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482B1 -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482B1
KR102541482B1 KR1020210072858A KR20210072858A KR102541482B1 KR 102541482 B1 KR102541482 B1 KR 102541482B1 KR 1020210072858 A KR1020210072858 A KR 1020210072858A KR 20210072858 A KR20210072858 A KR 20210072858A KR 102541482 B1 KR102541482 B1 KR 102541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module
data
quiz
asth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4287A (ko
Inventor
김윤수
이현주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2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4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이 개시된다. 학습 자료를 실행하기 위한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 상기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에 인쇄되어 있는 AR 마커를 인식하여 해당 학습 자료를 증강 현실 기법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구성한다. 상술한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AR 마커의 인식에 의해 학령기 아동의 천식 등의 학습 자료를 증강 현실로 실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학습 욕구를 증진시키고 학습 진도를 사용자 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의 각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의 출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학습 진도를 제어하고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ASTHMA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CHOOL-AGE CHILDREN USING AUGE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학습도구를 활용한 학습지원이 미래형 학습도구로 더욱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 아동은 디지털 교육 컨텐츠 경험이 풍부하고 디지털 기기에 대한 기술 수용성이 높은 세대이다. 따라서 디지털 기기를 통한 체계화된 학습 컨텐츠 제공은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효과적으로 지식을 얻게 되고 학습자 중심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COVID-19 팬데믹이 가져온 언택트 환경에서의 비대면 학습을 위한 컨텐츠 개발과 학습효과의 측정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아동들에게 전통적인 방식으로 전달하던 지식은 디지털 학습 도구에 맞게 컨텐츠의 최적화가 필요하고 학습의 결과를 원격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학습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4차산업혁명시대의 주요 기술인 증강현실(AR)은 현재 교육, 게임으로 제작되어 스마트 모바일기기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AR은 아이들의 학습 욕구를 충족시키고 학습 진도를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충족된다고 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9627 공개특허공보 10-2021-0032831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 마커 인식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프로그램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능을 통해 천식예방을 위한 지식 인쇄 보드판의 AR 마커를 인식하여 그 AR 마커 위에 특정 지식의 컨셉화된 3D 이미지를 증강하여 교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마커 인식을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천식 지식을 스토리텔링하여 컵셉화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AR 마커가 다수 구비되는 지식 인쇄 보드; AR기능을 수행하는 AR 마커 앱이 탑재되어 상기 AR 마커를 인식하여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AR 마커의 정보에 매칭되는 3D이미지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된 AR 마커 이미지 위에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고객 모바일 단말; 및 상기 인쇄보드판에 구비된 AR 마커의 정보에 매칭되는 3D이미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시스템;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천식 교육 인쇄 보드는, 상기 스토리텔링 기반의 학습 자료를 각각 실행하기 위한 각각의 AR 마커가 순서에 따라 인쇄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학습 자료는, 학령기 아동의 천식 학습을 위한 자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식 교육 인쇄 보드는, 상기 스토리텔링 기반의 학습 자료의 학습 순서에 따라 상기 AR 마커가 각각 순서대로 인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에 인쇄되어 있는 AR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식된 AR 마커에 대응되는 스토리텔링(story telling) 기반의 학습 자료를 증강 현실 기법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는, 학령기 아동의 원격 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학습 자료를 각각 실행하기 위한 각각의 AR 마커가 순서에 따라 인쇄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학습 자료는, 학령기 아동의 천식 예방 학습을 위한 자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는, 학령기 아동의 원격 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학습 자료의 학습 순서에 따라 상기 AR 마커가 각각 순서대로 인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AR 마커의 인식에 의해 학령기 아동의 천식 등의 학습 자료를 증강 현실로 실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학습 욕구를 증진시키고 학습 진도를 사용자 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의 각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의 출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학습 진도를 제어하고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천식 학습 자료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천식 퀴즈 자료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천식 학습 자료의 화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천식 퀴즈 자료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은 자료/마커 서버(100), 교사 단말(200),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 사용자 단말(5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료/마커 서버(100)는 천식 관련 자료 및 해당 AR 마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천식 관련 자료는 학령기 아동의 천식에 관한 지식이나 천식 예방, 천식에 대한 응급 조치 등을 학습시키기 위한 학습 자료와 이러한 지식에 대한 측정을 위한 퀴즈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AR 마커는 이러한 학습 자료나 퀴즈 자료를 증강 현실 기법으로 실행하기 위해 인식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천식 관련 자료는 3D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료/마커 서버(100)는 천식 관련 자료 외에도 COVID-19 등에 관한 학습 자료나 퀴즈 자료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AR 마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교사 단말(200)은 자료/마커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천식 관련 자료 중에서 일련의 자료를 선택하여 일련의 스토리텔링(story telling) 기반의 자료를 교사에 의해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는 천식의 학습 자료나 퀴즈 자료를 일련의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교사에 의해 선택되는 자료로서, 초급 지식으로부터 고급 지식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스토리에 따라 구성되는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교사 단말(200)은 교사에 의해 선택된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 및 해당 AR 마커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는 스토리텔링 기반의 일련의 자료를 실행하기 위한 각각의 AR 마커가 순서에 따라 인쇄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는 순서에 따라 AR 마커가 차례로 인쇄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500)이 AR 마커를 순서에 따라 촬영하여 하나씩 인식할 수 있다.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는 스토리텔링 기반의 일련의 자료를 실행하기 위한 각각의 AR 마커가 각각의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을 통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는 도 2의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처럼 다수의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이 순서에 따라 이어져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에서 각각의 AR 마커가 출력될 수 있다.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에서 출력되는 AR 마커는 변경될 수 있다.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는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 백라이트 모듈(402), RF 수신 모듈(403), 백라이트 제어 모듈(404), 마커 출력 제어 모듈(405)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은 AR 마커가 개별적으로 각각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모듈(402)은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마다 각각 대응되어 구비되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에 대해 백라이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수신 모듈(403)은 사용자 단말(500)의 RF 송신 모듈(508)로부터 스토리텔링기반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507)에 의해 업데이트 할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 및 해당 AR 마커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500)에서 송신하는 자료 및 AR 마커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 명령을 더 수신할 수 있다.
백라이트 제어 모듈(404)은 백라이트 모듈(402)의 백라이트 출력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제어 모듈(404)은 사용자 단말(500)에서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각각의 백라이트 모듈(402)을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하나의 백라이트 모듈(402)만 백라이트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고, 몇몇의 선택된 백라이트 모듈(402)의 백라이트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제어 모듈(404)은 현재 사용자가 학습하거나 퀴즈를 풀어야 할 단계의 AR 마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AR 마커의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에만 백라이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에 대해 단계를 건너뛰면서 AR 마커를 실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현재 어느 단계의 AR 마커를 실행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커 출력 제어 모듈(405)은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 각각에 대해 스토리텔링기반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507)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AR 마커를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커 출력 제어 모듈(405)은 각각의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401)에 각각 다른 AR 마커를 지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는 각각의 AR 마커가 고정되어 있지만,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는 마커 출력 제어 모듈(405)에 의해 다양한 AR 마커를 출력할 수 있고, 그 스토리텔링 기반의 AR 마커의 순서나 구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마커 출력 제어 모듈(405)은 증강 현실 실행 모듈(512)의 증강 현실 실행 여부와 퀴즈 풀이 확인 모듈(514)에 의한 퀴즈 풀이 정답 여부 등에 따라 AR 마커를 건너뛰면서 실행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순서대로 학습 자료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퀴즈 오답의 경우에는 이전 학습 자료를 다시 출력하여 다시 학습하도록 하고 다시 퀴즈를 풀도록 하여 아동의 지식 습득에 기반하여 학습 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 또는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 중 어느 하나의 보드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에 의한 AR 마커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에 인쇄되어 있는 AR 마커를 인식하여 해당 천식 관련 자료를 증강 현실 기법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500)은 교사 단말(200)로부터 AR 마커를 수신하여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를 통해 출력되는 AR 마커를 인식하여 해당 천식 관련 자료를 증강 현실 기법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이동 통신 모듈(501), 텍스트 학습 자료 저장 모듈(502), 음성 학습 자료 저장 모듈(503), 퀴즈 자료 저장 모듈(504), 마커 데이터베이스(505), 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506), 스토리텔링기반학습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507), RF 송신 모듈(508), 카메라 모듈(509), 마커 인식 모듈(510), 마커-자료 매칭 모듈(511), 증강 현실 실행 모듈(512), 터치스크린(513), 퀴즈 풀이 확인 모듈(514), 과거 퀴즈 풀이 기록 저장 모듈(515), 사용자 퀴즈풀이 기반 보드 자동 편집 모듈(516)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 통신 모듈(501)은 자료/마커 서버로부터 천식 관련 자료 및 해당 AR 마커를 제공받고, 교사 단말(200)로부터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 및 해당 AR 마커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교사에 의해 선택되고 편집되는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와 해당 AR 마커를 수신하여 학령기 아동 즉,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천식 관련 자료를 학습할 수 있으며, 교사는 원격지의 학령기 아동에 대해 학습 결과를
텍스트 학습 자료 저장 모듈(502)은 이동 통신 모듈(501)을 통해 제공받는 천식 관련 자료 중 텍스트 학습 자료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학습 자료 저장 모듈(503)은 이동 통신 모듈(501)을 통해 제공받는 천식 관련 자료 중 음성 학습 자료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퀴즈 자료 저장 모듈(504)은 이동 통신 모듈(501)을 통해 제공받는 천식 관련 자료 중 퀴즈 자료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커 데이터베이스(505)은 이동 통신 모듈(501)을 통해 제공받는 AR 마커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506)은 이동 통신 모듈(501)을 통해 제공받는 텍스트 학습 자료, 음성 학습 자료, 퀴즈 자료를 각각 텍스트 학습 자료 저장 모듈(502), 음성 학습 자료 저장 모듈(503), 퀴즈 자료 저장 모듈(504)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고, 해당 AR 마커를 및 마커 데이터베이스(505)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텔링기반학습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507)은 이동 통신 모듈(501)을 통해 수신되는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 및 해당 AR 마커를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에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송신 모듈(508)은 스토리텔링기반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507)에 의해 업데이트 할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 및 해당 AR 마커를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09)은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에 인쇄되어 있는 AR 마커 또는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에서 출력되는 AR 마커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커 인식 모듈(510)은 카메라 모듈(509)에서 촬영되는 AR 마커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커-자료 매칭 모듈(511)은 마커 인식 모듈(510)에서 인식되는 AR 마커를 마커 데이터베이스(505)에 저장된 AR 마커를 참조하여 텍스트 학습 자료 저장 모듈(502), 음성 학습 자료 저장 모듈(503), 퀴즈 자료 저장 모듈(504)에 각각 저장된 텍스트 학습 자료, 음성 학습 자료, 퀴즈 자료와 각각 매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실행 모듈(512)은 마커-자료 매칭 모듈(511)에서 매칭된 텍스트 학습 자료, 음성 학습 자료 또는 퀴즈 자료를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증강 현실 실행 모듈(512)은 3D 이미지를 실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513)은 증강 현실 실행 모듈(512)에서 실행된 텍스트 학습 자료, 음성 학습 자료 또는 퀴즈 자료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증강 현실에 의해 표시되는 학습 자료 및 퀴즈 자료를 예시하고 있다.
퀴즈 풀이 확인 모듈(514)은 터치스크린(513)에 표시된 퀴즈 자료의 사용자 퀴즈 풀이를 퀴즈 자료 저장 모듈(504)을 참조하여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퀴즈 풀이가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과거 퀴즈 풀이 기록 저장 모듈(515)은 퀴즈 풀이 확인 모듈(514)에 의해 확인된 사용자 퀴즈 풀이가 누적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퀴즈 풀이에 따른 사용자의 천식에 관한 지식 측정 결과가 누적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퀴즈 풀이 기반 보드 자동 편집 모듈(516)은 과거 퀴즈 풀이 기록 저장 모듈(515)에 누적 저장된 사용자 퀴즈 풀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를 구성하는 AR 마커의 순서 및 구성을 자동으로 편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퀴즈 풀이 기반 보드 자동 편집 모듈(516)은 사용자 퀴즈 풀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천식에 관한 지식과 이해도를 알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부족한 지식에 대한 AR 마커를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400)에 구성하여 지식 학습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이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에 인쇄되어 있는 AR 마커를 인식한다(S101).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500)이 위 인식된 AR 마커에 대응되는 스토리텔링(story telling) 기반의 학습 자료를 증강 현실 기법으로 실행한다(S102).
여기서,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는 학령기 아동의 원격 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학습 자료를 각각 실행하기 위한 각각의 AR 마커가 순서에 따라 인쇄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자료는 학령기 아동의 천식 예방 학습을 위한 자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300)는 학령기 아동의 원격 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학습 자료의 학습 순서에 따라 AR 마커가 각각 순서대로 인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자료/마커 서버
200: 교사 단말
300: 천식 예방 지식 인쇄 보드
400: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
401: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402: 백라이트 모듈
403: RF 수신 모듈
404: 백라이트 제어 모듈
405: 마커 출력 제어 모듈
500: 사용자 단말
501: 이동 통신 모듈
502: 텍스트 학습 자료 저장 모듈
503: 음성 학습 자료 저장 모듈
504: 퀴즈 자료 저장 모듈
505: 마커 데이터베이스
506: 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
507: 스토리텔링기반학습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
508: RF 송신 모듈
509: 카메라 모듈
510: 마커 인식 모듈
511: 마커-자료 매칭 모듈
512: 증강 현실 실행 모듈
513: 터치스크린
514: 퀴즈 풀이 확인 모듈
515: 과거 퀴즈 풀이 기록 저장 모듈
516: 사용자 퀴즈 풀이 기반 보드 자동 편집 모듈

Claims (12)

  1. 천식 관련 자료 및 해당 마커를 제공하는 자료/마커 서버;
    상기 자료/마커 서버에서 제공하는 천식 관련 자료 중에서 일련의 자료를 선택하여 일련의 스토리텔링(story telling) 기반의 자료를 선택하고, 선택된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 및 해당 마커를 송신하는 교사 단말;
    상기 스토리텔링 기반의 일련의 자료를 실행하기 위한 각각의 마커가 각각의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을 통해 출력되는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
    상기 교사 단말로부터 마커를 수신하여 상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로 전달하고 상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를 통해 출력되는 마커를 인식하여 해당 천식 관련 자료를 증강 현실 기법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자료/마커 서버로부터 천식 관련 자료 및 해당 마커를 제공받고, 상기 교사 단말로부터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 및 해당 마커를 수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는 천식 관련 자료 중 텍스트 학습 자료가 저장되는 텍스트 학습 자료 저장 모듈;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는 천식 관련 자료 중 음성 학습 자료가 저장되는 음성 학습 자료 저장 모듈;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는 천식 관련 자료 중 퀴즈 자료가 저장되는 퀴즈 자료 저장 모듈;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는 마커가 저장되는 마커 데이터베이스;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는 텍스트 학습 자료, 음성 학습 자료, 퀴즈 자료를 각각 상기 텍스트 학습 자료 저장 모듈, 상기 음성 학습 자료 저장 모듈, 상기 퀴즈 자료 저장 모듈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고, 해당 마커를 및 상기 마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는 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 및 해당 마커를 상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에 업데이트하는 스토리텔링기반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
    상기 스토리텔링기반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에 의해 업데이트 할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 및 해당 마커를 상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로 송신하는 RF 송신 모듈;
    상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에서 출력되는 마커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 모듈;
    상기 마커 인식 모듈에서 인식되는 마커를 상기 마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마커를 참조하여 상기 텍스트 학습 자료 저장 모듈, 상기 음성 학습 자료 저장 모듈, 상기 퀴즈 자료 저장 모듈에 각각 저장된 텍스트 학습 자료, 음성 학습 자료, 퀴즈 자료와 각각 매칭하는 마커-자료 매칭 모듈;
    상기 마커-자료 매칭 모듈에서 매칭된 텍스트 학습 자료, 음성 학습 자료 또는 퀴즈 자료를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증강 현실 실행 모듈;
    상기 증강 현실 실행 모듈에서 실행된 텍스트 학습 자료, 음성 학습 자료 또는 퀴즈 자료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퀴즈 자료의 사용자 퀴즈 풀이를 상기 퀴즈 자료 저장 모듈을 참조하여 확인하는 퀴즈 풀이 확인 모듈;
    상기 퀴즈 풀이 확인 모듈에 의해 확인된 사용자 퀴즈 풀이가 누적 저장되는 과거 퀴즈 풀이 기록 저장 모듈;
    상기 과거 퀴즈 풀이 기록 저장 모듈에 누적 저장된 사용자 퀴즈 풀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를 구성하는 마커의 순서 및 구성을 자동으로 편집하는 사용자 퀴즈풀이 기반 보드 자동 편집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보드는,
    마커가 개별적으로 각각 출력되는 복수의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상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마다 각각 대응되어 구비되며, 상기 마커 디스플레이에 대해 백라이트를 출력하는 백라이트 모듈;
    상기 RF 송신 모듈로부터 스토리텔링기반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에 의해 업데이트 할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료 및 해당 마커를 수신하는 RF 수신 모듈;
    상기 백라이트 모듈의 백라이트 출력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백라이트 제어 모듈;
    상기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 각각에 대해 상기 스토리텔링기반자료/마커 업데이트 모듈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마커를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커 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백라이트 제어 모듈은,
    스토리텔링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현재 학습하거나 퀴즈를 풀어야 할 단계의 마커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마커를 출력할 마커 디스플레이 블록을 지정하여 백라이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72858A 2021-06-04 2021-06-04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2541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58A KR102541482B1 (ko) 2021-06-04 2021-06-04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58A KR102541482B1 (ko) 2021-06-04 2021-06-04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287A KR20220164287A (ko) 2022-12-13
KR102541482B1 true KR102541482B1 (ko) 2023-06-07

Family

ID=8443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858A KR102541482B1 (ko) 2021-06-04 2021-06-04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4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261A (ko) * 2016-08-01 2017-02-08 오정금 증강현실을 이용한 스마트 보드 시스템 및 증강현실 교육 어플리케이션
KR200489627Y1 (ko) 2019-06-11 2019-07-12 황영진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KR20210032831A (ko) 2019-09-17 2021-03-25 최나래 유아교육용 증강현실 스마트 완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287A (ko)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64049B (zh) 一种具有偏离度自动反馈数据闭环纠偏控制的专业技能实训辅助教学系统及辅助教学方法
CN108399809A (zh) 虚拟教学系统、云平台管理系统和处理终端管理系统
KR102061786B1 (ko) 코딩블록을 이용한 코딩교육 방법
CN105390037A (zh) 一种智能英语多媒体互动教学系统
CN106057001A (zh) 一种职业教育模拟教学系统
CN101542512A (zh) 关联有题库和课程的在线教学方法
Cielniak et al. Integrating mobile robotics and vision with undergraduate computer science
Petrović et al.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game based on IoT
CN112331001A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教学系统
CN111383493A (zh) 一种基于社交互动的英语辅助教学系统及数据处理方法
CN104021326A (zh) 一种外语教学方法与外语教具
KR20160139786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문제풀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41482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N108269443A (zh) 一种网络教学方法
CN111564068A (zh) 一种智能化线上美术教学系统
KR20220164290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관련 지식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6672A (ko) 다중화면 인터랙션을 이용한 온라인 디자인 실기수업 영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24880A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문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CN109658765B (zh) 一种数字医学影像软件教学服务系统
CN114399702A (zh) 一种课堂互动识别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20164289A (ko) 이미지 시각화를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지식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12001824A (zh) 基于增强现实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2308744A (zh) 学习管理系统、用于处理数据的方法和装置
JP2021064101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22007B1 (ko) 코딩교육용 게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게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