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617B1 - 바이오마커 검출이 가능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마커 검출이 가능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617B1
KR102543617B1 KR1020210065548A KR20210065548A KR102543617B1 KR 102543617 B1 KR102543617 B1 KR 102543617B1 KR 1020210065548 A KR1020210065548 A KR 1020210065548A KR 20210065548 A KR20210065548 A KR 20210065548A KR 102543617 B1 KR102543617 B1 KR 10254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device
ion exchange
exchange membrane
sample solution
solutio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726A (ko
Inventor
이정훈
이준우
이승민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5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G01N2001/2826Collecting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G01N2001/2833Collecting samples on a sticky, tacky, adhesive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38Sl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베이스의 이동 경로에 우물을 형성하고, 이동 경로의 양단에 설치된 이온 교환막에 전계를 인가하여 이온 농도 분극을 형성하고, 이온 농도 분극으로 인하여 물질의 이동성에 변화가 생기고, 우물의 벽이 물질의 이동성의 임계치로 작용하여 물질이 우물에서 농축 및 분리됨으로써, 우물을 통해 대상 용액을 주입하고 농축된 물질을 액체, 졸(sol), 또는 겔(gel) 상태로 추출할 수 있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오마커 검출이 가능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SAMPLE SOLUTION CONCENTRATION SEPARATION DEVICE FOR DETECTING BIOMARKE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 의학은 단순하게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건강수명의 연장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미래의학은 치료의학 중심이 아니라,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예측의학(Predictive Medicine),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의 3P를 구현하는 것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조기발견 및 조기 치료 등이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바이오마커(Biomarker)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오마커는 정상이나 병적인 상태를 구분할 수 있거나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표지자를 말한다. 바이오마커에는 핵산(DNA, RNA), 단백질, 지방질, 대사물질 등과 그 패턴의 변화 등이 이용되고 있다. 즉, 당뇨병의 진단을 위한 혈중 포도당 같은 간단한 물질부터 글리벡의 치료 타겟인 만성골수성백혈병의 BCR-ABL 유전자 융합 같은 유전자 등이 모두 바이오마커에 해당하며 임상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바이오마커이다.
핵산 또는 단백질을 분석하여 질병의 발현 및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단백질 분석을 위한 기술 및 소자들은 나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소자의 제작이 어렵고 비교적 고가이어서 보급화 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백질 분석 장치에 고감도의 센서가 필요하거나 적은 양의 시료로는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핵산 또는 단백질을 검출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크로마토그래피 방식을 이용한 측방 유동 분석 방법이다. 이러한 측방 유동 분석 방법은 임신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2294호 (2016.08.2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베이스의 이동 경로에 우물을 형성하고, 이동 경로의 양단에 설치된 이온 교환막에 전계를 인가하여 이온 농도 분극을 형성하고, 이온 농도 분극으로 인하여 물질의 이동성에 변화가 생기고, 우물의 벽이 물질의 이동성의 임계치로 작용하여 물질이 우물에서 농축 및 분리됨으로써, 우물을 통해 대상 용액을 주입하고 농축된 물질을 액체, 졸(sol), 또는 겔(gel) 상태로 추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에 물질이 이동 가능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에 상기 이동 경로의 일부에서 공간을 갖는 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에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의 일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구조물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이온 교환막이 연결된 제1 레저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온 교환막이 연결된 제2 레저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몰드에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을 위치시키는 단계; 제2 몰드에 겔을 부어 채우는 단계; 상기 제2 몰드에 상기 제1 몰드를 덮어 두는 단계; 상기 겔을 고체화시켜 상기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이 부착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몰드로부터 상기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물질이 이동 가능한 이동 경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경로의 일부에서 공간을 갖는 우물; 상기 이동 경로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며,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대상 용액이 용액 상태로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우물은, 상기 공간의 일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형상 및 상기 우물에 삽입된 깊이에 의해 상기 물질의 이동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이온 교환막이 연결된 제1 레저버; 및 상기 이동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온 교환막이 연결된 제2 레저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저버 및 상기 제2 레저버에 버퍼 용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우물은 복수이고, 상기 물질이 상기 복수의 우물 중에서 일부의 우물에서 농축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온 교환막 및 상기 제2 이온 교환막에 전계를 인가하고, 상기 물질이 포함된 대상 용액이 용액 상태로 일부의 우물에 주입되면, 상기 물질이 상기 일부의 우물을 건너 다른 우물에서 농축될 수 있다.
상기 우물은 대상 용액을 주입하는 공간이면서 농축된 대상 용액을 액체, 졸(sol), 또는 겔(gel) 상태로 회수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우물에 농축된 물질이 액체, 졸(sol), 또는 겔(gel)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온 교환막 및 상기 제2 이온 교환막에 전계를 인가하고, 제1 물질과 제2 물질이 포함된 대상 용액이 용액 상태로 일부의 우물에 주입되면,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이 상기 일부의 우물을 건너 다른 복수의 우물에서 각각 농축되어,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이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물질의 크기 또는 질량이 상기 제2 물질의 크기 또는 질량보다 작고, 상기 제1 물질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2 물질의 이동 속도보다 빠르며, 상기 일부의 우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물질이 농축된 우물이 상기 제2 물질이 농축된 우물보다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미세 기공을 갖고 종이 또는 겔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의 내부를 가로지르며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베이스의 이동 경로에 우물을 형성하고, 이동 경로의 양단에 설치된 이온 교환막에 전계를 인가하여 이온 농도 분극을 형성하고, 이온 농도 분극으로 인하여 물질의 이동성에 변화가 생기고, 우물의 벽이 물질의 이동성의 임계치로 작용하여 물질이 우물에서 농축 및 분리됨으로써, 우물을 통해 대상 용액을 주입하고 농축된 물질을 액체, 졸(sol), 또는 겔(gel) 상태로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통해 테스트한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존의 채널에 대상 물질을 농축하는 방식은 채널에 농축된 대상 물질을 채널로부터 추출하는 별도의 공정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는 농축된 대상 물질을 곧바로 수집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 사이에 우물을 설치한다. ICP(Ion Concentration Polarization)를 통해 시료의 이동성에 차이를 발생시켜서 여러 우물 중에서 특정 우물에 원하는 시료를 농축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에 우물 벽을 쌓거나 우물을 파내는 방식, 몰드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에 물질이 이동 가능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S11), 베이스에 이동 경로의 일부에서 공간을 갖는 우물을 형성하는 단계(S12), 및 이동 경로에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을 부착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S11)는, 이동 경로에 연결되며 제1 이온 교환막이 연결된 제1 레저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이동 경로에 연결되며 제2 이온 교환막이 연결된 제2 레저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물을 형성하는 단계(S12)는, 공간의 일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구조물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몰드에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을 위치시키는 단계(S21), 제2 몰드에 겔을 부어 채우는 단계(S22), 제2 몰드에 제1 몰드를 덮어 두는 단계(S23), 겔을 고체화시켜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이 부착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S24), 및 제2 몰드로부터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100)는 농축 및 분리의 대상이 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대상 용액을 용액 상태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킨다.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100)는 베이스(110), 이동 경로(120), 우물(130), 제1 이온 교환막(140), 제2 이온 교환막(150)을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미세 기공을 갖고 종이 또는 겔 등을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경로(120)는 베이스에 형성되며 물질이 이동 가능한 경로이다. 이동 경로(120)는 베이스(110)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베이스(110)의 내부를 가로지르며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경로(120)는 벽을 형성하거나 내부를 투과하는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경로(120)는 이동 경로의 양단에 연결되며 제1 이온 교환막이 연결된 제1 레저버 및 제2 이온 교환막이 연결된 제2 레저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저버 및 제2 레저버에 버퍼 용액이 수용될 수 있다.
우물(130)은 베이스(110)에 형성되며 이동 경로(120)의 일부에서 공간을 갖는다.
제1 이온 교환막(140) 및 제2 이온 교환막(150)은 이동 경로()120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다.
우물(130)은 공간의 일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구조물(135)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135)은 우물(130)에 결합되거나 베이스(110) 등에 결합될 수 있다.
구조물(135)의 형상 및 우물에 삽입된 깊이에 의해 물질의 이동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조물(135)은 곡면, 평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V, L, T, M, W 등의 다양한 코너, 경사, 또는 요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우물(130)은 복수로 설계될 수 있고 물질이 복수의 우물 중에서 일부의 우물에서 농축될 수 있다.
우물(130)은 대상 용액을 주입하는 공간이면서 농축된 대상 용액을 액체, 졸(sol), 또는 겔(gel) 상태로 회수하는 공간일 수 있다. 우물(130)에 농축된 물질이 액체, 졸(sol), 또는 겔(gel)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섬유 망상 구조(Fiber Network)로 이루어진 다공성 재료 (예컨대, 종이, 면직, 실, 아가로스 겔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경로에 소수성 물질이 패턴화되어 코팅될 수 있다.
소수성 물질은 대표적으로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로서 왁스(Wax)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베이스에 왁스를 인쇄하거나 가열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Acrylics), 올레핀(Olefins), 아미드, 이미드, 스티렌, 카보네이트, 비닐 아세탈, 디엔(Dienes), 비닐, 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케톤, 플루오로카본이나 테플론(Teflon), PDMS, 실란(Silane) 등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알킬실란 계열의 실리클래드(Siliclad) 등이 있고, 실리콘 계열으로는 하이드라이드 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Methylhydrosiloxane-Dimethysiloxane Copolymer)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재료에서 물질이 소수성을 띄게 되는 경우는 물과 닿는 표면의 구조에 의한 영향과 재료의 표면 자체의 특성에 의한 영향으로 소수성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인 종이에 코팅을 하여 마이크로 채널을 형성하는 경우는 후자에 해당하며, 종이에 왁스를 코팅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것은 종이라는 친수성 재료에 채널로 사용할 부분을 제외하고 다른 부분을 소수성을 띄게 할 수 있다. 소수성의 성질은 베이스를 종이와 비슷한 파이버(Fiber) 소재를 이용할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셀룰로오스 페이퍼 이외에 파이버 계열의 베이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에 소수성 물질인 왁스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 종이 위에 소수성 물질의 패턴을 코팅시킬 수 있다. 왁스 패터닝 방법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고, 종이와 소수성 물질을 단순히 접합시키는 것, 종이에 소수성 물질을 침투시킨 상태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시료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수성 물질을 종이에 침투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의 경우 원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탄성 및 성형성이 좋고, 소수성 물질과 흡착, 침투시키는 형태로 종이 위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소수성 코팅물질과의 결합력도 우수하다.
베이스는 다공성 멤브레인(Porous Membrane)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의 두께를 조절하여 시료가 분리 및 농축되는 정도로서 분해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가 종이인 경우 종이의 두께를 50 ㎛, 180 ㎛, 350 ㎛ 등으로 차등 적용하여 분해능을 조절할 수 있고, 베이스의 미세공(Pore)의 크기를 조절하여 채널의 단면적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온 교환막은 선택적 투과막이라고도 한다. 이온 교환막(Ion exchange membrane, IEM)은 양이온 교환막(Cation Exchange Membrane, CEM), 음이온 교환막(Anion Exchange Membrane, AEM)이 있다.
이온 교환막을 형성하는 선택적 이온 투과 물질은 특정한 이온과는 잘 결합하고 서로 끌어들이지만, 다른 이온과는 잘 결합하지 않고 끌어들이지 않는 특성을 가진 물질을 말한다. 선택적 이온 투과 물질은 예를 들어 나피온(nafion)이 될 수 있다.
이온 교환막은 나피온(Nafion) 이외에도 PSS(Polystyrene Sulfonate), PAH(Polyallylamine Hydrochloride) 등의 고분자 전해질(Polyelectrolyte)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이온 투과가 가능한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로 구현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온 교환막은 불소계 중합체에 이온교환기를 도입한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듀퐁(DuPont)의 나피온(Nafion), 다우 케미칼스(Dow Chemicals)의 다우(Dow)막, 아사히케미칼스(Asahi Chemicals)의 아시플렉스-에스(Aciplex-S)막, 아사히글래스(Asahi Glass)의 플레미온(Flemion)막 등이 있다.
한편 비불소계 중합체 및 불소가 부분 치환된 중합체를 활용하여 개발한 이온 교환막이 있으며, 술폰화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폴리설폰계, 폴리(파라-페닐렌)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이미드계 등의 중합체를 이용한 이온 교환막 등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통해 테스트한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에 전계를 인가하고, 물질이 포함된 대상 용액이 용액 상태로 일부의 우물에 주입되면, 물질이 일부의 우물을 건너 다른 우물에서 농축될 수 있다.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에 전계를 인가하여 전압차가 발생하면, 전압차에 따른 전계에 의해 유체 내에 존재하는 이온들이 각 이온의 전기적 성질과 반대인 전극 쪽으로 이끌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이온들이 전기적 성질에 따라 채널 내에서 움직이면서 점성력에 의해 유체 입자들을 같이 이끌고 가게 된다. 전체적인 유체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유체의 이동현상을 전기삼투(Electro-Osmosis Flow, EOF)라고 하고, 이온의 움직임을 전기영동(electrophoresis, EP)이라 한다.
전기영동(Capillary Electrophoresis) 및 전기삼투(Electro-Osmosis)의 특성은 이온 교환막으로 구현된 채널 근처에서 그 특성이 달라져, 이온 농도 분극(Ion Concentration Polarization, ICP)이 발생한다. 따라서, 채널의 반응 영역에서 하나의 전극 쪽에는 이온 결핍(Depletion)이 발생하고, 반대 전극 쪽에서는 이온 농축(Enrichment)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결핍된 낮은 이온농도와 그에 따른 높은 전계에 의해 결핍 영역(Depletion Zone)이 전하(Charge)를 띈 분석물에 대해 일종의 전기적 장벽(Electric Barrier)으로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장벽을 이온 농도 분극 배리어라고 칭할 수 있다.
그 결과 분석물은 결핍 영역을 통과하지 못하고 그 앞에 농축된다. 분석물이 채널 내의 결핍 영역 앞에 매우 빠른 시간에 농축된다. 이온 농도 분극에 의한 결핍 영역의 크기는 시료의 이온 농도 분극이 진행됨에 따라 확장되므로, 분석물은 채널의 가운데 영역에 농축 영역을 형성한다.
이온 교환막이 채널에 맞닿은 영역에 디플리션 힘(Depletion Force) 및 공핍 영역(Depletion Zone)을 형성하여 물질이 통과할 채널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질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디플리션 힘이란 짧은 범위의 인력(Short Range Attraction)으로 힘을 받을 콜로이드들 간의 사이 간격이 충분히 가까워졌을 때에 발생하며, 그 거리 이상으로 멀어져 있을 때엔 작용하지 않는 힘을 의미한다. 여기서 충분한 거리란 콜로이드보다 작은, 그러나 같은 시스템 내에 분산되어 자유운동하고 있는 디플리션 힘을 발생시키는 또 다른 콜로이드인 디플턴트(Depletant)의 크기와 같다. 이러한 디플턴트란 용어는 디플리션 힘을 유도하는 입자를 의미한다. 다량의 콜로이드 입자는 서로 결합한다.
시료가 이온 교환막의 근처를 지나갈 때, 이온 교환막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이온(Native Charge)에 의하여 음이온 또는 양이온만 선택적으로 흡수하게 되고 디플리션 힘(depletion force)이 발생하게 되어 공핍 영역(Depletion Zone)을 형성한다.
공핍 영역(Depletion Zone)에 의하여 전하를 가지고 있는 시료가 지나갈 수 있는 경로의 폭 또는 높이가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시료의 이동성(Mobility)이 감소하고 특정 영역에서 적층하게 된다. 즉, 디플리션 힘이 이온 교환막이 부착된 채널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채널의 통로 크기를 축소시킨다.
채널의 미세 기공을 통과하면서 물질의 이동 속도가 지연되는 현상과 채널에 부착된 이온 교환막에 의한 디플리션 힘이 상호 작용하여, 이온 교환막이 부착된 위치에 수직한 지점 또는 수직한 지점의 인접 영역에서 물질이 농축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물질은 이동 경로에서 이동하고, 물질의 이동성에 차이에 따라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특정 우물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에 전계를 인가하고, 제1 물질과 제2 물질이 포함된 대상 용액이 용액 상태로 일부의 우물에 주입되면,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이 일부의 우물을 건너 다른 복수의 우물에서 각각 농축되어, 제1 물질과 제2 물질이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물질의 크기 또는 질량이 제2 물질의 크기 또는 질량보다 작고, 제1 물질의 이동 속도가 제2 물질의 이동 속도보다 빠르며, 일부의 우물을 기준으로 제1 물질이 농축된 우물이 제2 물질이 농축된 우물보다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물질의 이동성에 따라 복수의 우물 각각에서 복수의 물질을 농축 및 분리할 수 있다.
실험 조건을 전극 접촉 버퍼(Electrode contact buffer): 1X PBS, 20 ul, 왼쪽, 가운데 우물: 0.1X PBS, 200 ul, 오른쪽 우물: 500 ug/ml Orange-G dye, 500 ug/ml 594-BSA, 0.1X PBS, 200 ul, 전계(Voltage): 100 V, 시간: 15 min 으로 하여 실험하였다.
기존의 방식은 샘플에 반드시 형광이 라벨링되어 있어야 하고, 사용자가 계속 지켜보고 있어야 한다. 자칫 실수하면 우물을 지나쳐서 회수가 불가능할 수 있다. 육안으로 샘플의 위치를 보고 멈췄다가 버퍼를 넣고 다시 진행하고, 다시 버퍼로 추출됨을 육안으로 확인 후 멈추고 추출해야 한다. 한가지 샘플에만 사용 가능하여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 의하면, ICP를 적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농축되는 위치가 이동성(mobility)에 따라 일정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계속 지켜봐야 하는 불편함과 우물을 실수로 지나치게 될 문제를 배제할 수 있다. 샘플을 육안으로 지속적으로 관측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형광이 되지 않아도 되며, 여러 생체분자(biomolecule)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생체유체(biofulid)에 적용이 용이하다. 겔 전기영동(gel electrophoresis)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6, 도 7, 도 8 순서로 살펴보면, 우물이 형성된 이동 경로의 양단에 ICP를 형성하는 방식을 통해, 복수의 우물 각각에서 시료의 이동성을 제어하여, 액체, 졸(sol), 또는 겔(gel) 상태로 시료를 농축, 분리,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110: 베이스
120: 이동 경로
130: 우물
140: 제1 이온 교환막
150: 제2 이온 교환막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몰드에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을 위치시키는 단계;
    제2 몰드에 겔을 부어 채우는 단계;
    상기 제2 몰드에 상기 제1 몰드를 덮어 두는 단계;
    상기 겔을 고체화시켜 상기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이 부착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몰드로부터 상기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의 제조 방법.
  5.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물질이 이동 가능한 이동 경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경로의 일부에서 공간을 갖는 복수개의 우물들; 및
    상기 이동 경로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 제1 이온 교환막 및 제2 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온 교환막 및 상기 제2 이온 교환막에 전계를 인가하고, 제1 물질과 제2 물질이 포함된 대상 용액이 용액 상태로 주입되면,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이 상기 복수개의 우물들 중 적어도 일부의 우물을 건너 다른 우물에서 각각 농축되며,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은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물들은,
    상기 공간의 일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형상 및 상기 우물에 삽입된 깊이에 의해 상기 물질의 이동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이온 교환막이 연결된 제1 레저버; 및
    상기 이동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온 교환막이 연결된 제2 레저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저버 및 상기 제2 레저버에 버퍼 용액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물은 대상 용액을 주입하는 공간이면서 농축된 대상 용액을 액체, 졸(sol), 또는 겔(gel) 상태로 회수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물에 농축된 물질이 액체, 졸(sol), 또는 겔(gel)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12. 삭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의 크기 또는 질량이 상기 제2 물질의 크기 또는 질량보다 작고, 상기 제1 물질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2 물질의 이동 속도보다 빠르며,
    상기 일부의 우물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물질이 농축된 우물이 상기 제2 물질이 농축된 우물보다 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미세 기공을 갖고 종이 또는 겔 기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의 내부를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KR1020210065548A 2020-06-11 2021-05-21 바이오마커 검출이 가능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KR102543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1040 2020-06-11
KR1020200071040 2020-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726A KR20210154726A (ko) 2021-12-21
KR102543617B1 true KR102543617B1 (ko) 2023-06-21

Family

ID=790341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548A KR102543617B1 (ko) 2020-06-11 2021-05-21 바이오마커 검출이 가능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KR1020210076244A KR102556346B1 (ko) 2020-06-11 2021-06-11 바이오마커 검출이 가능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244A KR102556346B1 (ko) 2020-06-11 2021-06-11 바이오마커 검출이 가능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36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524B1 (ko) * 2014-02-12 2015-12-1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이온 투과형 마이크로 포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1510B1 (ko) * 2014-10-29 2017-08-2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액 분리 필터와 이를 이용하는 면역 검사 시스템
KR101652294B1 (ko) 2014-12-03 2016-08-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종이 기반 농축 방법, 농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3602B1 (ko) * 2016-01-07 2018-05-0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층 구조의 생체 분자 농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726A (ko) 2021-12-21
KR20210154107A (ko) 2021-12-20
KR102556346B1 (ko) 202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848B1 (ko) 마이크로채널내의 생체 시료 속도 및 위치제어를 통한 샘플 농축 및 분리 장치
CN109964128B (zh) 侧流分析条用浓缩试剂盒
KR102237846B1 (ko) 동일한 미세유체 장치의 상이한 섹션들에서의 dep 힘 제어 및 전기습윤 제어
Suzuki et al. Planar lipid bilayer reconstitution with a micro-fluidic system
JPH0915232A (ja) 液体中の分析対象物測定用の多層分析エレメント
KR101853602B1 (ko) 단층 구조의 생체 분자 농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43617B1 (ko) 바이오마커 검출이 가능한 시료 용액 농축 분리 장치
JP6914326B2 (ja) 折り紙ベースの試料分離装置
KR102484404B1 (ko) 이동형 이온 교환막 제어 장치
CN111051885A (zh) 检测系统及生产方法
KR102125414B1 (ko) 대용량 생체 시료 농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6347B1 (ko) 수소 이온 농도 변화에 강인하고 이온 농도 분극을 이용하여 샘플을 농축 및 검출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KR101789043B1 (ko) 종이접기를 통한 생체 시료 농축 장치
KR101577524B1 (ko) 선택적 이온 투과형 마이크로 포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82843A (ko) 생체분자 농축 장치
KR102185922B1 (ko) 습윤 공정 기반의 농축용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CN109844491B (zh) 基于折纸的试样分离装置
KR102461334B1 (ko) 유속 조절부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현장용 진단 키트
KR20210114184A (ko) 생체 시료가 유체 공간에 분리 및 농축되는 소자
Hashimoto et al. Reproducible reformation of a bilayer lipid membrane using microair bubbles
KR102309555B1 (ko) 생체 시료 분리 및 농축 소자
KR102583914B1 (ko) Atps 특성을 이용한 생체 시료 분리 장치
KR20210114693A (ko) 조립 가능한 생체 시료 농축 소자
WO2017137306A1 (en) Microfluidic device
KR101916991B1 (ko) 다성분 동시 분석용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