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910B1 - 폐유저장장치 - Google Patents

폐유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910B1
KR102542910B1 KR1020200018342A KR20200018342A KR102542910B1 KR 102542910 B1 KR102542910 B1 KR 102542910B1 KR 1020200018342 A KR1020200018342 A KR 1020200018342A KR 20200018342 A KR20200018342 A KR 20200018342A KR 102542910 B1 KR102542910 B1 KR 102542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tainer
compression
waste oil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143A (ko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2660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6257B1/ko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20001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9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provided with shearing means for the scrap metal, or adapted to co-operate with a shearing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을 사용하고 남은 캔 또는 폐유를 담은 캔, 오일을 머금고 있는 폐휠터 등을 압착하여 오일을 회수하고 오일캔은 재활용되도록 하며 회수된 오일을 저장하여 다시 활용될 수 있게끔 하는 폐유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며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문을 가지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는 오일캔 압착장치; 상기 오일캔 압착장치에서 배출되는 폐유를 저장하는 폐유저장통;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밝히기 위한 조명램프; 상기 컨테이너 내부 공기의 환기를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측벽에 설치되는 환풍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유저장장치{Wasted Oil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폐유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을 사용하고 남은 캔 또는 폐유를 담은 캔, 오일을 머금고 있는 폐휠터 등을 압착하여 오일을 회수하고 오일캔은 재활용되도록 하며 회수된 오일을 저장하여 다시 활용될 수 있게끔 하는 폐유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되어 있으며 연안을 따라서 많은 선착장 내지 항구가 들어서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어선은 대부분 디젤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엔진오일을 필수로 사용하고 있다.
엔진오일은 주기적으로 새것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사용한 오일, 즉 폐유는 폐유저장통에 담아 반출하고 새로운 엔진오일을 채워넣어야 한다. 신품 엔진오일은 20리터 용량의 캔에 담긴 상태로 공급된다. 선박관리자는 새로 오일을 충전한 다음 빈 것은 폐유를 담는데 쓰거나 기름 묻은 걸레를 보관하거나 버리게 된다.
오일을 붓고 남은 오일 캔에도 오일 잔량이 남아 있는 것이 보통이다. 오일 잔량이 규정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재활용이 불가하여 특수폐기물로 취급되어야 한다.
한편 오일을 교체할 때 배출되는 폐유는 바로바로 처리되지 못하며 선착장 주변에 있는 임시저장소에 저장된 다음 한꺼번에 반출된다. 그래서 임시저장소에 저장되는 폐유는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여 주변의 땅을 심하게 오염시키기도 한다.
위와 같은 여러 문제 때문에 선착장 내지 항구 주변에는 폐유에 의해 몸살을 앓고 있으며 조속한 대처방안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352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5318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오일을 선박의 엔진에 투입하고 남게 되는 캔에 잔류하는 오일을 추출하고, 페유를 저장하고 있는 폐유통을 압착하여 폐유를 수거하는 오일 캔 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의 압착장치를 이용한 것으로서 선착장 또는 항구 주변에서 발생되는 폐유를 안전하고 깨끗하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게 하는 폐유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며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문을 가지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폐유를 저장하는 폐유저장통;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밝히기 위한 조명램프; 상기 컨테이너 내부 공기의 환기를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측벽에 설치되는 환풍팬; 및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판과 측판 사이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하단에 상기 컨테이너의 전체 구간에 걸쳐 덧대어져 있는 유출방지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저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폐유저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오일캔 압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일캔 압착장치는 압착하고자 하는 오일캔을 안착시킬 수 있는 움푹한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압착대; 상기 압착대의 직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기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착대에 놓인 오일캔을 가압하는 압착헤드; 압착과정에서 상기 오일캔에서 유출되는 오일을 수거하기 위한 오일수거부; 상기 압착헤드를 상하로 기동시키기 위한 압착기동부; 상기 압착헤드의 중앙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오일캔에 구멍을 내게 하는 천공펀치; 상기 압착대의 중앙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천공펀치가 하강하면서 삽입되는 펀치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압착대의 안착공간은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태이며 그의 내주면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압착헤드는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태로서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압착과정에서 오일캔에 박혀있는 천공펀치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압착헤드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오일캔의 상면을 지지하게 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압착대의 내주면에는 상기 오일캔에서 흘러나오는 오일을 유도하기 위한 오일유도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 사용하는 오일캔, 폐유를 저장한 오일캔, 폐오일을 머금고 있는 오일필터 등 오일이 섞여있는 다양한 물품을 압착하여 그로부터 폐유를 수거하여 저장할 수 있는 오일캔 압착장치가 제공된다. 폐유를 짜내고 남은 캔은 규정치 미만의 오일을 포함하고 있게 되므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해 리사이클링 시스템으로 흡수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폐오일캔을 특수폐기물로 분류하여 처리할 때에 비하여 폐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폐유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게끔 하는 폐유저장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에 의해 선착장이나 항구 주변의 환경을 깨끗하게 할 수 있고 바다 또는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폐유저장시설이 혐오시설로 간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민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관광객 유치에 보탬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일 캔 압착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일 캔 압착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일 캔 압착장치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일 캔 압착장치의 사용상태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일 캔 압착장치의 종단면 구성도이고 도 6은 사용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일 캔 압착장치를 이용한 폐유저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일 캔 압착장치를 이용한 폐유저장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실시예를 설명하겠으며, 이후 다른 도면을 인용하면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오일캔 압착장치(100)는 압착대(110), 압착헤드(120), 오일수거부, 압착헤드(120)를 기동시키는 압착기동부(130) 및 케이싱(1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오일캔(C)은 압착대(110)와 압착헤드(120)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압착된다. 압착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일은 수거되어 수거함(102)에 저장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압착헤드(120)는 압착기동부(1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기동하게끔 되어 있다. 압착기동부(130)는 유압펌프(131)와 유압실린더(13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착대(110)는 압착하고자 하는 오일캔(C)을 안착시킬 수 있는 움푹한 안착공간을 제공한다. 압착대(110)의 안착공간은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태이다. 압착대(110)의 내주면(111)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압착헤드(120)는 압착대(110)의 직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기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착대(110)에 놓인 오일캔을 가압하게 된다. 압착헤드(120)는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태로서 외주면(121)이 압착대(110)의 내주면(111)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압착대의 내주면(111)과 압착헤드의 외주면(121)은 구면(球面) 내지 그와 유사한 곡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내주면(111)과 외주면(121)은 곡률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특히 외주면(121)의 곡률이 내주면(111)의 곡률보다 작게 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시 압착되는 오일캔의 중심부분은 가장 납작하게 압착되고(T1 참조), 주변 가장자리는 가장 적은 양으로 압착된다(T2 참조). 이것은 오일캔의 압착시 한쪽부터 쭉 짜내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모든 면에서 동시에 같은 정도로 압착되는 경우에는 오일이 그 중간에 갇히게 되어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케이싱(140)은 압착대(110)와 압착헤드(120)의 압착작업이 밀폐된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케이싱(140)에는 오일캔(C)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143, 도 1 참조)가 마련된다. 케이싱(140)의 상판(141)에는 압착기동부로서의 유압실린더(131)가 거꾸로 설치된다. 피스톤(133)은 케이싱의 상판(141)을 관통하여 압착헤드(120)의 상단에 연결된다.
오일수거부는 압착과정에서 오일캔(C)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을 수거하기 위한 수단이다. 오일수거부는 케이싱(140)의 하판(142)에 마련되는 오일배출공(144)과, 압착대(110)의 내주면(111)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는 그루브(groove) 형태의 오일유도홈(112)과, 케이싱(140)의 하부에 마련되는 수거함(145)을 포함한다. 수거함(145)은 서랍처럼 밖으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천공펀치(122)가 압착헤드(120)의 중앙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천공펀치(122)는 끝(122a)이 뾰족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압착과정에서 오일캔(C)에 구멍을 내게 하는 것이다. 천공펀치(122)와 함께 압착대(110)의 바닥 중앙에는 천공펀치(122)가 하강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펀치공(113)이 마련된다. 이 펀치공(113)은 케이싱(140)의 하판(142)에 마련된 오일배출공(144)에 연통되어 있다. 오일유도홈(112)은 이 펀치공(113)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오일유도홈(112)을 따라 흘러내리는 오일은 오일배출공(144)을 거쳐 수거함(144)으로 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착과정에서 오일캔(C)에 박혀있는 천공펀치(122)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압착헤드(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오일캔(C)의 상면을 지지하게 되는 코일스프링(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스프링(123)은 천공펀치(122)의 외주에 끼워져 설치된다. 코일스프링(123)은 압착후 압착헤드(120)가 위로 들려질 때 오일캔(C)을 밀어서 천공펀치(122)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작업자는 압착된 오일캔을 밖으로 빼내고 다음 작업을 지속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123)의 상부는 압착헤드(120)의 하단 중앙에 마련된 스프링안착홈(124)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는 코일스프링(123)이 좌우로 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만 압착되도록 하는 안내수단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압착헤드(120)가 원뿔(cone) 형태로 되어 있다. 압착대의 내주면(111)도 압착헤드의 외주면(121)에 맞게끔 원뿔 형태로 되어 있다. 다만 이들의 경사도, 즉 원뿔각(K,K')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데, 이는 이전 실시예와 같다. 오일캔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압착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오일캔 압착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으로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압착대(110)의 주벽에는 상기 케이싱(140)의 하부공간 또는 수거함(145)으로 직접 소통될 수 있는 유출공(미도시됨)이 주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오일유도홈(112)을 따라서 배출되기도 하는 한편 유출공을 통해 바로 배출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유출공은 오일유도홈(112)이 설치된 위치에 다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오일캔 압착장치(100)를 이용한 폐유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폐유저장장치는 폐유의 저장을 시스템적으로 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이고 관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컨테이너(200)는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며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문을 가진다. 출입문은 부피가 큰 물품의 출입을 위한 게이트도어(220)와,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도어(2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은 잠금장치로 잠겨있다.
컨테이너(200)의 내부 하단에는 유출방지대(210)가 컨테이너(200)의 전체 구간에 걸쳐 덧대어져 있다. 유출방지대(210)는 컨테이너의 바닥판과 측판 사이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름이 유출되지 못하도록 수밀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유출방지대(210)는 200 ~ 400mm의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의 바닥에는 보조유량계(430)가 설치되어 있어서 컨테이너 바닥으로 흘러넘친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폐유저장통(300)의 손상 등으로 오일이 새나온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보조유량계(430)가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컨테이너의 바닥에 흘러나온 기름을 컨테이너(200)의 외부에서 빼낼 수 있도록 밸브가 부착된 배출관(211, 도 7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오일캔 압착장치(100)는 컨테이너(200) 내부에 설치된다. 오일캔 압착장치(100)에서 배출되는 폐유를 저장하는 폐유저장통(300)이 게이트도어(220)를 통해 컨테이너(200) 내부에 설치된다. 물론 폐유저장통(300)에는 다른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어 통에 담긴 폐유를 직접 쏟아부울 수도 있게 되어 있다. 폐유저장통(300)에는 유량계(3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량을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게끔 한다.
조명램프(412)가 컨테이너(200)의 내부를 밝히기 위하여 천장에 설치된다. 환풍팬(417)은 컨테이너(200) 내부 공기의 환기를 위하여 그의 측벽에 설치되며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전부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필요한 전력을 자체 공급한다. 이를 위해 태양전지판(410)이 컨테이너의 지붕 위에 설치된다. 컨테이너 내부에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온도계(미도시됨)가 설치되어 온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유무선통신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지에서 컨테이너의 상황을 판단하거나 또는 원격으로 방호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통신수단의 일환으로서 컨테이너의 외벽에 안테나(440)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 콘트롤러, 통신장비 등은 컨테이너의 천장 위에 설치되는 전장박스(420)에 내장된다.
컨테이너(200)의 내부에는 CCTV 카메라(411),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장치(414), 화재시 진화를 위한 소화장치(415)가 설치될 수 있다. 소화장치(415)는 분말형 소화장치로 되어 있으며 소화제통(416)은 컨테이너(200)의 천장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00 : 오일캔 압착장치 110 : 압착대
102 : 수거함 111 : 내주면
112 : 오일유도홈 120 : 압착헤드
121 : 외주면 122 : 천공펀치
123 : 코일스프링 130 : 압착기동부
131 : 유압펌프 132 : 유압실린더
140 : 케이싱 144 : 오일배출공
145 : 수거함 200 : 컨테이너
210 : 유출방지대 220 : 게이트도어
230 : 출입도어 300 : 폐유저장통
410 : 태양전지판 411 : CCTV 카메라
412,413 : 조명램프 414 : 화재감지장치
415 : 소화장치 416 : 소화제통
417 : 환기팬 440 : 안테나
C : 오일캔

Claims (6)

  1.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며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문을 가지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폐유를 저장하는 폐유저장통;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밝히기 위한 조명램프;
    상기 컨테이너 내부 공기의 환기를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측벽에 설치되는 환풍팬; 및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판과 측판 사이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하단에 상기 컨테이너의 전체 구간에 걸쳐 덧대어져 있는 유출방지대(210)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문은, 부피가 큰 물품의 출입을 위한 게이트도어(220)와,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도어(230)로 구성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에는 상기 컨테이너 바닥으로 흘러넘친 오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보조유량계(4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지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상황을 판단하거나 또는 원격으로 방호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오일캔을 압착하여 그 내부에 있는 폐유를 추출하여 상기 폐유저장통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는 오일캔 압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저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캔 압착장치는;
    압착하고자 하는 오일캔을 안착시킬 수 있는 움푹한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압착대; 상기 압착대의 직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기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착대에 놓인 오일캔을 가압하는 압착헤드; 압착과정에서 상기 오일캔에서 유출되는 오일을 수거하기 위한 오일수거부; 상기 압착헤드를 상하로 기동시키기 위한 압착기동부; 상기 압착헤드의 중앙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오일캔에 구멍을 내기 위한 천공펀치; 상기 압착대의 중앙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천공펀치가 하강하면서 삽입되는 펀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저장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018342A 2019-10-14 2020-02-14 폐유저장장치 KR10254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42A KR102542910B1 (ko) 2019-10-14 2020-02-14 폐유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04A KR102156257B1 (ko) 2019-10-14 2019-10-14 오일 캔 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유저장시스템
KR1020200018342A KR102542910B1 (ko) 2019-10-14 2020-02-14 폐유저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604A Division KR102156257B1 (ko) 2019-10-14 2019-10-14 오일 캔 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유저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143A KR20210044143A (ko) 2021-04-22
KR102542910B1 true KR102542910B1 (ko) 2023-06-12

Family

ID=8676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42A KR102542910B1 (ko) 2019-10-14 2020-02-14 폐유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9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168B1 (ko) * 2015-10-14 2017-02-28 김경란 폐드럼통 압축장치
KR101800006B1 (ko) * 2017-05-23 2017-11-21 (주)구츠 Iot 기술에 기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182Y1 (ko) 2004-03-30 2004-06-14 주식회사 이륜 캔 압착장치
KR20090124853A (ko) * 2008-05-31 2009-12-03 이남주 폐드럼 압축 및 절단장치
KR200463526Y1 (ko) 2010-07-21 2012-11-07 박낙흥 승강 가능한 수집관을 구비한 폐유체 수거 장치
ES2900312T3 (es) * 2012-12-19 2022-03-16 Big Belly Solar Llc Control de compactadores y receptáculos de basura accionados eléctricamen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168B1 (ko) * 2015-10-14 2017-02-28 김경란 폐드럼통 압축장치
KR101800006B1 (ko) * 2017-05-23 2017-11-21 (주)구츠 Iot 기술에 기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143A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257B1 (ko) 오일 캔 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유저장시스템
CN211036901U (zh) 一种水利防汛快速闸门
CN205637093U (zh) 一种带有除污、通风和照明功能的一体化泵站
KR102542910B1 (ko) 폐유저장장치
KR102542908B1 (ko) 오일 캔 압착장치
CN204303363U (zh) 一种乏燃料水池应急监测与补水系统
CN201940405U (zh) 成品油罐机械清洗装置
CN105863030B (zh) 一种检查井井盖及用于综合管廊内排水管道的检查井
KR20120085995A (ko) 지하수 재활용을 위한 집수조용 급수장치
US8252148B2 (en) Containment extension and processing method
CN105399227A (zh) 一种气田压裂返排液回收处理装置及方法
CN105788672A (zh) 一种乏燃料水池应急监测与补水系统及其方法
KR20090053774A (ko) 지하격납형 저장탱크 설치방법
CN205786390U (zh) 一种滤光片检测装置
KR20220142894A (ko) 폐식용유 수거장치
CN205661875U (zh) 安全型自调节内压储油罐
CN207048946U (zh) 往复式天然气压缩机自动注油装置
CN206799211U (zh) 自带水封功能的一体化隔油提升装置
CN205552478U (zh) 多功能综合油务工作箱
CN205640232U (zh) 一种无人值守安防型半地下调压系统
CN111894085A (zh) 一种防撞型的消防栓
CN205313049U (zh) 一种用于牛油灌装的灌装机
CN205222843U (zh) 一种气田压裂返排液回收处理装置
CN114486361B (zh) 气态危化品仓库废水收集系统及监控方法
CN207776075U (zh) 变压器集油坑的水封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