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132B1 - 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132B1
KR102542132B1 KR1020160055389A KR20160055389A KR102542132B1 KR 102542132 B1 KR102542132 B1 KR 102542132B1 KR 1020160055389 A KR1020160055389 A KR 1020160055389A KR 20160055389 A KR20160055389 A KR 20160055389A KR 102542132 B1 KR102542132 B1 KR 10254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pixel
wiring
area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3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6056A (en
Inventor
이소영
정영민
신승환
서대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132B1/en
Publication of KR2017012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0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1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having a patterned common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7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fringe field switching [FFS] where the common electrode is not pattern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통전압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표시영역을 비표시영역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제 1 내지 제 6 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제 1 영역 내지 제 3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들은 공통배선과 제 1 보조공통배선이 접촉되는 제 1 공통콘택홀의 개수를 조절하고, 제 4 영역 내지 제 6 영역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들은 제 2 보조공통배선을 더욱 구비하고 제 2 보조공통배선의 개수를 조절하여,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6 영역으로 갈수록 공통전극부가 낮은 라인저항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공통전압의 면내 편차에 의해 상하 및 좌우 휘도차 및 플리커(flicker) 그리고 잔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심부에서의 공통전극부의 로드(load)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한 화질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verse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ray substrate for a transverse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distortion of a common voltage.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isplay area is divided into first to sixth areas from the non-display area toward the center, and the first to third pixel areas located in the first to third areas are connected to the common wiring and the first auxiliary The number of first common contact holes contacted by the common wiring is adjusted, and the fourth to sixth pixel regions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further include a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is adjus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on electrode part has a low line resistance as it goes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sixth reg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vertical and horizontal luminance differences, flicker, and afterimages from occurring due to in-plane deviation of the common volta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in the center, so that th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crosstalk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통전압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verse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ray substrate for a transverse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distortion of a common voltage.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는 액정의 광학적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나타낸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which is advantageous for displaying moving images and has a large contrast ratio, is actively used in TVs and monitors. It shows the principle of image realization by .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s an essential component a liquid crystal panel bonded by interposing a liquid crystal layer between two parallel substrates, and realizes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y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liquid crystal molecules with an electric fiel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do.

최근에는 상-하로 형성된 전기장으로 액정을 구동하는 능동행렬 액정표시장치가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능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하로 걸리는 전기장에 의한 액정구동은 시야각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Recently, an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that drives liquid crystals with an electric field formed from up and down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of its excellent resolution and ability to realize moving pictures.

이에, 시야각이 좁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횡전계에 의한 액정 구동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Accordingly,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 of a narrow viewing angle, and among them, a liquid crystal driving method using a transverse electric field is attracting attention.

도 1은 일반적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일반적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의 공통전압의 라인저항으로 인해 리플이 발생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panel of a general horizontal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a ripple is generated due to line resistance of a common voltage of a general horizontal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시한 바와 같이, 어레이기판인 하부기판(1)과 컬러필터기판인 상부기판(3)이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으며, 이 상부 및 하부기판(1, 3)사이에는 액정층(5)이 개재되어 있다. As shown, the lower substrate 1, which is an array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3, which is a color filter substr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5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1 and 3. has been

하부기판(1) 상에는 공통전극(25) 및 화소전극(23)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액정층(5)은 공통전극(25) 및 화소전극(23)에 의한 수평전계(L)에 의해 작동된다.On the lower substrate 1, the common electrode 25 and the pixel electrode 23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5 generates a horizontal electric field (L) by the common electrode 25 and the pixel electrode 23. is operated by

이와 같이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하부기판(1) 상에 공통전극(25) 및 화소전극(23)을 형성하고, 두 전극(23, 25) 사이에 수평전계(L)를 생성하여 액정분자가 기판(1, 3)에 평행한 수평전계(L)와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을 넓게 할 수 있다. As such,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ms a common electrode 25 and a pixel electrode 23 on the lower substrate 1, and generates a horizontal electric field L between the two electrodes 23 and 25 so that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By arranging them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L parallel to the substrates 1 and 3, the viewing ang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can be widened.

한편, 공통전극(25)의 라인저항은 패널의 상하측 및 좌우측 영역으로부터 패널의 중심부로 갈수록 증가하므로 공통전압(Vcom)의 면내 편차가 야기된다. 이러한 공통전압(Vcom)의 면내 편차는 상하 및 좌우 휘도차 및 플리커(flicker) 그리고 잔상을 유발하게 된다. Meanwhile, since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25 increases from the upper, lower and left and right regions of the panel toward the center of the panel, in-plane deviation of the common voltage Vcom is caused. Such in-plane deviation of the common voltage Vcom causes vertical and horizontal luminance differences, flicker, and afterimages.

특히, 공통전극(25)의 라인저항이 중심부에서 증가함에 따라 패널의 중심부에서의 공통전압(Vcom)은 로드(load)가 커지게 되는데, 공통전극(25)의 로드는 공통전극(25)의 라인저항과 기생용량의 곱으로 정의되는 RC 딜레이로 정의되어, RC 딜레이(RC delay)가 높을 경우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한 화질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In particular, as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25 increases at the center, the load of the common voltage Vcom at the center of the panel increases. It is defined as an RC delay defined as a product of a line resistance and a parasitic capacitance, and when the RC delay is high, image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crosstalk is caused.

따라서, RC 딜레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통전극(25)의 라인저항을 줄여야 하나, 현재의 공통전극(25)의 구조로는 라인저항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RC delay,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25 should be reduced, but the current structure of the common electrode 25 has limitations in reducing the line resistance.

그 결과 공통전압(Vcom)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도 2와 같이 스캔펄스(SP) 또는 데이터전압(Vdate)에 영향을 받아 출렁이게 된다. 이러한 공통전압(Vcom)의 리플(ripple) 현상은 특정 데이터전압(Vdate)이 인가될 때 수평 크로스토크를 유발하는 주 요인이 된다.As a result, the common voltage Vcom is not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but fluctuat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can pulse SP or the data voltage Vdate as shown in FIG. 2 . This ripple phenomenon of the common voltage Vcom becomes a main factor inducing horizontal crosstalk when a specific data voltage Vdate is appli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통전압의 면내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thereof is to minimize occurrence of in-plane deviation of a common voltage.

또한, 패널 중심영역에서의 공통전극의 라인저항을 줄이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공통전압의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표시품질이 우수한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is to reduce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anel, and through this, distortion of the common voltage is prevented and to provide a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excellent display quality. for the third purpose.

또한, 데이터배선과 화소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를 차폐하는 것을 제 4 목적으로 한다. A fourth object is to shield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etween the data wiring and the pixel electrode.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비표시영역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6 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는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제 1 영역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하는 3개의 화소영역 중 하나의 화소영역에서 공통배선과 공통전극은 제 1 공통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화소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하는 3개의 화소영역 중 두개의 화소영역에서 각각 공통배선과 공통전극은 제 1 공통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화소영역과, 상기 제 3 영역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하는 3개의 화소영역 중 세개의 화소영역에서 각각 공통배선과 공통전극은 제 1 공통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제 3 화소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하는 3개의 화소영역 중 세개의 화소영역에서 각각 공통배선과 공통전극은 제 1 공통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며, 하나의 수직라인 공통전압 패스구조를 포함하는 제 4 화소영역과, 상기 제 5 영역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하는 3개의 화소영역 중 세개의 화소영역에서 각각 공통배선과 공통전극은 제 1 공통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며, 두개의 수직라인 공통전압 패스구조를 포함하는 제 5 화소영역과, 상기 제 6 영역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하는 3개의 화소영역 중 세개의 화소영역에서 각각 공통배선과 공통전극은 제 1 공통콘택홀을 통해 연결되며, 세개의 수직라인 공통전압 패스구조를 포함하는 제 6 화소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6 영역으로 갈수록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낮아지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display area and a display area located inside the non-display area and defined by dividing the first to sixth areas sequentially from the non-display area toward the center. a substrate including a substrate, a first pixel region located in the first region and connected to a common wire and a common electrode in one of three pixel regions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common contact hole; Located in Area 2, a common wire and a common electrode in two pixel areas among three pixel areas adjacent to each other are located in a second pixel area and a third area connected through a first common contact hole, respectively. In each of the three pixel areas, the common wire and common electrode are located in the third pixel area and the fourth area, which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and are located in the three pixel areas adjacent to each other. In each of the three pixel areas, a common wire and a common electrode are connected through a first common contact hole, and are located in a fourth pixel area including a single vertical line common voltage pass structure and a fifth area, and adjacent to each other. In each of the three pixel areas, a common wire and a common electrode are connected through a first common contact hole, and are located in a fifth pixel area including a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wo vertical lines, and a common electrode in the sixth area. and a sixth pixel area including a common wiring and a common electrod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common contact hole in three pixel areas among three pixel areas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cluding a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ree vertical lines; , Provided is an array substrate for a transverse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decreases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sixth region.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표시영역을 비표시영역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제 1 내지 제 6 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제 1 영역 내지 제 3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들은 공통배선과 제 1 보조공통배선이 접촉되는 제 1 공통콘택홀의 개수를 조절하고, 제 4 영역 내지 제 6 영역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들은 제 2 보조공통배선을 더욱 구비하고 제 2 보조공통배선의 개수를 조절하여,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6 영역으로 갈수록 공통전극부가 낮은 라인저항을 갖도록 함으로써, 공통전압의 면내 편차에 의해 상하 및 좌우 휘도차 및 플리커(flicker) 그리고 잔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rea is defined by being divided into first to sixth areas from the non-display area toward the center, and the first to third pixel areas located in the first to third areas have a common The number of first common contact holes through which the wiring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are in contact is adjusted, and the fourth to sixth pixel regions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further include a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By adjusting the number of common wires so that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has a lower line resistance from the first area to the sixth area, vertical and horizontal luminance differences, flicker, and afterimages occur due to in-plane deviation of the common voltage. There is a preventive effect.

또한 중심부에서의 공통전극부의 로드(load)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한 화질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in the center, so tha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mage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crosstalk.

특히, 패널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제 4 내지 제 6 영역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들이 제 2 보조공통배선을 통해 수직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를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중심부에서 수평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와 수직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the 4th to 6th pixel areas located in the 4th to 6th area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anel implement a common voltage pass structure of a vertical line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thereby forming a horizontal line at the center of the panel.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non-uniformity between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vertical line and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vertical line.

이를 통해서, 수직라인으로 공통전극부의 로드(load)가 커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어,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한 화질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in the vertical line,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due to crosstalk.

도 1은 일반적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의 공통전압의 라인저항으로 인해 리플이 발생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a ~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a는 도 4a의 절단선 Ⅰ-Ⅰ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b는 도 4f의 절단선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panel of a general horizontal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ripple is generated due to line resistance of a common voltage of a general transversal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F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rray substrate for a transverse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ure 4a.
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ure 4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10)는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어레이기판(array substrate : 111)과 컬러필터기판(color filter substrate : 112)이 대면 합착된 액정패널(110)을 필수 요소로 한다. As shown, the horizontal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ray substrate 111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112 with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nterposed therebetween. This face-to-face bonding liquid crystal panel 110 is an essential element.

이때, 하부기판 또는 어레이기판으로 불리는 제1기판(111)은 크게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AA)과, 각종 회로 및 배선 등이 형성되어 영상 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비표시영역(NA)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first substrate 111, called a lower substrate or an array substrate, includes a display area AA displaying an image and a non-display area NA where various circuits and wires are formed and are not used for displaying an image. do.

이때, 비표시영역(NA)은 제 1 기판(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의되며, 표시영역(AA)은 비표시영역(NA)의 내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non-display area NA is defin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substrate 111, and the display area AA is located inside the non-display area NA.

제1기판(111)의 표시영역(AA)에는, 복수개의 데이터배선(105)과 게이트배선(103)이 종횡 교차하여 m×n 개의 화소영역(SP)을 정의하며, 이들 두 배선(103, 105)의 교차지점에는 스위칭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가 구비된다. In the display area AA of the first substrate 111, a plurality of data lines 105 and a gate line 103 cros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define m×n pixel areas SP, and these two lines 103, 105) is provided with a thin film transistor (T) as a switching element.

그리고, 각 화소영역(SP)을 관통하며 게이트배선(103)과 이격하며 공통배선(107, 도 4a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common wiring 107 (see FIG. 4A ) is formed passing through each pixel region SP and spaced apart from the gate wiring 103 .

이때, 공통배선(107, 도 4a 참조)으로부터 공통전압을 전달받는 공통배선연결배선(125a, 도 4a 참조)를 포함하며, 또한 공통배선연결배선(125a, 도 4a 참조)과 연결되며 데이터배선(105)과 나란한 제 1 및 제 2 보조공통배선(125b, 200, 도 4a 및 도 4d참조)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it includes a common wire connection wire (125a, see FIG. 4a) receiving a common voltage from the common wire (107, see FIG. 4a),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common wire connection wire (125a, see FIG. 4a) and data wire ( 105) and parallel first and second auxiliary common wires 125b and 200 (see FIGS. 4A and 4D).

여기서, 공통배선(107, 도 4a 참조)과 공통배선연결배선(125a, 도 4a 참조) 그리고 제 1 보조공통배선(125b, 도 4a 참조)은 메쉬(mesh)구조를 이루게 된다. Here, the common wiring 107 (see FIG. 4A), the common wiring connection wiring 125a (see FIG. 4A),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b (see FIG. 4A) form a mesh structure.

그리고 각 화소영역(SP) 내부에는 공통배선연결배선(125a, 도 4a 참조)에서 분기하여 제 1 보조공통배선(125b, 도 4a 참조)과 나란하게 다수의 중앙부 공통전극(125, 도 4a 참조)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And inside each pixel region SP, a plurality of central common electrodes (125, see FIG. 4a) branched off from the common wiring connection wiring (125a, see FIG. 4a) and parallel to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b, see FIG. 4a). They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또한, 각 화소영역(SP) 내부에는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되는 보조화소배선(123a, 도 4a 참조)이 공통배선(107, 도 4a 참조)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화소배선(123a, 도 4a 참조)에서 분기하여 다수의 화소전극(125, 도 4a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inside each pixel region SP, an auxiliary pixel wiring 123a (see FIG. 4A)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formed parallel to a common wiring 107 (see FIG. 4A), and the auxiliary pixel wiring 123a , FIG. 4A),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125 (see FIG. 4A) are formed.

이때, 게이트배선(103) 및 데이터배선(105)이 배치된 제 1 기판(111) 일측의 비표시영역(NA)에는 게이트배선(103) 및 데이터배선(105)과 각각 연결되는 게이트패드(미도시) 및 데이터패드(미도시)가 형성된 패드부(DPA, GPA)가 형성되어, 게이트배선(103) 및 데이터배선(105)은 외부 구동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 미도시)과 연결된다. At this time, in the non-display area NA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11 on which the gate wiring 103 and the data wiring 105 are disposed, a gate pad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gate wiring 103 and the data wiring 105, respectively. ) and data pads (not shown) are formed, and the gate line 103 and the data line 105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이러한 제 1 기판(111)과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이와 마주보는 제 2 기판(112)은 상부기판 또는 컬러필터기판(color filter substrate)이라 불리는데, 이의 일면에는 제 1 기판(111)의 데이터배선(105)과 게이트배선(103)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 등의 비표시 요소를 가리는 격자 형상의 블랙매트릭스(미도시)가 구성된다. The second substrate 112 facing the first substrate 111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s called an upper substrate or a color filter substrate, and one side thereof has a first substrate 111 A lattice-shaped black matrix (not shown) is configured to cover non-display elements such as the data wiring 105, the gate wiring 103,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T of ).

또한, 이들 격자 내부에서 각 화소영역(SP)에 대응되게 순차적으로 반복 배열되는 R(red), G(green), B(blue) 컬러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In addition, R (red), G (green), and B (blue) color filters (not shown) that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pixel area SP are provided inside the lattice.

그리고 이들 두 기판(111, 112)과 액정층(미도시)의 경계부분에는 액정의 초기 분자배열 방향을 결정하는 제 1 및 제 2 배향막(미도시)이 개재되고, 그 사이로 충진되는 액정층(미도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양 기판(111, 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패턴(seal pattern : 102)이 형성된다.An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substrates 111 and 112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first and second alignment films (not shown) that determine the initial molecular alignme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are interposed,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filled therebetween ( Seal patterns 102 are formed along the edges of both substrates 111 and 112 to prevent leakage of (not shown).

그리고, 이러한 액정패널(110)의 각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및 제 2 편광판(미도시)이 부착된다. Also, first and second polarizers (not shown) that selectively transmit only specific light are attached to each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아울러 액정패널(110)이 나타내는 투과율의 차이가 외부로 발현되도록 이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미도시)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backlight (not shown) is provided to supply ligh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so that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indicated by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s expressed to the outsid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100)는 표시영역(AA)이 표시영역(AA)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비표시영역(NA)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6개의 영역(A, B, C, D, E, F)으로 나뉘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in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rea AA has six areas A and B from the non-display area NA surrounding the edge of the display area AA toward the center. , C, D, E, F)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definitions.

즉, 비표시영역(NA)에 가장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6 영역(A, B, C, D, E, F)으로 나뉘어 정의되며, 각 영역(A, B, C, D, E, F)에서 정의되는 화소영역(SP)은 서로 다른 라인저항을 갖는 공통전극부를 구비하게 된다. That is, the first to sixth areas A, B, C, D, E, and F are defined sequentially from the area closest to the non-display area NA toward the center, and each area A, B, C , D, E, and F) have common electrode portions having different line resistances.

여기서 공통전극부는 공통배선(107, 도 4a 참조)과 공통배선연결배선(125a, 도 4a 참조), 제 1 및 제 2 보조공통배선(125b, 200, 도 4a 및 도 4d참조) 그리고 공통전극(125, 도 4a 참조)을 포함하며, 비표시영역(NA)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영역(A)에 위치하는 다수의 화소영역(SP)에 형성되는 공통전극부는 제 1 라인저항을 갖게 되며, 제 2 영역(B)에 위치하는 다수의 화소영역(SP)에 형성되는 공통전극부는 제 1 라인저항에 비해 낮은 제 2 라인저항을 갖게 된다. Here, the common electrode unit includes a common wire (107, see FIG. 4a), a common wire connection wire (125a, see FIG. 4a), first and second auxiliary common wires (125b, 200, see FIGS. 4a and 4d), and a common electrode ( 125, see FIG. 4A), and the common electrode formed in the plurality of pixel areas SP located in the first area A most adjacent to the non-display area NA has a first line resistance. And,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formed in the plurality of pixel areas SP located in the second area B has a lower second line resistance than the first line resistance.

그리고, 제 3 영역(C)으로부터 제 6 영역(F)으로 갈수록 각 화소영역(SP)에 형성되는 공통전극부는 낮은 라인저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formed in each pixel region SP from the third region C to the sixth region F is formed to have a low line resistanc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100)는 공통전압의 면내 편차에 의해 상하 및 좌우 휘도차 및 플리커(flicker) 그리고 잔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심부에서의 공통전극(125, 도 4a 참조)의 로드(load)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한 화질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vertical and horizontal luminance differences, flicker, and afterimages from occurring due to in-plane deviation of the common volta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125 (see FIG. 4A) at the center,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due to crosstalk.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공통전극(125, 도 4a 참조)의 라인저항은 패널의 상하측 및 좌우측 영역으로부터 패널의 중심부로 갈수록 증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100)는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향할수록 공통전극부가 낮은 라인저항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공통전압의 면내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Looking more closely at this, in general,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125, see FIG. 4A) increases from the upper, lower and left and right regions of the panel toward the center of the panel. In (100), by forming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to have a lower line resistance as it moves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occurrence of in-plane deviation of the common voltage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공통전압의 면내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하 및 좌우 휘도차 및 플리커(flicker) 그리고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as the occurrence of in-plane deviation of the common voltage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vertical and horizontal luminance differences, flicker, and afterimages from occurring.

또한, 패널의 중심부에서 공통전극부가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라인저항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중심부에서의 공통전극부의 로드(load)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한 화질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panel to have a lower line resistance than other area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in the center portion,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due to crosstalk. can prevent doing so.

이에 대해 도 4a ~ 4f와 도 5a ~ 5b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This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f and FIGS. 5a to 5b.

도 4a ~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a는 도 4a의 절단선 Ⅰ-Ⅰ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4f의 절단선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4A to 4F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array substrate for a transverse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4A, and FIG. 5B is a It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the cutting line II-II of 4f.

여기서, 도 4a는 도 3의 제 1 영역(A)에 위치하는 제 1 화소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3의 제 2 영역(B)에 위치하는 제 2 화소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c는 도 3의 제 3 영역(C)에 위치하는 제 3 화소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d는 도 3의 제 4 영역(E)에 위치하는 제 4 화소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e는 도 3의 제 5 영역(F)에 위치하는 제 5 화소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f는 도 3의 제 6 영역에 위치하는 제 6 화소영역(G)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Here, FIG. 4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pixel area located in the first area A of FIG. 3, and FIG. 4B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pixel area located in the second area B of FIG. FIG. 4C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third pixel area located in the third area (C) of FIG. 3, and FIG. 4D is a plan view showing the fourth area (E) in FIG. 3. FIG. 4E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xel area, FIG. 4E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fth pixel area located in the fifth area F of FIG. 3 , and FIG.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ixel area G.

한편,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4a ~ 4f와 도 5a ~ 5b에서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 Meanwhile,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to the same parts that play the same role in FIGS. 4a to 4f and FIGS. 5a to 5b and will be described together.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 내의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될 부분을 스위칭영역(TrA)이라 정의하며, 제 1 영역(A)에 위치하는 화소영역은 제 1 화소영역(SP1)이라 정의하며, 제 2 영역(B)에 위치하는 화소영역은 제 2 화소영역(SP2), 제 3 영역(C)에 위치하는 화소영역은 제 3 화소영역(SP3), 제 4 영역(D)에 위치하는 화소영역은 제 4 화소영역(SP4), 제 5 영역(E)에 위치하는 화소영역은 제 5 화소영역(SP5), 제 6 영역(F)에 위치하는 화소영역은 제 6 화소영역(SP6)이라 정의하도록 하겠다.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ortion where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to be formed in each of the pixel areas SP1, SP2, SP3, SP4, SP5, and SP6 is defined as a switching area TrA, and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A. A pixel area located in the second area (B) is defined as a first pixel area (SP1), a pixel area located in the second area (B) is a second pixel area (SP2), and a pixel area located in the third area (C) is a third pixel area. The pixel area located in the area SP3 and the fourth area D is the fourth pixel area SP4, and the pixel area located in the fifth area E is the fifth pixel area SP5 and the sixth area F ) will be defined as a sixth pixel area SP6.

그리고, 서로 이웃한 3개의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을 하나의 화소(P)로 정의하도록 하겠다. Also, three adjacent pixel areas SP1, SP2, SP3, SP4, SP5, and SP6 will be defined as one pixel P.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101)은 게이트절연막(113)을 사이에 두고 그 하부 및 상부로 서로 교차됨으로써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배선(103)과 데이터배선(105)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the array substrate 101 for a horizontal electric fiel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osses each other at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with the gate insulating film 113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each pixel area SP1, SP2, SP3 , SP4, SP5, and SP6)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gate wires 103 and data wires 105.

그리고,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을 관통하며 게이트배선(103)과 이격하며 공통배선(107)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common wiring 107 is formed passing through each of the pixel regions SP1 , SP2 , SP3 , SP4 , SP5 , and SP6 and spaced apart from the gate wiring 103 .

여기서 게이트배선(103)과 공통배선(107)은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데이터배선(105)은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Here, the gate wiring 103 and the common wiring 107 exten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the data wiring 105 extends along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또한,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에는 게이트배선(103) 및 데이터배선(105)과 연결되며, 게이트전극(111)과, 게이트절연막(113)과, 순수 비정질 실리콘의 액티브층(115a)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의 오믹콘택층(115b)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115)과, 서로 이격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117, 118)으로 구성된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each pixel region (SP1, SP2, SP3, SP4, SP5, SP6) is connected to a gate wire 103 and a data wire 105, and a gate electrode 111, a gate insulating film 113, and pure amorphous A semiconductor layer 115 composed of an active layer 115a of silicon and an ohmic contact layer 115b of impurity amorphous silicon, and a thin film transistor T composed of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7 and 118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

이때, 도면에 있어서 박막트랜지스터(T)는 채널을 이루는 영역이 ‘U'형태를 이루는 것을 일례로 보이고 있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drawing, the thin film transistor (T) shows as an example that the region constituting the channel forms a 'U' shape, but i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여기서,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 내부에는 공통배선(107)과 연결되어 공통전압을 전달받는 공통배선연결배선(125a)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통배선연결배선(125a)과 연결되며 데이터배선(105)과 나란한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이 형성되고 있다. Here, a common wiring connection wiring 125a connected to the common wiring 107 to receive a common voltage is formed inside each of the pixel regions SP1, SP2, SP3, SP4, SP5, and SP6, and the common wiring connection wiring ( 125a) and a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parallel to the data wire 105 is formed.

그리고,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 내부에는 공통배선연결배선(125a)에서 분기하여 제 1 보조공통배선(125b)과 나란하게 다수의 공통전극(125)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Further, inside each pixel region (SP1, SP2, SP3, SP4, SP5, SP6), a plurality of common electrodes 125 branched from the common wiring connection wiring 125a and parallel to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b are constant. It is formed at intervals.

공통배선연결배선(125a)은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은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공통배선(107)과 공통배선연결배선(125a) 그리고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은 메쉬(mesh)구조를 이루게 된다. The common wiring connection wiring 125a extends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b extends along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common wiring 107 and the common wiring connection wiring 125a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a The common wiring 125b has a mesh structure.

또한,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 내부에는 드레인콘택홀(118a)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T)의 드레인전극(118)과 연결되는 보조화소배선(123a)이 공통배선(107)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화소배선(123a)에서 분기하여 다수의 화소전극(123)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auxiliary pixel wiring 123a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18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118a is common in each of the pixel regions SP1, SP2, SP3, SP4, SP5, and SP6.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123 are formed parallel to the wiring 107 and branched from the auxiliary pixel wiring 123a.

공통전극(125)과 화소전극(123)은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번갈아 배치된다. The common electrode 125 and the pixel electrode 123 extend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alternately disposed.

여기서,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 내에 형성된 공통전극(125)과 제 1 보조공통배선(125b) 그리고 화소전극(123)은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의 중앙부에서 게이트배선(103)과 나란하게 가상의 선(CL)을 그엇을 때, 가상의 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꺾인 구조를 갖는다. Here, the common electrode 125,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nd the pixel electrode 123 formed in each pixel area SP1, SP2, SP3, SP4, SP5, and SP6 are formed in each pixel area SP1, SP2, SP3. , SP4, SP5, and SP6), when a virtual line CL is drawn parallel to the gate wiring 103, it has a structure symmetrically bent with respect to the virtual line CL.

즉, 가상의 선(CL)을 기준으로 각 공통전극(125)과 제 1 보조공통배선(125b) 그리고 화소전극(123)은 가상의 선(CL)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꺽인 구조이다. That is, based on the imaginary line CL, each common electrode 125,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b, and the pixel electrode 123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maginary line CL. It is a structure bent at a certain angle in the direction.

따라서,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이의 상부와 하부는 공통전극(125)과 제 1 보조공통배선(125b) 그리고 화소전극(123)의 방향을 달리하게 됨으로써 서로 다른 도메인 영역을 이루게 된다.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pixel area SP1, SP2, SP3, SP4, SP5, and SP6 are directed toward the common electrode 125,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nd the pixel electrode 123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By changing the , different domain areas are formed.

이러한 경우,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0)는 하나의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 내의 서로 다른 도메인에 위치하는 액정의 움직임이 달라지며, 최종적으로 액정분자의 장축의 배치를 달리하게 됨으로써, 특정 방위각에서의 컬러 쉬프트 현상을 저감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in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100 in FIG. 3), the movement of liquid crystals located in different domains within one pixel area (SP1, SP2, SP3, SP4, SP5, SP6) is different, and finally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major axis of , the color shift phenomenon in a specific azimuth angle is reduced.

즉, 설명의 편의상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 내에서 가상의 선(CL)을 기준으로 상부에 구성되는 영역을 제 1 도메인영역(D1), 하부에 구성되는 영역을 제 2 도메인영역(D2)이라 정의하면, 제 1 도메인영역(D1)에서의 컬러 쉬프트가 발생하는 방위각과 제 2 도메인영역(D2)에서의 컬러 쉬프트가 발생하는 방위각이 달라, 각각의 도메인영역(D1, D2)이 서로 컬러 쉬프트 현상을 보상시키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컬러 쉬프트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rea formed on the upper part with respect to the virtual line CL in each pixel area SP1, SP2, SP3, SP4, SP5, and SP6 is referred to as the first domain area D1, and the area formed on the lower part If the area is defined as the second domain area D2, the azimuth angle at which color shift occurs in the first domain area D1 and the azimuth angle at which color shift occurs in the second domain area D2 are different, so that each domain As the regions D1 and D2 compensate for the color shift phenomenon, the color shift phenomenon can be finally reduced.

이때, 일정 각은 7도 내지 10도일 수 있는데, 공통전극(125)과 제 1 보조공통배선(125b) 그리고 화소전극(123)이 가상의 선(CL)과 수직한 방향에 대해 ± 7도 내지 ± 10도보다 더 큰 각도를 가지고 꺾인 구조를 이루게 되면 하나의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 내에서 더욱 확실한 도메인 분리가 가능하지만 구동전압이 높아지고 V-T 커브 특성상 전체적인 화이트 휘도가 감소하게 되므로, 공통전극(125)과 제 1 보조공통배선(125b) 그리고 화소전극(123)은 가상의 선(CL)과 수직한 방향에 대해 전술한 ± 7도 내지 ± 10도 정도의 각도를 가지며 꺽인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7 degrees to 10 degrees, and the common electrode 125,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nd the pixel electrode 123 may be ± 7 degrees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maginary line CL. If the structure is bent at an angle greater than ± 10 degrees, more reliable domain separation is possible within one pixel area (SP1, SP2, SP3, SP4, SP5, SP6), but the driving voltage is higher and the overall white lumina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T curve Since is reduced, the common electrode 125,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nd the pixel electrode 123 have an angle of about ±7 degrees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maginary line CL. It is preferable to have a folded structure.

여기서, 이들 공통전극(125)과 제 1 보조공통배선(125b) 그리고 화소전극(123)의 꺾인 구성을 가짐으로써 데이터배선(105) 또한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꺾인 구성을 가지며, 데이터배선(105)은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별로 분리 형성된 것이 아니라 표시영역(도 3의 AA) 전체에 대해 연결된 구성을 가지므로 데이터배선(105)은 표시영역(도 3의 AA)에 있어서는 각 화소영역(SP1, SP2, SP3, SP4, SP5, SP6)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꺾인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된다. Here, by having the common electrode 125,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nd the pixel electrode 123 bent, the data wire 105 also has each pixel area SP1, SP2, SP3, SP4, SP5, SP6 ), and the data wiring 105 is not separately formed for each pixel area (SP1, SP2, SP3, SP4, SP5, SP6), but the entire display area (AA in FIG. 3) Since it has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 the data line 105 forms a zigzag shape ben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each pixel area (SP1, SP2, SP3, SP4, SP5, SP6) in the display area (AA in FIG. 3). .

여기서, 게이트배선(103)과 게이트전극(111) 그리고 공통배선(107)은 모두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알루미늄(Al)이나, 몰리브덴(Mo), 니켈(Ni), 크롬(Cr), 구리(Cu)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Here, the gate wiring 103, the gate electrode 111, and the common wiring 107 are all made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such as aluminum (Al), molybdenum (Mo), nickel (Ni), or chromium (Cr). , copper (Cu) or an alloy thereof, and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이때, 게이트배선(103), 게이트전극(111) 그리고 공통배선(107)을 구리(Cu) 또는 구리합금(Cu alloy)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리(Cu) 또는 구리합금(Cu alloy)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 에 비해서는 저항값이 낮으며, 상대적으로 몰리브덴(Mo)이나 알루미늄(Al)에 비해서도 좋은 저저항 특성을 갖는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gate wiring 103, the gate electrode 111, and the common wiring 107 with copper (Cu) or a copper alloy (Cu alloy). It has a low resistance value compared t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indium-tin-oxide, and has relatively good low-resistanc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molybdenum (Mo) or aluminum (Al).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17, 118)과 데이터배선(105)은 게이트배선(103)과 게이트전극(111) 그리고 공통배선(107)과 게이트절연막(113)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모두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알루미늄(Al)이나, 몰리브덴(Mo), 니켈(Ni), 크롬(Cr), 구리(Cu)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7 and 118 and the data wiring 105 are located on the same layer with the gate wiring 103, the gate electrode 111, the common wiring 107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113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but may be made of aluminum (Al), molybdenum (Mo), nickel (Ni), chromium (Cr), copper (Cu), or alloys thereof, and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

이때, 소스 및 드레인전극(117, 118)과 데이터배선(105) 또한 구리(Cu) 또는 구리합금(Cu alloy)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7 and 118 and the data wire 105 are also preferably formed of copper (Cu) or a copper alloy (Cu alloy).

그리고, 공통전극(125)과 화소전극(123)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나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common electrode 125 and the pixel electrode 123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or indium zinc oxide.

또한, 보조화소배선(123a)과 공통배선연결배선(125a) 그리고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이 화소전극(123) 및 공통전극(125)과 동일층 상에 동일 물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ixel wiring 123a, the common wiring connection wiring 125a,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b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pixel electrode 123 and the common electrode 125.

여기서, 공통전극(125)과 화소전극(123), 보조화소배선(123a), 공통배선연결배선(125a) 그리고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은 소스 및 드레인전극(117, 118)과 데이터배선(105)과 보호층(121)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화소전극(123)은 보조화소배선(123a)을 통해 보호층(121)에 구비되어 드레인전극(118)을 노출하는 드레인콘택홀(118a)을 통해 드레인전극(118)과 접촉하게 된다. Here, the common electrode 125, the pixel electrode 123, the auxiliary pixel wiring 123a, the common wiring connection wiring 125a,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b are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7 and 118 and the data wiring Drain contact hole (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ain electrode 118 through 118a).

그리고, 공통전극(125)은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을 통해 보호층(121)에 구비되어 공통배선(107)을 노출하는 제 1 공통콘택홀(107a)을 통해 공통배선(107)과 접촉하게 된다. Also, the common electrode 125 is provided in the protective layer 121 through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nd connects to the common wire 107 through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107a exposing the common wire 107. come into contact

여기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의되는 비표시영역(도 3의 NA)에 가장 인접하여 위치하는 표시영역(도 3의 AA)의 제 1 영역(도 3의 A)에 위치하는 제 1 화소영역(SP1)은, 수평라인으로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1 화소영역(SP1) 중 1개의 제 1 화소영역(SP1) 내에 형성된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이 제 1 공통콘택홀(107a)을 통해 공통배선(107)과 접촉하여, 공통전압을 인가받는다. Here, as shown in FIG. 4A, the first area (FIG. 3) of the display area (AA in FIG. 3) located closest to the non-display area (NA in FIG. 3) defined along the edge of the substrate 101. The first pixel region SP1 positioned at A) of A) includes a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formed in one of the three first pixel regions SP1 adjacent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line. It contacts the common wire 107 through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107a and receives a common voltage.

그리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영역(도 3의 A)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제 2 영역(도 3의 B)에 위치하는 제 2 화소영역(SP2)은 수평라인으로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2 화소영역(SP2) 중 2개의 제 2 화소영역(SP2) 내에 형성된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이 각각 제 1 공통콘택홀(107a)을 통해 공통배선(107)과 접촉하여 공통전압을 인가받으며,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영역(도 3의 B)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제 3 영역(도 3의 C)에 위치하는 제 3 화소영역(SP3)은 수평라인으로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3 화소영역(SP3) 중 3개의 제 3 화소영역(SP3) 내에 형성된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이 각각 제 1 공통콘택홀(107a)을 통해 공통배선(107)과 접촉하여 공통전압을 인가받는다. And as shown in FIG. 4B, the second pixel area SP2 located in the second area (B in FIG. 3) located inside the first area (A in FIG.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s 125b formed in the two second pixel regions SP2 among the two second pixel regions SP2 contact the common wires 107 through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s 107a, respectively, and thereby generate a common voltage. is applied, and as shown in FIG. 4C, the third pixel area SP3 located in the third area (C in FIG. 3) located inside the second area (B in FIG. 3) is adjacent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line.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s 125b formed in the three third pixel regions SP3 of the three third pixel regions SP3 contact the common wires 107 through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s 107a, respectively. A common voltage is applied.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각 제 1 내지 제 3 영역(도 3의 A, B, C)에 위치하는 화소영역(SP1, SP2, SP3)들은 서로 다른 공통전극부 라인저항을 갖게 되는데, 특히 제 1 영역(도 3의 A)으로부터 제 3 영역(도 3의 C)으로 갈수록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pixel areas SP1, SP2, and SP3 located in the first to third areas (A, B, and C in FIG. 3) shown in FIGS. 4A to 4C have different common electrode line resistances. In particular,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decreases from the first area (A in FIG. 3) to the third area (C in FIG. 3).

여기서, 공통전극부는 공통배선(107)과 공통배선연결배선(125a), 제 1 및 제 2 보조공통배선(125b, 200) 그리고 공통전극(125)을 포함한다. Here, the common electrode unit includes a common wire 107 , a common wire connecting wire 125a , first and second auxiliary common wires 125b and 200 , and a common electrode 125 .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영역(도 3의 A)에 위치하는 제 1 화소영역(SP1)은 이웃하는 3개의 제 1 화소영역(SP1) 중 1개의 제 1 화소영역(SP1) 내에 형성된 제 1 보조공통배선(125b)만이 제 1 공통콘택홀(107a)을 통해 공통배선(107)과 접촉하게 되므로, 3개의 제 1 화소영역(SP1)으로 정의되는 하나의 화소(P)는 1개의 제 1 공통콘택홀(107a)을 통해 공통배선(107)과 접촉하게 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first pixel region SP1 located in the first region (A in FIG. 3) is the first pixel region SP1 formed in one of the three adjacent first pixel regions SP1. Since only 1 auxiliary common wire 125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mmon wire 107 through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107a, one pixel P defined by three first pixel regions SP1 has one 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mmon wire 107 through the common contact hole 107a.

그리고 이웃하는 3개의 제 2 화소영역(SP2) 중 2개의 제 2 화소영역(SP2)의 각각의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이 공통배선(107)과 접촉하는 제 2 영역(도 3의 B)에 위치하는 하나의 화소(P)는 2개의 제 1 공통콘택홀(107a)을 통해 공통배선(107)과 접촉하게 됨에 따라, 제 2 영역(도 3의 B)에 위치하는 화소(P)는 제 1 영역(도 3의 A)에 위치하는 화소(P)에 비해 보다, 제 1 보조공통배선(125b)과 공통배선(107)의 접촉이 더욱 늘어남에 따라 보다 많은 양의 공통전압을 인가받게 된다. Also, a second region (B in FIG. 3 )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of each of the two second pixel regions SP2 among the three adjacent second pixel regions SP2 contacts the common wire 107. As one pixel P located in )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mmon wire 107 through the two first common contact holes 107a, the pixel P located in the second area (B in FIG. 3) applies a larger amount of common voltage as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nd the common wire 107 is further increased than that of the pixel P located in the first region (A in FIG. 3). You will receive.

따라서, 제 2 영역(도 3의 B)에 위치하는 제 2 화소영역(SP2)들은 제 1 영역(도 3의 A)에 위치하는 제 1 화소영역(SP1)들에 비해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Therefore,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of the second pixel regions SP2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B of FIG. 3)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pixel regions SP1 located in the first region (A of FIG. 3). it gets lower

또한, 제 3 영역(도 3의 C)에 위치하는 제 3 화소영역(SP3)들은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3 화소영역(SP3) 중 3개의 제 3 화소영역(SP3)에 구비된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이 각각 공통배선(107)과 접촉함에 따라, 제 3 영역(도 3의 C)에 위치하는 화소(P)는 3개의 제 1 공통콘택홀(107a)을 통해 공통배선(107)과 접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third pixel regions SP3 located in the third region (C in FIG. 3 ) include first auxiliary elements provided in three third pixel regions SP3 among three third pixel regions SP3 adjacent to each other. As the common wires 125b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mmon wires 107, the pixels P located in the third area (C in FIG. 3) are connected to the common wires 107 through the three first common contact holes 107a. ) come into contact with

따라서, 제 3 영역(도 3의 C)에 위치하는 제 3 화소영역(SP3)들은 제 2 영역(도 3의 B)에 위치하는 제 2 화소영역(SP2)들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공통전압을 인가받게 되므로, 제 3 영역(도 3의 C)에 위치하는 제 3 화소영역(SP3)들은 제 1 및 제 2 영역(도 3의 A, B)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화소영역(SP1, SP2)들에 비해 더욱 적은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을 갖게 된다. Therefore, the third pixel regions SP3 positioned in the third region (C in FIG. 3 ) have a higher amount of common voltage than the second pixel regions SP2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B in FIG. 3 ). is applied, the third pixel areas SP3 located in the third area (C in FIG. 3) are the first and second pixel areas (SP3 lo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areas (A and B in FIG. 3)). Compared to SP1 and SP2),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is less.

여기서, 제 1 영역(도 3의 A)에 위치하는 제 1 화소영역(SP1)들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을 100이라 정의하면, 제 2 영역(도 3의 B)에 위치하는 제 2 화소영역(SP2)들은 80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을 갖게 되며, 또한 제 3 영역(도 3의 C)에 위치하는 제 3 화소영역(SP3)들은 80 보다 더욱 낮은 60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을 갖게 되는 것이다. Here, if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of the first pixel regions SP1 located in the first region (A in FIG. 3) is defined as 100, the second pixel region ( SP2) has a common electrode line resistance of 80, and the third pixel regions SP3 located in the third region (FIG. 3C) have a common electrode line resistance of 60 lower than 80. .

이때, 제 1 보조공통배선(125b)과 공통배선(107)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공통콘택홀(107a)은 공통배선(107)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개구율 저하에 기여하지 않으며, 따라서 개구율 저하 없이도 공통전압을 공통전극(125)으로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늘리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107a for connecting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nd the common wire 107 is positioned above the common wire 107, it does not contribute to the lowering of the aperture ratio, and thus the lowering of the aperture ratio. Even without it, means for applying a common voltage to the common electrode 125 are increas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0)는 개구율 저하 없이도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100 in FIG. 3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without reducing the aperture ratio.

그리고, 도 4d ~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101)에 있어서,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들은 서로 이웃하는 3개의 각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 중 3개의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에 각각 구비된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이 각각 공통배선(107)과 접촉함에 따라,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화소(P)는 각각 3개의 제 1 공통콘택홀(107a)을 통해 공통배선(107)과 접촉하게 된다. And, as shown in FIGS. 4D to 4F, in the array substrate 101 for a transvers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D, E, and F in FIG. 3) The fourth to sixth pixel areas SP4, SP5, and SP6 are located in three fourth to sixth pixel areas SP4, SP5, and SP6 among three adjacent fourth to sixth pixel areas SP4, SP5, and SP6. As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b provided in SP5 and SP6 respectively contacts the common wiring 107, the pixels P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D, E, and F in FIG. 3) )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mmon wire 107 through three first common contact holes 107a, respectively.

또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영역(도 3의 D)에 위치하는 제 4 화소영역(SP4)들은 수평라인으로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4 화소영역(SP4) 중 1개의 제 4 화소영역(SP4) 내에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이 더욱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D, the fourth pixel areas SP4 positioned in the fourth area (D in FIG. 3) are one fourth pixel area among three fourth pixel areas SP4 adjacent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is further formed in the region SP4.

그리고,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영역(도 3의 D)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제 5 영역(도 3의 E)에 위치하는 제 5 화소영역(SP5)들은 수평라인으로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5 화소영역(SP5) 중 2개의 제 5 화소영역(SP5) 내에 각각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이 더욱 구비되며,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6 영역(도 3의 F)에 위치하는 제 6 화소영역(SP6)들은 수평라인으로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6 화소영역(SP6) 중 3개의 제 6 화소영역(SP6) 내에 각각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s shown in FIG. 4E, the fifth pixel areas SP5 located in the fifth area (E in FIG. 3) located inside the fourth area (D in FIG. 3)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line. A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is further provided in each of the two fifth pixel regions SP5 among the five fifth pixel regions SP5, and as shown in FIG. 4F, the sixth region (F in FIG. 3) The positioned sixth pixel regions SP6 further indicate that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is further provided in each of three sixth pixel regions SP6 among the three sixth pixel regions SP6 adjacent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line. to be characterized

이러한 도 4d 내지 도 4f에 도시된 각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들은 제 1 내지 제 3 영역(도 3의 A, B, C)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SP1, SP2, SP3)들에 비해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낮으며, 특히 제 4 영역(도 3의 D)으로부터 제 6 영역(도 3의 F)으로 갈수록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The fourth to sixth pixel areas SP4, SP5, and SP6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areas (D, E, and F in FIG. 3) shown in FIGS. 4D to 4F are the first to third areas.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SP1, SP2, and SP3 located in (A, B, and C of FIG. 3), especially from the fourth region (D of FIG. 3).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decreases toward the sixth region (F in FIG. 3).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4a ~ 4c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3 영역(도 3의 A, B, C)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SP1, SP2, SP3)들은 내부에 공통배선(107)과 연결되며 데이터배선(105)과 나란한 제 1 및 제 2 최외각 공통배선(125c, 125d)이 형성되는데, 제 1 및 제 2 최외각 공통배선(125c, 125d)은 각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SP1, SP2, SP3)의 좌우측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데이터배선(105)은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SP1, SP2, SP3)의 제 1 최외각 공통배선(125c)과 인접한 화소영역의 제 2 최외각 공통배선(125d)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first to third pixel areas SP1, SP2, and SP3 located in the first to third areas (A, B, and C in FIG. 3) shown in FIGS. 4A to 4C have a common inside. First and second outermost common wires 125c and 125d connected to the wire 107 and parallel to the data wire 105 are formed. The first and second outermost common wires 125c and 125d are They ar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SP1, SP2, and SP3, and the data lines 105 are common to the first outermost of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SP1, SP2, and SP3.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wiring 125c and the second outermost common wiring 125d of an adjacent pixel area.

여기서, 도 4a ~ 4c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영역(도 3의 A, B, C)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SP1, SP2, SP3)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최외각 공통배선(125c, 125d)은 모두 공통배선(107)으로부터 분기하여 공통배선(107)과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Here,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SP1, SP2, and SP3 located in the first to third regions (A, B, and C of Fig. 3)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The first and second outermost common wires 125c and 125d both branch from the common wire 107 and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common wire 107 .

이러한 제 1 및 제 2 최외각 공통배선(125c, 125d)은 데이터배선(105)의 끊어짐 등이 발생되었을 경우 데이터배선(105)의 리페어(repair)를 위해 구비되며, 또한 데이터배선(105) 주변에서 빛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outermost common wirings 125c and 125d are provided for repair of the data wiring 105 when the data wiring 105 is disconnected, and also around the data wiring 105. It plays a role in preventing light leakage from occurring.

이때, 도 4d ~ 4e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각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에는 제 1 내지 제 3 영역(도 3의 A, B, C)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SP1, SP2, SP3)의 각 내부에 위치하는 제 2 최외각 공통배선(125d)이 생략되고,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이 위치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first to sixth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D, E, and F in Fig. 3)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The second outermost common wire 125d located inside each of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SP1, SP2, and SP3 located in the third region (A, B, and C in FIG. 3) is omitted, and the second outermost common wiring 125d is omitted. 2 auxiliary common wiring 200 is located.

즉,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들은 내부에 공통배선(107)과 연결되며 데이터배선(105)과 나란한 제 1 최외각 공통배선(125c)이 각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의 좌측에 위치하게 되며, 각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의 우측으로는 공통배선(107)과 연결되며 데이터배선(105)과 나란한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이 위치하여, 데이터배선(105)은 각각의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의 제 1 최외각 공통배선(125c)과 인접한 화소영역의 제 2 보조공통배선(2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That is, the fourth to sixth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D, E, and F in FIG. 3) are internally connected to the common wire 107 and the data wire 105 )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each of the fourth to sixth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and the first outermost common wiring 125c parallel to A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connected to the common wire 107 and parallel to the data wire 105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 and the data wire 105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ourth to sixth pixel areas SP4 and SP5. , SP6) is located between the outermost first common wire 125c and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of an adjacent pixel area.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각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에 위치하는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은 소스 및 드레인전극(117, 118) 그리고 데이터배선(105)과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공통배선(107)과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이 제 1 공통콘택홀(107a)을 통해 연결되는 부근에서는 타 영역대비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1 공통콘택홀(107a)에 대응되는 제 2 공통콘택홀(200a)을 포함한다.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positioned in the fourth to sixth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D, E, and F in FIG. 3) has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7, 118) and data wiring 105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nd in the vicinity where the common wiring 107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b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107a. It is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han other regions and includes a second common contact hole 20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107a.

즉,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각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에 위치하는 공통전극(125)은 보호층(121)에 구비되는 제 1 공통콘택홀(107a)과 제 1 공통콘택홀(107a)에 대응되는 제 2 보조공통배선(200)에 구비되는 제 2 공통콘택홀(200a)을 통해 노출되는 공통배선(107)과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공통배선(107)으로부터 공통전압을 인가받게 된다. That is, the common electrode 125 located in each of the fourth to sixth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D, E, and F in FIG. 3) is a protective layer 121 The common wiring 107 exposed through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107a provided in and the second common contact hole 200a provided in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2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107a. )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the common voltage is applied from the common wire 107.

이때,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은 공통배선(107)과 함께 제 2 보조공통배선(200)과도 접촉함에 따라,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At this time, as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b contacts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200 together with the common wiring 107,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is reduced.

여기서, 제 4 영역(도 3의 D)에 위치하는 제 4 화소영역(SP4)들은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4 화소영역(SP4) 중 1개의 제 4 화소영역(SP4) 내에만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이 구비되고, 제 5 영역(도 3의 E)에 위치하는 제 5 화소영역(SP5)들은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5 화소영역(SP5) 중 2개의 제 5 화소영역(SP5) 내에 각각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이 각각 구비됨에 따라, 제 5 영역(도 3의 E)에 위치하는 제 5 화소영역(SP5)들이 제 4 영역(도 3의 D)에 위치하는 제 4 화소영역(SP4)들에 비해 낮은 공통전압부의 라인저항을 갖게 된다. Here, the fourth pixel regions SP4 located in the fourth region (D in FIG. 3 ) share the second auxiliary common only within one fourth pixel region SP4 among three fourth pixel regions SP4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fth pixel regions SP5 provided with the wiring 200 and located in the fifth region (E in FIG. 3) are two fifth pixel regions SP5 among three fifth pixel regions SP5 adjacent to each other. As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is provided in the inside, the fifth pixel areas SP5 positioned in the fifth area (E in FIG. 3 ) are located in the fourth area (D in FIG. 3 ).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voltage part is lower than that of the pixel regions SP4.

그리고, 제 6 영역(도 3의 F)에 위치하는 제 6 화소영역(SP6)들은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6 화소영역(SP6) 중 3개의 제 6 화소영역(SP6) 내에 각각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이 구비됨에 따라, 제 6 영역(도 3의 F)에 위치하는 제 6 화소영역(SP6)들이 제 4 및 제 5 영역(도 3의 D, E)에 위치하는 제 4 및 제 5 화소영역(SP4, SP5)들에 비해 낮은 공통전압부의 라인저항을 갖게 되며, 제 5 영역(도 3의 E)에 위치하는 제 5 화소영역(SP5)들에 비해서도 더욱 낮은 공통전압부의 라인저항을 갖게 된다. Also, the sixth pixel regions SP6 located in the sixth region (F in FIG. 3 ) have a second auxiliary common area within three sixth pixel regions SP6 among three sixth pixel regions SP6 adjacent to each other. As the wiring 200 is provided, the sixth pixel areas SP6 located in the sixth area (F in FIG. 3 ) are located in the fourth and fifth areas (D and E in FIG. 3 ).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voltage part is lower than that of the 5 pixel regions SP4 and SP5, and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voltage part is lower than that of the fifth pixel regions SP5 located in the fifth region (E in FIG. 3). will have

이때,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들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은 제 1 내지 제 3 영역(도 3의 A, B, C)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SP1, SP2, SP3)들에 비해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낮으므로, 제 1 영역(도 3의 A)에 위치하는 제 1 화소영역(SP1)들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100, 제 2 영역(도 3의 B)에 위치하는 제 2 화소영역(SP2)들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80, 제 3 영역(도 3의 C)에 위치하는 제 3 화소영역(SP3)들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60이라면, 제 4 영역(도 3의 D)에 위치하는 제 4 화소영역(SP4)들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은 40, 제 5 영역(도 3의 E)에 위치하는 제 5 화소영역(SP2)들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은 20, 제 6 영역(도 3의 F)에 위치하는 제 6 화소영역들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은 0을 갖게 된다. At this time,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of the fourth to sixth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D, E, and F in FIG. 3) is Since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SP1, SP2, and SP3 located in A, B, and C of 3), the first pixel region located in the first region (A in FIG. 3)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of the first pixel regions SP1 is 100,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of the second pixel regions SP2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B in FIG. 3) is 80, and the line resistance of the third region (Fig. If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of the third pixel regions SP3 located in C) is 60,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of the fourth pixel regions SP4 located in the fourth region (D of FIG. 3) is 40,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of the fifth pixel regions SP2 positioned in the fifth region (E in FIG. 3) is 20, and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of the sixth pixel regions located in the sixth region (F in FIG. 3) is 20. will have 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0)는 비표시영역(도 3의 NA)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영역(도 3의 A)으로부터 패널 중심부의 제 6 영역(도 3의 F)으로 갈수록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Therefore,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100 in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from the first area (A in FIG. 3) closest to the non-display area (NA in FIG. 3) to the center of the panel.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decreases as it goes to region 6 (F in FIG. 3).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0)는 공통전압의 면내 편차에 의해 상하 및 좌우 휘도차 및 플리커(flicker) 그리고 잔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liquid crystal display (100 in FIG. 3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vertical and horizontal luminance differences, flicker, and afterimages from occurring due to in-plane deviation of the common voltage.

또한 중심부에서의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을 더욱 낮춤으로써, 중심부에서 공통전극부의 로드(load)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한 화질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urther lowering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in the center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in the center portion,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due to crosstalk.

여기서,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들에 구비되는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은 제 1 내지 제 3 영역(도 3의 A, B, C)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SP1, SP2, SP3)들에 구비되는 제 2 최외각 공통배선(125d)을 대체하여 구비되고, 제 2 보조공통배선(200)과 제 1 보조공통배선(125b) 그리고 공통배선(107)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공통콘택홀(200a)을 공통배선(107)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개구율 저하에 기여하지 않으며, 따라서 개구율 저하 없이도 공통전압을 공통전극(125)으로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늘리게 된다. Here,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provided in the fourth to sixth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D, E, and F in FIG. 3) is It is provided to replace the second outermost common wire 125d provided in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SP1, SP2, and SP3 located in the to third regions (A, B, and C in FIG. 3), The second common contact hole 200a for connecting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nd the common wire 107 is located above the common wire 107, thereby reducing the aperture ratio. Therefore, means for applying the common voltage to the common electrode 125 is increased without reducing the aperture ratio.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0)는 개구율 저하 없이도 공통전극부의 라인저항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100 in FIG. 3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line resistance of the common electrode without reducing the aperture ratio.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0)는 도 4e ~ 4f에 도시된 제 4 영역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들에 구비된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은 수직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100 in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D, E, and F in FIG. 3) shown in FIGS. 4E to 4F.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200 provided in the through sixth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completes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vertical line.

즉,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화소영역(SP4, SP5, SP6)들은 수평라인으로는 공통배선(107)을 통해 공통전압 패스(path)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수직라인으로는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을 통해 공통전압 패스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That is, the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D, E, and F in FIG. 3) have a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through the common wire 107 as a horizontal line. As a vertical line, a common voltage pass structure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

여기서,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도전성 물질은 상대적으로 구리(Cu) 또는 구리합금(Cu alloy)과 같은 금속물질에 비해 저항이 커, 공통배선(107)으로 공통전압 패스 구조를 갖는 수평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와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을 통해 공통전압 패스 구조를 갖는 수직라인의 공통전압 패스의 불균일을 발생시키게 된다. Her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tin-oxide has relatively higher resistance than a metal material such as copper (Cu) or a copper alloy, so a common voltage passes through the common wiring 107. Non-uniformity of the common voltage path of the vertical line having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is generated through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horizontal line having the structure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즉, 수직라인의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보조공통배선(125b)과 공통전극(125)이 자체의 라인저항이 높아, 수직라인은 공통전압의 로드(load)를 발생시키게 된다. That is, since the line resistance of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nd the common electrode 125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f the vertical line is high, the vertical line generates a load of the common voltage.

그리고 공통배선(107)이 투명 도전성 물질에 비해서는 저항값이 낮으며 몰리브덴(Mo) 그리고 알루미늄(Al)에 비해서도 좋은 저저항 특성을 갖는 구리(Cu) 또는 구리합금(Cu alloy)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평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와 수직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의 불균일은 더욱 크게 발생된다. In addition, as the common wiring 107 is made of copper (Cu) or copper alloy (Cu alloy), which has a low resistance value compared t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and has a low resistance characteristic that is better than that of molybdenum (Mo) and aluminum (Al), , the non-uniformity between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horizontal line and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vertical line is larger.

특히, 이러한 수평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와 수직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의 불균일은 공통전압의 로드가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패널의 중심부에서 보다 확연하게 발생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non-uniformity between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horizontal line and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vertical line occurs more clearly in the center of the panel where the load of the common voltage is most severe.

이러한 공통전압 패스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라인으로도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보조공통패턴(125b)과 공통전극(125) 외에 구리(Cu) 또는 구리합금(Cu alloy)과 같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공통배선(107)을 통해 공통전압 패스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공통배선(107)은 게이트배선(103)과 동일한 층에서 형성됨에 따라, 게이트배선(103)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공통배선(107)이 절단되어 형성된다. In order to prevent such non-uniformity of the common voltage path from occurring, in addition to the first auxiliary common pattern 125b and the common electrode 125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even in a vertical line, copper (Cu) or a copper alloy (Cu alloy)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mmon voltage path through the common wiring 107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but since the common wiring 107 is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gate wiring 103, the position where the gate wiring 103 is form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 the common wiring 107 is cut and formed.

즉, 공통배선(107)은 수평라인으로 모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나, 게이트배선(103)에 의해 수직라인으로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common wiring 107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y are all connected in a horizontal line, but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y are separated in a vertical line by the gate wiring 103 .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0)는 패널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화소영역(SP4, SP5, SP6)들에 소스 및 드레인전극(117, 118) 그리고 데이터배선(105)과 동일층에서 동일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을 더욱 형성하고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이 공통배선(107)과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수직라인으로도 제 2 보조공통배선(200)에 의해 구리(Cu) 또는 구리합금(Cu alloy)과 같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공통전압 패스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Here,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liquid crystal display (100 in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ixel area (SP4)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areas (D, E, and F in FIG. 3)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anel. , SP5, SP6) further form a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200 made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7 and 118 and the data wiring 105, and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200 By forming to be connected to the common wire 107, a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copper (Cu) or a copper alloy is formed by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200 even in a vertical line. do.

이를 통해, 패널 중심부에서 수직라인과 수평라인의 공통전압의 패스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직라인으로 공통전극부의 로드(load)가 커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어, 공통전압 면내 편차를 보다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공통전극부의 로드를 크게 줄일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path unevenness of the common voltage of the vertical line and the horizontal line from occurring at the center of the panel,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unit from increasing in the vertical line. The deviation can be more drastically reduced, and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can be greatly reduced.

따라서, 공통전극부의 로드에 의해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한 화질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due to crosstalk caused by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uni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0)는 표시영역(도 3의 AA)을 비표시영역(도 3의 NA)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제 1 내지 제 6 영역(도 3의 A, B, C, D, E, F)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제 1 영역 내지 제 3 영역(도 3의 A, B, C)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SP1, SP2, SP3)들은 공통배선(107)과 제 1 보조공통배선(125b)이 접촉되는 제 1 공통콘택홀(107a)의 개수를 조절하고, 제 4 영역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들은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을 더욱 구비하고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의 개수를 조절하여, 제 1 영역(도 3의 A)으로부터 제 6 영역(도 3의 F)으로 갈수록 공통전극부가 낮은 라인저항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0 in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display area (AA in FIG. 3) from the non-display area (NA in FIG. 3) toward the center in the first to third directions. 1st to 3rd pixel areas defined by being divided into 6 areas (A, B, C, D, E, F in FIG. 3) and located in the 1st to 3rd areas (A, B, C in FIG. 3) (SP1, SP2, and SP3) control the number of first common contact holes 107a through which the common wire 107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125b are in contact, and the fourth to sixth areas (see FIG. 3) The fourth to sixth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located in D, E, and F further includ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s 200, and by adjusting the number of second auxiliary common wires 2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has a low line resistance as it goes from the first area (A in FIG. 3) to the sixth area (F in FIG. 3).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0)는 공통전압의 면내 편차에 의해 상하 및 좌우 휘도차 및 플리커(flicker) 그리고 잔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심부에서의 공통전극부의 로드(load)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한 화질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liquid crystal display (100 in FIG. 3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vertical and horizontal luminance differences, flicker, and afterimages from occurring due to in-plane deviation of the common volta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portion in the center, so that th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crosstalk can be prevented.

특히, 패널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제 4 내지 제 6 영역(도 3의 D, E, F)에 위치하는 제 4 내지 제 6 화소영역(SP4, SP5, SP6)들이 제 2 보조공통배선(200)을 통해 수직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를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중심부에서 수평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와 수직라인의 공통전압 패스구조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ourth to sixth pixel regions SP4, SP5, and SP6 located in the fourth to sixth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anel (D, E, and F in FIG. 3) are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200. By embodying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vertical line through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n-uniformity between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horizontal line and the common voltage path structure of the vertical line at the center of the panel.

이를 통해서, 수직라인으로 공통전극부의 로드(load)가 커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어,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한 화질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common electrode part due to a vertical line,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due to crosstalk.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practiced with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 어레이기판
103 : 게이트배선, 105 : 데이터배선, 107 : 공통배선(107a : 제 1 공통콘택홀)
111 : 게이트전극, 117, 118 : 소스 및 드레인전극(118a : 드레인콘택홀)
123 : 화소전극(123a : 보조화소배선)
125 : 공통전극(125a : 공통배선연결배선, 125b : 제 1 보조공통배선, 125c, 125d : 제 1 및 제 2 최외각 공통배선)
200 : 제 2 보조공통배선(200a : 제 1 공통콘택홀)
101: array substrate
103: gate wiring, 105: data wiring, 107: common wiring (107a: first common contact hole)
111: gate electrode, 117, 118: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18a: drain contact hole)
123: pixel electrode (123a: auxiliary pixel wiring)
125: common electrode (125a: common wiring connection wiring, 125b: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125c, 125d: first and second outermost common wiring)
200: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200a: first common contact hole)

Claims (17)

비표시영역과 상기 비표시영역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어 각각 다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화소를 구비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분할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화소영역에 형성되고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제 1 공통콘택홀을 통해 상기 공통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공통배선;
상기 공통배선과 연결되는 제 1 보조공통배선을 포함하며,상기 화소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공통콘택홀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영역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영역으로 갈수록 그 개수가 증가하며,
상기 화소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보조공통배선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영역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영역으로 갈수록 그 개수가 증가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 substrate including a non-display area and a display area positioned inside the non-display area;
a plurality of areas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including pixels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areas, and sequentially divided from the non-display area toward the center;
a light emitting element formed in each pixel region and including a common electrode;
a common wir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through a first common contact hole;
It includes a first auxiliary common wire connected to the common wire, and the number of first common contact holes formed in the pixel increases from the area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to the area disposed in the center.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formed in the pixel increases in number from the area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to the area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영역은 게이트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공통배선은 상기 게이트배선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통배선으로부터 공통전압을 전달받는 공통배선연결배선, 상기 공통배선연결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배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2 보조공통배선을 더 포함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ccording to claim 1,
The pixel area is defined by gate wires and data wires crossing each other with a gate insulating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ommon wiring is disposed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gate wiring,
A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further comprising a common wiring connecting wir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receiving a common voltage from the common wiring, and a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connected to the common wiring connecting wiring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data wiring. Array board for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공통배선은 상기 데이터배선과 동일층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extends parallel to the data wiring on the same layer as the array substrate for a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공통배선은 상기 제 1 공통콘택홀에 대응되는 제 2 공통콘택홀을 통해 상기 공통배선 및 상기 제 2 보조공통배선과 연결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is connected to the common wiring and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ing through a second common contact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부로 보호층이 더욱 위치하며, 상기 제 1 공통콘택홀은 상기 게이트절연막과 상기 보호층에 구비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ccording to claim 2,
A protective layer is further positioned above the gate insulating film, and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is provided in the gate insulating film and the protective lay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부로 보호층이 더욱 위치하며, 상기 제 2 공통콘택홀은 상기 게이트절연막과 상기 제 1 보조공통배선 그리고 상기 보호층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보조공통배선은 상기 제 1 보조공통배선과 상기 공통배선과 연결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ccording to claim 5,
A protective layer is further positioned above the gate insulating layer, the second common contact hole is provided in the gate insulating layer,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and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second auxiliary common wire is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and an array substrate for a transverse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connected to the common wir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통콘택홀은 상기 공통배선 상부로 위치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common contact hole is positioned above the common wiring, and the array substrate for a horizontal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영역에는 상기 게이트배선과 상기 데이터배선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가 구비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전극이 상기 공통전극과 교번하여 위치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ccording to claim 2,
Each pixel area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n array substrate for a transverse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is positioned alternately with the common electr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1 내지 제6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공통콘택홀은 상기 제1영역에서 제3영역으로 갈수록 개수가 증가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areas are composed of first to sixth area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display area,
An array substrate for a transverse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s increases from the first area to the third are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화소의 인접하는 3개의 화소영역중 1개의 화소영역에 상기 제 1 공통콘택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화소의 인접하는 3개의 화소영역중 2개의 화소영역에 상기 제 1 공통콘택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영역에는 상기 화소의 인접하는 3개의 화소영역에 상기 제 1 공통콘택홀이 형성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ccording to claim 12,
In the first region,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is formed in one pixel region among three adjacent pixel regions of the pixel;
In the second region,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is formed in two pixel regions among three pixel regions adjacent to the pixel;
In the third region, the first common contact hole is formed in three adjacent pixel regions of the pixe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보조배선은,
상기 제1영역에서 제3영역에서 동일한 개수이고,
상기 제4영역에서 제6영역으로 갈수록 개수가 증가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common auxiliary wiring,
The same number in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An array substrate for a transverse electric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number of which increases from the fourth area to the sixth are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영역에는 상기 화소의 인접하는 3개의 화소영역중 1개의 화소영역에 상기 제 1 공통보조배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5영역에는 상기 화소의 인접하는 3개의 화소영역중 2개의 화소영역에 상기 제 1 공통보조배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3영역에는 상기 화소의 인접하는 3개의 화소영역에 상기 제 1 공통보조배선이 형성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ccording to claim 14,
In the fourth region, the first common auxiliary wire is formed in one pixel region among three adjacent pixel regions of the pixel;
In the fifth region, the first common auxiliary wiring is formed in two pixel regions among three adjacent pixel regions of the pixel;
In the third region, the first common auxiliary wire is formed in three adjacent pixel regions of the pixe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에는 상기 공통배선으로부터 분기하며, 상기 데이터배선과 나란하게 각 화소영역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최외각 공통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영역에 배치된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4 화소영역 중 하나의 화소영역에는 일측으로 제 1 최외각 공통배선이 위치하며, 타측으로는 상기 제 1 보조공통배선이 위치하며,
상기 제 5 영역에 배치된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5 화소영역 중 두개의 화소영역에는 각각 일측으로 제 1 최외각 공통배선이 위치하며, 타측으로는 상기 제 1 보조공통배선이 위치하며,
상기 제 6 영역에 배치된 서로 이웃하는 3개의 제 6 화소영역 중 세개의 화소영역에는 각각 일측으로 제 1 최외각 공통배선이 위치하며, 타측으로는 상기 제 1 보조공통배선이 위치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According to claim 12,
In the first to third pixel region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to third regions, first and second outermost common wirings diverging from the common wire and located at the outermost periphery of each pixel region parallel to the data wire. Including,
A first outermost common wire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one pixel area among three fourth pixel area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disposed in the fourth area,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e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wo of the three fifth pixel area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disposed in the fifth area, a first outermost common wiring is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 transversal field type liquid crystal in which a first outermost common wiring is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each of three pixel areas among the three sixth pixel areas disposed in the sixth area.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최외각 공통배선은 상기 게이트배선과 동일층에서 동일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보조공통배선은 구리(Cu) 또는 구리합금(Cu alloy)으로 이루어지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rst and second outermost common wirings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gate wiring,
The first auxiliary common wiring is made of copper (Cu) or a copper alloy (Cu alloy).

KR1020160055389A 2016-05-04 2016-05-04 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542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389A KR102542132B1 (en) 2016-05-04 2016-05-04 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389A KR102542132B1 (en) 2016-05-04 2016-05-04 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056A KR20170126056A (en) 2017-11-16
KR102542132B1 true KR102542132B1 (en) 2023-06-12

Family

ID=6080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389A KR102542132B1 (en) 2016-05-04 2016-05-04 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132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318B1 (en) * 2005-05-31 2012-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86533B1 (en) * 2008-02-19 2013-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888033B1 (en) * 2011-08-04 2018-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056A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32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733844B2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repair method thereof
KR100587217B1 (en) A substrate for IP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705398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panel
US10146089B2 (en) Curved display device
KR20090090708A (en) Array substrate of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20031455A (en) Inplain swi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92994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66496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shielding electrode
KR20070016853A (en) Liquid crystal display
US9551905B2 (en) Display device
JPH095793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1693286B2 (en) COA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090116095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43513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230088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19128429A (e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S10890815B2 (en) Display apparatus
KR20040077017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2542132B1 (en) 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25860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03604B1 (en) 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70064077A (en) In 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21063973A (en) Display device
KR20080048725A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