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441B1 -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441B1
KR102542441B1 KR1020210054872A KR20210054872A KR102542441B1 KR 102542441 B1 KR102542441 B1 KR 102542441B1 KR 1020210054872 A KR1020210054872 A KR 1020210054872A KR 20210054872 A KR20210054872 A KR 20210054872A KR 102542441 B1 KR102542441 B1 KR 102542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urrent
cognitive
user
generato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843A (ko
Inventor
김문수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리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솔 filed Critical (주)리솔
Priority to KR102021005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441B1/ko
Priority to US17/405,479 priority patent/US20220351827A1/en
Publication of KR2022014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Abstract

사용자가 미세전류 발생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미세전류 발생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의 일 예로서,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 입력데이터,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미세전류와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입력데이터 및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에 따른 미세전류를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는 미세전류 발생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에 따른 인지자극을 일정 시간동안 상기 미세전류와 교차로 발생시키는 인지자극 발생기; 및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에서 발생된 미세전류 또는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된 인지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User aware microcurrent generator}
본 발명은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미세전류 발생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미세전류 발생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치료란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통하게 함으로써 각종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전기요법이라고도 한다. 전기치료는 주파수의 파형, 전류의 세기,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이나 용도가 다양하다.
즉, 전기치료에는 인가되는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 치료기와 저주파 치료기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저주파 전기치료는 수 Hz 내지 1,000 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중주파 전기치료는 1 KHz 내지 10 KHz를 사용하며 고주파 전기치료는 100 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또한, 통증 완화 및 요통, 관절염, 척추염, 스포츠손상등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회복용으로 사용하는 치료기에는 중주파, 고주파등의 전기적 치료 및 초음파, 광상치료기등이 도입되고 있다. 초음파 치료는 20 KHz~10 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인체심부조직에 진동을 가하며 열효과를 이용하여 연부 조직 손상의 회복등의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인체에 약 10 uA에서 500 uA 범위 또는 그 이상의 출력 강도 조절에 따라 미세전류를 인체에 유도 인가하여 치료하는 미세전류 발생기가 많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미세전류 발생기는 인체에 미세전류를 유도 인가하여 혈액 순환을 돕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인체통증을 완화시키고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 효과 및 예방 효과가 있으며, 피로 회복, 혈행을 개선시켜 피부미용에 사용되어 왔으며 체중 감소에 도움을 주기때문에 건강 증진 효과가 있다.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2375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0691호(이하, '선행문헌 2'라 함.)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은 파지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바디;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바디의 접촉면 일측에 구비되며, 치료용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 치료 모듈; 및 상기 바디의 접촉면 타측에 상기 레이저 치료 모듈과 이웃하게 구비되며, 치료용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치료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치료 모듈은 제1 파장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파장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 파장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파장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3 파장을 갖는 복수 개의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다이오드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 다이오드는 상기 삼각형에 상응되는 역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되, 상기 삼각형과 역 삼각형은 중심점을 공유하는 저출력 레이저 조합 미세전류 통증 치료기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은 미세전류 발생 과정동안 미세전류가 사용자에게 인가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가 미세전류 발생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없어 미세전류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선행문헌 2는 상용교류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 사용자의 치료 부위 상태에 대응한 주파수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설정되는 주파수에 따라 릴레이 제어신호와 출력 고전위의 전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릴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릴레이부; 상기 릴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고전위를 출력하는 고전압 출력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전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를 상기 사용자의 치료 부위 상태에 대응하게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를 포함하는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발생기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2는 상기 선행문헌 1과 달리, 미세전류 발생기에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으나, 선행문헌 2의 미세전류 발생기는 표시부에 의해 부피가 커져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간편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휴대성이 뛰어나면서도 사용자가 미세전류 발생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미세전류 발생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2375호(2020.03.1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0691호(2013.12.05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편한 구성을 통해 휴대성이 뛰어나고, 사용자가 미세전류 발생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인지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하여 미세전류 발생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 및 종료를 알리기 위한 인지자극 주기와 미세전류 발생 과정에서 발생되는 나머지 인지자극 주기의 진폭 및/또는 파장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 및 종료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있어서,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 입력데이터,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미세전류와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입력데이터 및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에 따른 미세전류를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는 미세전류 발생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에 따른 인지자극을 일정 시간동안 상기 미세전류와 교차로 발생시키는 인지자극 발생기; 및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에서 발생된 미세전류 또는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된 인지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있어서,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 입력데이터,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미세전류와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입력데이터 및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미세전류를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고,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인지자극을 일정 시간동안 상기 미세전류와 교차로 발생시키는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 및 상기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된 미세전류 또는 인지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있어서,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 입력데이터,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미세전류와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입력데이터 및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미세전류를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는 미세전류 발생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인지자극을 상기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는 인지자극 발생기; 및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에서 발생된 미세전류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미세전류용 전극; 및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된 인지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미세전류용 전극이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부착되는 복수의 인지자극용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직류전류, 교류전류 및 맥동전류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3 입력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방식을 우선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방식이 설정되면,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방식과 다른 진폭 및/또는 다른 파장으로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지자극이 복수의 주기로 설정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인지자극의 시작 주기 및 상기 미세전류 발생의 종료를 알리기 위한 인지자극의 종료 주기가 나머지 인지자극의 주기들과 다른 진폭 및/또는 다른 파장으로 발생되도록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지자극의 시작 주기의 실효치 진폭과 상기 인지자극의 종료 주기의 실효치 진폭이 상이하도록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세전류가 발생될 때 상기 미세전류의 주기가 상기 인지자극의 주기보다 우선적으로 발생되도록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복수로 설정되는 상기 인지자극의 주기 중 상기 미세전류 발생이 종료된 것을 알리기 위한 인지자극의 종료 주기가 종료된 후에 상기 미세전류 발생이 종료되도록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입력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복수로 설정되는 상기 미세전류의 주기 및 상기 인지자극의 주기가 상기 미세전류 발생이 진행될수록 점차 길어지게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입력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복수로 설정되는 상기 미세전류의 주기 및 상기 인지자극의 주기가 상기 미세전류 발생이 진행될수록 점차 짧아지게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미세전류 발생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미세전류 발생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지자극을 통해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 및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효율적인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라 교차로 발생되는 미세전류 및 인지자극의 주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및 인지자극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한 주기로 발생되는 미세전류 및 인지자극의 주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및 복수의 주기로 설정되는 인지자극의 주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라 교차로 발생되는 미세전류 및 인지자극의 주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100)는 제어기(110), 미세전류 발생기(120), 인지자극 발생기(130) 및 복수의 전극(140)이 구비된다.
제어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또는 원격 조작으로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면 미세전류 발생기(120) 및 인지자극 발생기(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110)에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는 구체적인 일 례로,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제1 입력데이터,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미세전류(400)와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인지자극(500)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입력데이터 및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입력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110)는 제2 입력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미세전류가 발생될 때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상기 미세전류(400)의 주기가 상기 인지자극(500)의 주기보다 우선적으로 발생되도록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110)는 제2 입력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복수로 설정되는 상기 인지자극(500)의 주기 중 미세전류 발생이 종료된 것을 알리기 위한 인지자극(500)의 종료 주기가 종료된 후에 미세전류 발생이 종료되도록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한다.
더 나아가, 상기 미세전류(400)의 발생 주기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주기가 복수로 설정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기(110)는 제2 입력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주기가 미세전류 발생이 진행될수록 점차 길어지거나 점차 짧아지도록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120)는 상기 제어기(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입력데이터에 따라 전원이 온/오프되고, 전원이 온(on) 상태일 때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른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미세전류(400)를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미세전류(400)는 미세전류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전류를 의미하고, 미세전류 발생 과정에서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상기 인지자극(500)과 교차로 발생되기 위해 복수의 발생 주기로 설정된다.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130)는 상기 제어기(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입력데이터에 따라 전원이 온/오프되고, 전원이 온(on) 상태일 때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른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인지자극(500)을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인지자극(500)은 미세전류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전류를 의미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120)에서 상기 미세전류(400)가 발생되는 것을 알리기 위해 미세전류 발생 과정에서 상기 미세전류(400)와 교차로 발생되며, 미세전류(400)의 발생 주기가 셋 이상의 복수인 경우에 복수의 발생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14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미세전류용 전극(141) 및 인지자극용 전극(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전극(140)은 상기 미세전류용 전극(141) 및 인지자극용 전극(142)보다 적거나 많은 개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미세전류용 전극(141) 및 인지자극용 전극(142)인 것으로 상기 복수의 전극(140)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미세전류용 전극(141)은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120)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120)에서 발생된 상기 미세전류(400)가 흐르게 되고, 이에 사용자가 미세전류 발생을 받을 신체 부위에 부착될 경우, 상기 신체 부위에 제어기(110)로부터 설정된 미세전류(400)의 발생 주기마다 미세전류(400)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인지자극용 전극(142)은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130)와 연결되어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130)에서 발생된 상기 인지자극(500)이 흐르게 되고, 이에 상기 미세전류용 전극(141)이 부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신체 부위에 부착될 경우, 상기 신체 부위에 제어기(110)로부터 설정되어 미세전류(400)의 발생 주기와 교차로 발생되는 인지자극(500)의 발생 주기마다 인지자극(500)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미세전류용 전극(141) 및 인지자극용 전극(142)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미세전류(400)로 미세전류 발생을 받으면서 상기 미세전류(400)와 교차로 발생되는 상기 인지자극(500)을 통해 미세전류 발생의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및 인지자극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또는 원격 조작으로 입력되는 제3 입력데이터를 통해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미세전류 발생에 사용 가능한 의용 전류인 직류전류(Direct Current, DC), 교류전류(Alternating Current, AC) 및 맥동전류(Pulsed Current)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도 3의 그래프에는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이 맥동전류인 것으로 도시되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어기(110)에 입력되는 제3 입력데이터의 정보에 따라 직류전류 또는 교류전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류전류는 양극(+) 또는 음극(-)으로 극성이 변화되지 않고 1초 이상 발생되는 지속형 직류(Continuous Direct Current), 양극(+) 또는 음극(-)으로 1초 이상 발생된 후 극성이 변화되는 역전형 직류(Reversed Direct Current), 상기 지속형 직류가 발생된 후에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단속되도록 하여 전류의 흐름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단속형 직류(Interrupted Direct Current), 전류의 시작과 끝 부분에 완만한 상승 및 하강이 발생되는 경사형 단속직류(Ramped Direct Current) 및 상기 경사형 단속직류가 1초 이상 발생된 후 극성이 변화되는 경사형 역전단속직류(Ramped, Reversed Direct Curren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류전류는 한 주기 내에서 전자의 흐르는 방향이 연속적으로 바뀌면서 전류의 형태가 동일한 대칭형 교류전류 및 상기 대칭형 교류전류와 달리 한 주기 내에서 전류의 형태가 달라지는 비대칭 교류전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맥동전류는 상기 직류전류와 상기 교류전류와 달리 한 주기 내에서 1 msec 또는 1 μsec 이하의 시간동안 하전된 입자가 주기적으로 단락(Interrupt)되며, 극성이 변화되지 않아 양극 또는 음극의 특성을 가지는 단상 맥동전류 및 상기 단상 맥동전류와 달리 한 주기 내에서 극성의 주기적 변화를 통해 양극과 음극의 특성을 교대로 가지는 이상 맥동전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110)는 제3 입력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설정할 때, 상기 미세전류(400)의 발생 방식을 우선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미세전류(400)의 발생 방식이 설정되면 상기 미세전류(400)의 발생 방식과 다른 진폭 및/또는 다른 파장으로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설정한다.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는 과정의 구체적인 일 례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기(110)는 제2 입력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한 후에 제3 입력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상기 미세전류(400)의 발생 방식을 맥동전류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상기 미세전류(400)와 다른 진폭 및/또는 다른 파장의 맥동전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는 과정의 구체적인 다른 예로서, 상기 제어기(110)는 제2 입력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한 후에 제3 입력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상기 미세전류(400)의 발생 방식을 맥동전류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상기 미세전류(400)와 다른 진폭 및 파장인 교류전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인지자극(500)은 상기 미세전류(400)와 다른 진폭 및/또는 다른 파장을 가지는 직류전류, 교류전류 및 맥동전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110)는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상기 인지자극(500)의 정점 진폭(Peak Amplitude) 및 정점간 진폭(Peak-to-Peak Amplitude)이 상기 미세전류(400)의 정점 진폭 및 정점간 진폭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설정한다.
이때, 정점 진폭은 맥동의 단일 위상으로부터 유도된 최대 전류를 의미하고, 정점간 진폭은 양상 맥동 또는 상기 인지자극(500)의 한 주기 내에 포함된 각 위상의 정점 진폭을 합한 최대 전류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기(110)는 인지자극용 전극(142)이 부착된 사용자의 신체 조직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인지자극(500)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조직에 인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지자극(500)의 정점 진폭 및 정점간 진폭을 설정할 때, 상기 인지자극(500)의 실효치 진폭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효치 진폭은 사용자의 신체 조직에 전달되는 상기 인지자극(500)에 대한 효과 전류의 크기를 의미하고, 효과 전류는 같은 정도의 전류에 의해 생기는 저항 내에서 생산되는 열의 양으로 결정되는 실효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제어기(110)는 사용자가 상기 인지자극(500)를 통해 미세전류 발생의 진행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인지자극(500)의 실효치 진폭이 상기 미세전류(400)의 실효치 진폭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상기 인지자극(500)의 정점 진폭 및 정점간 진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110)는 상기 인지자극(500)의 시작 주기 및 종료 주기가 나머지 인지자극(500)의 주기들과 다른 진폭 및/또는 다른 파장으로 발생되도록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인지자극(500)의 시작 주기는 제어기(110)로부터 인지자극(500)의 발생 주기가 복수로 설정되는 경우, 미세전류 발생이 시작된 후 가장 먼저 발생되는 인지자극(500)의 한 주기를 의미하고, 상기 인지자극(500)의 종료 주기는 미세전류 발생이 종료되기 전에 가장 마지막으로 발생되는 인지자극(500)의 한 주기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상기 인지자극(500)의 시작 주기와 상기 인지자극(500)의 종료 주기를 통해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 및 종료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지자극(500)의 시작 주기 및 종료 주기는 사용자가 상기 인지자극(500)을 통해 미세전류의 시작과 종료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기(110)에 의해 나머지 인지자극(500)의 주기들보다 정점 진폭 및 정점간 진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고, 이를 통해 나머지 인지자극(500)의 주기들보다 실효치 진폭이 크게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인지자극(500)의 시작 주기 및 종료 주기는 사용자에게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 여부를 용이하게 알리기 위한 목적 또는 미세전류 발생 종료 여부를 용이하게 알리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간에 실효치 진폭이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지자극(500)의 시작 주기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 여부를 용이하게 알리기 위해서 상기 인지자극(500)의 시작 주기는 상기 인지자극(500)의 종료 주기보다 실효치 진폭이 클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게 미세전류 발생 종료 여부를 용이하게 알리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는 상기 인지자극(500)의 종료 주기가 상기 인지자극(500)의 시작 주기보다 실효치 진폭이 클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미세전류 발생의 종료 여부를 용이하게 알리게 된다면,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100)는 사용자가 미세전류의 발생이 종료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300)를 장시간 착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 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미세전류(400) 및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을 변형시킨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200)는 제어기(210),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220) 및 복수의 전극(230)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기(210)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어기(110)와 부호만 다를 뿐 구성이 동일하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220)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미세전류 발생기(120) 및 인지자극 발생기(130)를 하나로 결합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기(210)에 입력되는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미세전류(400)를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고,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인지자극(500)을 일정 시간동안 상기 미세전류(400)와 교차로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미세전류(400)와 상기 인지자극(500)은 각각 제어기(210)로부터 발생 주기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기(210)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미세전류 발생에 사용 가능한 의용 전류인 직류전류, 교류전류 및 맥동전류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30)은 미세전류용 전극(231) 및 인지자극용 전극(2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세전류용 전극(231)은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220)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220)에서 발생된 상기 미세전류(400)가 흐르게 되고, 이에 사용자가 미세전류 발생을 받을 신체 부위에 부착될 경우, 상기 신체 부위에 미세전류(400)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인지자극용 전극(232)은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220)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220)에서 발생된 상기 인지자극(500)이 흐르게 되고, 이에 상기 미세전류용 전극(231)이 부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신체 부위에 부착될 경우, 상기 신체 부위에 인지자극(500)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미세전류용 전극(231) 및 인지자극용 전극(232)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미세전류(400)로 미세전류 발생을 받으면서 상기 미세전류(400)와 교차로 발생되는 상기 인지자극(500)을 통해 미세전류 발생의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미세전류(400) 및 상기 인지자극(500)의 발생 방식과 상기 복수의 전극(140) 형태를 변형시킨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3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한 주기로 발생되는 미세전류 및 인지자극의 주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및 복수의 주기로 설정되는 인지자극의 주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300)는 제어기(310), 미세전류 발생기(320), 인지자극 발생기(320) 및 복수의 전극(340)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기(310)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어기(110)와 부호만 다를 뿐 구성이 동일하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320)는 상기 제어기(31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210)에 입력되는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미세전류(400)를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320)는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상기 미세전류(400)를 한 주기로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3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한 주기동안 양극에서 음극, 음극에서 양극으로 극성이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파장의 형태로 상기 미세전류(400)를 발생시킨다.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330)는 상기 제어기(31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210)에 입력되는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인지자극(500)을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330)는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상기 인지자극(500)을 한 주기로 상기 미세전류(400)와 동일한 시간동안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지자극(500)은 한 주기로 발생됨에 따라 미세전류 발생이 시작된 후에 특정 시간의 맥동이 나머지 맥동과 진폭 및/또는 파장을 달리하여 미세전류의 발생 시작을 알릴 수 있고, 미세전류 발생이 종료되기 전에 특정 시간의 맥동이 나머지 맥동과 진폭 및/또는 파장을 달리하여 미세전류 발생의 종료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330)가 상기 인지자극(500)을 한 주기로 발생시킬 때의 구체적인 일 례로, 상기 제어기(310)에 제2, 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330)는 양극의 인지자극(510)과 음극의 인지자극(520)으로 극성이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인지자극(500)을 상기 미세전류(400)와 동일한 시간동안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330)는 제2, 3 입력데이터가 입력된 후에 상기 인지자극(500)을 한 주기로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면,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상기 인지자극(500)을 복수의 주기로 설정하고, 복수의 주기로 설정된 인지자극(500)을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330)가 상기 인지자극(500)을 복수의 주기로 발생시킬 때의 구체적인 일 례로, 상기 제어기(310)에 제2, 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330)는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인지자극(500)의 시작 주기로서 상기 미세전류(400)가 발생되는 시간 내에 양극의 제1 인지자극(511) 및 음극의 제1 인지자극(521)으로 극성이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인지자극(500)을 발생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미세전류 발생의 종료를 미리 알리기 위한 인지자극(500)의 종료 주기로서 단락을 통해 상기 미세전류(400)가 발생되는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인지자극(511, 521)과 설정되는 양극의 제2 인지자극(512) 및 음극의 제2 인지자극(522)으로 극성이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인지자극(500)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330)는 사용자에게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 여부를 용이하게 알리기 위한 목적 또는 미세전류 발생 종료 여부를 용이하게 알리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310)에 의해 실효치 진폭이 서로 상이한 양, 음극의 제1 인지자극(511, 521)과 양, 음극의 제2 인지자극(512, 522)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양, 음극의 제1 인지자극(511, 521)은 사용자에게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 여부를 용이하게 알리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양, 음극의 제2 인지자극(512, 522)보다 실효치 진폭이 클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게 미세전류 발생 종료 여부를 용이하게 알리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는 상기 양, 음극의 제2 인지자극(512, 522)가 상기 양, 음극의 제1 인지자극(511, 521)보다 실효치 진폭이 클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340)은 복수의 미세전류용 전극(341) 및 복수의 인지자극용 전극(3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세전류용 전극(341)은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320)와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으로서,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320)에서 발생된 상기 미세전류(400)가 흐르게 되고, 이에 사용자가 미세전류 발생을 받을 신체 부위에 부착될 경우, 상기 신체 부위에 미세전류(400)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인지자극용 전극(342)은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330)와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으로서,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330)에서 발생된 상기 인지자극(500)가 흐르게 되고, 이에 상기 복수의 미세전류용 전극(341)이 부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신체 부위에 부착될 경우, 상기 신체 부위에 인지자극(500)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지자극용 전극(342)은 두 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나의 전극은 발생 방식이 직류전류, 교류전류 및 맥동전류 중 적어도 하나인 인지자극(500)을 인가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전극은 상기 하나의 전극과 다른 발생 방식의 인지자극(500)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인지자극용 전극(342)은 하나의 전극이 상기 인지자극(500)의 시작 주기 일때 인지자극(500)을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인지자극(500)의 종료 주기일 때 인지자극(500)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세전류용 전극(341) 및 상기 복수의 인지자극용 전극(342)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미세전류(400)로 미세전류를 제공 받으면서 상기 미세전류(400)가 발생되는 시간 내에서 한 주기 또는 복수의 주기로 발생되는 상기 인지자극(500)을 통해 미세전류 발생의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10, 210, 310: 제어기, 120, 320: 미세전류 발생기,
130, 330: 인지자극 발생기, 140, 230, 340: 복수의 전극,
141, 231, 341: 미세전류용 전극, 142: 232, 342: 인지자극용 전극,
220: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 400: 미세전류,
500: 인지자극.

Claims (11)

  1.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 입력데이터,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미세전류와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입력데이터 및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에 따른 미세전류를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는 미세전류 발생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에 따른 인지자극을 일정 시간동안 상기 미세전류와 교차로 발생시키는 인지자극 발생기; 및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에서 발생된 미세전류 또는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된 인지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2.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 입력데이터,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미세전류와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입력데이터 및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미세전류를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고,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인지자극을 일정 시간동안 상기 미세전류와 교차로 발생시키는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 및
    상기 미세전류/인지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된 미세전류 또는 인지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3.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 입력데이터, 미세전류 발생을 위한 미세전류와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입력데이터 및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미세전류를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는 미세전류 발생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에 입력되는 상기 제2, 3 입력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발생 시간, 주기 및 방식의 인지자극을 상기 일정 시간동안 발생시키는 인지자극 발생기; 및
    상기 미세전류 발생기에서 발생된 미세전류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복수의 미세전류용 전극; 및
    상기 인지자극 발생기에서 발생된 인지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미세전류용 전극이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부착되는 복수의 인지자극용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3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직류전류, 교류전류 및 맥동전류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3 입력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방식을 우선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방식이 설정되면, 상기 미세전류의 발생 방식과 다른 진폭 및/또는 다른 파장으로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지자극이 복수의 주기로 설정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미세전류 발생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인지자극의 시작 주기 및 상기 미세전류 발생의 종료를 알리기 위한 인지자극의 종료 주기가 나머지 인지자극의 주기들과 다른 진폭 및/또는 다른 파장으로 발생되도록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인지자극의 시작 주기의 실효치 진폭과 상기 인지자극의 종료 주기의 실효치 진폭이 상이하도록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8.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세전류가 발생될 때 상기 미세전류의 주기가 상기 인지자극의 주기보다 우선적으로 발생되도록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복수로 설정되는 상기 인지자극의 주기 중 상기 미세전류 발생이 종료된 것을 알리기 위한 인지자극의 종료 주기가 종료된 후에 상기 미세전류 발생이 종료되도록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10.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입력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복수로 설정되는 상기 미세전류의 주기 및 상기 인지자극의 주기가 상기 미세전류 발생이 진행될수록 점차 길어지게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11.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입력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복수로 설정되는 상기 미세전류의 주기 및 상기 인지자극의 주기가 상기 미세전류 발생이 진행될수록 점차 짧아지게 상기 미세전류와 상기 인지자극의 발생 시간 및 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KR1020210054872A 2021-04-28 2021-04-28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KR102542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72A KR102542441B1 (ko) 2021-04-28 2021-04-28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US17/405,479 US20220351827A1 (en) 2021-04-28 2021-08-18 User aware microcurrent therap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72A KR102542441B1 (ko) 2021-04-28 2021-04-28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843A KR20220147843A (ko) 2022-11-04
KR102542441B1 true KR102542441B1 (ko) 2023-06-13

Family

ID=8380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872A KR102542441B1 (ko) 2021-04-28 2021-04-28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51827A1 (ko)
KR (1) KR1025424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338B1 (ko) 2016-07-22 2017-09-15 박정식 생체 임피던스를 고려한 미세 전류 치료 장치
KR102141761B1 (ko) 2019-07-08 2020-08-05 (주)리솔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5203B2 (en) * 2009-08-28 2016-08-16 Caci Microlift Limited Electrostimulation devices
KR101291036B1 (ko) * 2012-01-09 2013-08-01 박천정 인체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발마사지 장치
KR101372938B1 (ko) * 2012-03-15 2014-03-12 주식회사 웨이전스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를 위한 인지 방식의 미세전류 자극 장치
KR101340691B1 (ko) 2013-04-25 2013-12-12 오재숙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US11007367B2 (en) * 2016-03-16 2021-05-18 Nova Oculus Canada Manufacturing Ulc Microcurrent device for the treatment of visual disease
KR20200062497A (ko) * 2018-11-27 2020-06-04 서한중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
KR102092375B1 (ko) 2019-12-06 2020-05-15 (주) 헥사이노힐 저출력 레이저 조합 미세전류 통증 치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338B1 (ko) 2016-07-22 2017-09-15 박정식 생체 임피던스를 고려한 미세 전류 치료 장치
KR102141761B1 (ko) 2019-07-08 2020-08-05 (주)리솔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843A (ko) 2022-11-04
US20220351827A1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2971U (ja) 美容器
AU2015219295B2 (en) Transcranial electro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US20160121108A1 (en) Beauty instrument
KR101209102B1 (ko)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미세전류 기기
KR102550410B1 (ko) 이종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미용 시술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시술 방법
EP1523368A1 (en)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electrical pulses to the human body
JP2017522127A (ja) ドライアイを治療するための刺激パターン
KR101057974B1 (ko)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을 동시 적용한 전기치료기
JP6870799B2 (ja) 電気刺激装置
JP2020185207A (ja) 美容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50028996A (ko) 전위 치료 장치
JP7169688B2 (ja) 美容に使用する複合電極パッドを用いた美容機器
KR102170281B1 (ko) 저주파 자극 마스크
KR102023654B1 (ko) 고주파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휴대용 고주파 두피 마사지기
KR102542441B1 (ko)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발생기
JP2017192545A (ja) 低周波治療器
CN104208810A (zh) 一种数码经络导平治疗仪
KR101071382B1 (ko) 고주파 침봉기
JP2020039575A (ja) 美容器具
JP5780432B2 (ja) 脳疲労及び/又はうつ治療装置の作動方法
JP2021133160A (ja) 高周波美容器
JPH1199190A (ja) 眼精疲労回復装置
JP6703695B2 (ja) 筋肉刺激装置
JP2023117155A (ja) 電気刺激装置
KR20170055369A (ko) 저주파 전기 자극 효과를 갖는 고주파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