어짐을 최소화한 점착패턴을 구비한 기능성 의복
KR20170075044A (ko) 더블레이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ems 수트
TWM583297U (zh) 具導電按摩功效之衣料結構
CN215195010U (zh) 足底治疗装置
Aboalasaad et al. Effect of compression bandages on muscle's behavior
TWI781333B (zh) 一種具導電效果衣物之設置方法及其結構
CN219539254U (zh) 脉冲脚部按摩仪
CN210112644U (zh) 一种带非接触式开关的低频脉冲训练服
KR102498705B1 (ko) Ems 장치
RU192982U1 (ru) Аппликатор для рефлексотерапии (1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