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760B1 - 전기자극 운동 세트 - Google Patents

전기자극 운동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760B1
KR102481760B1 KR1020200177148A KR20200177148A KR102481760B1 KR 102481760 B1 KR102481760 B1 KR 102481760B1 KR 1020200177148 A KR1020200177148 A KR 1020200177148A KR 20200177148 A KR20200177148 A KR 20200177148A KR 102481760 B1 KR102481760 B1 KR 102481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ically connected
conductiv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618A (ko
Inventor
홍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17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7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4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한 주 의복과 절연부 및 전도부를 포함하는 보조 의복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 의복의 전기자극 효과를 증가시키거나, 추가 에너지원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는 의복을 이루는 섬유부, 및 상기 섬유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주 의복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보조 의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전도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극 운동 세트{Electric stimulation exercise set}
본 발명은 운동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한 주 의복 표면과 보조 의복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 의복의 전기자극 효과를 증대시키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로 근육을 직접 자극해 뇌의 명령 없이 근육을 수축시키는 전기근육자극(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을 이용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자극은 주름 개선, 상처 및 골절 치유 촉진, 근육 피로 개선, 염증 개선, 혈액 순환 개선, 복부 지방 감소, 항균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 최근,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주 의복이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전기석이 구비된 고무장갑(10)은 장갑본체(11)와 전기석(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갑본체(11)는 통상의 고무장갑과 동일하게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석(17)은 전기를 대전하는 돌로, 마찰에 의해 미세전류의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갑은 주 의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극부에 형성되어 신체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장을 변화시켜 주 의복의 효과를 높일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7-0141496호 (공개일자 2017.12.2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한 주 의복과 절연부 및 전도부를 포함하는 보조 의복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 의복의 전기자극 효과를 증가시키거나, 추가 에너지원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 운동 세트는 의복을 이루는 섬유부, 및 상기 섬유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주 의복;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보조 의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전도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에 있어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전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에 있어서, 일부 또는 전부가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도부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운동 기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의복은, 내면이 상기 절연부로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전도부가 형성되는 장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동 기구는, 전도성 소재 부분이 상기 장갑을 착용한 상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상기 전도부와 상기 운동 기구에 형성되는 전도성 소재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에 있어서, 상기 운동 기구는, 전부가 도체로 이루어지는 아령;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에 있어서, 상기 운동 기구는, 외부는 비도체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도체로 이루어지되, 내부의 도체 일부가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면에 노출되는 아령;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에 있어서,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보조 의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손잡이 및 양단이 각각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줄을 포함하는 스트레칭 용품;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부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줄은,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부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줄은, 전부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절연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의 외면에 노출되는 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은, 전부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체부의 타단과 상기 줄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는 주 의복에 형성된 제2전극과 보조 의복에 형성된 전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제2전극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제2전극이 제1전극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게 됨에 따라 제1 및 제2전극 간의 전위차가 증가하여 주 의복의 전기자극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갑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 의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크기에 따른 전기자극 세기 시뮬레이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 연결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기재된 사용자는 주 의복 즉, 주 의복을 착용한 사용자를 지칭한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는 의복을 이루는 섬유부, 및 상기 섬유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주 의복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보조 의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전도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 의복(10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전극(102)의 크기보다 상기 제2전극(103)의 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02)의 크기보다 상기 제2전극(103)의 크기가 더 클수록 상기 제1전극(102)에 의해 신체(S)에 가해지는 전기장의 더 커지게 되며, 제1전극(102)와 제2전극(103)의 크기에 따른 전기장의 세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Symmetric FCS은 신체와 인접한 제1전극의 크기와 제2전극의 크기가 같은 경우의 전기장 세기를 시뮬레이션하여 도시한 것이고, Asymmetric FCS는 피부와 인접한 제1전극 보다 제2전극의 크기가 큰 경우의 전기장 세기를 시뮬레이션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전극의 크기보다 제2전극의 크기가 클수록 제1전극이 신체에 가하는 전기자극 효과는 더 커지게 된다.
신체(S)는 70~80퍼센트가 극성 분자인 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체 일부에서 제1전기장이 형성되면 인체를 통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신체가 움직일 때 마다 발생하는 전기장으로 인하여 전위 차이를 가지게 되고, 두 전극이 전위차이를 가지게 되면 두 전극간 교류형태의 전류가 발생하게 되어 제2 전기장을 형성하게 되므로, 제2 전기장에 의해 인체가 자극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섬유부는 운동효과 증대 의복을 사용자가 인체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유지하는 부위로, 상체와 하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는 일정 이상의 저항을 가지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상의와 하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일정 이상의 저항을 가지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전기장이 인가될 시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전위차를 가지게 하여 전기장을 형성 가능한 다양한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전극을 신체(S)와 접하는 상기 섬유부의 내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전극을 일정 이상의 저항을 가지는 섬유부로 인체와 격리하여, 인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에 의해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서로 다른 전위를 가지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전위차에 의해 제1전극과 제2전극 간에 전하가 이동하며 교류 형태의 전류가 발생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서로 다른 소재일 수 있으나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도 상기 섬유부에 의해 전위차를 가지게 되므로, 제1전극과 제2전극을 동일 소재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 의복(100)은 상기 섬유부(101), 상기 섬유부(101)에서 신체(S)와 접촉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상기 제1전극(102), 상기 섬유부(101)에서 신체(S)와 접촉되지 않는 방향에 형성되는 상기 제2전극(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전극(102)와 상기 제2전극(103)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에 의해 상기 제1전극(102)가 신체(S)에 전기자극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 운동 세트는 주 의복을 착용한 사용자가 운동 시 착용하는 보조 의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극 효과 및 운동 효과를 증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의복(20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신체(S)와 접촉하는 상기 절연부(201)와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신체(S)와 접촉하지 않는 상기 전도부(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도부(202)는 상기 주 의복(100)의 상기 제2전극(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도부(202)가 상기 제2전극(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2전극(103)의 크기를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주 의복(100)의 상기 제1전극(102)이 신체(S)에 가하는 전기자극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극(103)과 상기 전도부(2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체(300)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제2전극(103)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도부(20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전극(103)과 상기 전도부(20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체(300)는 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주 의복(100)과 상기 보조 의복(200)간의 사이 거리에 제한받지 않고 상기 제2전극(103)과 상기 전도부(20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체(300)가 없더라도, 상기 제2전극(103)과 상기 전도부(202)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주 의복(100)과 상기 보조 의복(200)간의 접촉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2전극(103)이 형성되는 상기 주 의복(100)의 끝단과 상기 전도부(202)가 형성되는 상기 보조 의복(200)의 끝단이 맞닿았을 때, 상기 제2전극(103)과 상기 전도부(20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극 운동 세트는 일부 또는 전부가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도부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운동 기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기구(40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부분이 상기 보조 의복(200)의 상기 전도부와 접촉되면, 상기 제2전극, 상기 전도부, 상기 운동 기구(400)의 전도성 소재부분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전극의 크기가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주 의복(100)의 상기 제1전극이 신체(S)에 가하는 전기자극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의복(200)은 내면이 상기 절연부로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전도부가 형성되는 장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동 기구(400)는 전도성 소재 부분이 상기 장갑을 착용한 상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상기 전도부와 상기 운동 기구(400)에 형성되는 전도성 소재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의복(200)은 신체와 접촉하는 내면은 상기 절연부로 이루어지고, 신체와 접촉하지 않는 외면은 상기 전도부로 이루어지는 장갑으로서, 상기 운동 기구(400)는 상기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갑에 파지된 상기 운동 기구(400)의 전도성 소재 부분은 상기 전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운동 기구는 전부가 도체(conductor)로 이루어지는 아령(400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장갑에 파지되는 아령(400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령(400a)은 전부가 도체(conductor)로 이루어져, 상기 장갑과 접촉되는 모든 곳이 상기 전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아령(400a) 전체가 상기 장갑 및 상기 주 의복의 상기 제2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전극의 크기가 극대화 되어 상기 주 의복의 상기 제1전극의 전기자극 효과가 증가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운동 기구는 외부는 비도체(nonconductor)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도체(conductor)로 이루어지되, 내부의 도체(conductor) 일부가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면에 노출되는 아령(4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령(400b)은 내면이 도체(conductor)로 이루어지고, 외면은 비도체(nonconductor)로 이루어지되, 내부의 도체(conductor)가 외면에 노출되어, 상기 장갑이 상기 아령(400b)을 파지할 때, 상기 장갑과 접촉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아령(400b)이 상기 장갑에 파지되면, 상기 아령(400b)의 외면에 노출된 도체(conductor)가 상기 장갑의 상기 전도부와 접촉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주 의복의 상기 제2전극의 크기를 증가시켜, 상기 주 의복의 상기 제1전극의 전기자극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아령(400b)이 내면은 도체(conductor)로 이루어지고, 외면은 비도체(nonconductor)로 이루어지면, 전체가 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더 낮은 무게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아령의 외면에 미끄럼방지가 가능한 비도체 소재로 이루어져, 운동 중 상기 장갑에서 상기 아령(400b)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보조 의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손잡이(410) 및 양단이 각각 상기 손잡이(410)에 결합되는 줄(420)을 포함하는 스트레칭 용품(400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장갑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조 의복에 파지되어 상기 전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손잡이(410)와 상기 손잡이(410)에 연결되는 줄(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줄(420)은 탄성력이 있는 줄(420)로써, 상기 한 쌍의 손잡이(4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줄(420)에 장력이 생기면 일정 길이 늘어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410)에 걸린 힘이 제거되면 원래 길이로 회복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410)는 전부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줄(420)은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의복이 한 쌍의 장갑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주 의복의 상기 제2전극은 한 쌍의 장갑 및 상기 한 쌍의 장갑에 파지된 한 쌍의 상기 손잡이(410)만큼 그 크기가 더 증가되어, 상기 주 의복의 상기 제1전극의 전기자극 효과가 증대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410)는 전부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줄(420)은 전부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의복이 한 쌍의 장갑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주 의복의 상기 제2전극은 한 쌍의 장갑, 상기 한 쌍의 장갑에 파지된 한 쌍의 상기 손잡이(410) 및 한 쌍의 손잡이(410)에 연결된 상기 줄(420)을 포함한 만큼 그 크기가 더 증가되어, 상기 주 의복의 상기 제1전극의 전기자극 효과가 증대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410)는 절연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410)의 외면에 노출되는 도체부(411)를 포함하고, 상기 줄(420)은 전부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체부(411)의 타단과 상기 줄(4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의복이 한 쌍의 장갑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주 의복의 상기 제2전극은 한 쌍의 장갑, 상기 한 쌍의 장갑에 파지된 한 쌍의 상기 손잡이(410)와 상기 줄(420)을 연결하는 도체부(411) 및 한 쌍의 손잡이(410)에 연결된 상기 줄(420)을 포함한 만큼 그 크기가 더 증가되어, 상기 주 의복의 상기 제1전극의 전기자극 효과가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S : 신체
100 : 주 의복 101 : 섬유부
102 : 제1전극 103 : 제2전극
200 : 보조 의복 201 : 절연부
202 : 전도부
300 : 연결체
400 : 운동 기구 400a, 400b : 아령
400c : 스트레칭 용품 410 : 손잡이
411 : 도체부 420 : 줄

Claims (10)

  1. 의복을 이루는 섬유부, 및 상기 섬유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섬유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주 의복;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절연부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보조 의복; 및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전도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 또는 전부가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도부 및 상기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운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의복은,
    내면이 상기 절연부로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전도부가 형성되는 장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동 기구는,
    전도성 소재 부분이 상기 장갑을 착용한 상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상기 전도부와 상기 운동 기구에 형성되는 전도성 소재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전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
    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기구는,
    전부가 도체로 이루어지는 아령;
    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기구는,
    외부는 비도체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도체로 이루어지되, 내부의 도체 일부가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면에 노출되는 아령;
    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기구는,
    상기 보조 의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손잡이 및 양단이 각각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줄을 포함하는 스트레칭 용품;
    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부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줄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부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줄은,
    전부 도체로 이루어지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절연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의 외면에 노출되는 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줄은,
    전부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체부의 타단과 상기 줄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자극 운동 세트.
KR1020200177148A 2020-12-17 2020-12-17 전기자극 운동 세트 KR102481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48A KR102481760B1 (ko) 2020-12-17 2020-12-17 전기자극 운동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48A KR102481760B1 (ko) 2020-12-17 2020-12-17 전기자극 운동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618A KR20220087618A (ko) 2022-06-27
KR102481760B1 true KR102481760B1 (ko) 2022-12-29

Family

ID=8224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148A KR102481760B1 (ko) 2020-12-17 2020-12-17 전기자극 운동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7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5385A2 (en) * 2004-09-29 2006-04-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dular wearable circuit
JP3163539U (ja) * 2010-07-30 2010-10-21 恵美 志磨 分極性電極機能を有する衣服および寝具
KR20120001299U (ko) * 2010-08-16 2012-02-24 정우협 미세전류를 이용한 착용물
KR20170141496A (ko) 2016-06-15 2017-12-26 최송이 전기석이 구비된 고무장갑
KR102367898B1 (ko) * 2018-12-13 2022-03-02 주식회사 바른공학 드레싱 밴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63539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618A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7096B (zh) 用于肌肉电刺激的穿着用具
Reilly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electropathology
US5070862A (en) Glove for electro-massage therapy
EP0788811B1 (en) A device for application of endermic electrotherapeutic treatments to a human body
KR102481760B1 (ko) 전기자극 운동 세트
KR102543837B1 (ko) 전기자극용 줄넘기 및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FI3960260T3 (fi) Puettava laite ja menetelmä siihen
KR102521365B1 (ko) 이중 실린더형 줄넘기 및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102536342B1 (ko) 기립 운동 장치 및 전기자극용 기립 운동 세트
KR102461519B1 (ko) 탄성 운동 기구 및 탄성 운동 세트
CN112334183A (zh) 电刺激按摩用手套
CN209529910U (zh) 一种基于肌肉电刺激的人体工学训练服及训练服系统
US20070282409A1 (en) Low frequency medical apparatus
KR102584494B1 (ko) 전기자극용 피복
KR101174312B1 (ko)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전기 자극용 피복품
KR102013900B1 (ko) 전원 연결의 끊어짐을 최소화한 점착패턴을 구비한 기능성 의복
KR102613432B1 (ko) 레일형 재활 시스템 및 전기자극용 재활 세트
KR102663771B1 (ko) 저주파 마사지기
CN206081329U (zh) 一种穿戴式电极及物理治疗带
KR102521384B1 (ko) 대전부가 형성된 폼롤러 및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KR102543835B1 (ko) 요가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용 물품 세트
RU207638U1 (ru) Адаптивное электр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8598630U (zh) 一种具有电极贴片的眼罩
CN204671735U (zh) 一种按摩腰带
RU2722705C1 (ru) Апплик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